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2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난대상록수종인 종가시나무에 대한 수간곡선식의 도출과 재적표의 작성 및 탄소배출계수를 이용하여 탄소저장, 흡수량을 추정하고자 수행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공시목은 전남, 경남, 제주 등에서 수집된 468본이며, 수간형태를 도출하기 위하여 적용한 수간곡선 모형은 Kozak 모델이다. 이 모델의 적합도는 0.9452, 편의는 0.0807, 추정치 표준오차의 백분율은 1.7145, 평균절대편차는 1.2655로 각각 나타났다. 종가시나무의 개체목 재적은 Kozak 수간곡선 모델에 Smalian 재적식을 적용시켜 산출하였으며, 수고와 흉고직경급별로 재적표를 작성하였다. 그리고 붉가시나무 재적표와 이번에 만든 종가시나무 재적표를 서로 비교한 결과(t-test), 통계적으로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들 재적표는 두 수종 중 하나만 이용하거나, 둘을 하나로 통합하여도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종가시나무림의 탄소저장 및 흡수량은 산림바이오소재연 구소 시험림의 조사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조사구를 대상으로 탄소저장 및 흡수량을 계산한 결과, 생육상태가 양호한 시험구(A)에서 탄소저장량 은 93.17 C ton/ha, 그리고 탄소흡수량은 13.14 CO2 ton/ha/yr 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생육이 저조한 시험구(B)의 탄소 저장 및 흡수량은 양호한 시험구보다 약 1/3 정도 낮게 나타났다.
        4,000원
        2.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산림생명자원 중 광나무의 대량생산을 위한 기초연구로, Priming 처리에 따른 발아 효율성 및 유묘 생육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종자 Priming처리는 대조구, GA3 (10, 100, 200 ㎎·L-1), Ca (NO3)2 (50, 100, 200 mM), KNO3 (50, 100, 200 mM)를 24시간 처리하여 발아특성을 분석하였고, 순화재배에 따른 생육특성 및 활착률을 조사하여 수확량을 비교·분석하였다. 발아특성은 25℃·KNO3 100 mM에서 발아율이 유의적으로(p<0.001) 높았으며, 평균발아일수는 10.3~18.1일로 15℃에서 대체적으로 빠른 발아일수를 나타냈다(p<0.001). 발아속도 및 발아균일지수 또한 25℃·KNO3 100 mM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값을 보였다(p<0.001). 생육특성의 경우 2 5℃·KNO3 100 mM 처리에서 유근 길이(5.1±2.4 ㎝), 초장(5.7±0.7 ㎝), 근장(16.6±2.0 ㎝), 건중량(0.079 g)이 유의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p<0.001). 유묘활력지수 또한 25℃·KNO3 100 mM 처리에서 1418.3으로 높았으며, 가장 높은 수확량(16.8 g/㎡)을 나타냈다. 결과적으로 25℃, KNO3 100 mM 처리 시 실내발아에서 발아효율성을 높일 수 있었으며, 순화재배 시 우수한 유묘 생육을 보여 수확량을 증진시킬 수 있었다.
        4,600원
        3.
        2018.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Cryopreservation of bovine embryos is used to efficiently implant surrogate mothers. It has been widely accepted that high lipid content in the oocyte interrupts its survival during freeze-thaw cycles. Serum component in the culture medium is thought to increase the embryo`s lipid contents. Conversely, L-carnitine stimulates lipid metabolism by transporting long chain fatty acids into the mitochondria.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of L-carnitine supplementation in IVM medium and defined IVC medium on the development, lipid contents and the cryosurvival of bovine IVF embryos. 0.0, 1.5, 3.0 and 6.0 mM L-carnitine was supplemented in IVM medium, respectively (IVM-LC 0.0, LC 1.5, LC 3.0 and LC 6.0). Development rate from the 2cell to the morula stages was higher in IVM-LC 3.0 groups than those of IVM-LC 6.0 (p<0.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other groups in the blastocyst rates and lipid content results. When 0.0, 1.5, 3.0 and 6.0 mM L-carnitine were supplemented in IVC medium (IVC-LC 0.0, LC 1.5, LC 3.0 and LC 6.0), development competenc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ose embryos. Lipid contents of embryos treated L-carnitine (IVC-LC 1.5, 3.0 and 6.0)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embryos of non-treated group. L-carnitine was supplemented 0.0, 1.5, 3.0, 6.0 mM during IVM and 3.0 mM during IVC (LC 0.0 - 3.0, LC 1.5 – 3.0, LC 3.0 – 3.0, LC 6.0 – 3.0) and cryosurvival of blastocysts confirmed after freezing-thawing.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development, but LC 3.0 – 3.0 was significantly lower lipid contents than other groups. And LC 3.0 – 3.0 had better survival rates and hatched rates of blastocysts than LC 0.0 – 0.0. In conclusion, supplementation of L-carnitine in defined IVC medium decreases lipid contents. And L-carnitine supplementation improves cryosurvival and developmental ability of bovine IVF embryos.
