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4

        21.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lective laser melting (SLM), a type of additive manufacturing (AM) technology, leads a global manufacturing trend by enabling the design of geometrically complex products with topology optimization for optimized performance. Using this method, three-dimensional (3D) computer-aided design (CAD) data components can be built up directly in a layer-by-layer fashion using a high-energy laser beam for the selective melting and rapid solidification of thin layers of metallic powders. Although there are considerable expectations that this novel process will overcome many traditional manufacturing process limits, some issues still exist in applying the SLM process to diverse metallic materials, particularly regarding the formation of porosity. This is a major processing-induced phenomenon, and frequently observed in almost all SLM-processed metallic component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mechanical anisotropy of SLM-produced 316L stainless steel based on microstructural factors and highly-oriented porosity. Tensile tests a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microstructure and porosity effects on mechanical anisotropy in terms of both strength and ductility.
        4,000원
        22.
        2018.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expressway safety treatment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older driver behaviors through literature review, surveys, and driving simulator experiments. METHODS: In this study, three analyses were conducted: surveys of 700 older drivers to find the risk segments they recognized, driving simulator experiments with older and younger drivers to investigate driver behaviors, and expert surveys to find the priority of expressway safety treatments for older drivers. RESULTS : Through survey results it was found that merging areas and tunnels were identified as the most dangerous areas, and more dangerous older driver behaviors were observed on those expressway segments in the driving simulator experiments. In addition, the priorities of safety treatments for each segment of expressways were decided based on expert surveys. CONCLUSIONS: It was concluded that choice and concentration strategies of expressway safety treatments for older drivers should be applied as perceptions regarding dangerous spots and older driver behaviors, including geometric designs, safety facilities, regulation, and institutes to improve expressway safety.
        4,600원
        2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Hyaluronic acid(HA)와 dopamine(DP)을 활용한 항산화 기능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 (HCL)를 개발하고자 한다. 방법: 실험실에서 제조한 HCL에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방법을 이용하여 분자량이 다른 두 종류의 HA(J&D CHEM, 10kDa(HCL-HA10), 100kDa(HCL-HA100))를 각각 첨가 시켰다. HA가 첨가된 HCL렌즈(HCL-HA)에 일정량의 dopamine(DP, Sigma Aldrich)을 첨가한 후 4℃ 진탕기에서 3일간 흔들어주며 유지하였다. 광투과율은 UV-Visible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5 PC)를 이용하여 300~800 nm 범위에서 측정하였으 며,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렌즈에 결합된 DP는 298nm에서 UV 흡광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렌즈의 항산화 효과는 ABTS(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radical 소거능 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결과: 광투과율은 HCL과 HA가 첨가된 렌즈(HA10, HA100) 모두에서 90% 이상으로 나타났다. 함수율은 HCL에서 45%로 나타났으며, HA가 첨가된 렌즈에서는 HCL보다 모두 5% 이상 증가 하였다. 렌즈 표면에 결합된 DP의 양은 HCL-HA10-DP과 HCL-HA100-DP에서 0.056, 0.082 mmol/cm2 이었다. 항산화 효과는 HCL과 DP 첨가 전인 HCL-HA 렌즈에서는 관찰할 수 없었다. 반면, DP가 첨가된 HCL-HA10-DP과 HCL-HA100-DP 렌즈에서는 41.10%와 57.21%로 각각 나타나 매우 높은 항산화 효과를 보유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HCL)에 고분자인 HA를 첨가한 후에도 90% 이상의 광투과율을 나타낸 것은 IPN 방법이 고분자 첨가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첨가된 HA에 포함된 다수의 비이온성 하이드록실기(hydroxyl group)에 의해 콘택트렌즈의 함수율이 증가한 것으 로 생각된다. 도파민이 결합된 콘택트렌즈에서 높은 항산화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HA와 아마이드(amide) 결합이 더 많이 일어나는 HCL-HA100-DP에서 더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24.
