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

        61.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scellaneous grain crops has been appeared as a well-being food and the demand of them are increasing recently. It is urgent to study especially about the functional materials of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valuation and comparison several functional materials of fatty acids, anthocyanin content, total phenol content and DPPH assay of rice, and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produced organically so that these results would provide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functional products by using miscellaneous grain crops. Total content of fatty acids was in order of foxtail millet (0.649%) and common millet (0.33%), sorghum (0.172%) and rice (0.111%) respectively. The content of unsaturated fatty acid was also in order of foxtail millet (0.511%) and common millet (0.269%), sorghum (0.122%) and rice (0.069%) respectively. Although there was no detection of anthocyanin content in rice, foxtail millet and common millet, sorghum showed high content of anthocyanin content. Sorghum of Mongdangsusu showed the highest anthocyanin content (137.5mg/g). In the total phenol content of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had high content (13.70㎍/g) whereas Daeanbyeo was the lowest content (10.07㎍/g). Foxtail millet of Hinchajo, common millet of Byeorukgijang and sorghum of Chalsusu showed the highest total phenol content of 25.8㎍/g, 69.4㎍/g and 682.2㎍/g respectively. In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among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showed 12.25㎍/g, 16.95㎍/g, 51.01㎍/g and 447.4㎍/ g of total phenol content respectively. The average of total phenol content of sorghum was 26.3㎍/g. It is 36.3 and 26.3 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I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seeds by DPPH(1,1-diphenyl- 2-picrylhydrazyl) assay for rice, foxtail millet, common millet and sorghum, rice of Chucheongbyeo, foxtail millet of Ganghywajo and common millet of Geumeungijang showed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ith 3.6%, 4.78% and 13.4%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ranged from 88.47 to 90.11%.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among four crops, the highest antioxidant activity was obtained from sorghum (89.50%) and the next was common millet (6.13%), foxtail millet (2.43%), and rice (1.60%) in their order of antioxidant activity. The average of antioxidant activity of sorghum showed 55.9, 37.0 and 15times higher compared with rice, common millet and foxtail millet respectively.
        62.
        2012.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effective microorganisms (EM) on growth, yield and fruit nutrient contents of two cultivars (‘Muhanjilju’ and ‘Daetong’) of hot pepper. The number of injection of EM cultivated are 6 times from the pepper plant seedlings until harvested in both cultivars. Stem girth was highest in the treat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whereas lowest in no EM control. In ‘Muhanjilju’, the number of branches was highest (79.3) in the treatment of Bacillus subtilis whereas in ‘Daetong’ was highest (119.0) as trea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Yield of the red hot pepper fruits that sum of two varieties was highest in the treatment of Rhodopseudomonas capsulatas (53.1kg FW per 10a). Regardless of EM treatments, average yield was 8% higher in ‘Daetong’ than is ‘Muhanjilju’ (33.8kg vs 31.2kg per 10a). The incidence of antracnose was lowest by the Rhodopseudomonas capsulatas treatment, which led to the highest yield. As for the effect on fruit mineral nutrients, total N and phosphorus concentrations were highest in the treat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Bacillus subtilis in both varieties,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 of total carotenoids was obtained from the treatment of Lactobacillus plantarum in both varieties.
        63.