        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농업기술원에서는 2003년 무름병에 비교적 강하고 화색과 화형이 우수하고 장미 분홍색을 가진 Zantedeschia rehmanni × hybrid ‘Super Gem’과 연한 노랑색 품종 Z. × hybrid ‘Black Magic’을 각각 모본과 부본으로 하여 인공 교배 하였다. 2006년에 개화특성을 검정하여 화색과 화형이 좋은 ‘GZ0616’를 선발하였으며, 2007년에 포장 재배하여 자구 증식률, 초장과 초세 등 1차 특성검정 후 2차 선발하였다. 2013부터 2015년까지 특성검정과 재배시험을 통하여 균일성과 안정성이 인정되어 ‘강교C4-6호’로 최종 선발되었으며, 2017년 2월에 ‘립스마일(Lip Smile)’로 품종등록 되었다. 화포 외부의 주 색은 연노랑바탕 적자색(Y2C+RP79C)이며, 화포 높이는 8.5cm, 폭은 6.2cm로 대형화이다. 개화소요일수는 64.3일, 초장은 66.0cm, 괴경은 80.0g이다. 기호도 평가에서도 ‘Captain Rosette’와 유사하였으며, 절화용으로 이용 가능하다.
        4,000원
        5.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잔디에 있어서 낮은 형질전환 효율의 직접적인 원인 중 에 하나인 낮은 캘러스 유도율과 식물체 재분화율을 개선 시키기 위하여 잔디 완숙종자의 전처리의 효과를 비교해 보았다. 살균한 잔디종자에 swelling 처리를 10분간 실시한 후, sea sand를 이용 하여 sea sand와 종자의 비율을 1:1로 한 다음, shaking 처리는 vortex speed 6 (1,000 rpm)에서 처 리시간은 10분간 전처리를 실시하였을 때 무처리구에 비해 2배 이상의 배양 효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sea sand로 전처 리한 잔디종자로부터 형성된 캘러스를 식물체 재분화 유도 배지에 치상했을 그 효율이 훨씬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연중 아무 때나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닌 잔디 완숙종자로부터 유도시킨 캘러스 세포를 이용하여 Agrobacterium으로 형질전환하는데 있어서 그 효 율을 향상 시키는데 큰 기여를 할 것으로 추측된다.
        4,000원
        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조경수의 우량한 묘목 생산과 굴취비용의 절감을 위해 지상․지중 용기재배가 종가시나무 4 년생 묘목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수행되었다. 플라스틱 용기(상부 Ø19 × 하부 Ø13 × 높이 20㎝)로 묘목을 이식하여 활착시킨 후 묘포에 지중과 지상에 배치하였다. 시험구는 단일용기와 60g 부직포를 혼용한 2가지 처리구로 구분하였으며, A-type(노지묘: 대조구), B-type(지면용기), C-type(지면부직포용기), D-type(지중용기), E-type(지중부직포용기)로 배치하였다. 처리구별 묘목의 상대생장률을 측정한 결과 간장 10.96㎝, 근원경 0.06㎜로 D-type 처리구에서 가장 높은 생장을 보였 다(p<0.05). 건물생산량은 D-type 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묘목 품질지수 또한 D-type 처리구에 서 유의성이 높게 나타나 생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p<0.05). 뿌리형태 특성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뿌리길이, 직경, 용적이 D-type 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실험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지중용기 처리구에서 묘목의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지중용기 재배에 따른 굴취비용 절감이 예상 됨으로 종가시나무 4년생 생산에 적합한 재배방법으로 판단된다.