        2017.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국내의 고속국도와 일반국도는 특성상 넓은 지역을 관통하게 되어 해당지역에 생활권의 분할과 지역주민들의 소통, 이동간의 불편 등의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한 불편을 해소하고자 부체도로(附替道路)를 설계·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부체도로의 특성상 교통량이 기존 도로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준으로 기존의 시멘트콘크리트 슬라브 20cm, 보조기층 20cm의 포장두께가 다소 과하다는 의견이 빈번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부체도로의 교통량에 따른 등급을 설정하고 단면두께를 제안하였으며, 포장구조해석 프로그램을 통한 공용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전라북도 전주시 및 수도권의 부체도로 13개소 교통량 조사결과 일평균 약 40대로 국형포장설계법의 교통량 C1등급에 해당되는 교통량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KPRP(한국형포장설계법) 카달로그 설계등급3의 포장두께가 다소 과다할 것으로 추정되며, 인근 공장에 의한 중차량하중이 발생하게 되는 것을 고려하여 기존의 한국형포장설계법의 포장두께를 수정하였다. 수정된 아스팔트포장 단면두께는 1∼100대 : C1(표층5cm·기층7cm·보조기층15cm), 101∼500대 : C2(5·8·17), 501∼1500대(중차량·농기계 주행고려구간) : C3(5·10·20)로 분류 하였다. 콘크리트포장과 아스팔트포장의 KPRP 비교·분석 시 콘크리트포장의 설계는 기준대비 균열율(%), 종단평탄성(m/km) 발생량이 비교적 낮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아스팔트포장의 경우 기층 10cm미만은 분석이 불가하여 C3단면을 분석한 결과 설계기준 값을 모두 만족하였다. 또한 KENLAYER(다층탄성해석 프로그램)와 ABAQUS(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로 잔존수명 분석결과 콘크리트포장의 잔존수명은 사용 교통량에 비해 높은 값으로 나타났으며, 아스팔트포장의 경우 각 단면두께에 대해서 도로포장구조설계해설서(2011)의 층별 탄성계수를 사용하여 공용성을 분석한 결과 각각의 잔존수명이 유사하게 예측되었다. 세 가지 해석 프로그램의 분석결과 설계기준 충족 및 적정한 잔존수명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아, 앞서 제안한 아스팔트 단면두께가 부체도로의 콘크리트포장 설계의 대안으로 적절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부체도로 포장 설계 시 교통량, 중차량하중 등의 현장여건을 고려한 부체도로 설계를 반영한다면 기존 부체도로 포장에 비해 보다 합리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일반도로와 달리 단면두께가 최소화된 부체도로에 대한 공용석 분석 방안 및 도로포장에서 환경요인에 의한 파손유형 연구가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2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산림치유인자인 경관과 청각요소를 활용한 산림의 간접적 영향이 기분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자 하였다. 실험은 신체건강한 대학생 30명(23.6±1.7세)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5일부터 11월 30일 까지 약 2달간 실시되었다. 산림과 도시공간의 경관과 소리를 이용하여 3가지 요소(이미지 요소, 소리 요소 그리고 이미지+소리 요소)를 만들었으며, 대상자들이 실내에서 이 3가지 요소들을 감상하였다. 그리고 3가지 요소들이 기분개선에 미치는 영향들을 SPSS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분석하였다. 기분개선을 측정하기 위한 심리검사로써 기분상태검사 (POMS)와 의미분별법(SD)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간접적인 산림의 자극은 긴장, 피로, 분노, 혼란, 우울감을 억제하고 활력감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고 산림의 자극 간 비교에서는 차이를 보지 않았으나 도시의 자극에 비해 산림의 자극이 쾌적감과 자연감 그리고 진정감을 높이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26.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현재 우리나라는 콘택트렌즈착용빈도가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며, 특히 단순시력교정 용뿐만이 아닌 미용을 목적으로 컬러콘택트렌즈의 착용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따라서 국내 시장에 많은 컬러렌즈나 써클렌즈가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컬러콘택트렌즈를 가격대 별로 선정하여 시력 및 착용감, 부작용 비율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법: 국내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컬러렌즈를 가격대별(저가, 중가, 고가)로 렌즈를 선정하여 대상자들에게 착용시켰다. 실험자 참가자는 가격대별로 A렌즈(저가), B렌즈(중가), C렌즈(고가)로 분류하여 렌즈의 가격과 이름은 알려주지 않고 실험을 시행 하였다. 각각의 렌즈는 하루 8시간 착용 후 또는 착용 중에 착용감, 충혈, 이물감, 건조감, 부작용 등을 설문 조사 및 비교 하였다. 결과: A렌즈는 착용 직후 그리고 착용 4시간 후, 8시간 후 착용감은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훌라현상과 건조함을 호소했다. B렌즈는 착용 직후 그리고 착용 4시간 후, 8시간 후 눈시림현상과 A렌즈와 같은 건조함을 많이 호소했다. 그에 비해 C렌즈는 착용 직후에 약간의 훌라현상이 있었고 시간이 지난 후에는 특별한 불편감 없이 실험자들이 매우 만족 했다. 시력 개선효과에서는 A렌즈와 B렌즈는 착용직후 시력개선효과에 만족했지만 시간이 경과할수록 교정효과가 낮아졌다. 그러나 C렌즈는 실험자들 대부분 착용 직후와 착용시간 이 경과해도 시력교정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A렌즈와 B렌즈는 훌라현상, 건조감, 시력저하 등 만족도가 낮고, C렌즈에서는 착용 감과 시력개선효과에서 만족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저가의 컬러콘택트렌즈가 소비자의 눈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판단된다.
