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2

        1.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alanine을 적용한 스크러버의 주류공장 내 CO2 제거효율, 모니터링 데이터 분석/ 평가 및 에너지 저감효율을 평가하였다. 스크러버의 평균 제거율은 90.45%로 10,000 ppm이상의 고농도 CO2가 유입됨에도 제거효율이 뛰어난 것을 확인하였다. 스크러버 작동 후 작업장 내 CO2는 2,000ppm 이 하로 유지하여 약 74% 이상의 이산화탄소 저감 효율을 확인하였다. 또한 소비되는 전력량을 측정한 결과 스크러버 작동 후 230 kWh로 약 7.26%의 에너지가 절감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본 개발제품을 적용한 결과로 작업장 내 이산화탄소 농도를 외기유입 없이 낮은 농도로 유지함에 따라 근무자의 작업환경을 개선 시킬 수 있었으며 에너지 소비량 또한 저감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식품, 주류공장 내 고농도 CO2 제거 공 정으로써 스크러버가 유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주류공장 내 고농도 CO2 제거 및 포집을 위해 L-alanine 흡수제를 적용하여 CO2 흡수, 탈리 효율을 평가 후 재생 성능을 확인하였다. 탈리공정의 효율적인 처리를 평가하기 위해 실험 실 규모에서 Hot plate, Steam 두가지 탈리 방법을 비교하였으며 Hot plate는 약 10%, Steam의 경우 약 60%의 재생효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주류공장 내 100m3/min 실증화 규모에 Steam-Tower 탈리공정을 적용하여 최적조건을 평가한 결과 탈리 유량 4L/min 이하, Steam 온도 160℃ 이상, 탈리효율 85.5%로 확 인할 수 있었다.
        4,000원
        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로시설물의 염화칼슘 제거를 위한 미세기포 세척장비의 최적 운용조건에 대하여 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미세기포의 직경은 196.6±100.6nm 에 1.36×108개/ml의 농도를 나타낸다. 세척장비의 분사장치에 대한 실험 성능결과, 100bar의 분사압력에서 100cm, 150cm 분사거리에 약 93%, 91%의 세척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미세기포 생성(순환)횟수를 2-6회로 증가시킴에 따라 최소 1%에서 7%까지 염화물 제거율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미세기포 생성 공기유량을 4 ml/min에서 0.5 ml/min으로 낮춤에 따라 세척효율이 최대 30%까지 증가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반 상수도와 미세기포의 세척효율은 미세기포가 일반상수도 보다 세척효율이 25% 높게 나타났다.
        4,000원
        4.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 새롭게 도입하고자 하는 인터모달 자동화물운송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터미널 플랫폼 시설의 온도하중에 따른 적정 신축이음 간격을 살펴보았다. 터미널 플랫폼의 적정 신축이음 간격 검토는 미국 F.C.C.(federal construction council)에서 제안한 식을 이용하여 지역별 온도변화에 따른 최대 신축이음 간격을 설정하고, 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해서 산출된 최대 변위값과 건축구조 수평변위 제한값을 비교하였다. 적정 신축이음 간격은 온도변화로 인한 구조물 최대 변위량이 수평변위 제한값 이하가 되는 슬래브 길이로 선정하였으며, F.C.C 제안식을 통하여 산정한 지역별 최대 신축 이음 간격을 적용하여 구조물 최대 발생 변위를 살펴본 결과, 건축구조 수평변위 제한값 이내에서 발생될 수 있는 최대변위 값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5.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3개의 운전변수(압력, 공기량, 운전시간)를 실험 설계하고 마이크로 버블의 종말부상 속도(Terminal rise velocity)를 반응 값으로 하여 예측식 모델과 최적 조건을 수립하였다. 다항식 회귀분석을 통해 펌프의 압력(X1) 4.5bar, 공기량(X2) 3.3L/min 그리고 운전시간(X3)이 2.2min에서 종말상승속도(Terminal rise velocity)에 대한 최적값인 5.14 cm/min (85.7㎛/sec)을 얻었다. 또한, 레이저 입자계수 측정장치를 이용하여 2~5㎛ 및 25~50㎛ 영역에서의 가장 높은 마이크로버블 직경크기 분포를 확인하였다.
