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8

        41.
        200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택사 2모작 재배시 몇가지 진딧물 살충제 처리가 살충효과와 택사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자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진딧물 방제가는 약제 살포후 5일 조사에서는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메소밀 액제 )·, Imidacloprid-Wp, 10%(이미다클로프리드 수화제)[코니도]·, Carbosulfan-Wp, 20%(카보설 수화제)[포수]·, Methomyl-Wp, 45%(메소밀 수화제)[란네이트] 처리에서 97.5%, 98.9%, 98.4%, 97.0%로 각각 높았으며 약제 살포후 10일 조사에서도 무처리에 비하여 Methomyl-Lf, 24.1%·Imidacloprid-Wp, 10%·Carbosulfan-Wp, 20%·Methomyl-Wp, 45% 처리에서 92.3%, 92.8%, 93.0%, 93.1%로 각각 높았다. 2. 10a당 건근수량 역시 무처리 232kg에 비하여 Methomyl-Wp, 45% 처리에서는 313kg으로 134%로 증수였으나 Methomyl-Lf, 24.1%·, Imidacloprid-Wp, 10%·, Carbosulfan-Wp, 20% 처리에서는 333kg, 341kg, 325kg으로 각각 143%, 146%, 140%의 높은 수량성으로 증수되는 경향이었다. 3. 약해 조사에서는 기준량에서는 약해증상이 전혀 없었고 배량에서는 약하게 증상이 보였다.
        50.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주암호 건설에 따른 기후 요소의 변이에 따른 벼 생산성에서의 변이를 밝히기 위해 주암호 주변 6개 지역에 AWS를 설치하고 그 인근 지역에서 벼를 재배하고 생육 및 수량을 조사하였다. 조사항목은 주요 기상요소로서 일최고기온, 일최저기온, 일평균기온, 일평균상대습도, 일평균풍속, 일평균지온, 일적산일사량 그리고 일적산강우량이었고, 생육형질로는 일주일 간격으로 8~10회에 걸쳐 초장, 분얼수, 엽면적, 엽건물중, 경건물증, 그리고 수량 및 수량구성요소를 조사하였다. 기상요소의 변이와 벼 생산성의 변이간의 관계는 SIMRIW의 모수추정을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호수 생성 전과 생성 후의 기상을 30년간 시뮬레이션을 통해 추정한 다음 이 결과를 모형에 입력하여 30년간의 모형에 의한 수량을 추정하고 그 평균을 통해 호수생성에 따른 벼 생산성 변이를 추정하였다. '94년도 5개 지역 그리고 '95년도 3개 지역, 그리고 '96년도 4개 지역의 관측된 시험 성적과 SIMRIW에서 추정한 지상부 건물중, 엽면적지수 그리고 수량을 비교해 보았을 때 SIMRIW의 결과가 대체적으로 각 관측치의 평균값에 접근함을 알 수 있어 이 모형이 비교적 양호하게 기상환경의 변이에 따른 수량을 예측함을 알 수 있었다. 30년간의 simulation을 통해 얻은 담수 전과 담수 후의 기상자료를 비교해 보면 일최고기온은 담수 전이 약간 높았으나 일최저기온은 담수 후가 약간 높아서 일평균기온은 담수 후가 오히려 높은 경향을 보였고, 일적산일사량은 담수 후에 대략 0.9 MJ d1 정도 낮아졌다. 이들 자료를 SIMRIW에 입력하여 수량을 예측해 본 결과 주 암호의 생성에 따라 복다-동촌-승주지역에서 5.2%, 오봉 4.9%, 이읍 9.1%, 금성 5.5%, 유정 4.8%, 다산 3.3% 정도 수량이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전지역을 평균하여 볼 때 담수 전이 6.82MT/ha, 담수 후가 6.44MT/ha로 전체적으로 5.6% 정도 감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51.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시 적정(直播栽培時 適定) 시비량(施肥量)을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與)하고자 여천(麗川) 재래종(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實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무비구(無肥區)(N-P2O5-K2O = 0 - 0 - 0kg/10a)의 개화기(開花期) 7월(月) 20일(日)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7월(月) 21일(日)~23일(日)로 1~2일(日) 늦게 개화(開花)하였다. 2. 생육형질(生育形質)인 경장(莖長), 경태(莖太), 분지수(分枝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생경엽중(生莖葉重), 건경엽동(乾莖葉重)은 무비구(無肥區)에 비하여 모든 시비구(施肥區) 양호(良好)하였으나 다비구(多肥區)(N-P2O5-K2O = 12-18-12kg/10a) 3. 수량형질(收量形質)인 건근중(乾根重)은 무비구(無肥區)보다 모든 시비구(施肥區)가 양호(良好)하였으나 그 중에서 중비구(中肥區)(N-P2O5-K2O = 9-13.5-9kg/10a)에서 10a당 건근중(乾根重)이 178kg으로 무비구(無肥區)의 126kg에 비(比)하여 41%가 증수(增收)되었고 표준시비구(標準施肥區)(N-P2O5-K2O = 6-9-6kg/10a)의 167kg에 비해서는 7%가 증수(增收)되었다.