        27.
        2017.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국내에 유통 되고 있는 운전용 기능성 안경렌즈의 종류에 따른 대비시력을 측정하여 운전자의 시기능 향상에 도움이 되는 기초 가이드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전신질환 및 안질환 등의 과거와 현재 병력이 없고, 안과 관련 수술 경험이 없는 양안 교정시력이 1.0인 평균연령 25±2세 30명을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렌즈는 제작방식이 다른 기능성 운전용 렌즈(A렌즈, B렌즈, C렌즈) 3종과 일반렌즈(N렌즈) 1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비시력검사는 완전교정 상태에서 시험테와 LED 차트(피치나 PLC-2200 Wide)의 대비시력표를 이용하여 logMAR 시력을 측정하였다. 대비 조건은 100, 50, 30, 15%에서 명소시와 암소시 환경에서 각각 실시하였고, 착용한 상태에서 대면설문을 통해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 분석에는 SPSS Statistics 22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일원배치 분석(ONE WAY ANOVA)방법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는 신뢰도 95%를 기준으로 유의한수 준 0.05이하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결과: 기능성 운전용 렌즈 3종과 일반렌즈 1종 총 4종 착용 시 명소시 100, 50, 30%와 암소시 대비시력은 대비 100, 50%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p<0.05), 명소시 대비 15%에서 측정한 대비시력은 각각 A렌즈 (logMAR 0.032), B렌즈(logMAR 0.028), C렌즈(logMAR 0.032), N렌즈(logMAR 0.095)로 B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대비시력이 logMAR 0.028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p=.000). 암소시 대비 30%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A렌즈(logMAR 0.009), B렌즈(logMAR 0.007), C렌즈(logMAR 0.001), N렌즈(logMAR 0.04)와 15%에서 측정한 결과 각각 A렌즈(logMAR 0.027), B렌즈(logMAR 0.029), C렌즈 (logMAR 0.033), N렌즈(logMAR 0.091)로 A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서의 대비시력이 logMAR 0.027로 가장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만족도 대면설문결과 선명도 부분에서는 명소시에서 B렌즈 > A렌즈 > C렌즈, 암소시에는 A렌즈 > B렌즈 > C렌즈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결과와 같이 렌즈의 제작방식에 따라 높은 대비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낮은 대비에서는 대비시력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2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 In this study, the effects of installation of diagonal crosswalks on traffic flow depending on the types of intersections are analyzed. METHODS : Scrambled crosswalks have advantages in the traffic safety. Therefore,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verall average delay before and after installation of the scrambled crosswalk was conducted using VISSIM. RESULTS: The overall average delay for the scrambled crosswalk decreased when the traffic volume ratio of the major to the minor street is 1: 6 in 2-by-1 and 3-by-1 types of intersections. The scrambled crosswalk improved efficiency of traffic operation in intersections: higher traffic volume for a major street, lower traffic volume for a minor street, and longer cross-distance for a major street. CONCLUSIONS: This study can be used to determine when a scrambled crosswalk should be installed to improve operational efficiency.
        4,200원
        29.
