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

        1.
        202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새로운 지역혁신정책의 프레임인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에 대한 리뷰 논문이다.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은 지역주민의 입장에 서서, 시스템 전환의 비전을 가지고 기 후위기, 고령화, 양극화에 대한 대응책을 발전시켜 나가는 정책이다. 이를 위해 포스트 클러 스터론을 중심으로 한 지역혁신정책론의 연구 성과들을 검토하면서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특성을 정리한다.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클러스터론을 필두로 한 기존 지역혁신 정책과 구분되는 전환적 지역혁신정책론의 특성을 다룬다. 다음으로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의 주요 요소, 시스템 전환의 유형, 산업형성과 관련된 연구들을 리뷰한다. 전환적 지역혁신정책이 기존 정책과 차별화되는 요소들을 정리하고 향후 논의가 발전하기 위해 다루어야 할 과제들을 도출한다. 임무지향적 프로그램을 통한 전환적 혁신과 기존 혁신의 연계, 전환의 구체적인 메커니즘의 탐색, 산업혁신과 사회혁신을 통합하는 시각의 도입, 산업융합과 사회혁신 융합을 위한 초학제적 연구·혁신 방식의 도입 등이 다루어질 것이다.
        6,700원
        2.
        2021.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지속가능한 사회·기술시스템으로의 전환을 지향하는 기업의 혁신활 동 특성을 논의한다.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해 사회문제 해결에서 기업활동의 ‘목적’을 찾고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고 있는 기업을 ‘전환지향적 기업’으로 정의한 다. 이 논문은 시스템 전환론의 틀을 활용해서 1) 전환비전과 임무설정, 2) 전환을 위한 비즈 니스 모델 혁신, 3) 전환을 위한 네트워크 형성, 4) 전환의 정당성 확보 측면에서 전환지향적 기업 혁신활동의 주요 특성을 살펴본다. 그리고 사례연구를 통해 전환지향적 기업혁신 활동 에 대한 가설과 이슈를 토의한다. 사례연구 기업은 생활자·시민중심의 예방·치료·돌봄통합시 스템을 지향하고 있는 한국에자이다.
        8,300원
        3.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사회적 도전과제 해결을 임무로 설정하여 이론과 정책을 개발 하고 있는 임무지향적 혁신정책론의 관점에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정책을 점검하고 그 시사점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시민사회의 참여, 정부의 동태적 능력의 확보, 선도적 투자와 후속 투자의 유도의 측면에서 ‘제2차 과학기술기반 사회문제 해결 종합계획’을 분석했다. 이 계획은 사회문제 해결형 혁신을 위한 시민참여의 제도화, 정부의 조정·통합능력 강화와 새로 운 생태계 형성을 위한 제도들을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활동의 경로의존성이 있기 때 문에 이를 넘어서기 위한 구체적인 프로그램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또 선도적인 투자를 이끌 어내기 위해서는 커뮤니티 케어, 기후변화 대응과 같은 사회정책 분야의 전략 사업과 혁신정 책을 통합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필요하다.
        6,400원
        4.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학적⋅산업적 목표를 넘어 사회문제 해결이라는 사회적 목표를 내세우는 사 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이 등장하고 있다. 사회문제는 여러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혀 있기 때문에 난제인 경우가 많다. 한 번의 사업으로 해결되지 않으며 장기적인 과정을 거치 게 된다. 따라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은 대증적 접근이 아니라 문제를 근원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시스템 전환 차원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시스템 전환의 관점에 서 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의 발전방향을 다룬다. 이를 위해 ‘전 환실험화’라는 개념을 토대로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발사업을 전환실험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검토한다. ‘전환 거버넌스 구축’, ‘전환비전 형성과 전환실험 기획’을 연구개발사업 의 전환실험화를 위한 핵심 과정으로 설정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사회문제 해결형 연구개 발사업에서 이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살펴보았다
        6,700원
        5.
