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된 제석천상 도상의 기원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조선시대 제석천이 나한전에 봉안된 기원을 간다라 ‘제석 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찾고자 하였다. 제석천이 우리나라 불교미술에 등장한 것은 통일신라시대로 석굴암 주실(主 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태안사 적인선사 승탑 등에 범천과 쌍으로 표현되 었다. 고려시대에는 제석천 단독으로 등장하며 왕의 모습과 보살 도상이 융합 된 형태로 조각 및 회화로 조성되었다. 고려시대에 유행한 제석천 도상은 조선 시대에도 계승되었다. 조선시대 제석천은 상원사 문수전 제석천상처럼 왕의 모습으로 표현되는데, 단독으로 제석전(帝釋殿)에 봉안되었거나 석가삼존 및 16나한과 함께 영산전 [나한전]에 모셔졌다. 이 공간은 석가여래께서 영축산에서 법화경을 설하는 장 면을 나타낸 것이다. 조선전기에는 주로 독존으로 안치되다가 후기에는 좌우 2위로 봉안되었다. ‘제석굴 설법’의 장소인 제석굴은 석가여래께서 법화경을 설 한 영축산 근처에 있고, 간다라의 모하메드 나리(Mohamed Nari)에서 출토된 대표적인 대승설법 장면에도 제석굴 설법으로 해석되는 도상이 표현되어 있다. 이러한 예를 통해 본 논문에서는 조선시대 영산전[나한전]에 제석천이 봉안된 것은, 제석천이 석가여래께 법을 청한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의 영향으로 추론 하였다. 오대산 상원사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1466년에 조성되었고, 영산전 소조제 석천상은 15세기 말~16세기 초에 제작된 것으로 16나한상과 함께 봉안되어 있 다. 문수전 목조제석천상은 상원사 창건과 관련된 보천과 깊게 관련되어 있다. 보천이 신성굴에서 수행한 에피소드 또한 석가여래가 제석천에게 설법한 장소 인 제석굴과 상통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상원사 문수전과 영산전에 봉안 된 제석천상은 간다라 ‘제석굴 설법’ 불전 도상에서 기원한 것으로 해석하였다.
        10,100원
        2.
        202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울 옥수동 미타사의 주불전인 극락전에는 조성 연도와 양식이 서로 다른 아미타불상·관세음보살상·대세지보살상으로 구성된 아미타삼존불좌 상이 봉안되어 있다. 이 글은 아미타삼존불좌상의 복장 유물과 불상의 특징을 분석한 것으로, 필자가 2020년 8월에 실시한 복장 조사를 통해 수습한 자료를 중심으로 작성한 것이다. 아미타삼존불좌상 가운데 목조아미타불상의 복장에서는 조성발원문 (1707년) 1점과 중수발원문 2점(1744년·1917년)이 발견되었다. 건칠관세 음보살상의 복장에서는 조성발원문(1769) 1점이 수습되었다. 복장 기록을 분석한 결과 목조아미타불상은 1707년에 조성되어 1744년·1768년·1917 년 등 세 차례에 걸쳐 개금·중수되었고, 건칠관세음보살상은 1769년에 조성되어 1917년과 1970년에 개금·중수되었으며, 목조대세지보살상은 1744년과 1917년에 개금·중수된 사실이 확인되었다. 미타사 아미타삼존상에서 발견된 복장 기록은 조선 후기 왕실 발원 불상의 조성 및 개금·중수 과정을 이해하는데도 중요한 자료이다. 또한 필 자가 주목한 미타사 아미타삼존상의 후령통 내부 물목에 관한 연구는 조선시대 불복장 의식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는 『조상경(造像經)』의 내용을 이해하는데도 도움이 된다. 미타사 목조대세지보살상의 16세기 후령통, 목조아미타불상의 1707년 후령통, 건칠관세음보살상의 1769년과 1970년 후령통은 불복장 납입법의 변천을 연구하는데 중요한 자료로서의 가치가 있다.
        9,900원
        3.