        4,000원
        7.
        2013.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 남부권역에 분포하는 곰솔 임분의 식생, 생장, 형질을 권역 및 건전도에 따라 임분 특성을 분석하여 시업적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아교목층 이하에서는 교란임지가 건전임지 보다 많은 종이 출현 하였으며, 종 다양도 지수는 교목층을 제외한 모든 층위에서 건전임지(0.097 ∼1.520)와 교란임지(1.507∼1.669) 사이에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 교란임지와 지역별 유사도분석에서, 경상권과 전라권이 층위별로 0.280∼0.607, 제주권역은 0.189∼0.318로 지역 간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년생장량은 정상임분이(0.39∼0.48 ㎝/year) 교란임분(0.25∼0.37 ㎝/year)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생장율도 건전임지(7.74∼8.51%)와 교란임지(3.79∼5.52%)간에는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임목 형질은 경상권과 전라권에서 B급 이하, 제주권은 B급 이상, 교란지에서는 C급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곰솔 임분은 현재의 식생, 생장, 형질적 특성을 고려하여 차별화된 맞춤형 임분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4,200원
        9.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keletal deformities are significant problems that affect the growth and commercial value of fish reared in hatcheries. However, studies of bone metabolic process related to skeletal deformities are limited.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correlation between bone deformities and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β levels in reared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juveniles. We collected E. akaara frys from private farms at 110, 140, 180 and 300 days after hatching (DAH), and classified the normal and deformed fish by observing their external shape and inner frame by soft X-ray. We also analyzed the calcium, phosphorous, and estradiol-17β levels in their plasma. A comparison between normal and deformed fish, indicated that calcium and estradiol-17β levels were higher in deformed fish than in the normal at 180 and 300 DAH. The level of phosphorus was also higher in deformed individuals than in normal fish, but only at 300 DAH. These results suggest that skeletal deformiti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s in plasma calcium, phosphorus, and estradiol-17β levels.
        10.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stress response [ethological (operculum movement number (OMN)), hematological (hematocrit and hemoglobin), biochemical (glucose, cortisol and glutamic oxaloacetic transaminase (GOT))] in red spotted grouper, Epinephelus akaara during exposure of different water temperature in winter season. This species (Total length, 18.56±0.34 cm) previously maintained in water temperature of 15°C were transferred to 15, 20 and 25°C. During experimental period (7 days), OMN, hematocrit (Ht), glucose and GOT values were significantly high in 15°C when compared to 20 and 25°C. Hemoglobin value was also increased at 15°C,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ere was no differences in cortisol levels among the temperature groups. No fish mortality was observed during the experimental period. From these results, 15°C is likely more stressful to red spotted grouper than 20°C and 25°C. These observations confirm that red spotted grouper adapts better to temperatures between 20 and 25°C during the winter season.