        2012.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팥 150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형질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육형 빈도를 보면 무한신육형이 96.6%(145자원)를 차지하여 가장 많았으며, 유한신육형 및 반무한신육형은 각 각 2.0%(3자원), 1.3%(2자원)를 차지하였다. 2. 화색은 황색이 98.0%(147자원)를 차지하였으며, 협색은 노란색, 갈색, 농갈색, 흑황색, 혼합색의 5가지의 색으로 확인되었다. 이중 가장 많은 협색은 황색으로 64.3%(96자원)를 차지하였다. 종피색은 갈색, 농갈색, 흑색, 흰색, 혼합색, 적갈색, 황색 및 녹색으로 8가지의 립색을 나타내었으며, 적갈색 및 갈색계통이 전체의 66.5%를 차지하였다. 3. 생육일수는 89.0~142.0일의 분포를 보여 변이의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15.0일이었다. 생육일수의 빈도는 131.0~140.0일로 이에 속하는 자원이 37.2%(56 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121~130일 사이가 27.3%(41자원)를 차지하였다. 4. 협장은 5.9~10.1 cm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7.8 cm이었다. 협장은 7.1~8.0 cm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45.1%(68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8.1~9.0 cm에 속하는 자원이 32.2%(48 자원)를 차지하였다. 5. 개체당 평균 협수는 28.5협이었으며 150 유전자원의 협수분포를 보면 5.0~132.5협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다. 개체당 협수가 가장 많은 자원은 11.0~20.0협 사이로 30.8%(46 자원)를 나타내었으며, 다음은 21.0~30.0협에 속하는 자원이 28.6%(43자원)를 차지하였다. 6. 협당립수는 5.3~11.3립을 나타내어 변이의 폭이 컷으며, 평균은 8.2립이었다. 협당립수가 가장 많은 그룹은 7.1~8.0립으로 32.2%(48자원)를 차지하였으며, 다음은 8.1~9.0립 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28.2%(42자원)를 차지하였다. 7. 100립중은 범위가 5.7~23.0 g으로 변이 폭이 컷으며, 평균은 12.9 g이었다. 100립중의 분포는 9.01~13.0 g사이에 속하는 자원이 전체의 43.4%(65 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13.01~17.00 g이 28.5%(43 자원)를 차지하였다.
        64.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잡곡 재배 시 가장 문제가 되는 잡초관리방법을 개선하고 피복작물과 잡곡의 작부체계를 개선 및 효율을 비교하기 위하여 피복작물인 헤어리베치와 호밀이 잡곡생육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헤어리베치구에서 수수의 초장과 엽록소 함량, 엽록소 형광, 종실수량은 무처리구 보다 각각 46.4%, 88.7%, 7.9% 높았으며 수량 또한 105.1% 많았다. 조의 경우도 무처리구 보다 각각 45.6%, 50.9%, 37.8%로 초장, 엽록소 함량, 엽록소형광이 높았으며 종실수량도 134.9% 높은 결과를 보였다. 호밀처리구에서 수수의 초장과 엽록소 함량, 엽록소형광은 무처리구 보다 각각 7.1%, 10.8%, 10.8% 높았으나 수량은 25.8% 감소하였다. 조는 무처리구 보다 각각 28.9%, 17.2%, 1.3% 감소하였으며 수량 또한 119.1% 감소하였다. 헤어라베치구에서 잡곡에 대한 녹비 효과가 좋았다. 2. 잡곡 출수 전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잡초 발생량은 무처리에 비해 감소하였고 건물중은 헤어리베지와 무처리 차이가 없었으나 호밀은 31.6% 감소하여 호밀에서 잡곡 출수 전 잡초억제 효과가 인정되었다. 그러나 출수 후에는 혜어리베치의 장초발생량은 159%, 건물중은 55.2% 증가하였으며 호밀에서는 각각 55.2%, 10.9%로 증가하였다. 따라서 출수 후 헤어리베치와 호밀의 잡초 억제효과는 미약하였다. 3. 발생한 주요 잡초종은 총 16종으로 일년생잡초 12종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다. 특히 8월~9월의 우점 잡초종으로는 헤어리베치는 바랭이와 돌피였으며, 호밀 처리 시 강아지풀, 바랭이, 돌피 등이 우점하였다.
        65.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ome fatty acids(palmitic acid,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in foxtail millet seeds were evaluated. In this study, 32 varieties of accession collected from different place of South Korea were used in order to evaluate their fatty acid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These samples were analyzed by GC with HP20 column. Significant variability in individual fatty acids was observed. The palmitic acid ranged from 10.9 to 13.5%, stearic acid from 2.5 to 8.3%, oleic acid from 10.0 to 15.8%, linoleic acid from 62.5 to 67.9% and linolenic acid ranged from 3.0 to 5.2%. This variability can be exploited for selection of plant and for studying the genetic variability in millet. These selections can also be utilized for genetic improvement of the crops.
