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귤애가루깍지벌레는 감귤의 주요 깍지벌레 중 하나로 시설재배에서 피해가 심하다. 귤애가루깍지벌레는 밀집하여 발생하는 특성을 갖고 있으며, 귤굴나방이나 잎말이나방류 피해 잎에 기생하고 있어 약제 방제가 어려운 원인이 되기도 한다. 제주지역의 친환경 감귤원을 대상으로 천적곤충과 병원성 미생물을 조사하였다. 천적곤충은 기생성 천척은 Anagyrus sp. 1종과 포식성 천적은 혹파리 일종인 Golanudiplosis japonicus와 꼬마남생이무당벌레 Propylea japonica, 무당벌레 Harmonia axyridis, 풀잠자리 Chrysoperla carnea, 호랑풀잠자리 Micromus sp. 5종이었다. Anagyrus sp. 성충을 황색끈끈이트랩으로 연중 시기별 발생양상을 조사한 결과 5월 하순~11월 상순까지 발생하였으며, 귤애가루 깍지벌레 1세대 기간 동안 2회의 발생성기가 나타났다. 그 외에 곤충병원성 곰팡이 일종인 Paecilomyces sp.가 확인되었 는데, 주로 장마철에 자연발생되고 있었다. 귤애가루깍지벌레 생물적 방제를 위해 수입 천적인 Cryptolaemus montrouzieri (상품명: 깍지무당벌레)를 농가에서 구입하여 활용하고 있다.
        2.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시설딸기 주요 비행 해충인 꽃노랑총채벌레 Frankliniella occidentalis와 목화진딧물 Aphis gossypii 유시충, 온실가루이 Trialeurodes vaporarium에 대해 발생초기 파악을 위한 황색끈끈이트랩 이용기술을 규명하였다. 제주지역 농가 재배 3개소에서 5개년 동안(2013~2017년) 재 배 전 기간(9월~이듬해 5월)에 걸쳐 조사한 트랩자료를 이용 분석하였다. 해충의 공간분포 특성은 일반적으로 이용하고 있는 Taylor’s power law와 Iwao’s patchiness regression으로 분석한 결과 대상 해충 모두 집중분포를 하고 있었다. 두 회귀식 중 꽃노랑총채벌레와 목화진딧물 유 시충은 Taylor’s power law이, 온실가루이는 Iwao’s patchiness regression이 공간분포 특성을 잘 설명하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밀도와 최고밀 도, 11마리 이상 잡힌 트랩 비율 간에는 높은 상관관계를 갖고 있었다. 트랩당 평균 밀도 4.0마리를 추정에 필요한 최소 트랩수는 꽃노랑총채벌레 13개, 목화진딧물 유시충 11개, 온실가루이 10개이었다. 고정 정확도 0.25 수준에서 3종 해충의 Taylor’s power law과 Iwao’s patchiness regression 상수를 이용하여 축차표본조사 중지선을 구하였다.
        4,000원
        3.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벼룩잎벌레(Phyllotreta striolata)와 무잎벌(Athalia rosae ruficornis)는 제주지역 무에서 돌발적으로 발생하여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본 연 구는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트랩 색(황색과 청색)과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6R,7S)-himachala-9,11-diene과 기주식물 휘발성 물질 인 allyl isothiocyanate의 혼합물을 이용 두 해충의 발생을 간편하게 예찰하는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벼룩잎벌레는 트랩 색에 관 계없이 집합페로몬이 부착된 점착트랩에 더 많은 성충이 유인되었으며, 무잎벌은 황색점착트랩이 청색트랩보다 더 많이 유인되었고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은 유인량에 관계가 없었다. 따라서 벼룩잎벌레 집합페로몬을 부착한 황색점착트랩을 이용하면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 발생을 효 율적으로 예찰할 수 있었다. 점착트랩의 높이는 기주식물에 가까울수록 두 해충의 유인수가 많아 기주식물 상단 10 cm 높이로 설치하는 것이 좋 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의 연간 발생피크는 각각 3회와 5회정도 나타났으며, 두 해충의 첫 주발생시기는 벼룩잎벌레는 3월 중하순, 무잎벌은 4월 중하순이었다. 벼룩잎벌레와 무잎벌 성충의 연간 발생특성을 이용하면 두 해충의 무에서의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중요한 정 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