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5

        1.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종의 초 중 고 및 대학교 교과서에 나타난 퇴적물의 입도에 대한 한국어 용어를 비교 검토하고 문제점과 대안을 제시하였다. 교과서에 나타난 퇴적물의 입도에 대한 한국어 용어는 거의 모두 Udden-Wentworth의 분류를 번역한 것으로, 교과서마다 다른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자갈은 여러 교재에서 왕모래, 잔자갈, 왕자갈, 및 표력 또는 거력으로 나타내고 있으나, 이들은 각각 잔자갈(granule), 중자갈(pebble), 큰자갈(cobble), 및 왕자갈(boulder)로 나타내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한다. 자갈보다 작은 퇴적물은 '매우 고운', '고운', '중간', '굵은', 및 '매우 굵은'이라는 형용사를 각 퇴적물 이름 앞에 붙여서 표현하는 것이 적합한 것으로 생각된다. silt는 여러 교재에서 미사로 나타내고 있으나 실트로 표현하는 것이 적당하다고 판단된다. 실트와 점토의 혼합물인 mud는 대부분의 초등학교와 중학교, 그리고 일부 고등학교와 대학교 교과서에서 진흙으로 표현하고 있으나 한국지구과학 사전 등을 포함한 여러 교과서에서 쓰고 있는 바와 같이 이토(泥土)로 나타내는 것이 적당하다고 생각한다.
        4,000원
        2.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기존 연구 결과와 최근의 야외 지질 조사를 통하여 소청도의 지질 개요와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의 보존 상태를 간단히 소개한다. 분암 지역에서 보존 상태가 매우 양호한 새로운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를 확인하였다. 또한 선착장 부근에서 평행 엽층과 습곡 구조가 발달한 지층의 노두를 발견하였는 바, 이는 소청도의 관문에 위치한 소청도의 중요 지질학적 상징 중의 하나로서 가치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산지는 다양하고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상원계의 묵천통과 멸악산통에 대비되는 후기 원생대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 뿐만 아니라 물결 자국, 건열, 빗방울 자국 등의 다양한 퇴적 구조를 포함하고 있다. 소청도의 스트로마톨라이트 화석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오래된 화석 천연기념물로서 정밀한 학술 조사가 이루어져야 하며, 국가적인 보존 관리 되어야 한다.
        4,000원
        3.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arly Ordovician graptolites from the upper part (Tumok Member) of the Mungok Formation of the Namaeri and Baeiljae sections at Yeongwol consist of five species belonging to five genera. They are Adelograptus cf. tenellus, Callograptus sp., Dendrograptus suni, Dictyonema sp., and Psigraptus jacksoni. Of these 5 species, Psigraptus is the most excellent index fossil for international correlation with the early Ordovician strata. Adelograptus cf. tenellus from the Mungok Formation of the Namaeri and Baeiljae sections is also recognized with especially short stipe relative to Adelograptus tenellus. Three graptolite zones (such as Adelograptus, Psigraptus, and Dendroid type zones) are correlated with those of Canada, Australia, and China, respectively. The upper part of the Mungok Formation is assigned to the late Tremadocian.
        4,600원
        4.
        200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tended to the optimal conservation method and to make an application scheme for the fossil locality of the Quaternary Hamori Formation at the northeastern coast of Mt. Songak. Many kinds of innumerable fossils are found from the Hamori Formation in the study area: Footprints of hominid, trace fossils of invertebrates, bird, artiodactyla, proboscidea, carnivores, unclassified footprints, and body fossils (arthropoda, gastropoda, mollusca, and plants). The formation has been outcropped and eroded out with innumerous fossils by the strong wave action of storm and typhoon. Korean government recognized the dangerous situation of the important fossils and decided to conserve the formation for the national heritage. Method D1 (conservation hall or museum on the fossil locality) may be the best way to protect the fossil locality from all the natural activities and to do the research, exhibition, education, and sightseeing together. The application of the geologic materials from the fossil locality should preferentially focus on the collection and research which should be accompanied by exhibition, education, and sightseeing. The application scheme may be stepped into three stages during 10 years: (1) systematic conservation and publicity during 2005-2007, (2) establishment of wellorganized museum during 2008-2010, and (3) international museum with the optimized roles 2011-2014.