        2017.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국제사회에서 생태시스템 위주의 습지 보전제도에 대한 한계점과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습지 관리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면서,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은 습지도시인증제 결의안을 채택하였다. ‘습지도시(Wetland City)’란 람사르 습지를 중심으로 습지들 간의 네트워크, 습지로부터 제공받는 생태계서비스 향상 계획,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참여한 통합적 토지이용계획, 다양한 스케일의 습지관리 거버넌스 등을 갖춘 도시를 말한다(IUCN, 2015). 이미 람사르 습지 제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습지도시인증제를 추가적으로 도입하려는 이유는 기존의 강력한 습지 보전 정책은 사회시스템과 생태시스템의 상호관계를 통합적으로 바라볼 수 있는 사회생태시스템 대한 관점이 부족하여 지역주민의 경제적 수단을 규제하고 그 지역사회 커뮤니티를 와해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사회시스템 붕괴는 생태계보전을 위한 생태적·사회적·경제적 자본 고갈로 이어져 수질 저하 및 생물다양성 감소 등 생태시스템 훼손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붕괴된 사회시스템과 훼손된 생태시스템으로 구성된 습지도시는 기후변화로 급증한 가뭄, 홍수와 같은 교란에 매우 취약하여 쉽게 붕괴할 수 있으므로, 원래 습지 도시 기능과 구조로 회복할 수 있는 능력인 리질리언스(Resilience)가 요구된다(Walker et al., 2006). 그러므로 지속가능한 습지도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생태시스템 위주의 습지관리에서 벗어나 사회생태시스템 기반의 리질리언스 향상 전략이 고려된 습지 관리가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이러한 국제적 흐름을 선도하기 위해 창녕 우포늪, 고창 운곡습지, 제주동백동산, 물영아리, 인제 대암산용늪 등 5개소를 포함한 시·군을 습지도시 후보지로 선정하였다(Ministry of Environment, 2015). 이에 창녕군은 우포늪을 중심으로 ‘살아왔고, 살고 있고, 살아 갈 곳’이라는 슬로건을 내걸고 지역주민 간담회 및 지역관리 위원회를 개최하여 습지도시 인증을 위한 노력하고 있다. 우포늪 사회생태시스템은 정부부처, 지자체, 환경단체, 어업 및 농업주민 등으로 둘러싸여 복잡한 이해관계가 형성된 사회시스템과,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토사의 축적을 유도하여 최대 저수량을 낮추는 버드나무 군락이 번성한 생태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우포늪 사회생태시스템은 기후변화에 의해 변화된 강수패턴에 대한 리질리언스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수위 관리에 실패한 지역주민들의 홍수 및 가뭄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상치 못한 교란인 강우패턴 변화에 대한 우포늪 사회생태시스템의 리질리언스를 향상시키기 위해 복잡한 사회생태시스템의 의사결정 도구인 시스템다이내믹스기반의 시뮬레이션을 활용하여 수위 변화의 동태성을 분석하고, 지속가능한 습지 관리방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첫째, 현장조사 및 문헌고찰을 통해 우포늪 사회생태시스템에 대한 인과순환 구조를 파악하고, 둘째, STELLA 10.0.4를 사용하여 창녕군의 RCP 8.5 강수 시나리오에 대한 수위 변화 시뮬레이션 기본모델을 구축한다. 구축된 기본모델은 실제 수위데이터를 준거모드로 활용하여(Nakdong River Basin Environmental Office, 2016). 현실 설명력을 확보하기 위한 행태 유사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수위 변화의 동태성 분석을 바탕으로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습지 관리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우포늪 사회생태시스템의 인과순환 구조를 분석한 결과, 2개의 균형 루프와 2개의 강화루프가 도출되었다(그림 1). 균형루프 B1에서의 강수량 증가는 우포늪의 전체수량과 수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지역주민으로 하여금 홍수 위기를 느끼도록 유도한다. 홍수 위기가 지속되면, 우포늪 지역주민들의 의사결정에 의해 배수시설이 가동되고 우포늪에서 토평천으로의 배수량이 증가한다. 배수량의 증가는 다시 우포늪의 전체수량을 낮춰 적정수준의 수위를 유지하도록 한다(균형루프 B1). 그러나 기후변화에 따른 강우 패턴 변화는 우포늪의 수리수문 시스템인 강화루프 R1과 균형루프 B2의 행태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위변화를 지역주민이 감지하여 홍수 위기가 유도되기까지의 과정에 시간지연을 발생시킨다. 시간지연 발생은 수위 상승에 적절한 배수시설 가동을 어렵게 하여, 빈번한 홍수발생을 야기할 수 있다. 버드나무 군락을 중심으로 한 강화루프 R1 또한 우포늪 수위 조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버드나무 군락은 성장하면서 개체의 흉고직경이 커지고, 단위 면적 당 버드나무 개체수와 토지피복 면적이 확장한다. 버드나무 면적의 증가는 토평천의 물의 흐름을 방해하여 유속을 줄이고 우포늪의 최대저수량을 감소시키므로, 강우 시 우포의 수위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빈번한 홍수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기후변화에 따른 강수패턴 변화에 적응하고 홍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우포늪의 수위를 잘 관리하는 것이 요구된다. 도출된 우포늪 사회생태시스템 인과지도를 바탕으로 우포늪 수위의 동태성을 분석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기본 모델을 구축하였다(그림 2). 구축된 기본모델의 현실 반영 정도를 살펴보기 위해 실제 수위 데이터와의 행태 유사성을 분석했다. 실제 수위데이터와 우포늪 사회생태시스템 기본모델의 수위 데이터를 비교한 결과, 두 데이터 모두 1월에는 2.4m까지 감소하고 8월에는 2.6m까지 증가하는 행태의 유사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기본 모델의 현실 설명력을 확보할 수 있었다. 현실 설명력이 확보된 기본모델을 바탕으로 우포늪의 토지이용 및 형태가 변하지 않는다는 경우를 가정하고 창녕군 지역의 RCP 8.5 강수 시나리오를 설정하고 적용하였다. 