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를 살고 있는 우리는 기대 수명의 증가, 고령화에 대한 사회 적 인식 확대, 고독사, 무연사 등 사회적 문제가 증가하면서 삶을 잘 마무리하는 것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정신적·육체적인 자 기만족, 행복감을 추구하는 웰빙(well-being)이 이슈로 떠오르면서 웰다잉(well-dying) 또한 사회복지 차원에서 접근할 문제로 인식되 고 있다. 웰다잉은 행복한 삶을 마무리하기 위한 마음가짐과 구체적 실천 행위로 심리적·육체적인 죽음에 대한 적극적인 준비과정으로 설명된다. 의료학적으로는 무의미한 연명치료의 중단이나 완화치료 를 의미하고, 임종환자를 위한 다각적인 지원과 죽음에 대한 의식변 화를 위한 죽음교육도 포함된다.
웰다잉을 위한 실천적 차원에서 호스피스, 터미널케어, 등의 용어 적 정의와 유래를 살펴보았다. 이는 종합적으로 완치가 불가능하여 죽음이 예견되는 환자와 그 가족을 육체적·정신적·사회적·영적 인 돌봄을 통하여 남은 삶의 질을 높이고, 죽음 및 사별의 문제까지 포괄하여 도움을 주고자 하는 행위로 정의되고, 웰다잉을 위한 사회 복지적 차원의 의미로 이해되었다. 또한 웰다잉의 이론적 고찰을 위 해 종교적 차원의 죽음에 대한 이해를 살펴보며 종교가 죽음에 대한 대안 제시와 죽어가는 사람들에게 희망적 메시지 전달을 통해 웰다 잉적 접근을 하고 있음을 탐색해 보았다. 특히 경전의 내용을 중심으 로 불교의 죽음에 대해 살펴보고, 초기불교의 수기사상이 인간의 존 엄성을 극대화하는 종교적 행위이자 웰다잉을 위한 석가의 가르침임 을 재조명하며 현대적으로 그 의미를 고찰해 보았다.
새롭게 제조된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의 기본성능을 관찰하였다. 실규모 하수처리 membrane bioreactor (MBR) 미생물 고농도 현탁액을(MLSS : 약 6 g/L) 처리하는 납석기반 멤브레인 파울링 현상을 서로 다른 공기 폭기량과 막 간격에 대해 관찰하였다. 공극크기가 약 1.0 μm인 비코팅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 지지체의 순수투과도의 경우 약 1100 L/m2⋅hr⋅bar로 측정되었으나 알루미나로 코팅된 납석기반 세라믹 멤브레인은 공극크기의 감소로(0.3 μm) 순수 투과도는 두 배가량 감소하였다. 실규모 MBR 미생물 현탁액을 적용한 침지식 여과실험에서 납석 기반 세라믹 멤브레인 지지체의 경 우 투과플럭스 20 LMH에서 공기폭기량을 증가시켰을 때 파울링은 감소하였다. 그러나 공기폭기가 파울링에 미치는 영향은 막간 간격에 상당히 의존하였다. 일정한 공기폭기 유량에서 막간간격의 증가는 파울링을 감소시켰으나 막간 간격을 3.5에서 5.4 cm로 증가시켰을 때 파울링 속도는 오히려 증가하였다. 알루미나 용액으로 표면코팅된 납석기반 지지체의 경우 유사한 결과가 관찰되었으나 파울링 속도는 코팅층이 없는 지지체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표면코팅에 상관없이 납석기반 지지체 와 멤브레인의 경우 거의 완벽한 SS 제거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납석 지지체 알루미나 표면코팅은 PEG (분자량 8,000 kDa)을 적용하였을 시 멤브레인의 유기물 배제율을 향상시켰다.
한국의 사회, 문화유산이 녹아있는 서울의 문화적 가치를 재현함에 있어 장인의 기여가 현대에 와서는 크게 부각되지 않고 있다. 우리 사회의 많은 디자인에 장인의 감각과 능력이 눈에 보이지 않게 중요한 기초가 되었다. 서울시가 주최한 상암동 평화의 공원에서 개최된 서울정원박람회에서 새로운 정원디자인의 목표에 접근하는 방법으로 장인들의 작업 속에 나타나는 전통문화의 해석과 공간적인 특성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서울 장인정원 설계는 전통적인 서울문화를 장인의 개념을 통해 상징적으로 함축하여 공간적인 의미를 전달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었다. 정원에서는 사람으로서의 장인, 그들이 사용하였던 도구, 그들이 만든 공예품, 그들의 이미지를 자연으로 드러내는 4개의 장인 문화에 대한 층위개념을 설정하였다. 자연으로서 정원의 그라스와 꽃은 대비효과를 위해 큰 원형의 안과 밖에서 상호 관계 되도록 하였다. 장인의 상징적인 이미지와 자연과의 관계에서 공예품의 배경으로 그라스를 사용하고 시각적인 오브제로서 관목 파티션의 반복과 꽃을 사용하였다. 이 설계의 메타포는 강한 시각적 호기심을 끌 수 있는 독특한 해법이며 따라서 정원의 방문자에게 서울 장인 정원의 상징적인 의미를 제공하게 된다.