        66.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경사도가 높거나 농지의 지형적 토성적 이유로 농기계의 작업효율이 낮은 한계경지는 산간지역에 많이 분포하고 있어 이와 같은 불량환경에 적응성이 큰 조, 기장, 수수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검정하여 한계경지 적응 적정 작목 및 품종을 선발코자 실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토양 pH는 평탄지인 대조구가 7.85로 약 알카리성을 나타내었으며, 경사지 및 척박지는 각각 6.3, 6.2로 약산성을 나타내었으나, 자갈밭은 5.1로 강한 산성을 나타내었다. EC는 대조구에 비해 한계농경지(경사지, 척박지, 자갈밭)가 낮았으며, 특히 척박지는 0.05 dS m1로 가장 낮았다. 2.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경사지에서 169.5 cm로 가장 컸으며, 자갈밭이 143.7 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으며, 3.3 m2 당 이삭수는 자갈밭이 85.3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25% 적었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12~113일로 차이가 없었다. 3. 기장의 파종기로부터 출수소요일은 한계경지간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간 1수립수는 벼룩기장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나, 1000립중은 5.5g으로 황기장 6.2g에 비해 작았다. 4. 한계경지별 수수의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수도 대조구와 경시지가 각각 26.7, 26.0이삭/3.3 m2 으로 가장 많았다. 품종별 생육기간은 3품종 모두 122~123이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메수수가 2071.8개로 가장 적었다. 1000립중은 장목수수가 23.8g으로 가장 무거웠다. 5. 조의 수량은 대조구가 295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282.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몽당조가 252.3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많았다. 기장의 수량은 대조구가 217.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는 경사지가 196.0 kg/10a으로 많았다. 품종별로는 벼룩기장이 173.8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흰기장이 122.2 kg/10a으로 수량이 가장 낮았다. 수수의 수량은 대조구가 313.0 kg/10a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은 경사지가 301.7 kg이었으며, 품종별로 는 목탁수수가 236.5 kg/10a로 가장 수량이 많았다.
        67.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ming with the well-being era, consumer’s demand for safe agricultural products is increasing. It is urgent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Accordingly,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pear production system by using several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which is known to be effective in agricultural production. In the effect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the soil chemical characteristics in pear orchard, the content of total carbon, organic matter, Ca and Mg increased a little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ose of 2008,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EC and Mg content in the soil among treatments. The content of leaf N, P and Ca in 2009 decreased compared with those of 2008, while Mg content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2008 and 2009 years. Average pear weight in 2009 was 31g higher than that of 2008 (682g) and 2nd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pear weight (738g) among treatments. The average sugar content was higher in 2009 (12.6°Bx) compared with that of 2008 (12.2°Bx) and the plot of 2nd treatment highest sugar content (12.6°Bx) among treatments. There were no difference in hunter value of L among treatments, but hunter value of a showed higher 1.62 in 2009 than that of 2008 (3.73). The highest of gumminess and cohesive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1st treatment and adhesiveness and chewiness of fruits were obtained from 3rd and 1st treatment respectively. Firmness of fruit increased a little in 2009 compared with that of 2008, while the highest firmness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with 1.63㎏/5㎜∮ among treatments. Phosphate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of fruit skin in 2009 (0.97g/㎏) showed 0.06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0.91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1.15g/㎏). Potassium content in the peel of ‘Niitaka’ pear in 2009 was 8.20g/㎏, which is 0.06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 and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 among treatments. The highest nitrogen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was obtained from 3rd treatment (4.32㎎/g), while it was the lowest in control plot (3.10㎎/g). Phosphate content in the flesh of ‘Niitaka’ pear in 2009 (8.20g/㎏) showed 0.06g/㎏ more content than that of 2008 (7.82g/㎏), while the highest content was obtained from 1st treatment (8.34g/㎏). There were no difference of the potassium content in the fruit peel of ‘Niitaka’ pear between years, but 1st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content (11.81g/㎏) among treatments, while the lowest was obtained from the control plot (10.83g/㎏).