기본모델에서는 강우패턴 변화에 따라 우포늪 수위가 2.5m을 중심으로 균형을 이루었으나, RCP 8.5 강수 시나리오가 적용된 모델에서는 점차 수위가 증가하는 행태로 분석되었다. 버드나무 군락의 경우 시뮬레이션 모델이 기본모델보다 빠르게 확장하여 우포늪 최대 가능저수량을 지속적으로 저하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 결과, 시나리오 적용 모델에서 2080년 이후의 우포늪 수위가 창녕군의 200년 홍수위인 3.1m에 도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만약 우포늪 지역의 수위가 조절되지 않는다면, 홍수에 의한 빈번한 피해와 생물다양성 감소와 같은 생태시스템의 훼손으로 더 이상 사회시스템이 유지될 수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우포늪의 수위 동태성 분석을 토대로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습지 관리 방안을 도출하였다. 우포늪의 사회생태시스템의 붕괴를 방지하고 이 시스템이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우포늪의 수위조절시스템에 대한 안정적인 균형이 매우 중요하다. 즉, 높은 강수량이 우포에 유입된다고 하더라도 원래의 수위로 빠르게 복귀되어 홍수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리질리언스 향상이 요구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버드나무 군락 생태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다. 우포늪 수위조절시스템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는 버드나무를 단계적으로 간벌하여 적정수준의 버드나무 밀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토평천과 우포늪에 생육하고 있는 버드나무를 정기적으로 번성 범위, 높이, 밀생 상황에 대해 관찰 조사하고, 지하고는 2m 정도, 수고는 7m 정도 이하, 수관폭은 5~6m 정도이하를 원칙으로 하여 이것을 초과하는 나무에 대해서는 가지치기 등의 조치를 취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우포늪의 수리수문 시스템을 조절할 수 있다. 야생동식물의 서식처로 이용될 수 있는 버드나무벌채 시 생태시스템이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사회시스템에서 요구하는 적정수위와 생태시스템에서 필요한 적정수질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인 에코인프라스트럭처 도입이 필요하다. 에코인프라스트럭처는 물의 흐름 조절 및 생물 서식처 제공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으므로 사회생태시스템의 리질리언스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포늪의 수위 동태성 분석을 통해 리질리언스 향상을 위한 습지관리 계획을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는 향후 우포늪의 습지도시 계획을 위한 통합적 중장기 전략수립에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3,000원
        30.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BJECTIVES : This study develops an evaluation method, which is useful to inspect pavement condition of specific boroughs. This is because pavement condition is broadly divided into five grades via visual inspection, which does not consider the types of deteriorations, and is decided by an investigator having a subjective viewpoint. This visual inspection method is not a satisfactory method for accurate maintenance when various deteriorations occur. METHODS: The performance model considers several factors such as crack, rutting, and IRI. This method is also modified from borough SPI based on SPI (Seoul Pavement Index). Considering limited budget of borough, PI (prediction index) is suggested, which is related to the grade of pavement condition evaluation and type of materials. Practical correlation review is also conducted with statistical verification by using the Monte Carlo simulation.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modified criteria are reasonable. First, the comparison between the visual inspection result and the SPI result indicates that the R-square value is sufficiently high. Second, through the common section, each evaluation method could be compared, and the result shows considerable similarity, which increases when the range is modified. Finally, PI for predicting remaining life and the random number SPI have common parts, which means that each indicator would be adequate to be used as an evaluation method. CONCLUSIONS : Comparison and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developed evaluation method is reasonable for specific boroughs where financial support is inadequate for the evaluation process by using the newer equipment. Moreover, for more accurate evaluation method, previous visual inspection data should be utilized, and the database of inspection equipment have to be collected.