고분자 PVDF 중공사막과 알루미나 평관형 정밀여과막의 침지식 여과에서 Sodium Alginate 파울링 거동을 관찰하였다. 공기폭기 없이 SA농도 (0.1 g/L)와 투과플럭스 (30 L/m²/hr)에서 PVDF막의 파울링 속도가 세라믹막 보다 높았다. SA 파울링 속도는 NaCl와 CaCl2 첨가 이온강도에서 더욱 높게 관찰되었다. 공기폭기를 적용 시 SA 파울링은 감소하였으나 동일한 공기유량에서 중공사막의 경우 세라믹막에 비해 감소효과는 더욱 높았다.
송아지고기는 어린 소 즉, 송아지에서 생산되는 고기이며 국제적 기준으로 1년 미만의 소에서 생산된 고기를 통칭한다. 송아지고기는 사육방법 및 도축연령에 따라 밥빌, 대용유사양 송아지고기, 곡류사양 송아지고기 및 방목사양 송아지고기로 구분한다. 생산 및 소비량이 가장 높은 송아지 고기는 대용유사양 송아지고기로 체중 200 kg 내외, 5개월령에 도축하며 육색은 핑크색을 나타낸다. 송아지고기는 일반적인 소고기에 비해 단백질 함량이 높고 지방함량이 낮으며 불포화 지방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고기의 육질이 부드럽다. 송아지고기의 육질에 양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체중, 연령, 사료조성, 사료내 철분 함량 등이 있다. 송아지고기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송아지고기 생산용 대용유사료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대용유사료내 단백질 및 지방함량이 20% 내외로 체중의 10% 이상 급여하며 조사료를 자유채식하여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반추위발달을 유지하도록 한다.
본 연구는 아유르베딕 단식을 체험하면서 느끼는 어려움과 신체적, 심리적 변화에 대한 경험을 본질적 차원에서 분석해 봄으로써 단식에 대한 인식의 전환을 돕고, 비움과 정화의 차원에서 단식의 필요성을 느끼게 도와줌으로써 좀 더 쉽게 단식을 적용해 볼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진행되었다. 경험을 있는 그대로 바라보고 그 근저에 있는 본질을 밝히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이용했고, 분석과정을 거쳐 93개의 의미단위와 13개의 하위구성요소 및 5개의 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단식의 과정을 심도 있게 기술했다는 것에서 첫 번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단식을 시도하려는 사람들에게 단식의 과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단식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밑바탕을 마련하였다. 또한 단식을 통하여 얻을 수 있는 신체적, 심리적 변화를 직접 확인한 것과 이를 통해 생활 속에서도 부담스럽지 않고 보다 쉽게 단식을 접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함으로 이를 통해 신체적, 심리적, 정신적으로 온전한 자신을 찾아가는 법을 시도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였다는 것에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and the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wo hundred and eleven children with CP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Korean-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GMFCS), Korean-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K-MACS), Korean-Communication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K-CFCS), and self-care, mobility, and social function domains of the Korean-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K-PEDI) functional skills were measured by physical therapists or occupational therapists. All of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EDI functional skills (rs=-.549 to -.826) (p<.05). Especially, K-GMFCS, K-MACS, and K-CFCS were correlated significantly with mobility, self-care, and social function, respectively. Using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 established that K-GMFCS, K-MACS, and K-CFCS were predictors of self-care skills (74.3%) and mobility skills (79.5%) of the K-PEDI (p<.05). In addition, K-CFCS and K-MACS were predictors of social function (65.9%) of the K-PEDI (p<.05). The information gathered in this study using the levels measured in the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s may be useful to clinicians for estimating the PEDI functional skills in children with CP.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tiation of proprioception, invertor and evertor muscle strength, and time to peak torque at a velocity of 300 °/sec of the ankle joint in people with or without functional ankle instability (FAI). Nineteen subjects with a history of ankle sprain participated. All subjects were divided into FAI group (n1=9, Cumberland ankle instability tool (CAIT)≤24) and a control group (n2=10) based on their CAIT scores. Isokinetic dynamometer was used to measure the sense of active joint position of the ankle at mid-range and end-range of an inversion motion and invertor as well as the evertor muscle strength and time to peak torque at 300 °/s. The FAI group showed a statistically reduction in invertor and evertor muscle strength and time to peak torqu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05). Muscle strength and time to peak torque of the invertor and evertor, as well as the sense of active joint position at end-range were also lower in the FAI group than in the control (p<.05). Correlations between CAIT score and position sense at end-range (r=-.577) and invertor muscle strength (r=.554)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Individuals with FAI showed reduction in invertor and evertor muscle strength and recruitment time as well as in proprioception of the ankle joint. Thus, proprioception and invertor and evertor muscle strength of the ankle joint at fast angular velocity may be investigated when examining and planning care for individuals with FAI.