        52.
        199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적형질을 중심으로 다변량 해석법에 의해 택사 품종들간의 유연 관계를 추정하고 이에 기초한 cluster analysis를 실시하여 품종을 분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Euclidian distance (D2)에 의하여 공시한 62개 품종을 5개군으로 대별해 볼 수 있었는데 제1군이 12품종, 제2군이 21품종, 제3군이 17품종, 제4군이 5품종, 제5군이 7품종으로 군을 형성하였다. 제 1군은 건근중은 높고, 생근중이 낮으며 제2군은 생근중이 높고 제4군은 건근중이 낮은 품종군이었다. 지리적 분포와 유전적 변이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었다. 품종군내, 품종군간의 D2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 형질은 경장과 생근중이었다.
        53.
        199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 황금(黃芩)의 맥후작(麥後作) 직파재배(直播栽培)의 적정파종기(適定播種期)를 구명(究明)하여 재배기술(栽培技術)을 개선(改善), 보완(補完)하고 수량(收量)을 증대(增大)시켜 안정생산(安定生産)에 기여(寄輿)하고자 여천재래종(麗川在宋種)을 공시(供試)하여 실시(賣施)한 시험결과(試驗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1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12일(日)로 11일(日)이 소요(所要)되었고 6월(月)10 일 파종(播種)은 6월(月)16일(日)로서 6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23일(日)로서 3일(日)이 소요되었다. 2. 개화(開花) 소요기간(所要期間)에 있어서 6월(月) 1일(日) 파종(播種)은 54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4일(日)에 개화(開花)되었고 6월(月)10일(日) 파종(播種)은 45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5일(日)에 개화(開花)되었으며 6월(月)20일(日) 파종(播種)은 37일(日)이 경과(經過)되어 7월(月)27일(日)에 개화(開花)되었다. 3. 지상부(地上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경장(主莖長), 주경경(主莖徑), 주경절수(主莖節數), 분기수(分技數) 및 건경엽중(乾莖葉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4. 지하부(地下部)의 생산물(生産物)인 주근장(主根長), 주근경(主根徑), 주당상근수(株當上根數) 및 건근중(乾根重) 모두 6월(月)1일(日) 파종(播種)에서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54.
        1997.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wing dates, Apr. 25, May 15, June 5 and June 25, on sex ratio, growth and seed yield of "Chonnam species", local variety of hemp plant. The results were following as. : In sex ratio according to the different seeding dates, the revealating rate of female and male plants were highest on June 25, and Apr. 25, respectively. The length of stem, the number of branches, nodes, and seed yield were increased on May 15, but these charateristics were rapidly reduced on June 25 because of short growing period. Yield of seeds was increased by 24% on May 15 comparing with 1.30ton /ha on Apr. 25.
        55.
        199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시비수준이 양파의 수량고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조생종, 패총조생을 공시하여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무안 포장의 논토양, 밭토양 Pot 재배에서는 N-P2O-5-K2O=28-9.5-23kg/10a 처리에서 양파의 수량성이 높고 부패율도 적어서 저장성이 높았다. 2. 창녕 포장의 논토양 Pot 재배에서는 N-P2O5-K2O=12-19=17.3kg/10a의 처리에서 양파의 수량성이 높고 부패율도 적어서 저장성이 높았으며 밭토양 Pot 재배에서는 N-P2O5-K2O=28-9.5-23kg/10a의 처리에서 양파의 수량성이 높고 부패율도 적어서 저장성이 높았다.
        56.