        4,000원
        5.
        2008.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남해안의 경남 진도에 분포하는 전기 백악기 진주층의 호성 실트암에서 약 450여 개의 생흔 화석 Lockeia가 발견되었다. 이 생흔 화석들은 상당히 길쭉한 씨앗 모양이며, 대부분 길이가 60-70 mm, 폭이 15-20 mm이다. 그들은 특징적으로 날카로운 세로 고랑이 양쪽 가장자리에서 급하게 경사진 부분과 접하며, 주변부는 융기되어 있고, 세로 고랑의 양쪽 끝부분은 뽀족하다. 이 생흔 화석은 신종인 Lockeia gigantus ichnosp. nov.로 기재한다. Lockeia gigantus와 함께 드물게 발견되는 담수 이매패류인 Plicatounio는 이 휴식 생흔 화석의 가장 유력한 생성자로 판단된다. 이 신종 생흔화석은 현재까지 알려진 Lockeia 중에서 가장 크고 백악기 육성 퇴적층에서 세계적으로 처음 보고된 Lockeia이다. 이 화석은 또한 얕은 호수 환경의 생물 군집에서 살았던 생흔 화석 생성자 (이매패류인 Plicatounio)와 관련된 휴식 생흔화석의 특이한 예이다.
        4,900원
        6.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Lower Ordovician (Upper Tremadoc) graptolites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at the two sections of the Mungok Formation in Danyang area: the Seokgyori and Daejeonri sections. The graptolites from these sections comprise two species of two genera: Adelograptus brevibrachiatus and Psigraptus jacksoni. The graptolite faunas of the sections in the area show simple composition relative to Yeongwol area; they appear to be correlated to: (1) the Adelograptus cf tenellus Zone of Yeongwol area, (2) the Adelograptus cf. tenellus Zone of Yukon, Canada, (3) the Psigraptus Zone of Tasmania, Australia, and (4) the Psigraptus jacksoni Zone of Jilin, China. The age of graptolite beds of the Mungok Formation at Danyang appears to be early Upper Tremadoc of the Lower Ordovician.
        4,000원
        7.
        200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elograptus brevibrachiatus sp. novo is erected for materials previously referred to as Adelograptus cf. tenellus from the circum-Pacific area. The species shares man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ith Adelograptus tenellus from Europe but differs from it by possessing typically short stipe lengths throughout rhabdosome due to less thecal density along the stipes. Taxonomic characteristics of A. cf. tenellus reported from circum-Pacific area are compared with each other. The paleogeographic distribution of A. tenellus seems to be restricted within Europe, while that of A. brevibrachiatus within circum-Pacific area.
        4,000원
        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arly Ordovician graptolites from the Mungok Formation of Yeongwol area, Korea comprise seven species belonging to six genera: Callograptus curvithecalis, Callograptus sinicus, Aspidograptus lotolatzensis, Dendrograptus suni, Dictyonema uniforme, Adelograptus cf. tenellus, and Psigraptus jacksoni. Two graptolite zones with three subzones are recognized in the eight sections of the Mungok Formation. The Adelograptus Zone is correlated with (1) La 1b of the Lancefield Formation of Victoria, Australia, (2) the Adelograptus-Clonograptus Zone of the Yehli Formation of Jilin, China, and (3) the Adelograptus Zone of the Road River Formation of Yukon, Canada. It suggests that the upper part of the Mungok Formation corresponds to early Late Tremadocian of Early Ordovician.
        4,300원
        9.