        4,600원
        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imate required minimum spacing between Freeway IC for high-speed roadways. METHODS: Since high-speed roadways with over 140 km/h design speed do not exist in Korea, VISSIM Simulation Program was used for analysis. Acceleration noise and conflicts were selected for Evaluation Index. Standard deviation size for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was calculated by VISSIM to estimate acceleration noise. Conflicts were produced in areas between Freeway IC with SSAM. RESULTS : As a result, required minimum spacing was 6 km for acceleration noise analysis, while 5 km was deducted for conflict analysis. For Model Evaluation, with SAS, conflicts did not show much difference in 5~6 km area by 90% confidence interval. CONCLUSIONS : For acceleration noise, results showed lacking in its discrimination between index per Minimum Spacing. However, conflicts were valid in difference; required minimum spacing was 5 km by validation result.
        4,200원
        7.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 Visibility at night can be improved by using retroreflection for short distances and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for long distances.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through a laboratory luminance test. Field performance analysis was performed through tests conducted on the road. We also examined the luminance measurement methods using the digital image obtained during the phosphorescent visibility evaluation. METHODS : In this study, the laboratory luminance test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was conducted using seven specimens to characterize the luminance changes according to the type of the glass beads, the thickness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and the brightness and irradiation time of the light source. Phosphorescent and general line markings were made at 150 m to investigate the field luminance performance. A preliminary review of the luminance measurement methods was made using a digital image from a digital singlelens reflex (DSLR) camera. The measured luminance ratio of the general and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was compared with the calculated luminance ratio using luminance analysis. RESULTS: Through the laboratory luminance test, it was seen that the change in luminance, which corresponds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appears large but the influence of the thickness and irradiation time is low. The field performance test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conducted on the road involved measuring the luminance on the day the marking was made and 7 days after the marking was made. The luminance was found to be 190 mcd/m2 at 30 min after sunset and approximately 10-12 mcd/m2 4h after sunset. The results of the luminance test were captured using a digital image for each time group. The luminance ratio of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when compared to that of the general line marking, showed a similar trend within a 13% maximum error. Additionally, when this luminance ratio is compared to the direct field measurement, it could be confirmed that the luminance ratio, as captured in the digital image, showed a similar tendency. CONCLUSIONS : 1) The change in luminance corresponding to the brightness of the light source is significant in comparison with that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and the irradiation tim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field test for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 satisfied the phosphorescent fire protection standard. 2) We examined the validity of the luminance measurement method using a digital image and we concluded that the change in the luminance ratio shows a similar tendency in both the cases. The results can form the basis for luminance measurement methodology for the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of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4,000원
        8.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changes in the retroreflectivity and luminance of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with changes in glass beads and line marking thickness. METHODS : The color of line markings affects their retroreflectivity. Using a chromaticity test, we conducted the analysis of whether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adhered to the「 KS M 6080」standard. Then, we measured the dry retroreflectivity and wet retroreflectivity for various glass bead refractive indices. We conducted wet retroreflectivity test using the EN 1436 standard as the basis. We also conducted luminance tests for different glass bead refractive indices and line marking thicknesses. RESULTS : 1.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specimens satisfied the 「KS M 6080」standard. 2. In dry retroreflectivity test,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sprayed with glass beads satisfied the national police agency standard (240 mcd/(m2₩Lux)). Wet retroreflectivity test results showed that except for one type of No.1 glass beads,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specimens sprayed with glass beads of one type of No.3 and two types of No.1 satisfied the national police agency standard (100 mcd/(m2₩Lux)). 3.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had higher retroreflectivity than non-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in the dry condition. 4.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sprayed with glass beads demonstrated improved luminance. Luminance increased with higher glass bead refractive index and with increased line marking thickness. However, when the thickness crossed a certain threshold, phosphorescence ceased to increase; this is a characteristic of the phosphorescence phenomenon. CONCLUSIONS : Visibility across short distances can be ensured when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are sprayed with glass beads, because of the retroreflection phenomenon. It is also possible to ensure far visibility using phosphorescent road line markings.
