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물과 지방의 신호가 동 위상에 있을 때와 역 위상에 있을 때의 신호를 독자적인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물 소거 영상과 지방 소거 영상을 제공하는 mDixon기법은 지방소거 영상에서 균일한 영상을 제공하며, 금속물에 의한 인공물을 줄일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mDixon 기법을 통해 영상화 된 T2 영상과 T2 FS(지방소거) 영상에 대한 영상 비교를 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며,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요추 자기공명 영상검사에서 mDixon 기법이 기존의 T2 TSE, T2 SPIR 영상과 비교하여 Scan Time, L3 body(요추 체), Back fat(등 지방), Spinal cord, CSF의 SNR과 CNR이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2015년 11월부터 2016년 1월까지 Lower Back Pain으로 요추 자기공명 영상검사를 위해 내원한 성인 30명(남22, 여8, 평균연령 46.1±16.37, 평균 BMI 22.9±3.2)을 대상으로 하였다. 사용한 장비는 Philips사의 Achieva Release 3.0 T와 Spine 전용코일을 이용하였으며, 요추 시상면 mDixon 검사와 T2 TSE, T2 SPIR 검사를 하였다. 검사 시 mDixon과 T2 TSE, T2 SPIR검사는 SNR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TR, TE, TSE factor, FOV, Matrix, Thickness, NSA)를 고정하였고, 이에 따른 Scan time을 비교하였다. 검사한 영상은 세 번째 요추를 가로 기준선으로 L3 Body, Back fat, Spinal cord, CSF에 대해 각각 20mm²의 원형 ROI를 설정하여 신호강도를 측정하였고, SNR과 L3 Body-Back fat의 CNR, Spinal cord와 CSF의 CNR값을 구하였다. 각각의 SNR, CNR 값은 대응표본 t-검정(SPSS win 18.0)을 통해 분석하였고, 0.05이하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보았다. 결 과 : mDixon의 Scan time은 1분 55초, T2 TSE는 1분 00초, T2 SPIR는 1분 00초였다. mDixon T2영상은 T2 TSE 영상보다 L3 body에서 SNR이 높았고, back fat과 CSF에서는 SNR이 낮았으며(p<0.05) Spinal cord에서는 비슷한 SNR을 가졌다(p>0.05). L3 body와 back fat의 CNR은 mDixon T2영상이 높았으며, CSF와 Spinal cord의 CNR은 T2 TSE가 높았다(p<0.05). mDixon T2 FS영상은 T2 SPIR영상 보다 L3 body, back fat에서 낮았고, Spinal cord, CSF에서는 높았다(p<0.05). L3 body와 back fat의 CNR은 mDixon T2 FS영상이 높았으며(p<0.05), CSF와 Spinal cord의 CNR은 두 영상이 차이가 없었다(p>0.05). 결 론 : 결론적으로 LBP환자의 요추 시상면 자기공명 영상검사에서 mDixon 기법이 기존의 T2 TSE, T2 SPIR 기법에 비해 Scan time, 각 부위의 SNR, CNR에서 보다 우수한 영상이라 하기 어려웠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단순 LBP환자를 대상으로 제한하였다는 한계로, 기존의 연구에서 보고된 특정 환자군의 설정(금속물 삽입, 척추 종양, 골절 환자 등)을 통한 추가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2.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 적 : MR urography는 신장의 해부학적 구조와 신기능, 역류까지 정확한 검사가 가능한 유용한 검사법이다. 하지만 소아의 경우 수면 하 검사를 이용하여도 호흡에 의한 움직임과 pulsation 인공물로 인해 영상 판독에 있어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호홉에 대한 움직임을 보정하는 여러 기법들이 사용되는데 기존 소아 MRU에서 사용되는 PACE를 이용한 T1 강조영상과 최근 움직임이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사용되는 3D radial vibe FB기법을 비교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MRU 검사 시 radial vibe 기법을 적용한 환자 12명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parameter는 3D radial vibe가 TR/TE 4.4/1.9ms, FOV 320mm, slice thickness 3mm without gap, slice 52, radial view 600(rotation 6), base resolution 320, NEX 1을 사용하였다. 또한 T1WI-PACE는 TR/TE 400/11ms, FOV 350mm, slice thickness 4mm, gap 1mm, slice 50, base resolution 320, NEX 1을 사용하였다. 검사 시간은 radial vibe 1분 24초, T1WI-PACE 4분 23초(장비 설정값)이였다. 영상 측정은 두 기법 모두 영상의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 vessel clarity에 대해 5년차 이상 방사선사 3명이 five scale로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하였고 각 자료의 통계적 유의성을 평가하였다. 결 과 : Radial vibe와 T1WI-PACE의 정성적 평가 결과는 overall image quality에서 radial vibe가 3.6, T1WIPACE가 3.3으로 나타나 두 기법사이의 큰 차이가 없었으며 respiratory motion artifact에서는 radial vibe가 4.1, T1WI-PACE가 3.4로 나타나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pulsation artifact에서는 raidal vibe가 3.8, T1WI-PACE가 2.7로,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함을 보였으나 vessel clarity는 raidal vibe가 2.5, T1WI-PACE가 3.8로 PACE를 사용할 경우 vessel clarity가 더 좋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검사 시간의 경우는 radial vibe는 1분 24초로 고정된 검사 시간이었으나 T1WI-PACE는 환자 호흡 상태에 따라 편차가 매우 심했다. 