        68.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최고의 인문지리서인 세종실록 지리지를 통해 경기농업의 현황을 파악하여 기초자치단체 농산물 특화 연구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수행하였다. 경기의 간전은 200,347결이었고 이중 밭이 124,173결, 논이 76,173결이었다. 조세대상작목은 稻米 등 13작목, 공물대상작목은 모과 등 19작목, 산야에서 채집한 약재는 93작목, 재배약재는 21작목이었다. 목, 도호부, 군, 현별 농업현황은 재배지의 비옥도의 분포는 비옥지가 매우 많은 지역 2도호부 1현, 바옥지와 척박지 비율이 비슷한 지역 1목, 3도호부, 3군, 11현, 척박지가 많은 지역 1군, 3현, 척박지가 매우 많은 지역 1도호부, 3군, 11현이었다. 간전규모는 2,500결이하 1군 8현, 2,500~5,000결 2도호부 3군, 14현, 5,000~7,500결 2도호부, 2군, 3현, 7,500~10,000결 1현, 10,000현 1목, 2도호부 이었다. 밭의 비율은 50%이하 2도호부, 1군, 3현, 50~60% 3도호부 2군, 7현, 60~70% 3도호부, 1군, 7현, 70~80% 1목, 1도호 부, 3현, 80%이상 2군, 6현이었다. 재배작물의 분포을 살펴보면, 토의로는 오곡은 1목, 7도호부, 5군, 22현, 소두 7도호부, 5군 23현, 교맥(메밀) 5도호부, 5군 21현, 참깨 6도호부 2군, 13현, 봉나무 1목 7도호부, 4군, 21현, 마 7도호부, 6군, 20현, 좁쌀 8도호부 5군, 24현, 녹두 2도호부 8현, 수수 1도호부, 1군, 6현, 벼 1군, 3현, 피 2현, 기장 1군 3현, 보리 2군, 숙(황두) 2군 3현, 삼 1도호부, 대추 1목, 1군에 분포하였다. 토공으로는 느타리 1목, 3도호부, 2군, 9현, 영지 1목, 5도호부, 2군, 19현, 대추 1도호부 2현, 석이 1군, 꿀1도호부 1군 5현, 밀(黃밀) 1도호부 1군, 1현, 연자 2현, 오족이 1군 5현, 그리고 자단, 배단, 모과, 삿갓나물은 1현에 분포하였다. 재배약재 는 안식향 1목 2현, 사자발쑥 1목, 4도호부, 2군, 2현, 현호색 1목, 1현, 봉 1목, 연자 2도호부 2군 1현, 당귀 1도호부, 1군, 3현, 복령 1도호부 2현, 석창포 2도호부 1현, 백복령 2현, 살남초 1현, 속단 1도호부 4현, 복신 1군 2현, 황금 1도호부 2현, 삿갓나물 2군, 오미자 1군 2현, 초피나무열매와 황기 1도호부, 백부자 1군에 분포하 였다. 토산으로는 산개 1도호부 1군 5현, 신감초 1도호부 1군 5현, 송이 2도호부 4현, 송자 1도호부 1현, 밤, 인삼, 석이, 배는 1현에서 분포하였다.