        4,000원
        9.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통안전시설물은 도로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를 사전에 전달하고, 또한 행동을 동일하게 통제함으 로서 도로상의 안전 확보 및 교통 소통을 증진하는 시설이다. 교통안전시설 중 선으로 표시하는 중앙선, 구분선 등의 차선은 운전자에게 진로 및 도로선형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운전자의 안전하고 편리한 운행을 돕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 야간에 차선이 보이지 않아 운전자들의 야간 주행안전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야간 주행 문제는 최근 3년간 야간 교통사고 사망자 수가 전체 사망자 수의 52.8%로 절반 이상을 차지할 만큼 대안 마련이 필요한 실정이다. 노면표시의 시인성은 자동차 전조등에서 나오는 빛을 유리알에 의해 재귀반사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하지만 유리알에 의한 재귀반사는 전조등 거리 에 따른 시인거리에 한계가 있고, 전조등 빛이 닿지 않는 구간인 굴곡이 심한 산지부 도로나 커브가 있는 회전구간에서 시인거리가 극히 제한될 수밖에 없다. 해외에서 주로 연구되고 있는 축광 노면표시는 재귀반 사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고, 조명시설이 부족한 구간에 설치 시 야간 주행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 다. 하지만, 대부분 축광에 의해 도료 자체에서 방출되는 빛만을 이용하여 시인성을 확보하는 기술로 자동 차의 전조등이 비추는 영역에서는 축광에 의한 시인성 효과를 얻기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자동차 전조등이 비추는 근거리에서는 재귀반사를 통한 시인성을 확보하 고, 원거리에서는 축광에 의한 시인성을 확보할 수 있는 축광 노면표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을 하고자 한 다. 이를 위해 유리알 성능과 노면표시 두께에 따른 축광 노면표시의 재귀반사도 및 휘도 성능을 비교・분 석하였고,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축광 노면표시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을 살포하여 재귀반사와 휘도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노면표시 개발을 위한 기초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를 수행하며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축광 노면표시 의 색도는「KS M 6080」기준을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축광 노면표시의 건조상태 재귀반사 실험 결과,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 살포시 경찰청 재귀반사 기준인 240 mcd/(㎡・Lux)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 로 나타났다. 습윤상태 재귀반사 실험 결과도 유리알 1종 1호를 제외한 유리알 1종 3호와 2종 1호를 살포 한 축광 노면표시 시편은 경찰청 우천시 재귀반사 기준인 100mcd/(㎡・Lux)를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 다. 이에 따라 축광 노면표시에서도 유리알 살포시 자동차 전조등에 의한 재귀반사로 근거리 시인성 확보 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3. 축광 노면표시는 일반 노면표시에 비해 유리알을 살포하지 않아도 도료 자체적으로 건조상태 재귀반사 성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축광 노면표시 도료가 자체적으로 빛 을 발산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 축광 노면표시에 유리알 살포시 축광 성능이 개선됨을 확인하였 고, 유리알 굴절률이 높아질수록 휘도 값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축광 노면표시의 두께가 두 꺼워질수록 휘도가 증가하긴 하지만 일정수준 이상으로 두께가 증가할 경우 축광 성능이 포화되어 더 이 상 휘도가 증가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10.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rive the optimum mixing ratio of phosphorescent pigment for the development of phosphorescent line marking. METHODS: In this study, we utilize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methodology, to describe the domestic and foreign state of practice for the production and mixing of phosphorescent pigment for use in line marking. The optimal mixing ratio was derived by comparing the reduction in luminance over time for the various phosphorescent pigment mixing ratios identified in the literature. In addition, performance and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field testing techniques. RESULTS :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the luminance performance standards tests showed that all of the phosphorescence test specimens satisfied the phosphorescent fire protection standard. As the phosphorescent pigment mixing ratio increased, the luminance value increased, 2)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was minimum at the mixing ratio of 50%. However, when compared to a mixing ratio 40%, a small difference was recorded, the luminance reduction rate from the mixing ratio of 40% is judged as being converged. Therefore, in view of the economic efficiency, it was determined that the optimal mixing ratio was 40%, 3) as a result of construction on the field, a mixing ratio of 40% was found to have a higher luminance value than the general line marking for up to three hours after sunset, 4) it was found that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without glass beads spraying had a higher luminance value than the phosphorescent line markings with glass beads spraying. CONCLUSIONS : Through the results of the basic experiments of the line markings obtained by blending a phosphorescent pigment, the results could be appli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phosphorescent line marking paint technology and in establishing application planning for on-site construction characteristics.
        4,000원
        11.