결 론 : MRI pediatric urography 검사에서 T1WI-PACE 기법과 radial k-space sampling을 이용한 3D radial vibe기법으로 획득된 영상을 비교해보면 전체적인 영상의 질은 두 기법 모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으며 respiratory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는 radial vibe 기법이 우수하며, vessel clarity는 T1WI-PACE이 radial vibe 보다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검사 시간의 경우 radial vibe는 고정된 시간외에 큰 변화가 없었으나 T1WI-PACE의 경우 환자의 호흡 주기 등의 여러 상황에 따라 변화되므로 검사 시간에 대한 일관성이 없었다. 따라서 MRU에서 T1 영상 획득 시 3D radial vibe 기법은 시간을 줄이며 영상의 질을 유지할 수 있는 유용한 기법으로 판단된다.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 최근 MRI 검사 시 환자의 움직임에 의한 artifact를 줄이기 위한 여러 가지 기법들이 사용되고 있다. 이 중 radial VIBE 기법은 k-space sampling을 radial로 하여 motion artifact, pulsation artifact 등을 감소시켜 영상 진단에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radial sampling 시 발생되는 streak artifact로 인하여 영상의 질이 저하되고 있으며 이를 감소하기 위한 여러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특히 움직임이 민감한 소아 검사에서 radial VIBE 기법은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점차 그 이용도가 증가되고 있다. 본 연구는 소아 MRU 검사 시 radial VIBE기법에서 나타나는 streak artifact를 감소시키기 위한 최적의 radial views 설정에 대한 요인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14년 8월부터 2014년 12월까지 MRU 검사 시 radial VIBE 기법을 적용한 환자 12명과 phantom을 대상으로 3.0T MR(Trio, Siemens Healthcare, Erlangen, Germany) 장비를 사용하였다. 코일은 phased-array body coil을 사용하였고 parameter는 3D radial VIBE axial의 경우 TR/TE 4.4/1.9ms, FOV 320mm, slice thickness 3mm without gap, slice 52, NEX 1을 사용하였고 radial VIBE coronal의 경우 TR/TE 3.4/1.3ms, FOV 380mm, slice thickness 3.5mm without gap, slice 32, NEX 1을 사용하였다. 두 기법 모두 base resolution 256으로 하여 radial views를 100, 200, 300, 400(Nyquist limit 402 spokes)으로, rotation은 1로 고정하여 영상을 획득하였다. 다음에는 radial views 400으로 고정으로 하여 rotation 수를 4, 8, 16, 24, 32, 40, 48, 56, 64로 높여 각 영상의 신호 대 잡음비(signal-to-noise ratio ; SNR)에 대해 정량적 평가를 하였고 영상의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streak artifact에 대해 7년차 이상 방사선사 3명이 five scale로 평가하여 정성적 분석을 한 후 각 자료의 통계적 유의성(p<0.05)을 평가하였다. 결 과 : 영상의 정량적 분석 결과는 radial views와 rotation 횟수가 증가할수록 SNR은 향상되었고 특히 rotation 횟수가 8배, 14배 증가 시 가장 높은 측정값을 나타내었다. Phantom 실험 결과에서도 rotation 횟수가 증가할수록 SNR은 향상되었다. 정성적 분석 결과에서는 radial views를 증가하게 되면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streak artifact 항목 점수가 높게 나타나 영상의 질이 향상되며 artifact가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산출된 각 자료의 통계적 분석 결과는 정량적 분석의 경우 radial views와rotation 두 경우 SNR과의 관계에서 모두 p값이 0.05이하였고 정성적 분석 또한 overall image quality, respiratory motion artifact, streak artifact 각 항목에서 p값이 0.05이하로 나타나 각 자료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결 론 : 소아 MRU 검사 시 radial VIBE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 streak artifact의 발생은 물리학적인 특성으로 인해 완전히 제거할 수는 없으나 radial views와 rotation, 그리고 base resolution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보다 향상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특히 streak artifact를 감소하기 위한 조건은 radial views(spoke 수)를 full sampling 조건으로 설정하여 영상을 획득하고 rotation 수를 8배 이상 설정하여 검사를 진행하면 streak artifact를 감소시키며 영상의 질을 높을 수 있어 임상적 이용 시 보다 최적화된 영상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