        2012.05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developed two kinds of selective mosquito traps. The first selective mosquito trap called Mos-hole was developed with emitting carbon dioxide. The principle was that CO2 gas was obtained from burning liquid naphtha. The process principle was very unique that some heat and moisture which cannot be obtained by using dry ice could be generated additionally. It is the main cause to bring more mosquitoes. The trap is consisted of the acidic and CO2-baited suction system. CO2 was so powerful mosquito attractant gas, and the color and shape of a suction trap was also very important factors for improving the mosquito capturing efficiency. The trap burned naphtha in a rate of 1.3g/hr~3.0g/hr (CO2:50ml/min-110ml/min) and the efficiency of the trap was higher at the burning rate with the high number of female mosquitoes. The second mosquito trap called DMS (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 is developed for reporting the number of captured mosquito automatically every day. This automatic reporting device called DMS uses CO2 gas as a mosquito attractant and it has a IR array sensor for counting mosquito. We established a sensor network with several DMSs and one server. The server collected the data of each DMS through Internet or CDMA RF communication system. This data were analyzed in the GIS pest prevention information system and were sometimes used as a reference for the next pest control activities. The DMS systems emit CO2 about 300cc/min. CO2 was very effective for attracting mosquito. DMS systems were very effective to count the number of mosquitoes at the certain areas. By using two kinds of mosquito traps together, we could determine the mosquito population size increase and decrease at certain areas
        6.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We used the three kinds of mosquito traps (Black-hole with UV light, CO2-baited Mos-hole with the newly developed attracting-solvent, CO2-baited DMS; Digital Mosquito Monitoring System) to know their collecting efficiency for the female mosquitoes in Korean rural areas. The Black-hole mosquito trap caught many kinds of insects including only few female mosquitoes. The Black-hole trap has the UV-light and the light seemed to attract other terrestrial and aquatic insects, such as the common flies, May flies, and the stone flies. Even though the trap was developed to collect mosquitoes, the trap caught only few of female mosquitoes less than 1% of all insects caught. Their selective efficiency to collect the female mosquitoes was relatively lower than other two kinds of traps. The Mos-hole and CO2-baited DMS traps had the collecting efficiency of over 80% to collect the female mosquitoes. The two traps caught the relatively lower number (less than 3% of total insects) of other insects, such as few Coleoptera and Diptera, and their collecting efficiency for the female mosquitoes was very higher. Generally speaking, mosquitoes disliked the UV light but they relatively preferred CO2 gas including the attracting-solvent. They had also been attracted the acidic solvent with CO2 gas. If we could use the efficient and selective mosquito traps with the fully understanding about the mosquito habits, we could assume that we can keep the biodiversity high around the mosquito habitats as well as to save money for the insect pest control.
        7.
        2011.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snag-dwelling arthropod community study was conducted for the ecological evaluation of dead woods at Korean fir stand in Mt. Woonak in Pocheon-si, Gyeonggi-do, from April 2010 to August 2011. We put a windows trap and an emergence trap on the trunk of each snag, and we selected the six snags during the study periods. We collected 3930 individuals (5 class, 21order, 52 families) but we didn’t include the number of unidentified larva. We separated those individuals into the three functional groups and we found out the proportion and number of each functional group from the total individuals: herbivores (27.6%, 1083) predators (10.9%, 430), detritivores (61.4%, 2413), etc(0.1%, 4). We found out the proportion and number of each taxon group for herbivores, Armadillidae (0.15%, 6), Acarina (2.57%, 101), Psocoptera (0.25%, 10), Hemiptera (0.46%, 18), Mecoptera (0.05%, 2), Hymenoptera (not ant) (5.14%, 202), Aphididae (3.82%, 150), Cicadellidae (0.4%, 16), Curculionidae (3.61%, 142), Chrysomelidae (0.23%, 9), Elateridae (3.36%, 132), Erotylidae (3.16%, 124), Nitidulidae (2.6%, 102), Pyrochoroidae (0.08%, 3), Scarabaeidae (0.31%, 12), and Cetoniidae (0.13%, 5). Predators were consisted of the following taxa groups: Araneae (2.9%,114), Chilopoda (0.31%, 12), Formicidae (4.25%, 167), Carabidae (0.08%, 3), Staphylinidae (1.09%, 43), Cleridae (0.05%, 2), Pselaphidae (0.1%, 4), Colydiidae (0.38%, 15), Harpalidae (0.1%, 4), Histeridae (0.36%, 14), and Dermestidae (0.8%, 31). Detritivores were consisted of the following taxa groups: Millipedes (0.92%, 36), Archaeognatha(1.6%, 63), Diptera (7.81%, 307), Collembola (35.47%, 1394), Protura (0.03%, 1), Dermaptera (0.1%, 4), Tettigoniidae (0.08%, 4), Raphiidophoridae (0.03%, 1), Ipidae (14.12%, 555), Silphidae (0.15%, 6), Cuculidae (0.15%, 6), Cerambycidae (0.38%, 15), Oedeeridae (0.03%, 1), Lucamnidae (0.03%, 1), Stenotrachelidae (0.05%, 2), Buprestidae (0.13%, 5), Tenebrionidae (0.23%, 9), and Mordellidae (0.1%, 4), etc. Conclusively, the snag plays an important roll as the diverse arthropods’ habitats in the Korean fir forest eco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