        2015.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12.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suggests the application of glow line marking technology for reducing traffic accidents at nighttime. METHODS: In this study, using a statistical analysis, we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f traffic accidents occurring at nighttime. Next, the strength, weakness, opportunity, and threat (SWOT) factors were derived based on a current-status analysis of glow line marking technology and road environments. An SO strategy, ST strategy, WO strategy, and WT strategy wer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four SWOT factors. RESULT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following strategies should be promoted to apply glow line marking technology to a road environment: 1) an activation strategy for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glow line markings for a new paradigm in reducing traffic accidents, 2) a benefit enhancement strategy applying glow line marking technology in places where nighttime traffic accidents frequently occur, 3) a strategy for the expansion of glow line marking by replacing streetlights, and 4) a strategy for enhancing road applications through the development of various line marking methods in consideration of both performance and costs. CONCLUSIONS : The application of glow line markings in a road environment can contribute to a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at nighttime, and aid energy savings from the replacement of streetlights.
        4,000원
        13.
        2014.09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화석 연료의 사용 증가로 인한 이산화탄소 배출의 증가로 급속한 지구의 온난화가 초래되었으며, 전 세 계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피해는 앞으로 더욱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국제에너지기구 (International Energy Ageny, IEA)는 전 세계가 신재생에너지를 주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고 가정해도 2050년 이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우려할 만한 수준으로 높아진다고 보고하고 있다. 이처럼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는 인류의 미래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에 대한 대비책으로 대기 중 이산화탄 소 농도를 혁신적으로 저감할 수 있는 기술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현재 지구상 평균 CO2 농도는 390ppm로 매년 2ppm씩 증가하는 추세이며, 특히,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CO2가 전체 50%에 육박하 는 실정이다. 발전소와 같이 대규모의 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고농도 CO2 포집기술은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비점오염원에서 배출되는 저농도의 CO2를 제거하는 기술은 미비한 실정으 로 대기 중 CO2를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기술(Direct Air Capture technology; DAC)이 미국, 캐나다에서 제안되었으며 이에 대한 경제성 및 타당성 평가를 미국 물리학회에서 2년간 수행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알카놀아민 계열의 흡수제를 이용하여 도로변 대기 중 저농도 CO2 저감을 위한 적 용 가능성을 도출하고자 실험실 규모에서 저농도 CO2 저감 성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단일흡수제의 경우 MEA 농도 1, 2, 3 wt%에서 CO2 흡수량은 0.34 mol-CO2/mol-absorbent, 0.32 mol-CO2/mol-absorbent 그리고 0.3 mol-CO2/mol-absorbent로 나타났고, AMP의 농도 1, 2, 3 wt% 에서는 0.32 mol-CO2/mol-absorbent, 0.30 mol-CO2/mol-absorbent, 0.28 mol-CO2/mol-absorbent로 나타나 MEA가 DEA, MDEA, AMP보다 흡수성능이 우수하였다. 혼합흡수제의 경우 MEA 0.5wt%에 AMP 0.5wt%를 혼합한 흡수제가 0.52mol-CO2/mol-absorbent로 흡수 성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한, 요소기술을 적용한 저감장치 개발을 통해 연간 10톤의 대기 중 CO2를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4.
        2013.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oretically reviews vertical grade deriving process in super high speed environment and compares overseas design criteria with Domestic Standardization also draws suitable vertical grade design criteria of high standard for Domestic Circumstances in Korea. METHODS : By researching domestic vehicle registration status, calculating typical vehicle, using Vissim which is traffic simulation program, Speed-distance curve of the vehicle is derived under each design speed condition. Through Speed-distance curve, estimating critical length of grade and considering critical length of grade, maximum longitudinal incline is proposed. RESULTS : The result of domestic vehicle registration status, the typical vehicle for deriving vertical grade is calculated based on gravity horsepower ratio 200 lb/hp. For calculating critical length of grade, according to change speed of uphill entry, speed-distance curve is derived by using Vissim. Critical length of grade is calculated based on design speed 20 km/h criteria which is point of retardation. Estimated critical length of grade is 808 m and based on this result, maximum longitudinal incline was confirmed in the design speed between 130km/h to 140km/h. CONCLUSIONS: The case of the typical vehicle(truck) which is gravity horsepower ratio 200 lb/hp, maximum longitudinal incline 2% is desirable at the super high speed environment in the design speed between 130km/h to 140km/h.