        69.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약 20%에 해당하는 조건 불리 한계농경지의 활용도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산간지역의 한계농경지인 산간경사지, 척박지 및 자갈밭에 수수, 조, 기장을 파종하여 잡곡류 생산성을 평가함은 물론 적정 품종을 선발하여 경지이용률을 증진시키고자 하였다. 수수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간장도 자갈밭을 제외하곤 한계경지별 큰 차이가 없었으며, 수장은 경사지가 38.1cm로 가장 컷고, 척박지가 35.0cm로 가장 작았다. 1수립수는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598.1, 2563.8개로 가장 많았으며, 이삭 수도 마찬가지로 대조구와 경사지가 각각 26.7, 26.0이삭/3.3m2으로 가장 많았다. 수량은 경사지가 301.7kg/10a 로 다른 한계경지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313.3kg/10a에 비해 약 96%를 차지하였다. 품종별 생육기간 은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목탁수수가 2357.6립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목탁수수가 236.5kg/10a으로 가장 많았다. 조의 한계경지별 출수기 및 성숙기는 큰 차이가 없었다. 수장 및 생육기간도 한계경지별 큰 차이가 없었다. 1수립수는 대조구를 제외하면 경사지가 4913.9립으로 많았다. 3.3m2당 이삭수는 자갈밭이 85.3 이삭으로 대조구에 비해 79.9%로 가장 적었으며, 수량은 경사지가 282.0kg/10a로 대조구를 제외하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95.0kg/10a에 비해 약 96%를 차지하였다. 품종별로 보면 수장 및 생육기간은 큰 차이가 없었으며, 1수립수는 메조가 5729.6개로 가장 많았으며, 3.3m2당 수수, 1000립중, 입모률은 품종간에 큰 차이 가 없었다. 수량은 메조와 몽당조가 각각 259.3, 252.3kg/10a으로 많았다. 기장의 간장은 대조구와 경사지가 동일하게 168.3cm로 가장 컷으며, 수장도 경사지가 35.3cm로 대조구 다음으로 컷다. 1수립수는 경사지가 787.1립으로 대조구 다음으로 가장 많았다. 기장의 입모률은 대조구, 경사지 및 척박지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 나, 자갈밭은 39%에 불과하였다. 수량은 경사지가 196.0kg/10a로 다른 한계경지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대조구 217.0kg/10a에 비해 약 90.3%를 차지하였다. 품종별로 보면 1수립수는 벼룩기장이 827.2개로 가장 많았으며, 수량도 벼룩기장이 173.8kg/10a으로 가장 많았다.
        70.
        201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검정콩의 등숙기간중 기온에 따른 isoflavone 함량 변화를 구명하고자 파종기를 5월 15일, 5월30일, 6월 15일 등 3시기 파종하여 개화기후 30일부터 5일 간격으로 성숙기까지 시료를 채취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Isoflavone 검출은 일품검정콩과 청자콩은 개화기후 30일 이전부터 흑청콩은 개화후 35일 이전에 생성되었다. 시험품종 모두 파종이 늦어질수록 isoflavone 함량은 높아 6월 15일 파종에서 가장 높았다. 성숙기 의 isoflavone 함량에 기여하는 Aglycone isoflavone은 파종기에 관계없이 Genistein이 43.6~53.4% 로 가장 높았 다. Aglycone isoflavone의 함량변화는 glycitein은 분석기간중 큰 변화는 없었으나, isoflavone의 왕성하기 축적 이 이루어졌던 시기는 일품검정콩과 청자콩은 개화기후 40~65일, 흑청콩은 45~70일이었는데, 시험품종 모 두 파종이 늦어질수록 빨라졌다. Diazein과 genistein 함량 변화시기는 일품검정콩은 개화기후 50~55일, 청자 콩은 개화기후 45~55일, 흑청콩은 개화기후 60~65일이었는데, 이 시기 이전에는 Diadzein의 축적이 왕성하 였으나, 이후에는 genistein 축적이 왕성하였다. 평균기온과 아이스플라본 함량과의 관계식은 일품검정콩 y=2E+12X-8.529(R2=0.6502), 청자콩 y=1E+0.6x-10-6.297(R2=0.5134)이었고, 흑청콩은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일 교차와 isoflavone 함량과의 관계는 시험품종 모두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이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성숙기동안 상대적으로 높은 온도로 경과하면 Diadzein, 낮은 온도로 경과하면 genistein함량이 높은 콩을 생산할 수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isoflavone 함량이 높은 콩을 생산하기 위해 서는 isoflavone 축적이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시기인 개화기후 40일 이후에는 평균기온이 낮은 지역에서 재배하 면 유리할 것으로 고찰되었다.