        200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주도의 후기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서 깃털 화석을 발견하여 기재하였다. 수심이 얕은 바닷가에서 퇴적된 이 퇴적층에서는 사람 발자국을 포함하여 다양한 새 발자국 화석과 포유류 발자국 화석이 풍부하게 산출되었다. 담회색 이암에 밝은 색의 얇은 막으로 잘 보존된 깃털 화석은 깃 판(vane)이 있는 깃털의 일부분이다. 비록 표본의 크기가 길이 10.3 mm, 폭 9.0 mm로 비교적 작지만, 깃대 양쪽에 두 개의 편평한 깃판(vane), 거의 나란하게 휘어진 깃 가지(barbs)그리고 수많은 전면과 후면의 작은 깃 가지(barbules)들이 잘 보존되어 있다. 이 깃털 화석은 국내에서 최초로 발견되어 기재된 것이며 또한 전 세계의 플라이스토세 퇴적층에서도 처음으로 발견된 것이다.
        4,000원
        10.
        200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구과학은 다양한 생명체가 살고 있는 지구를 연구하는 학문으로, 주로 우리 후손들을 위한 건강하고 풍요롭고 쾌적한 환경 조성에 관심을 가진다. UNESCO와 국제지질과학연맹(IUGS)은 과학자들, 의료 전문가들,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 의학지질학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고자 1996년 의학지질학 연구회를 설립한 이후, 5년간의 국제 지질대비 연구과제(IGCP 454 Medical Geology, 2000-2004)의 성공적인 수행에 이어 2006년에는 국제 의학지질학 연합(IMGA)의 활동에 힘쓰고 있다. 의학지질학과 IMGA는 그동안 수많은 국제회의, 세미나, 워크샵, 심포지움 및 각종 출판물들을 통해서 자연계의 지질학적 요소들과 사람 및 동물들이 고통 받는 질병 간의 관계를 알리는 데 큰 성과를 거두었다. UNESCO에 의하여 추진되고 있는 의학지질학과 IMGA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지구과학은 의학 및 치의학과 매우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생물, 화학, 물리 뿐 아니라 지구과학도 반드시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입시 과목으로 채택되어야 한다. 여기에서는 UNESCO IGCP 454 의학지질학 사업과 IMGA의 활동을 소개함으로써 앞으로 지구과학이 의 치의학 전문대학원 입시 과목으로 선정되어 우리나라 과학 교육의 균형 발전에 이바지하기를 기대한다.
        5,100원
        11.
        200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0학년 과학 교과서 지구 단원의 학습 내용에 포함되어 있는 탐구 과제가 제7차 교육 과정의 목표에 따라 제시되었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11종 과학 교과서의 기본 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탐구 과제의 유형과 기본 탐구 기능, 통합탐구 기능, 탐구 활동의 빈도를 조사하였고, 제시된 탐구 기능과 활동이 적절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탐구 과제는 평균 24.0개가 제시되었으나 교과서마다 차이가 있었고 제시하는 유형이 달랐다. 탐구 활동의 빈도는 교과서마다 달랐고 제시된 것보다 더 많이 분석되었으며 통합적인 활동으로 제시되지 않고 하나의 탐구 기능처럼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교과서에 제시된 통합 탐구 기능은 77.2%로 기본 탐구 기능 22.8%보다 많은 것으로 보였지만, 실제로 기본 탐구기능과 통합 탐구 기능의 분포 비율은 각각 45.6%와 56.4%로 조사되었다. 각 탐구 기능 중에서는 추리(49.5%)와 자료해석(68.7%)이 가장 많이 있었고, 문제 인식, 가설 설정, 일반화 등의 탐구 요소는 제시되고 있지 않았다. 또한 제7차 교육 과정에서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제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교과서마다 본질적 의미와 일치하지 않거나 협소한 의미로 사용되고 있었다. 이는 교육 과정이 탐구, 탐구 기능, 탐구 활동에 대한 의미를 조작적 수준으로 제시하고, 탐구 활동을 구성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한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4,000원
        12.
