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권위주의와 자기애 성향이 학생에 대한 편견에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고, 교사의 공감이 각각의 성향변인(자기애, 권위주의)과 학생에 대한 편견사이에서 매개효과가 있는지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초․중․고등학교 교사 196명을 대상으로 학생에 대한 편견 척도, 권위주의 성격 척도, 공감 척도, 자기애 성격장애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그 결과 교사의 자기애 성향과 권위주의 성향이 각각 학생에 대한 편견과 정적인 상관을 보였다. 회귀분석에서도 각각의 성향이 편견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 중 권위주의 성향이 자기애 성향보다 편견에 대한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의 공감이 각 성향(권위주의, 자기애)과 학생에 대한 편견 사이를 매개하여 편견 감소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애자와 권위주의자가 편견을 갖는 것은 일정 부분 대상에 대한 공감이 부족하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공감하는 정도가 높아지면 편견수준은 낮아질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사의 편견이 성향에서 비롯될 수 있다는 문제제기와 학교 내에서 편견을 줄여나가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2.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과 자아탄력성, 자기구실 만들기가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를 보면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은 성취동기에 영향을 미쳐 지능이 노력에 의해 변화가능하다고 믿을수록 성취동기가 높았다. 자아탄력성과 자기구실 만들기도 지능에 대한 신념, 성취동기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즉 지능이 변화가능하다고 믿을수록 자아탄력성이 높으며 자기구실 만들기를 적게 하고, 자아탄력성이 높고 자기구실 만들기를 적게 할수록 성취동기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두 변인을 지능에 대한 신념과 성취동기의 매개변인으로 설정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성취동기를 높이기 위해서는 지능은 노력에 의해 변화 가능한 것이라는 신념을 갖도록 교육하는 것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지능에 대한 암묵적 신념은 현상적으로 두드러지는 변인은 아니지만 자아탄력성과 자기구실 만들기에 선행하여 영향을 주고 이러한 변인을 매개로 하여 성취동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끝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에 대한 제안을 하였다.
        3.
        2003.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wo types of polyimide/silica composite films were prepared using sol-gel method through hydrolysis and polycondensation of tetraethoxysilane (TEOS) with the polyamic acid (PAA) and end-capped PAA solution. Samples were characterized by the means of differential thermogravimetry, X-ray diffractometr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universal test, impedance analyzer, chemical resistance test, etc. All of the PAA/silanol solutions heat-treated at 300℃ for 6h were transformed to polyimide/silica composit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the properties of polyimide/silica composites were affected by the amount of silica addition and the bond type existed between polyimide and silic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