        71.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수수 179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작물학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수수의 수형은 산수형, 소경수수형, 반소경수수형, 극밀수형, 및 밀수형의 5가지 수형이 존재하였으며, 수형별 빈도를 보면 소경수수형이 38.0%(68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극밀수형 및 밀수형이 각각 16.2%, 7.8%로 가장 적었다. 2. 수수 이삭의 까락 유무는 28.5%(51자원)가 까락을 갖고 있었으며, 나머지 71.5%(128자원)는 까락이 없는 것으로 분류되었다. 3. 종실형태는 43.0%(77자원)가 원형으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으며, 편원형이 7.3%(13자원)로 가장 적었다. 종피색은 황갈색이 84.4%(15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갈색 및 흰색이 똑같이 1.1%로 가장 적었다. 4. 수수 179자원의 출수소요일은 67~88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7.4일이었다. 출수소요일의 분포는 179자원 중 76~80일이 37.4%(6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86일 이상도 5.6%이었으며, 70일 이전에 출수한 자원도 10.0%를 나타내었다. 5. 간장은 92~360 cm의 범위를 보였으며, 평균은 253.8 cm로 변이의 폭이 컷다. 간장의 분포는 291~310 cm가 20.6% (37자원)로 가장 많았다. 6. 수장은 15~49 cm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28.8 cm이었다. 수장의 분포는 31~35 cm가 26.3%(47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5 cm 이하가 0.6%로 가장 적었다. 7. 생육일수는 110~146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 폭이 상당히 큼을 알 수 있었고, 평균은 125.5일이었다. 생육기간의 빈도는 111~115일이 39.7%(71자원)로 가장 많았으며, 110일 이하와 141일 이상에 속하는 자원도 각각 2, 23자원이나 되었다. 8. 1수립수의 범위는 163~4,532개로 변이 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2,068.6개 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601~2,000개가 25.7%(46자원)로 가장 많았다. 9. 공시된 179 유전자원의 1000립중은 범위가 10.6~38.1 g으로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25.6 g이었다. 1000립중의 분포는 26.0~30.0 g가 전체의 44.1%(79자원)로 가장 많았다
        72.
        2010.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잡곡유기종자 안정적인 생산을 위해 병해충 관리의 기본이 되는 잡곡의 중요 병해충발생 소장 및 발생시기와 밀도를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1. 2008년 조, 기장, 수수의 유기잡곡종자 생산 포장에서 조사기간 동안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자원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자원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으며, 2009년도 조명나방의 발생 밀도는 수수재배 포장의 밀도가 가장 높았으며 조재배 포장에서 가장 낮은 발생 밀도를 보였다. 2. 2008년 조명나방에 의한 잡곡의 피해주율을 조사하였더니,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10월 16일에는 조 (60%), 수수 (47.5%), 기장 (43.8%) 순으로 높게 조사되었다. 2009년에는 6월 8일부터 9월 4일까지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9월 4일에는 조 (51.3%), 수수 (42.5%), 기장(32.5%)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기장자원은 6월 8일부터 6월 26일 사이에 그 피해가 발생하지 않았다. 3. 멸강나방 성충의 발생 시기나 밀도를 조사하였으나, 2008년, 2009년 모두 전혀 유인되지 않았으나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는 지속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각자원별로 피해주율을 살펴보면, 조, 수수, 기장 순으로나타났다. 4. 