        2005.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흥미를 높이고 탐구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지구과학 모듈의 개발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모듈은 학생들이 구체적인 상황을 통해 탐구 과정 기능을 학습할 수 있는 탐구 기능 중심 모듈로 개발하였다. 하나의 모듈은 여러 개의 활동으로 구성되며, 각 활동들은 목표한 탐구 과정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었고, 활동의 수행을 통해 학습의 효과가 극대화 되도록 하였다. 현장 교사 웍샵과 두 차례의 현장 적용을 통하여 개발된 모듈의 효율성을 평가하였다. 교사들은 모듈의 활동들이 학생들의 흥미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되며, 모듈의 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탐구 기능이 향상될 것이라고 평가하였다. 학생들은 모듈의 활동들이 재미있으며, 자신들이 직접 활동하고 체험할 수 있는 점이 좋았다고 응답하였다. 모듈을 이용한 수업은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교사는 모듈 활동의 결과물을 통해 학생의 성취 수준을 쉽게 진단하고 적절한 피드백을 제공해 주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개발된 모듈의 학습을 통해 학생들의 탐구 능력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
        4,900원
        13.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북한에서 발행된 '조선의 지질'과 남한에서 발행된 '한국의 지질'을 중심으로 남북한에서 발행된 지질학 관련문헌을 조사하여 남북한의 지질학 용어를 비교 ·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용된 북한의 자료에 의하면 북한에서 현재사용하고 있는 지질학 용어의 총 수는 1272개이다. 이들 지질학 용어는 지질연대학 용어가 49개, 광물학 용어가 201개, 암석학 용어가 199개, 구조지질학 용어가 257개, 고생물학 용어가 93개, 일반지질학 용어가 473개이다. 지질학 용어의 남북한 이질화 정도를 살펴보면, 전체 지질학 용어 중에서 남북한간에 표현과 의미가 같은 동음 동의어는 657개로 약 51.7%이고, 표현하는 방법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쉽게 그 뜻이 이해되는 동의 유사어는 370개로 약 29.1%이며, 남북한간에 표현하는 방법이 달라서 쉽게 뜻이 통하지 않는 이음 동의어는 245개로 약 19.2%이다. 남북한간에 지질학 용어가 이질화된 원인은 한글 전용 원칙의 차이, 외래어 표기법의 차이, 두음법칙 적용의 차이, 붙여쓰기 표현의 차이, 서로 다른 문화의 영향 등을 들 수 있다.
        4,500원
        14.
        200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강원도 영월 화병 지역의 문곡층 상부에서 4속 5종의 필석 화석을 Dendrograptus sp., Callograptus curvithecalis Mu 1955, Adelograptus tenellus Linnarsson, 1871, Adelograptus sp. 그리고 Psigraptus jacksoni Rickards and Stait, 1984로 분류하여 기재하였다. 이들의 대부분은 한국에서 두 번째 보고되는 것이며 특히, Psigraptus는 캐나다 유콘(Yukon), 오스트레일리아의 빅토리아(Vctoria)와 태스메니아(Tasmania), 중국의 질린과(Jilin) 허베이(Hebei)에 이어 세계에서 6번째 보고이다. 문곡층 상부에서 산출된 화석에 의해 Adelograptus대, Callograptus-Dendrograptus대 및 Psigraptus대로 세 개의 필석 생물대가 인지된다. 이들 필석 생물대는 오스트레일리아 란스필드 지역에 분포하는 란스 필드층(Lancefield Formation)의 La 1.5대와 캐나다 유콘 지역의 로드리버층 (Road River Formation)의 Psigraptus대 및 북중국 질린 지역의 엘리층(Yehli Formation)의 Psigraptus대와 대비된다. 화병 지역에 분포한 문곡층 상부에서 산출되는 필석 화석은 이 층의 상부가 후기 트레마독(Tremadoc)의 초기임을 지시한다.
        4,900원
        15.
        200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경상남도 사천 지역에 분포한 백악기 진주층의 비해성(非海成) 퇴적층에서 생흔화석 Protovirgularia McCoy, 1850를 보고한다. 이 지역의 진주층은 주로 호수 환경에서 퇴적된 회색의 이암과 셰일 및 세립질 사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Protovirgularia의 산출은 비해성 퇴적 환경에서 처음으로 보고되는 것이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