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17.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버려지는 마늘껍질의 자원으로써의 활용 가치를 확인하기 위해 마늘껍질 70% 에탄올 추출물(GPE)을 이용하여 인체에서 유래된 폐암 세포(A549), 위암 세포(AGS), 유방암 세포(MCF-7), 간암 세포(Hep3B) 및 대장암 세포(HT-29)의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폐암 세포(A549)의 경우 200 μg/mL의 저 농도에서는 A549 세포의 생존율이 100%로 증식 억제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A549 세포의 생존율이 10% 이하로 떨어지면서 우수한 폐암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확인되었다. 위암 세포에 대한 조사에서는 1,000 μg/mL의 농도에서 55%의 생존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최고 2,000 μg/mL의 농도에서 71%의 위암 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확인되었다. 유방암 세포(MCF-7)의 경우 200 μg/mL의 저 농도에서 78%, 500 μg/mL 이상의 농도 처리 결과에서는 모두 90% 전후의 유방암 세포 증식 억제활성이 확인되었다. 간암 세포의 경우 100 μg/mL의 저 농도에서도 57%의 억제 활성이 확인되어, GPE의 매우 우수한 간암 세포 증식 억제 활성이 확인되었고, 처리되는 GPE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500 μg/mL 농도까지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 세포에 대한 증식 억제 활성은 증가되어 간암 세포의 생존율이 13%까지 저하되었다. 대장암 세포(HT-29)의 경우 200 μg/mL의 저 농도 처리에서 15%, 500 μg/mL 농도 처리에서 85%, 1,000 μg/mL의 고농도 처리에서 93%의 간암세포 증식 억제율이 확인되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간암 세포에 대한 생장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마늘껍질 70% 에탄올 추출물 GPE는 조사된 제일 낮은 농도(100 μg/mL)에서도 간암 세포의 증식을 57% 억제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고, 200 μg/mL의 저 농도 범위에서는 유방암과 간암 세포의 증식을 72-78% 억제하는 높은 활성이 확인되었으며, 500 μg/mL 이상의 농도에서는 위암 세포를 제외한 조사된 4종류의 암세포(폐암, 유방암, 간암 및 대장암 세포)의 증식을 85-90% 억제하는 우수한 활성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마늘 가공 과정에서 쓰레기로 버려지고 있는 마늘껍질은 70% 에탄올 추출을 통해 유방암(MCF-7), 폐암(A549), 위암(AGS), 유방암(MCF-7) 및 간암(Hep3B)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활성 물질로서의 재활용 가치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2.
        2016.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Corni fructus extracts (CEF, EtOAc extraction; CBF, buthanol extraction; CWF, water extraction) were investigated. The total phenolics of CEF (173.3 mg TAE/g)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WF (26.7 mg TAE/g) and CBF (94.8 mg TAE/g). DPPH and ABTS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CEF (DPPH: RH50; 25.1 μg/mL, ABTS: RC50; 36.1 μg/mL) showed even higher than that of BHA and α-tocopherol used as positive control. All three Corni fructus extracts in the concentration of 1~100 μg/mL were effective inhibitors of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NO production was inhibited 71.3~92.2% by CEF, 76.8~85.5% by CBF and 74.4~96.9% by CWF, respectively. CEF, CBF and CWF (1~100 μg/mL) inhibited also pro-inflammatory cytokines like TNF-α, IL-1β and IL-6 very effectively. TNF-α was inhibited up to 51.2% by CWF and IL-1β was inhibited up to 67.1% by CEF. IL-6 was best inhibited by CEF up to 58.9%. This study suggested the potential of Corni fructus for use as an excellent antioxidant substance and inflammatory inhibiting mediators. Therefore CEF, CBF and CWF Corni fructus extracts may be used for therapeutic approach to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3.
        2015.1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enetically modified (GM) pepper H15 containing the gene for cucumber mosaic virus (CMV) coat protein (CP) and its control line non-GM pepper P2377 were investigated for their allergic risk. Amino acid sequence of the inserted gene product CMV-CP was compared with those of known allergens. No known allergen had greater than 35% amino acid sequence homology over an 80 amino acid window or more than 8 consecutive identical amino acids. Protein patterns of GM and non-GM pepper extracts were evaluated by SDS-PAGE, which showed similar distribution of protein bands for both GM and non-GM pepper. Antigen-antibody reactions were compared between GM and its non-transgenic parental control. ELISA and immunoblot analysis of sera from allergic patients showed some IgE reactivity; however, no differences were observed between GM pepper H15 and P2377. We therefore conclude that CMV-CP is less likely to be an allergen; the protein composition and allergenicity of the GM pepper H15 is not different from that of P2377 and safe as a commercial host.