2008년, 2009년 모두 멸강나방 유충에 의한 피해주율은 조, 수수, 기장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2008년 조자원에 대한 피해주율은 11.25~35.0%로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수수와 기장의 피해주율은 각각 3.8~26.3%, 7.5~22.5%의 변이를 보였다. 2009년 각 자원별로 평균 피해주율은 조 자원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조는 2.5~36.3%, 수수는 0~25.0%, 기장은 0~21.3% 순으로 나타났다 5. 잡곡포장에서의 노린재 발생은2008년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3종류가 발생하였으며, 조와 기장 자원에서 풀색노린재의 발생 밀도가 가장 높았고, 2009년은 4종 (풀색노린재, 알락수염노린재, 썩덩나무노린재, 톱다리노린재)의 노린재가 발생하였고 조와 기장 자원은 풀색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의 발생밀도는 낮게 나타났다. 수수 자원은 썩덩나무노린재와 톱다리노린재가 우점종 이었으며 알락수염노린재와 풀색 노린재는 낮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76.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품종 및 재배지역에 따른 생리활성성분(isoflavone, anthocyanin 및 tocopherol 함량, 항산화 활성)변이를 구명하여, 생리활성성분 고함유 품종선발과 생리활성성분 축적에 유리한 재배지역을 발굴하여 지역특화작목으로 선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00립중은 품종간에는 차이 없었으나, 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으나, 2005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현저하게 가벼웠다. 총 isoflavone 함량은 2004년에는 일품검정콩이 1,064.9ug/g 으로 청자콩의 801.3ug/g 에 비해 높았으나, 2005년에는 오히려 일품검정콩에 비해 청자콩이 높았다. 재배지역간에는 2004년에는 두 품종 모두 화성지역에서 뚜렷하게 높았으나, 2005년에는 진주지역이 화성이나 나주보다 현저하게 높았다. 총 anthocyanin 함량은 품종 간에는 일품검정콩이 7.22 mg/g으로 청자콩의 6.83 mg/g에 비해 높았으며, 재배지역간에는 진주지역에서 9.16 mg/g으로 나주, 화성지역에 비해 가장 높았다. 총 tocopherol 함량은 품종 간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며, 지역 간에는 화성, 진주지역이 각각 217.2ug/g , 216.3ug/g 으로 나주지역 189.7ug/g 에 비해 높았다. tocopherol 성분비율은 ~gamma -tocopherol이 56.2~59.9% 로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은 품종간에는 일품검정콩이 청자콩보다, 지역간에는 화성이나 진주보다 나주에서 EDA 값이 55.6%로 가장 높았다.
        77.
        200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수년 동안 국내 전역에서 수집된 기장 137 유전자원을 공시하여 농업적 특성조사를 통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제공코자 수행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공시된 137자원의 수형은 편수형, 산수형, 편밀수형(편수형과 밀수형의 중간형태) 및 산편수형(산수형 과 편수형의 중간 형태)의 4가지 수형으로 구분되었다. 수형별 빈도를 보면 편수형이 91자원으로 66.4%를 차지하였다. 2. 종피색은 황백색, 황갈색, 흑갈색, 황색 및 갈색 5가지로 분류되었으며, 종피색별 빈도를 보면 황백색 이 54자원 39.4%로 가장 많았으며, 종실형태는 방추형이 62.8%, 단방 추형이 37.2%이었다. 3. 출수소요일은 68~85 일의 범위를 나타내어 변이폭이 컷으며, 평균은 73.7일이었다. 빈도별 분포는 70~75 일이 46.7%로 가장 많았다. 생육기간은 109~124 일의 범위를 나타내었고, 평균 112일이었다. 생 육기간의 빈도를 보면 111~115 일이 83자원으로 60.6%로 가장 많았다. 4. 간장의 분포는 181~190cm 가 65자원으로 47.4%로 가장 많았으며, 160 cm 이하가 2.9%로 가장 적었다. 수장은 156~201cm 의 범위를 보였고, 평균 181.4 cm이었으며, 빈도별 분포는 31~35cm 가 74자원으로 54.0%로 가장 많았다. 5. 1수립수의 범위는 432~2,665 개로 변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1,429.5개이었다. 1수립수 분포는 1,200~1,400 개가 20.4%로 가장 많았으며, 1,000개 이하 및 2,000개 이상이 각각 13.1%, 8.6%를 차지 하였다. 6. 등숙률은 10% 이하에서 90% 이상까지 변이의 폭이 매우 컷다. 1000립중은 범위가 2.2~6.0g 으로 변 이폭이 상당히 컷으며, 평균은 4.69 g이었다. 7. 간장은 수장 및 출수소요일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생육기간은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등숙률도 1000립중과 유의한 정의 상관관계를 보여 등숙률이 높은 자 원일수록 1000립중이 높았다.