        4,000원
        3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를 활용하여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요도 및 우선순위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중요요인을 이원비교하기 위해 광주광역시 안경사를 대상으로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이용하여 상대적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를 조사하였다.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 분석은 일관성 확보를 위해 일관성 비율 0.1 미만일 때 분석하였다. 결 과: 계층화 의사결정방법 분석 결과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 Level 2항목 중요도는 상품/서비스가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별 중요도는 Level 3(01)은 전문안경사, Level 3(02)는 학교 에서 가까움, Level 3(03)은 홍보(전단지, 신문광고), Level 3(04)는 안경사의 신뢰성, Level 3(05)는 가격 의 적정성이 중요하다고 분석되었다. Level 3항목 우선순위는 안경사의 신뢰성(0.2552)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안경원 경영향상 요인 중요도 및 우선순위는 특정 관리자의 경험에 의존하던 안경원 경영을 좀 더 합리적이고 과학적 방법인 계층화 의사결정방법(AHP)을 적용함으로써 합리성을 높일 수 있으며, 그 결과 안경사의 신뢰성(0.2552)이 가장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4,300원
        32.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소형화된 홀 소자를 이용하여 국내 패류 양식 생물 중 가장 많은 생산량을 보이는 참 굴(Crassostrea gigas)의 패각운동을 기초로, 연안역에서 빈산소에 대한 생물모니터링 시스템의 적 용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정상상태 패각운동의 측정을 위해서 여과해수에서 측정한 결과, 참굴 개 체는 평균 5~12 mm 정도의 개각상태를 유지하였으며, 패각운동 시 비교적 빠른 폐각상태를 보 였다가 느린 속도의 개각상태의 운동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주 · 야간 사이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p <0.05). 용존산소 농도를 7 mg l-1에서 3 mg l-1까지 감소시키면, 패각운동의 횟수는 증가를 나 타내었으며, 파형도 정상상태와 다르게 불안정한 파형을 보였다. 또한 용존산소가 2 mg l-1로 감 소된 후에는 패각운동의 크기가 점차 작아지거나, 폐각상태를 지시하는 파형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생물모니터링 시스템을 패류 양식에 활용하여 빈산소와 같은 해양환경의 이상변동을 신속히 감지할 수 있다면, 어업피해를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33.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차로 신호계획 수립은 여러 가지 중요한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특히 부도로의 녹색시간은 주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녹색시간에 영향을 받는다. 주도로의 녹색시간 또한 부도로를 횡단하는 보행자의 녹색 시간에 영향을 받지만, 도로위계상 주도로는 부도로에 비해 교통량이 많고 부도로는 비교적 차로수가 적 기 때문에 부도로의 횡단시간에 영향을 크게 받지 않는다. 그러나 부도로의 좌회전 또는 직진 교통류의 녹색시간은 최소한 주도로를 횡단하는 보행녹색시간보다 커야 한다. 이로 인해 부도로에서 진출하는 교통 량이 많지 않더라도 일정시간 이상의 녹색시간을 부여하여야 하므로 신호계획에 있어서 불필요한 시간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주도로의 용량이 초과되어 전체 교차로 서비스수준(LOS)은 감소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대각선횡단보도는 전체 교차로의 지체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대각선횡단보도를 설치하게 되면 보행전용현시에서 횡단보행자를 모두 소거시킬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최소녹색시간의 제약을 받 지 않고 부도로의 실제 교통량에 따라 신호계획을 수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VISSIM 프로그램 분석을 통해 대각선횡단보도 설치 전․후의 평균차량지체(sec/veh)를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를 토대로 대각선횡단보도를 설치함으로써 교차로 서비스수준(LOS)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차로 유형과 주도로 및 ․부도로 교통량 비율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결과, 편도 2*1 교차로와 편도 3*1 교차로에서 부도로와 주도로의 교통량비가 1:6 이상일 경우 대 각선횡단보도를 설치하여도 평균차량지체가 감소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부도로의 교통량이 많지 않고, 주도로의 교통량이 많고 부도로보다 차로폭이 클 경우 대각선횡단보도를 설치하면 차량소통측면에 서 효과를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각선 횡단보도를 설치 시 효율적인지를 결정할 수 있는 기초결 과로 제공될 것으로 기대된다.