        2020.02 KCI 등재후보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석가여래 일대기 가운데 탄생 전후에 일어난 이야기를 표현한 간다라의 불전도 상을 연구한 것이다. 즉 간다라의 불전미술 가운데 태몽(胎夢), 탄생(誕生), 칠보(七步), 관불(灌佛)의 에피소드를 중심으로 탄생 관련 도상을 고찰하였다. 간다라 불전미술의 도상 연구를 위해 쿠샨제국 때 활동한 아슈바고사(Aśhvaghoṣa, 馬鳴)의 『붓다차리타(Buddhacarita, 佛所行讚)』, 카슈미르 출신의 승가발징(僧伽跋澄, Sanghabhuti)이 역출한 『승가라찰소집경(僧伽羅刹所集經)』, 설일체유부의 『근본설일체유 부비나야파승사(根本說一切有部毘奈耶破僧事)』의 탄생기 관련 설화를 중점적으로 고찰하 였다. 간다라 탄생기 불전도상 가운데 태몽 도상의 특징은 무기를 들고 호위하는 여인과 등을 보이고 있는 누워있는 어머니 마야의 모습이다. 탄생 도상에서는 사천왕 대신 제석천이 싯다 르타 태자를 받고 있으며, 칠보 도상에서는 천지인(天地印) 대신에 두 손을 아래로 내리고 있는 점, 관불(灌佛) 도상에서는 용왕 대신 범천과 제석천이 좌우에 배치되는 점이 다른 지 역과 비교되는 특징이다. 이처럼 중인도와 달리 북인도인 간다라 탄생기 불전도상의 유행에는 이 지역에서 편찬된 불전(佛傳) 경전과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된다.
        8,000원
        4.
        2019.09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전륜성왕 아쇼카와 관련된 에피소드 가운데 불탑 건립과 흙을 보시한 설화 미술이 고대 인도 미술에서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인도 최초의 통일국가인 마우리아 제국의 아쇼카왕은 불교를 세계적인 종교로 전파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다. 중인도에 머물러 있던 불교를 스리랑카를 비롯한 남인도와 북인도, 또는 로마에까지 전파한 것이다. 전륜성왕으로 일컬어지는 아소카왕은 불교신앙에서 가장 중요한 예배대상인 불상 및 불탑과 관련이 깊다. 고대 인도의 대표적인 불교미술은 석가여래의 사리를 봉안한 불탑인데 塔門과 欄楯에는 주로 석가여래의 일대기와 전생담이 새겨져 있다. 이와 함께 아쇼카왕의 성지순례, 8만4천 탑 건립에 관한 설화, 전생에 석가여래에게 흙을 보시한 에피소드가 표현되어 있어 주목된다. 고대 인도 미술에서 석가여래와 아쇼카왕에 관한 설화미술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아쇼카왕과 관련된 불교미술 가운데 첫째, 석가여래의 사리를 봉안한 근본 8탑 가운데 용왕이 지키고 있다는 Ramagrama 탑의 에피소드와 관련된 미술에 대해서, 둘째 ‘阿育王施土’로 알려진 아쇼카왕의 前生과 관련된 설화 미술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 이야기들은 佛滅 후 100년 후에 아쇼카왕이 등장해 8만4천기의 탑을 세운다는 석가여래의 예언과 관련이 있어서 주목된다
        6,700원
        5.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은 양주 청련사의 조선후기 불교조각 가운데 1670년에 조성된 대웅전의 아미타삼존상과, 1651년에 조성된 원통보전의 관세음보살상을 다룬 것이다. 이 두 조각상은 2017년 2월과 3월 두 차례에 걸친 복장 조사를 통해 제작 연대를 확인할 수 있었다. 대웅전의 아미타삼존상은 1670년(강희 9, 庚戌)에 수조각승 녹원(鹿苑)을 비롯한 인종(印宗)ㆍ도운(道云)ㆍ유경(唯敬)ㆍ사운(思運)ㆍ성심(性諶) 등 6명이 참여해 조성한 17세기 후반의 불교조각으로, 확실한 조성 연도와 조각승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청련사 아미타삼존상은 1670년에 조성된 이후 1913년과 2000년에 개금불사가 이루어졌으며, 1940년에 복장품 일부는 도난되었다. 청련사 관세음보살상은 1651년(효종 2, 辛卯)에 전라도 흥양현 팔영산(八影山) 지장암(地藏庵)의 좌협시보살로 조성된 사실이 조성발원문에 기록되어 있다. 조성발원문의 내용을 통해 아미타삼존상 가운데 좌협시보살로 조성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으며, 1940년에 개금ㆍ중수하였던 원문(願文)이 발견되었다. 청련사 원통보전의 관세음보살상이 어떠한 이유로 청련사로 이안(移安)되었는지는 불분명하다. 조선 말기에 왕실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왕실 관련 사찰에 여러 지역의 불상들이 이동된 경우가 많았던 사실을 비추어 볼 때, 양주 청련사의 관음보살상도 화계사와 흥천사처럼 왕실과의 인연으로 고흥능가사의 지장암에서 청련사로 옮겨진 것으로 추정된다
        9,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