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

        1.
        2020.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igh-pressure homogenized (microfluidized) maize starch with different preheating temperatures (50, 60oC), levels of pressure (34.5, 69, 138 MPa), and numbers of pass (1, 2, 3 pass) were examined in this study. The enzyme susceptible starch (ESS) content, morphological property, X-ray diffraction, and Rapid Visco Analyzer (RVA) profile of starch were significantly altered via increasing the number of passes and preheating temperatures. The amount of ESS and the diffraction pattern of starch indicated that the granular crystalline structure of starch was severely damag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passes and preheating temperatures. The morphology of starch granule was changed from angular to spherical shape with the damaged surface as the pressure increased. Moreover, damaged starch particles gathered to form a larger mass when treated at a higher temperature with the increasing number of passes, indicating that different types and extents of damage occurred. The RVA profile of starch showed a moderate peak viscosity with increased pasting stability against shear thinning similar to that of cross-linked starch as the number of passes and preheating temperatures increased.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microfluidization combined with preheating might be used as a potential alternative method for the modification of starch such as cross-linked starch.
        4,000원
        2.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bined drying conditions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tus root chips. A combined drying was conducted using the superheated steam (SHS) at 220°C for 6 min, then subsequent contact drying at 150°C for specified times (2, 4 or 6 min) and finally hot air at specified temperatures (50, 60 or 70°C) for 1 hr. Changes in appearance of lotus root chips such as surface color, shrinkage and deformed shape were resulted from the extent of time and temperature of post-drying conditions. Moisture content of lotus root chips decreased with increasing the time and temperature of post-drying process. Surface color of lotus root chips was determined mainly by the contact drying step of a combined drying process. Polyphenol content was influenced by the temperature of hot air rather than the duration of contact drying. Meanwhile hardness of lotus root chips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ing the duration of contact dry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a combined drying process with appropriate processing conditions could be applicable successfully for the manufacturing of un-fried lotus root chips.
        3.
        2017.11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cherry tomato dried using the conventional hot air (HA) and superheated steam (SHS) combined with either HA or far-infrared (FIR)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effects of combined drying process on the product quality. Conventional HA drying caused the greater extent of water removal than that of SHS combined with HA or FIR due to comparatively its longer drying time, resulting the lower water activity. Total acidity of cherry tomato produced by combined drying processes was slightly lower than that of conventional HA drying. Application of SHS combined with FIR resulted in higher retention of vitamin C and lycopene content with faster rehydration capacity than those of both conventional HA and SHS with HA drying.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SHS combined with FIR would replace the conventional HA drying process successfully in production of dried cherry tomato with appropriate quality characteristics
        4.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보리의 취반 적성과 관능성 개선을 위하여 수침처리 및 적외선 가열조건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보리의 수분흡수도는 적외선가열 단독처리 또는 수침과 적외선가열의 병행처리 모두에서 크게 증가하였으며, 취반 후보리의 연화도 또한 증가하였다. 또한 이들 시료를 백미와 혼합하여 취반 후 관능성을 평가한 결과, 식감의 개선에의한 보리의 전체 기호도가 대조구 보다 크게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수침과 적외선가열을 병행 처리하였을 때 적외선가열 단독처리보다 우수한 관능특성을 갖는것으로 조사되어, 보리의 취반성과 관능성 개선을 위한 최적조건은 15분간 상온수침 후 120oC에서 초기 수분함량까지 가열로 설정하였다.
        4,000원
        5.
        2013.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현미의 취반적성 및 관능성 개선을 위하여 적외선 가열처리 및 수침의 영향을 검토하였다. 현미는 적외선 가열처리 조건에 따라 부분적인 갈변화와 함께 외피 및 배유에 균열이 발생하여, 취반 후 곡립 형태가 파손되고 식미가 저하되었다. 현미의 균열 손상은 120oC 이상의 온도에서 초기수분함량이 3% 이상 감소할 때까지 가열하는 조건에서 발생하였으나, 수침과 병행하여 가열하는 경우에는 현미의 균열 및 형태 손상이 발생하지 않았다. 현미는 적외선 가열에 의해 부분 호화가 발생하며, 호화도는 수침 처리한 현미에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현미는 적외선 가열 처리에 의해 취반 질감이 연화되었으며, 수침과 병행하는 경우 가장 높은 연화효과를 나타내었다. 취반 현미의 관능성은 적외선 가열 처리에 의해 크게 개선되었으며, 수침을 병행하였을 때 전체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은 확인되었다. 상기 결과를 통하여 수침 처리하지 않은 현미의 경우 120oC에서 수분함량이 1% 감소까지, 수침시료의 경우 20분간 상온수침 후 110oC에서 수분 함량 14%까지의 가열조건을 현미의 취반성과 관능성 개선을 위한 최적조건으로 설정하였다.
        4,000원
        6.
        2011.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분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고압균질 처리의 영향을 검토한 결과, 고압균질처리 옥수수전분필름은 산화전분필름과 유사한 투명도를 가지며, 용해도와 산소투과억제력의 증가와 함께 인장강도가 다소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고압균질처리 옥수수전분필름의 물성변화는 고압균질기의 고압과 전단력에 의해 호화전분입자가 완전히 소실되고 전분의 용해도 증가와 보다 균일한 분산상이 형성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일반적인 호화과정을 통해 형성되는 전분필름의 구조는 연속상의 아밀로오스에 팽윤된 접분입자가 분산되어 있는 network 형태에서 형성된다. 반면 고압균질처리의 경우, 호화전분입자의 붕괴로 아밀로펙틴이 연속상을 이루고 여기에 아밀로오스가 분산상으로 존재하는 새로운 분산계(dispersed system)가 형성되어, 기존 호화 방법으로 제조한 필름과 다른 물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