목적 :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한작업치료학회지에 게재된 단일대상연구 논문의 내용과 방법에 대한 질적 수준을 알아보는 것이었다. 연구방법 : 이 연구는 문헌연구로써, 분석 대상은 2002년부터 2011년까지 게재된 31편 단일대상연구 논문이었고, 이들 논문을 연구 방법의 내용과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종속 변수는 행동변화가 가장 많았고, 상지기능, 시지각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순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자는 아동과 성인 및 노인이 비슷하였다. 아동 대상자는 뇌성마비와 자폐증이 가장 많았고, 성인 및 노인 대상자는 뇌졸중이 가장 많았다. 설계 형태는 반전 설계가 가장 많았으며 유지 및 일반화보고 비율은 높지 않았다. 연구 설계의 질적 수준을 분석한 결과, 31편의 논문 중 4편이 높은 수준이고 나머지는 중간 정도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연구가 대상자와 환경에 대한 충분한 기술, 독립 변수에 대한 조작적정의, 분석 시 표준적 그래프를 제시하고 있었고, 종속 변수의 조작적 정의, 설계 방법에 대한 기술과 정확한적용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중재 블라인드를 수행한 연구는 없었으며 측정자 신뢰도를 측정한 연구는 적었다. 또한 각 구간의 적절한 수의 데이터를 수집한 연구와 중재 효과의 적절한 반복을 시행한 연구, 적절한 시각적 분석을 수행한 연구의 비율은 낮았다. 결론 : 이 연구를 통해 작업치료분야 단일대상연구의 내용과 질적 수준을 파악할 수 있었고, 추후 작업치료 분야의 단일대상연구를 통한 근거 기반의 접근을 위해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ssess a level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the KTX. Investigation sites in the KTX were cabin, gateway, toilet and passenger seat. It was found that the mean concentration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were 157 CFU/m3 and 84 CFU/m3 , respectively, in all of the investigation sites of the KTX. They did not exceed the domestic standard (800 CFU/m3 ) for airborne bacteria and the guideline (150 CFU/m3 ) for airborne fungi recommended by WHO. Mean levels of bacteria and fungi distributed in passenger seat were 2.6×105 cfu/m3 and 3.7×104 cfu/m3 ,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genera identified in the KTX were Bacillus, Corynebacterium, Staphylococcus and Micrococcus for bacteria and Aspergillus, Cladosporium and Penicillium for fungi, respectively. Based on identification result, the profiles of airborne bacteria and fungi in the KTX was wholly similar to those of bacteria and fungi distributed in the passenger seat.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mpa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n 88-item version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GMFM-88) and a 66-item version of GMFM (GMFM-66)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he GMFM was completed in 154 children with CP (age range = 6~12). The internal consistency of the GMFM was calculated by Cronbach's for judging reliability. The reliability of GMFM-88 and GMFM-66 were both above .99. The validity of measurement obtained by the GMFM was assessed by examining the unidimensionality of items and by comparing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levels with tests of the GMFM. Both the GMFM-88 and GMFM-66 were satisfied with unidimensionality. Discriminant validity was demonstrated on significant decreases in scores with increasing GMFCS levels in both measurements. However, GMFM-66 was a more sensitive discriminant in GMFCS level 1 and level 2 and in level 2 and level 4. This study reported a comparison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GMFM-88 and GMFM-66.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implications for the information on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wo versions of GMFCS. This information will be useful for the selection of tools in clinic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Manual Ability Classification System (MACS) by children's age and to identify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CS and the Gross Motor Function Classification System (GMFC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CP). Twenty-six children with CP older than two years participated. Children with CP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MACS and the GMFCS by two physical therapists. Inter-rater reliability was analyzed using the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liability of the MACS for children aged 2~3 years was .88 and for children aged above 4 years was .98 (p<.05). Children with quadriplegia had a higher level of MACS than children with spastic hemiplegia and diplegia. A moderate relationship between the MACS and the GMFCS was found in all children (rater 1, r=.631; rater 2, r=.438). The MACS will be used for classification of children with CP according to the manual abilities. Thus, it offers a reliable method for communicating between therapists about the manual ability of children with CP who are older than 2 years.
