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5.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white-spotted chafer, Protaetia brevitarsis (Coleoptera: Scarabaeidae), is the one of the mass-rearing insects in Korea. Traditionally, it has been considered as a medicine for preventing liver-related diseases and suppressing cancer. In addition, this beetle was recently enlisted as a temporal food ingredient by Korean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As the economic importance of this beetle is growing, the suitable rearing conditions are needed for more detailed investigation. In this study, we compared three different temperature conditions – 25, 27.5, and 30°C – and the four combinations of two ingredients – soybean cake, and rice bran. With these treatments, the weight change of third instar larvae was tracked for ten weeks. Among three temperatures, 27.5°C was identified as the best temperature condition for rearing this beetle. Among four combinations of different ingredients, the addition of soybean cake made significant weight incensement for third instar larvae. Based on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adding soybean cake at 27.5°C is the best rearing condition among 12 combinations of temperatures and feed ingredients. In addition, we observed the body weight was reduced when the larvae were closed to the pupation period. Therefore, we recommend that ca. seven weeks after third instar is the best time to distribute it to the market.
        2.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설계홍수량 산정은 일반적으로 수자원설계 목적을 위해 요구되며 수자원 관련 계획, 안정성 그리고 수공구조물의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추정된다. 그러나 설계목적을 위한 국내의 유량자료는 매우 제한적이며, 강우자료와 비교해 봤을 때 상대적으로 관측년수가 상당히 적은 실정이다. 이러한 점에서 본 연구에서는 기 수립된 하천의 재현기간에 따른 설계홍수량 및 유역특성인자(면적, 유역경사)로부터, 설계홍수량을 멱함수 형태로 지역화하여 미계측 유역에서 설계홍수량 산정이 가능한 모형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설계홍수량 지역화 모형의 매개변수 산정과 불확실성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계층적 Bayesian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교차검증 관점에서 모형의 적합성을 검정하였다. 모형 적용 결과, 기존 면적기반의 홍수량 산정식에 비해 약 0.3 이상 높은 상관성을 가지며 홍수량을 추정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제안된 모형은 검증과 정과 도출된 결과를 통해 유역특성에 따른 재현기간별 설계홍수량을 효과적으로 재현하는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모형의 매개변수 및 결과에 대한 불확실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미계측 유역의 홍수량을 평가하는 기초자료로써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