        34.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도심지의 도로포장은 버스 등 중차량 교통하중과 포장 유지보수 시기가 지나 급속히 진행 되고 있는 포 장표면의 노후화뿐만 아니라 도로하부 시설물 보수를 위한 잦은 굴착복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로 인해 포 장체의 구조적 지지력이 감소하여 전형적인 도심지형 도로파손인 포트홀, 균열, 침하 및 소성변형이 급증 하고 있다. 또한 빈번히 발생하는 도심지의 도로파손 유지보수로 적지 않은 예산이 소요되고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유지보수를 통한 공용성 확보가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로포장의 표면상태와 포장층의 구조적 지지력과의 연관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유지보수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우선 도로포 장 하부상태와 표면상태 분석결과를 도심지 도로파손 원인 분석 및 대응방안 수립 근거자료로 활용하기 위 해서 서울시의 23개 장기공용성구간(Long Term Performance Pavement)중 공용기간이 5년 경과된 구간 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상구간의 포장 표면상태 조사(Visual Inspection) 결과인 Rutting, Crack, IRI 및 그에 기반한 SPI지수와 FWD시험으로 부터 산출된 잔존수명과의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표면 조사와 동일구간에 현장코어를 통해 얻어진 아스팔트층 두께와 30cm로 가정한 보조기층 두께 및 대표온 도 20℃를 이용, 역산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포장층의 탄성계수와 잔손수명을 추정하였다. 대상 구간의 잔 존수명과 도로포장 표면상태와의 관계를 도출하기 위해 지지력 기반 우선순위와 표면상태 기반 우선순위 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표면상태와 지지력의 상관관계는 다음 그림1에 나타난 바와 같이 Rutting, Crack 에 대한 R-square 값이 0.65이상으로 상관성이 비교적 높은 수준이며 IRI(종단평탄성)는 상관성이 가장 낮았다. 이는 포장층이 지지력이 도로 노면의 평탄성에 미치는 영향이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이며, 따라서 Rutting, Crack, IRI의 지수가 모두 포함된 SPI는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포장 표면상태를 나타낸 지수만을 고려하여 유지보수를 시행할 경우 포장층의 지지력이 충분하지 못한 경우에는 예상보다 빠른 시기에 혹은 동일 시기라도 심각한 상태의 포장손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 Rutting과 Crack에 대한 지지력의 상관도를 볼 때 이미 진행된 도로파손의 유지보수시 표면상태 뿐만 아니 라 포장층 자체의 지지력을 함께 고려하여 유지보수를 시행하여야 향상된 공용성을 기대할 수 있다.
        35.
        2016.06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은 2010년까지 사업대상지점만을 선정하여 개선사업을 진행하였지만, 2011 년부터 지점뿐만 아니라 구간을 선정하여 개선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사업대상구간을 선 정하는 방법이 명확하지 않은 문제가 있어 사업대상구간 선정 시 혼란이 가중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지방부 도로와 같이 교차로가 많지 않은 구간의 사업대상구간 선정은 비교적 수월하지만, 도시부 도로의 교차로가 많은 구간에서는 정량적인 기준을 통해 어떤 구간을 어떻게 선정하여야 하는지 명확한 기준이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차로가 많은 특성을 가지고 있는 도시부 도로에서의 사고 잦은 곳 사업대 상구간을 정량적으로 선정할 수 있도록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교통사고 DB는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분석시스템(TAAS)을 통해 2012년 발생한 사고 DB를 수집하였 다. 대상구간은 서울시 동작구, 경기도 안양시, 전주시 완산구 13개 축을 선정하여 교통사고 건수 및 심각 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교통사고 잦은 구간을 선정하는 2가지 대안을 제시하였고, 대표성, 구간 선 정 편리성, 범용성, 시스템 적용성 측면에서 대안별 장단점을 분석하여, 최적안을 도출하였다.
        37.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Alginic acid(AA)는 갈조류의 세포막을 구성하는 다당류로 보습효과가 뛰어나기로 알려 져 습윤제 성분으로 사용이 되고 있다. AA를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Hy-CL)에 첨가하여 광투 과율과 함수율, 단백질 흡착 특성 등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방법: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는 HEMA(2-hydroxyethyl methacrylate)를 주성분으로 구성하여 실험실에서 열중합방법으로 제조하였다. AA가 첨가된 렌즈(Hy-CL-AA)의 제조는 AA network 와 pHEMA network을 서로 교차시켜 얽히게 하는 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IPN) 방 법을 사용하였다. 광투과율은 UV-Visible Spectrophotometer (SHIMADZU, UV-1650PC)를 이 용하여 200nm에서 800nm까지의 파장 범위에서 측정하였다.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 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AA 첨가 전후 lysozyme 단백질 흡착량 비 교는 Hy-CL과 Hy-CL-AA를 lysozyme이 함유된 인공눈물에 12시간 동안 각각 방치시킨 후 렌즈표면에 흡착된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HPLC로 정량하였다. 결과: 광투과율은 Hy-CL에서 95%, Hy-CL-AA에서 90%를 보였다. 함수율은 Hy-CL에서 55%, Hy-CL-AA에서 58%를 보였다. Hy-CL에서 lysozyme 흡착량은 34.0㎍/lens, Hy-CL-AA 에서는 15.7㎍/lens로 나타났다. AA를 첨가한 Hy-CL-AA에서 단백질 흡착률은 AA를 첨가하지 않는 Hy-CL에 비해 약 54% 정도 감소되었다. 결론: AA가 첨가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이 90%가 넘는 것은 AA와 Hy-CL의 주성분인 pHEMA 사이에서 결합이 상분리 없이 잘 이루어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AA는 cellulose와 유사 한 구조적 특성 때문에 Hy-CL에 첨가하였을 때 함수율이 크게 증가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Hy-CL에 비해 Hy-CL-AA에서 lysozyme 흡착률이 더 감소한 것은 AA가 OH작용기를 다수 함 유하고 있어 단백질 흡착 방지 능력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콘택트렌즈에 AA의 첨 가는 단백질 비흡착 기능을 비롯하여 단백질 침전물로 인해 생기는 습윤성 저하, 착용감 저하, 염증 질환, 세균 감염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기능성 렌즈 재질로 활용을 기대할 수 있다.