Tantalum nitrides () have been developed to substitute the Cd based pigments for non-toxic red pigment. Various doping elements were doped to reduce the amount of high price Tantalum element used and preserve the red color tonality. Doping elements were added in the synthesizing process of precursor of amorphous tantalum oxides and then Tantalum nitrides doped with various elements were obtained by ammonolysis process.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final nitrides with secondary phases was larger than the nitride without the secondary phases. Also secondary phases reduced the red color tonality of final products. On the other hand, final nitrides without secondary phase had orthorhombic crystal system and presented good red color.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nitrides without secondary phases, doping elements made a solid solution of tantalum nitride. In this context, doping process controlled the ionic state of nitrides and the amount of oxygen/nitrogen in final nitrides affected the color tonality.
Special과 Fiesta 품종의 파프리카 분말 첨가량을 달리한 양갱의 일반성분, 수분활성도, 색도, 물성, 관능검사를 조사하였다. 양갱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Special과 Fiesta 품종 모두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조회분 함량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양갱의 수분활성도는 Special과 Fiesta 품종 모두 0.9부근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파프리카 분말 4% 첨가하였을 때, Special 품종의 경우 0.946, Fiesta 품종의 경우 0.944로 높게 나타났다. 파프리카 분말을 첨가한 양갱의 색도를 측정한 결과 L값은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Special 품종은 증가하였으나 Fiesta 품종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황색도를 나타내는 b값은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파프리카 분말 첨가량에 따라 점차적으로 증가하였다. 양갱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Special 및 Fiesta 품종 모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견고성과 점착성이 증가하였으며, 양갱의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파프리카 분말 1% 첨가구에서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h analysis of factors related to musculoskeletal diseases of shipbuilding workers by considering related factors synthetically. The survey was completed by 1,536 shipbuilding workers and except for poor responses, 1,532 were analyzed. The survey consisted of questions about lifestyle, duration of service, physical and mental stress, and musculoskeletal diseases.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with SPSS/PC+ (a descriptive statistics program) and with AMOS 4.0 (a statistical program for path modeling) to test whether the hypothesized path model fitted the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e correlation analysis showed that musculoskeletal disease was associated with duration of service (r=-.095), physical stress (r=.077), and mental stress (r=.602). The results of the hypothesized path model satisfied the criteria required in relation to fitting the collected data. Musculoskeletal disease was directly affected by mental stress but not by physical stress, duration of service and life style. Thus, it is suggested that reducing mental stress is a strategy for the prevention for musculoskeletal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flexor digitorum superficialis (FDS) and the flexor carpi ulnaris (FCU)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Twelv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and performed ultrasound therapy with a round head and a long handled head during each 5-minute application.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the FDS and FCU were recorded by surface electrodes and normalized by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value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muscular fatigue of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p>.05). Without the shape of head, the mean power frequency decreased with the time. There also was no difference in %MVIC of the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p>.05), but the force exerted exceeded 20%MVIC. There wa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mount of cumulative workload of the FDS and FCU as determined by the shape of ultrasound head (p<.05). The workload was however not affected by the shape of the ultrasound head. Constant static grasp of ultrasound transducer head during ultrasound therapy is considered a high risk factor of work-related musculoskeletal disea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 of hospital-based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on Modified Barthel Index (MBI) score in stroke inpatients at least 3 months after stroke, to predict MBI score at discharge from subscales of MBI, and determine the characteristics of stroke at admission. Forty-five stroke inpatients participated and received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for two months. All participants were assessed on MBI at admission and discharge.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dependency level (MBI≤74 and MBI≥75) at admiss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BI score at discharge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MBI score at admission in the group with more than moderate dependency level (MBI≤74). In particular, personal hygiene, dressing, ambulation, and chair/bed transfer were improved. But only ambulation was improv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with a less than mild dependency level (MBI≥75). The chair/bed transfer, dressing, ambulation, and Mini-Mental State Exam-Korea score at admission were important factors in the MBI score at discharge. Eighty-six percent of the variation in MBI score function at discharge can be explained.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hospital-based physical and occupational therapy in subacute stroke improve independent living status, especially for patients with a more than moderate dependency lev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