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생활밀착형 정원은 거주민들의 일상생활 및 정주환경과 밀접하게 관계가 있는 범주 내에 조성된 정원을 말한다. 본 연구는 주민참여형 계획기법을 활용하여 정원 조성의 기본 계획과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두 대상지는 주거단지의 물리적 형성구조가 혼재형과 블럭형 단독주택단지로 차별성을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해 첫째, 녹지가 부족한 구도심에서는 개별적 녹지가 주민합의와 동의를 통해 공공적 녹지로 기능할 수 있었다. 둘째, 심미적 가치로 주민들이 밝아진 골목 환경을 인지하고, 꽃과 정원시설로 계절의 변화를 즐겼다. 셋째, 정원을 매개로 이웃과 소통이 일어났으며, 주민들이 계획단계부터 참여함으로써 자발적 관리로 이어졌다. 주민참여형 생활정원은 주민들의 실천적 태도라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한 구도심 마을정원의 새로운 유형으로 의미가 있다.
        4,000원
        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공동체정원은 급격한 산업화와 도시화로 상실되었던 공동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생활형 녹색복지이며, 기후변화에 대응한 그린인프라의 재생과 국민들의 사회적 요구 증대에 의해 발전하고 있다. 이는 정부차원의 정원 산업과 정원문화, 교육의 다양화와 전문화로 이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의 실정에 맞는 실천적 공동체정원의 유형별 모델정원을 계획 및 조성함으로써 정원조성의 과정을 실증적으로 설명하고 있다. 첫째, 공동체정원의 정의와 효과, 개괄적인 내용, 기본적인 준비과정과 고려사항을 제시한다. 둘째, 모델정원의 조성과 정원별 상세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장소 선정부터 참여를 통한 계획부터 설계, 시공과 관리까지의 전 과정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국민들이 기존의 정원조성자료와 함께 사회통합형 공동체정원 만들기의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의의가 있다.
        4,000원
        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청주읍성과 주변 문화재의 역사적 가치 재조명을 위해 대표적인 역사문화자원을 추출하고, 관련학과 대학생을 대상으로 역사문화경관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첫째, 청주의 대표적인 역사경관자원을 선정하여 역사문화자원으로서의 인지성을 추출하였다. 둘째, 역사문화경관의 중점경관 관리지표인 장소성, 조망성, 일체성, 왜소성에 대해 중요도와 만족도의 우선순위를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로 대표적인 역사문화자원의 인지와 가치 기준에 대한 우선순위를 도출하고, 요인별로 계획 및 보존관리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였다.
        4,000원
        4.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eoul City plans to restore the old waterways of the upper reaches of the Cheonggyecheon stream into an eco-stream. While the covered parts of the stream are being removed for restoration, the author aimed to develop plans to restore the old bridge placed thereon. As a basic study for the restoration of the Shingyo bridge that existed on the Baegundoncheon stream, which is being restore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where to place the bridge and how to restore it. This is based on the investigation and estimation of the original shape of the Shingyo bridge, with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most appropriate restoration plans through literary reviews and field surveys.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investigation and estimation of the original shape of the Shingyo bridge, it is thought that the bridge was built between the end of the 18th century, when the Hanyang Doseongdo was made, and the 1840s, when the Suseonjeondo was made. Given the results of the map and photography analyses, the Shingyo bridge was presumably located in the center-left of Shingyodong Intersection of today. Six parapet stones of the Shingyo bridge remain at present, which are stored in the Cheongwoon Elementary School in Cheongwoon-dong, Jongno-gu. Identified in the photos, the Shingyo bridge was structured with six prop stones and ten parapet stones on six stone pillars. In deciding where and how to restore it, it would be the most appropriate decision to place the restored Shingyo bridge on its presumed original location. However, this is not feasible given the current situation. Hence, the author considered historical and cultural aspects and developed reasonable criteria, under which the new location was chosen, which is 100 m southwards from the presumed original location of the bridge on a roadside with a safety zone and wide pedestrian paths. Two alternatives to placing the bridge on the Baegundongcheon stream were considered, i.e., east-west and north-south directions: the author suggests that the restored bridge be placed in the east-west direction, giving priority to the restoration of the waterways of the Baegundongcheon stream and the original direction of the Shingyo bridge.