        4.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PS로 염증이 유도된 Raw264.7 macrophage에서 대추잎 분획물(Zizyphus jujuba leaf fractions; ZLFs)의 항염증 효과를 살펴 보기위해 세포독성이 나타나지 않은 1, 10, 100 μg/mL 농도 범위에서 염증매개물질인 NO, PGE2, 염증성 cytokine(TNF-α, IL-1β 및 IL-6) 생성 및 COX-2 단백질의 발현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ZLFs(ZLWF, ZLEF, ZLBF)는 처리 농도 범위에서 효과적으로 NO, PGE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분획 용매에 따른 효과를 살펴보면 ZLWF< ZLBF< ZLEF의 순으로 높은 효과를 나타냈고, 특히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ZLEF은 100 μg/mL 처리 농도에서 NO, PGE2, 염증성 cytokine 생성 및 COX-2 단백질 발현 억제 효과가 LPS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 대조군보다 우수하거나 비슷하여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추 잎 분획물 중 가장 뛰어난 염증 억제제 후보물질로 확인되었다.
        5.
        2013.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Smilax china L. rhizome (SCR), hot water (SCRW) and 70% ethanol extract (SCRE) were analyzed. The total phenolic contents of SCRW and SCRE were 51.7 and 100.5 mg/g, respectively. The measured flavonoid content of SCRW (61.7 μg/g) was almost double that of SCRE (31.7 μg/g). SCRE (IC50=42.4 μg/mL) exhibited stronger antioxidant activity in the DPPH system than the positive control α-tocopherol (71.3 μg/mL) or butylated hydroxy anisole (53.8 μg/mL) did. SCRE (IC50=50.3 μg/mL) also showed stronger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s did α-tocopherol (67.1 μg/mL). The SOD-lik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of SCRW and SCRE showed almost the same pattern. The best SOD-like activity and tyrosinase inhibition activity were measured as 24.9% and 20.3% in SCRW at 1,000 μg/mL, respectively. The cytotoxic effects of the SCR extracts were analyzed via MTT assay on human cancer and normal cells. SCRW and SCRE did not show cytotoxicity up to the concentration of 1,000 μg/mL against the normal human cell line HEK293. Against human breast cancer cells (MCF-7), SCRW inhibited MCF-7 growth (by 27.6%) better than the anticancer drug cyclophosphamide (15.5%) at 1,000 μg/mL. SCRE (1,000 μg/mL) inhibited the growth of human lung cancer cells A549 (37.6%) and human stomach cancer cells AGS (53.6%) more effective than did SCRW (21.0% and 35.4%) or CPA (22.2% and 31.7%). These results suggest the potential use of SCRE and SCRW as an excellent antioxidant and antiproliferative substance, respectively.
        6.
        2008.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된장의 고유한 향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기능성이 향상된 유백피 된장 개발을 위해 유백피 된장의 물리화학적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유백피 된장은 일반 된장에 비해 pH와 염도가 낮으며, 관능검사에서는 단맛이 강하고 짠맛은 약하나 구수한 맛을 나타냄으로써 일반 된장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은 기호 도를 확인하였다. 항산화 작용의 지표인 DPPH 소거 활성측정 결과 값이 일반된장()에 비해 훨씬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7.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실험은 종속 간 알러지 단백질의 분포도와 자식성메밀에 대한 알러지 저감화를 위해서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실험의 공시재료는 양절메밀, 쓴메밀, 자식성메밀을 사용하였다. 양절메밀은 수정 후 5, 10, 15, 29, 25일 간격으로 쌤플을 채취하였다. SDS-PAGE 및 2-DE를 이용하여 단백질 패턴 양상을 비교하였고, MALDI-TOF-MS를 이용하여 특이 단백질을 동정하였다. 그리고 9명의 메밀알러지 환자 혈청을 채취해 Western Blotting을 이용하여 메밀에 대한 알러지 단백질 양상을 비교하였다. 등숙기에 따른 2-DE 결과 20.1, 45-46, 30-45kDa에 위치한 스팟이 현저하게 증가하였고, 21-30kDa에 위치한 스팟은 감소였다. 45-66 및 20kDa에 위치한 스팟은 증가하다가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특이한 양상을 보이는 스팟을 동정한 결과 수정 후 15일에서 알러지 단백질이 발견되었다. 단백질 기능별로 분류한 결과 metabolism 24%, storage 24%로 높은 비율로 차지하였고, allergy는 4%로 나타났다. Western blotting 한 결과 1, 2, 5번이 메밀에 대한 반응이 약하게 나왔으며, 3, 6번은 메밀에 대한 반응이 강하게 나타났다. 대부분 20-75 kDa 부분에서 spot 양상이 뚜렷하게 나타나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cloning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