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2.
        2015.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나눠, 교사평가와 아동평가로 구분하여 사전·사후로 사회기술 평정체계(social skills rating system; SSRS) 도구를 사용하여 장애아동의 사회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원예치료 실시 전·후의 변화를 살펴보면, 실험군에서는 교사용 사회기술평정체계(SSRS)의 자기통제, 자기주장,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을 보였고, 아동용 SSRS에서도 자기통제, 자기주장, 공감, 협동 모두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다. 즉 원예치료 실시 전·후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3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4개 항목 모두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전반적으로 원예치료 효과가 확실함을 알 수 있다. 원예치료 프로그램 실시 후 통제군과 실험군의 두그룹을 비교한 결과, 통제군에 비해 실험군이 교사용 SSRS의 자기통제를 제외한 자기주장, 협동에서만 유의한 향상이 나타났고, 아동용 SSRS에서는 자기주장과 공감에서는 유의한 향상이 있었으나, 자기통제와 협동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통제군과 실험군 비교 시에 교사용은 3개 항목 중 2개 항목, 아동용은 4개 항목 중 2개 항목에서 유의한 차가 발생함으로써 대체적으로 양호한 원예치료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multimodal 사회기술 훈련을 도입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장애아동의 사회성을 향상시켜 낮은 자신감과 사회성으로 기인된 부적응행동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원예치료가 장애아동 뿐만 아니라 사회성 향상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대상자에게 적극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3.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알 아보기 위해 노인요양원에 거주하고 있는 여성치매노인 16명을 대 상으로 통제군과 실험군으로 할당하여 실험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측정도구로서 인지기능은 한국형 간이치매 사정도구(MMSE-K) 을 사용하였고, 일상생활수행능력은 한국판 수정 바델지수 (K-MB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원예치료 프로그램 전과 후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연구의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은 수집된 자료를 SPSS 12.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원예치료 프 로그램의 적용 전·후의 인지기능, 일상생활수행능력 차이를 비교 하기 위해 Wilcoxon Signed Rank Test를 실시하였고, 실험 전, 후 의 군간 차이를 알아보고자 Mann-Whitney test를 사용하였다. 통 계학적 유의수준은 a=0.05로 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원예 활동을 활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 생활수행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향후 노인요양원에 입소한 치매노인의 치료에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ung-Su Im. 2003. Concept "Woman" in Russian phraseological units. Studies in Modern Grammar 32, 205-220. Most of the Russian phraseological units(PU) reflect the ethnic-cultural experience of the Russian people. Essentially the functional approach to the correlation of the peculiarities of ethnic culture and phraseology is a topical problem of investigations in phraseology. The study of the question gives an opportunity to regard the ontological picture of language as a social phenomenon. This paper aims at analysing the peculiarities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the PU and the semantic importance of cultural cannotations realized in them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mentality. The PU play a special role in cultural heritage and ethnic identity because the picture of world of ethnic culture is realized in the metaphorical contents of the phraseology. We will analyze various types of the PU as much as possible to describe the above-mentioned facts in this paper. The PU realize the cultural heritage of the speakers, at the same time, work on the formation of their collective consciousness. Therefore, the culturally colored picture of world works on the speakers, by shaping cultural and linguistic self-consciousness through the reflection in language. In the process of analysis, it is revealed that not only the national identity but also the certain collective self-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definite cultural or temporal sphere in society can be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the PU.
        5.
        2000.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ung-Su Im. 2000. Russian Idioms as Reflec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Mentality. Studies in Modern Grammar 21, 87-114. The primary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language and spiritual culture, language and national mentality,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process of embodiment of national culture in the idioms and the semantic im portance of cultural connotations realized in them which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national mentality. Analyzing various types of idioms, we will show that the cultural and the anthropological factors work on the formation of the idioms, and that the idioms functions as paradigm of national mentality and cultural code. We will also reveal that not only the national identity but also the certain collective self-consciousness resulting from the definite cultural or temporal sphere in society can be reflected in the formation of the idi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