        38.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을숙도 큰고니 서식지의 생태계 건강성 유지방안을 마련하기 위하여 시스템 사고를 통해 큰고니 서식환경 변화 현상에 대한 피드백 구조를 분석하였다. 을숙도 내 큰고니와 기타 수조류의 개체수에 대한 인과지도를 통해 을숙도 큰고니 개체수는 휴식환경 및 먹이환경 변화와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큰고니의 휴식환경 인과지도에서는 탐조 및 탐방활동, 수위, 소음에 의한 휴식환경 변화가 큰고니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큰고니의 먹이환경 인과지도를 통해 담수의 면적, 수면동결, 을숙도 염분, 새섬매자기 밀도에 의한 먹이환경 변화가 큰고니 개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하였다. 마지막으로 통합인과지도를 통해 낙동강하굿둑 방류량과 건설행위가 큰고니의 휴식환경과 먹이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임을 파악하였으며 큰고니 서식환경 관리를 위한 전략지점으로 선정하여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을숙도의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를 위한 관리방안마련에 기여할 것이다.
        4,800원
        39.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is study dealt with traffic accidents occurring within roundabout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safety effect by introduction of roundabouts. METHODS: In pursuing the above, traffic accident data on roundabouts are collected and compared. For the analysis, collected data were separated as all intersection points, turning lane accident, approach lane accident by geometric design. RESULTS : Through the study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total accidents decreased by 55 accidents/2 year with safety effect of roundabouts. Also the result shows that accidents by point of two-lane roundabout at turning lane(0.26) and approach lane(0.27) is risky than total accidents by point(0.09). Moreover, accidents by point shows high value as diameter of a roundabout is bigger. CONCLUSIONS: When a roundabout is introduced at the intersections there are safety effects by reduction of traffic accidents.
        4,000원
        40.
        2015.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목적: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에 HA(Hyaluronic acid)를 IPN(interpenetrating polymer network) 방법과 화학적 공유결합(terpolymerization) 방법으로 첨가한 후 하이드로겔 콘택트렌즈의 함수 율과 광투과율을 비교해보고자 한다. 방법: HA의 첨가는 제조된 콘택트렌즈에 IPN 방식으로 HA를 첨가하는 방법과 콘택트렌즈 제 조에 사용되는 HEMA 모노머에 methacrylate가 결합된 mHA를 합성시키는 화학적 공유결합 (terpolymerization) 방법을 사용하여 각각 제조하였다. 광투과율은 300~800 nm 범위에서 UV-Visible spectrophotometer(SHIMADZU, UV-165 P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함수율은 0.9% NaCl 생리 식염수를 사용하여 gravimetric method로 측정하였다. 결과: 두 방법에 의해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의 광투과율은 모두 90% 이상의 투과율을 나타 내었다. 함수율은 HA를 첨가하기 전(52.68%)보다 첨가한 후(57.60~60.88%)에 약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공유결합을 이용한 방법보다 IPN을 이용한 방법의 함수율 증가가 조금 더 높 게 나타났다. 결론: HA를 첨가한 콘택트렌즈에서 90%가 넘는 광투과율이 나타난 것은 HA와 콘택트렌즈 모 노머와의 결합이 상분리 없이 잘 이루어졌기 때문인 것으로 여겨지며, HA의 화학구조에 하이 드록실기(hydroxyl group)가 다수 포함되어 있어 함수율이 증가되는 것으로 여겨진다. mHA가 콘택트렌즈 내부에 분포되는 공유결합 방법에 비해 IPN에 의한 HA의 첨가 방법은 렌즈 표면 에 HA가 많이 존재하여 함수율의 증가 효과가 더 높게 나타난 것으로 여겨진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