        1996.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점적관수(點滴灌水) 재배(栽培)가 양파의 채종량(採種量)에 미치는 영향(영향)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형질(생육혈질)로서 분약수(分藥數), 엽수(葉數), 초장(草長), 엽견장(葉堅長) 관화율(關花率)은 2월(月)-3월(月) 비닐하우스피복구(被覆區)와 3월(月) 비닐하우스 피복구(被覆區)에서 점적관수(點滴灌水)로 재배(栽培)할때에 가장 양호(良好)하였다. 2. 채종량(採種量)의 구성형질(構成形質)로서 화륜경(花輪梗핵), 화경당(花梗當) 소화수(小花數), 임실율(稔實率)은 2월(月)-3월(月) 비닐하우스 피복구(被覆區)나 3월(月) 비닐하우스 피복구(被覆區)에서 점적관수(點滴灌水)로 재배(栽培)할때에 가장 양호(良好)하였기에 채종량(採種量)도 가장 많았다.
        57.
        1996.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황금재배실태(黃金栽培實態)와 문제점(問題點)을 파악(把握)하기 위하여 주산지(主産地)인 전남(全南) 여천군(麗川郡) 화양면(華楊面)에서 5년간(年間) 재배(栽培)한 결과(結果)를 대상(對象)으로 조사(調査)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맥후작(麥後作) 황금직파재배시(黃金直播栽培時) 제초제(除草劑) 전용약제(專用藥劑)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현재(現在)로서는 인력(人力)으로 제초작업(除草作業)이 이루어 지고 있으므로 노동력(勞動力)이 부족(不足)하다) 2. 조숙다수성(早熟多收性) 보리품종(品種) 개발(開發)이 시급(時急)하다. 3. 내병다수성(耐病多收性) 양질(良質)의 황금품종육성(黃金品種育成)이 시급(時急)하다. 4 병충해방제(病蟲害防除)는 농업(農業)의 사용(使用)이 아닌 영양요구시비(營養要求施肥)와 유기농법(有機農法)에 의한 내병충성(耐病蟲性) 재배법개선연구(栽培法改善硏究)가 시급(時急)하다.
        58.
        1996.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재식밀도가 대류의 자웅성의 발현과 섬유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코자 1995년 3월부터 1995년 8월 까지 호남농업시험장 목포시험장 특작포장에서 시험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장은 재식밀도 60 20cm(8,333주/10a)의 소식에서 가장 길었고, 경태는 재식밀도 40 20cm:12,500주/10a)에서 가장 굵었다. 2. 피마율은 재식밀도 40 5cm(50,000주/10a)의 최다 밀식구에서 가장 높았고, 섬유수량 역시 가장 높았다. 3. 자웅성비의 변화는 40 5cm(50,000주/10a)에서 자성의 비율이 가장 높아서 밀식으로 인한 자성의 비율을 높이는 효과를 거둘 수 있었다.
        59.
        199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재배(栽培)에 있어서 기계(機械)를 이용(利用)하여 수확(收穫)의 성력화(省力化)로 노동력(勞動力)과 생산비(生産費)를 절감(節減)하기 위해 본(本) 시험(試驗)을 수행(遂行)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기계(機械)를 이용한 양파 굴취수확(掘取收穫)은 관행인력굴취수확(慣行人力掘取收穫)에 비해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해 서 수확(收穫)한 굴취수확(掘取收穫)이 90-93%로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가장 좋았다. 2. 트랙터 후부(後部)에 굴취기(掘取機)를 부착(附着)한 수확기(收穫機)의 성력효과(省力效果)는 관행인력수확(慣行人力收穫)에 비해 37%의 작업시간(作業時刊)을 절감(節減)하여 37%의 작업비(作業費)를 절멸(節滅)했다.
        60.
        199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양파 채종재배(採種載培)에 적합(適合)한 파종시기(播種時期)와 피복(被覆)을 구명(究明)코자 시험(試驗)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육(生育), 추태율(抽苔率), 개화율(開花率), 화경당(花莖當) 소화수(小花數) 및 임실율(稔實率)은 9월(月)10일(日)~ 25일(日) 파종(播種), 투명(透明) 비닐피복(被覆) 하(下)에서 가장 양호(良好) 하였다. 2. 주당(株當) 채종량(採種量) 및 10a당(當) 채종량(採種量) 역시(亦是)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증수(增收)여서 우리나라 남부지방(南部地方)에서는 양파모구(母球)를 9월(月)10일(日)~25일(日)에 투명(透明)비닐 피복하(被覆下)에서 파종(播種) 하는 것이 적합(適合)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