        4,000원
        15.
        2012.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nsideration which relates with a disaster from route alignment process and proposed the method it will be able to evaluate a disaster danger fixed quantity. METHODS: Use the landslide disaster probabilistic map of GIS based and in about landslide occurrence of the route alignment at the time of neighboring area after evaluating a risk fixed quantity, it compared LCC expense in about each alternative route. It developed the system it will be able to analyze a LCC and a disaster risk in about the alternative route. In order to verify a risk analytical algorithm and the system which are developed it selected national road 59 lines on the demonstrative route and it analyzed a disaster risk. RESULTS: Demonstrative route not only the disaster risk to be it will be able to compare a disaster risk fixed quantity like the economical efficiency degree in compliance with LCC expense productions it compared and there being the designer will be able to decide the alternative route, it confirmed. CONCLUSIONS: Roads can be designed by considering occurs repeatedly landslides and debris flow caused by disasters in advance and expect to be able to effect that can reduce the overall cost to recover losses caused by the disaster, and temporally loss is expected.
        4,000원
        16.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도로배수 취약구간에 대한 수리 수문 설계 인자들을 비교 및 검토하여 수리 수문학 측면의 도로 노면배수 취약구간 발생 원인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대부분 노면배수시설의 설계홍수량 산정에 사용하는 합리식의 주요 변수인 강우 강도를 도로의 노면배수유역 특성에 적합하게 산정하기 위해서는 분단위 강우강도식을 사용하여 10분 이하 강우지속시간을 고려해야 하고, 검토가 부족했던 노면 수로에 대하여 실제 자연현상을 적절하게 반영할 수 있는 부등류 흐름 수리해석 방법을 적용해야 하며, 도로 노면 강우의 즉시 배제가 목적인 쌓기부 도수로, 깎기부 집수정, 중분대 집수정 등의 설치간격 결정에는 현재 설계 실무에서 사용 중인 경험공식보다 노면 수리해석 기법을 활용하여 설치간격을 계산하는 것이 합리적이라고 판단되었다.
        4,000원
        17.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로 운영시 강우로 인하여 발생하는 배수 취약구간에 대하여 현장 조사를 통하여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과학적이고 구체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도로 배수 취약구간의 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배수취약구간에 대한 기존 연구결과 및 현황 자료를 검토하였으며, 도로 노면 배수시설과 도로 인접지 배수시설에 대한 취약구간을 조사 및 분석한 결과, 시공 및 기타의 원인으로 발생한 배수 취약구간이 45.7%, 도로의 기하구조가 원인이 된 배수 취약구간은 32.3%, 도로의 수리 수문의 원인은 22.0%로 분석되었으며, 분석된 원인 별 개선 방안으로서 i)시공 및 기타 부분에서는 토사측구의 재료 변경, 단면의 크기 상향 및 수리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한 용량의 산정을, ii)도로의 기하구조 측면에서는 편경사 및 종단선형을 고려한 합성경사의 도출 및 범위 산정과 종단 오목부 구간의 배수구조물 적정 간격의 제시를, iii)도로의 수리 수문 측면에서는 1분단위 강우강도식의 사용과 노면 강우의 부등류 흐름 해석 기법의 적용과 선형 배수방식에 따른 도로 노면 강우의 신속배제를 개선 방안으로 제안하였다.
        4,000원
        18.
        2011.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노선선정과정에서 정량적으로 환경성을 평가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각종 제도 및 문헌을 고찰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도로노선의 정량적 환경성 평가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이를 국내에 계획된 도로노선에 적용하여, 국내도로에 대한 친환경성을 평가하였다. 이에 따라 중부권, 강원권, 남부권의 지역별 사례구간을 선정하고 제안된 환경성 평가방법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각 지역별 사례구간의 해당 지역에 대한 환경점수대의 분포가 다양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노선의 환경적인 정도를 나타낼 수 있도록 해당지역의 환경영향 최소화 경로를 생성한 후 이를 기준으로 각 노선의 친환경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지역의 환경적 민감도가 큰 지역 즉, 높은 점수대가 많은 지역인 강원권에 설계된 노선의 친환경도가 가장 낮게 분석된 결과를 볼 수 있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