        78.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 개모시풀의 자생지 환경조건에 따른 분포특성, 토양성분, 혼생식물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개모시풀의 상대밀도와 상대피도는 7.0%와 25.6%이었다. 해발고도별로는 200 m 이하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였으며 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분포지역이 적었다. 경사도별로는 20˚ 이하에서 80% 이상이 자생하였고, 사면별로는 남사면보다 햇빛이 적은 서사면과 북사면에서 집중되었다. 광량에 따른 분포는 90% 정도가 중광이나 약광이었고, 습윤 정도에 따른 분포는 69.1%가 습윤지역이었다. 자생지의 토성은 식양토이었으며, 평균 pH는 6.2로서 약산성 토양이었다. 유기물 함량은 24 g kg?1이었으며, 유효인산은 31 mg kg?1이었다. 혼생하는 식물은 60과 125속에 총 171분류군이었으며, 상대밀도와 상대피도가 가장 높은 혼생식물은 사위질빵이었다.
        79.
        200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한반도에 자생하는 갯방풍의 부위별 식물성 스테롤과 지방산을 탐색해 자생지역별 함량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잎에 있어서 지방산 함량은 영광에서 채취한 시료의 경우 스테아르산과 올레산 함량비율이 각각 삼척, 영덕, 부안, 해남에 비해 2배 이상 높았으나, 뿌리와 종자의 지방산 함량비율은 지역별 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hytosterols의 평균 함량은 campestreol이 3.8μg g-1, stigmasterol이 16.8μg g-1, β-sitosterol이 33.7μg g-1이었으며, 울진에서 채취한 시료에서 가장 높았다.
        80.
        2007.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 목표 ○ 약용 또는 식용으로 이용이 많은 식방풍 대상의 한반도 남해안 식생구조 연구가 미흡한 실정에 따라 군집단위를 중요시하는 종조성표(floristic composition table)의 분류법과 종개체군(species population)의 환경요인을 중요시하는 배열법(ordination)을 모두 적용해 한반도 남해안의 식방풍군락군에 대한 자생지 식생구조를 파악함으로써 자원식물의 생육특성은 물론 적정 재배기술의 기초자료로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수행했다. 조사 및 방법 ○ 조사는 한반도 남해안의 서쪽 목포(북위 34˚40´)와 동쪽 양산(35˚10´) 이남에 자라는 식방풍과 그 군락을 대상으로 2005년 9월부터 2006년 9월까지 10차례에 걸쳐 실시했으며, 식생분석은 조사구(방형구, releve) 56지점에 대한 Braun-Blanquet(1964)의 측도와 Hill(1994)의 유집분석(cluster analysis)과 요인분석(factor analysis)으로 군락을 구분했다. 결과 및 고찰 ○ 식방풍군락군의 식생은 크게 억새군락(Miscanthus sinensis community)과 갯까치수영-돌가시나무군락(Lysimachia mauritiana-Rosa wichuraiana community)으로 구분되었으며, 억새군락은 하위단위의 밀사초군락(Carex boottiana community)과 땅채 송화군락(Sedum oryzifolium community)으로 분류됐다(Table 1). ○ 환경요인의 배열법에 따른 식방풍군락군의 분포는 억새군락이 내륙육지에서부터 해안선 근처까지 넓었고, 갯까치수영-돌가시나무군락은 건조하고 햇빛이 있는 곳에 분포했다. 대륙해안과 도서해안별 분포는 억새군락이 도서해안이었고 갯까치수영-돌가시나무군락이 대륙해안이었다(Fig. 1). ○ 식물사회학적 종조성표의 군락분류는 요인분석과 유집분석과도 일치하거나 유사했으며, 식방풍의 자생지 생육은 해안선 방향의 완만한 양지에서 양호했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