        4,500원
        5.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basic design is a plan to create Dongdaegu Station as part of the square in front of the Dongdaegu Station expansion project. This includes a landscaping plan in connection with a synaptic complex transit center development plan. KTX Dongdaegu Station Square is in the center of the complex, and transit passengers are transferred to the best routes to the station extension, with a variety of KTX Gyeongbu transportation routes planned. Located in the heart of the city, the square should be expanded based on the use of past railway stations to function as a city square. The basic design for the KTX Dongdaegu Station Square involves a sense of symbolism, place, public space, and environmental consciousness. First, it highlights the symbolism of Daegu’s identity in planning the concept, and it establishes an eco-friendly nature,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Daegu. Second, planning the space from past-oriented public transport secures the functions and features of the pedestrian plaza in the urban context. In particular, it plans to incorporate environmentally friendly low-carbon planning and purification forest plans. Distant, middle, and close-range views are established in accordance with the landscape plan, including three forest conditions, taking into account the nature of the three-dimensional space and establishing a planting plan. Third, a packaged integration plan is established for the enclosure, decoration, and directional limitation of the transportation square, which is located in the city forest and grassy yard between the square and the main road to ensure the direction and connection with the facilities and the symbolic sculptures. This plan can serve as a new model for the planning of railway station squares, turning them into cultural complexes in the public space of the city.
        4,300원
        6.
        201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화장문화에 대한 사회적 인식변화와 수요에도 불구하고 서울시립 화장장 건립은 지난 10여 년간 서울시와 서초구간 의 갈등으로 조성의 어려움을 겪어왔다. 그러나 자연환경을 거스르지 않은 범위 내에서 최신의 친환경 화장장 건설이라 는 약속을 전제로 본 사업이 시작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기피시설인 화장시설의 인식전환을 위한 시설의 질적 개선방안 제시와 둘째, 지역민을 위한 복합문화공원으로 확장을 제안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이론적 고찰로 장묘정책과 인식변화, 추모공원과 화장시설의 설계요건을 분석한다. 둘째, 연구사와 대상지의 조사 분석을 토대로 계획방향과 기본 계획안을 도출하며 셋째, 공간별 기본설계를 제안한다. 계획방향은 추모의 의식과 이용자의 편의성 극대화, 공공성의 확장이다. 설계전략으로는 첫째, 추모의 전체적 분위기 조성 둘째, 공간의 위계적 구성 셋째, 자연요소를 통한 영역별 상징표현의 적용 넷째, 공공문화공간의 제공을 들 수 있다. 연구의 목적인 화장시설의 질적 개선을 구현하기 위해 자연 요소인 꽃을 상징화하여 건축과 조경의 통합디자인에 적용하였다. 또한 이를 외부공간의 위계성과 동선 및 환경계획에 확대시켰다. 지역민을 위한 복합문화공원으로의 확장을 위해서는 인근 청계산 산책로와 추억의 공간 및 정화의 숲을 연결하였으며, 자연문화공원으로서 다양한 수경시설과 야생화정원, 휴게마당과 숲 등을 계획하였다. 각 공간에는 헌화를 모티브로 한 예술조형물과 통합시설물계획을 수립하였으며, 예정된 부지 하단부의 생태공원 및 체육공원과 연계계획을 수립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새로운 화장장 조성 시 적극적인 실내외의 통합적 공간활용모델과 설계전략을 제안 함으로써 장래 건립예정인 다양한 추모시설과 공공기피시설들의 계획에 실제적인 설계모델이 될 것이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