        11.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혈액액비 시비가 채소 묘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 하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토마토와 고추 그리고 겨자채를 무 비와 유비에 각각 파종하였으며, 무비에 혈액액비를 시비하여 채소 묘의 생육변화를 비교 분석하였다. 유비 육묘에서 토마토의 초장, 생체중, 그리고 엽폭이 각각 20.5±0.6cm, 51.1±2.6g, 6.1±0.2cm 로 가장 높았으며, 엽수는 유비, 무비, 그리고 혈액액비 시비에서 각 각 14.9±0.8, 9.2±0.4, 18.1±0.5 개로 혈액액비를 시비하였을 때 가장 많았다. 고추는 초장(9.1±0.3 cm), 생체중(30.2±1.6 g), 그리 고 엽폭(2.2±0.1 cm) 등은 모두 유비 육묘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 며, 혈액액비를 시비하였을 때 무처리구 보다 생육이 향상되었다. 고추의 엽수는 유비구 7.9±0.2, 무비구 5.1±0.2개로 혈액액비 시 비구에서 8.2±0.1으로 가장 높았다. 겨자채 묘의 경우 전체적으로 유비 처리구에서 높은 결과를 나타 내었으며, 혈액액비 처리구가 겨자채 묘의 생육에 큰 효과를 보이진 않았다. 전반적으로 유비 육묘에서 생육이 가장 좋았으나, 혈액액비를 시비한 육묘에서도 생육 이 향상되었다. 본 연구 결과 가축의 혈액액비는 도축장의 폐기물 에 의한 환경오염을 줄 일 수 있고, 관행비료를 대체하여 친환경 유 기농 묘 생산에 사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12.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vestigation of flowing time, flower structure, microspore density, microspore vitality and microspore-derived embryo (MDE) formation rate according to the light quality treatment on broccoli donor plant was accomplished. The material was 08-8-3 line yielding high MDE production rate having 4.0 ± 0.5 mm flower bud length. The donor plant was cultivated with light quality treatment of red LED light, red+blue+white LED light and fluorescent light. The light intensity was 50 μ molm-2s-1 and photoperiod was 16/8 hours (light/dark). The flowering time was fastest at red LED light treatment compared to the other light treatment condition. 100.0, 36.4 and 18.2% of flower bud with longer stigma length than floral leaf which reported high MDE production rate were found under red LED light, Red+Blue+White LED light and fluorescent lights respectively. The microspore density and MDE production rate per single flower bud was highest at Red LED light. Suitable flower bud and high MDE production rate could be achieved in a short period if using LED light to broccoli donor plant cultivation. The above result is thought to be ver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ivar of broccoli and other many crops including Brassica using haploid breeding technology. This journal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13.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eat shock pretreatment, dark culture period and washing medium could have marked effects on microspore embryogenesis. A heat shock pretreatment of microspores at 32.5°C for 48 hours gave high production rate of microspore-derived embryo (MDE) when compare to shorter and longer period. The yield of MDE increased significantly when microspore cultured for 15 days at 25℃ in dark condition followed by heat shock pretreatment. MDE were browned and lost vitality when dark treatment period extended longer than 15 days. This is caused by an insufficient oxygen and light for growing embryo which already formed during dark treatment period. The vitality of a microspore isolated from flower bud stored at 4℃ become decreased at the very first day and the vitality of microspore stored at 4℃ in the form of flower bud itself become decreased from the 5th day after storage. This shows the possibility of getting a certain period of storage for a suitable flower bud in MDE formation. The yield of MDE was most effective when isolated microspore was had with MS medium compared to B-5 and NLN medium and also showed most effective result with sucrose 130 g􀂂L-1 in additional sucrose concentration. The above result is thought to be very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ivar of radish and other many crops including Brassica using haploid breeding technology.
        14.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미생물제제 및 화학비료 시비에 따른 무와 배추의 생육 변화를 조사하기 위해 지상부와 지하부의 길이, 엽면적, 그리고 중량을 측정하였다. 시비 종류에 따른 무의 지하부 생체중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 시비에서 148.9g으로 가장 높아 화학비료 처리구(112.8g)와 비교하여 약 1.3배 증가하였으며, 지상부의 생체중 역시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 시비 처리구(160.3g)에서 화학비료 처리구(111.1g)와 비교해 약 1.4배 증가하였다.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생육이 가장 왕성하였으나 미생물제제 처리구도 화학비료 단독시비 처리구의 생육과 비교하여 지상부, 지하부 모두 생체중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추의 지상부 생체중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에서 316.6g으로 가장 높아 화학비료 처리구(225.7g)와 비교하여 1.4배 증가하였으며, 또한 지하부의 생체중도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4.4g)에서 화학비료 처리구(3.1g)와 비교하여 1.4배 증가하였다. 배추의 엽면적은 미생물제제와 화학비료의 혼합시비 처리구, 화학비료 처리구, 미생물제제 처리구에서 각각 3567.7, 2387.5, 2735.9cm2로 미생물제제의 처리로 배추의 엽면적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의 결과를 통해 미생물제제가 관행의 농법에서 사용되는 화학비료를 대체하여 친환경비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화학비료에 토양미생물제제를 혼용 처리하여 무와 배추의 생육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전한 육종재료를 육성하기 위한 시비 방법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