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

        1.
        2023.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Research on the reproductive physiology of Water and Sika deer, an endemic in Korea, still needs to be completed. This study analyzed the ovarian development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wild Water deer and Sika deer. Methods: Water deer and Sika deer ovaries were collected from the Korean Peninsula and Russia–Korean Peninsula border during the estrus and pregnancy seasons, respectively. And, morphological and physiological analysis and immunohistochemistry were conducted to confirm the detection of Ca2+ and assess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ovaries. Results: The results of morphological analysis of ovaries during pregnancy and estrus, the development of the corpus luteum and follicles of Water deer showed similar patterns to other mammals. In contrast, the corpus luteum of Sika deer differed in tissue morphology and composition from Water deer. Ca2+ related to tissue metabolism was detected in the theca cells zone of Water deer on the estrus and was highly detected in the luteum cells zone during pregnancy. The hormone receptor protein expression patterns were generally higher in the ovaries of Water deer on the estrus and the pregnancy than in Sika deer. The expression of LH receptor was relatively low in the lutein cell zone, unlikely that of Water deer. The expression of VEGF was also different from Water deer, and the response in Sika deer was relatively very low compared to Water deer in expressing all proteins-related development. Conclusions: Therefore,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shown that the composition of the corpus luteum of Sika deer is not clear compared to Water deer, and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the functional and morphological formation of the corpus luteum.
        4,000원
        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ine fish and one clam species were collected from freshwater environments in Korea, including four lakes, two streams, and the Nakdong River, to investigate the host-associated bacteria. Hundreds of bacteri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the samples using a cell sorter and a dilution plating method. After identification of the bacterial strains using 16S rRNA gene sequences, 42 strains with greater than 98.7% sequence similarity with validly published species were determined to be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in Korea. These strains were phylogenetically diverse and assigned to four phyla, six classes, 17 orders, 27 families, and 32 genera. At the genus level, the unrecorded species were classified as Corynebacterium, Mycobacterium, Mycolicibacterium, Gordonia, Williamsia, Modestobacter, Brachybacterium, Sanquibacter, Arthrobacter, and Mycolicibacterium of the class Actinobacteria; Empedobacter, and Flavobacterium of the class Flavobacteriia; Fictibacillus, Psychrobacillus, Cohnella, Paenibacillus, Rummeliibacillus, Enterococcus, and Vagococcus of the class Bacilli; Aquamicrobium, Paracoccus, and Sphingomonas of the class Alphaproteobacteria; Achromobacter, Delftia, and Deefgea of the class Betaproteobacteria; and Aeromonas, Providencia, Yersinia, Marinomonas, Acinetobacter, and Pseudomonas of the class Gammaproteobacteria. The 42 unrecorded species were subjected to further taxonomic characterization using gram staining, cellular and colony morphological determination, biochemical analyses, and phylogenetic analyses. This paper provide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42 previously unrecorded bacterial species.
        5,100원
        4.
        2015.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 적: 본 연구의 목적은 3D 안경 또는 스마트 글라스와 같은 대량생산형 안경테의 착용감을 평가하는데 있어 EEG 측정의 유용성을 보이는 것이었다. 방 법: 무작위 순서로 2 종류의 대량생산형 안경테(안경테-A와 -B)를 착용하고 있는 동안 40명의 피검자의 뇌파 강도를 주파수에 따라 측정하였다. 2 종류의 안경테에 대해서 측정된 α파의 시간에 대하여 평균 한 상대강도를 서로 비교하였다. 결 과: 안경테 A의 시간에 대하여 평균한 α파의 상대강도가 안경테 B의 시간에 대하여 평균한 α파의 상대강도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시간에 대하여 평균한 α파의 상대강도는 대량생산형 안경테의 착용감을 상대적으로 비교하는데 있어 객관적인 지표로 활용될 수 있다.
        4,000원
        5.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학생 주도성(student agency)은 미래 학습의 핵심으로 국제적인 관심을 받고 있지만, 현행 교육 정책은 여전히 학생을 배제한 채 결정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터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시선으로 우리 고등학교 교육의 현실을 바라보고 미래교육을 예측하며, 학습자가 주도하는 프로젝트가 고교 교육에서 어떻게 적용가능한지를 살펴보았다. 학생의 목소리를 적극적으로 담아내고자 본 연구는 학생 주도 프로젝트 실행 기법(Student Agency Driven Action Research, SADAR)을 구안하고 적용하였다. 경기도의 아홉 개 고등학교에서 ‘학생들이 제안하고 만들어가는 교육정책’이라는 주제로 ‘미래교육 제안 프로젝트’를 실시한 결과, 고교교육의 현황 및 전망에 대하여 첫째, 배움의 목적과 학교의 의미, 둘째, 배움의 내용과 과정, 셋째, 배움의 방식과 평가, 그리고 사회적 관계, 넷째, 꿈과 진로, 그리고 미래, 다섯째 학교에서의 삶과 학생의 목소리의 총 다섯 개 영역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교육을 고민하고 미래를 전망할 때 학생들을 보다 적극적인 교육의 주체로 인식하는 노력이 요청된다.
        6.
        202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영어 재귀사의 해석 가능한 선행사가 문장 안에 잠정적으로 두 개 존재할 때, 한국인 EFL 학습자들이 영어의 통사적 제약보다 그림으로 주어지는 맥락 정보에 기반하여 재귀사를 해석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학습자들이 그림맥락이 주는 정보를 가지고 영어 재귀대명사를 해석하는 데 있어서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에 따라 선행사 판단 양상이 달라지는지를 조사하였다.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 23명과 영어 원어민 화자 11명이 각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참가자들은 총 80개의 영어문장이 다양한 그림과 함께 제시되는 그림기반 진리값 판단과제(Picture-based Truth-Value Judgment)를 온라인으로 수행하였으며, 전반적인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한국인 성인 EFL 학습자들은 영어 원어민 화자와 마찬가지로, 그림 맥락이 특정 선행사를 선호하도록 유도하는 화용적 정보가 제공되는 가운데에서도 영어의 통사적 제약을 위반하는 장거리선행사는 재귀사의 선행사로 허용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둘째, 선행연구들과는 달리 복문 내포절의 정형성 여부가 EFL 학습자들의 해석 양상에 유의미한 차이를 가져오지는 않았으므로, 해당 이슈에 관한 재검증의 필요성이 제안된다.
        7.
        2020.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 양상을 파악하고 여격 구문 사용에 있어서 나타나는 오류를 분석하였다. 한국인 영어학습자들이 영어의 여격 구문을 습득하는 데 있어서 모 국어인 한국어의 전이현상이 나타난다는 선행연구들에 근간하여: 1) 한국인 영어학습자가 영어의 여격 구문을 사용함에 있어서 모국어인 한국어의 여격 구문의 특성과 관련된 사용 양상 및 오류를 보이는지, 또한 2) 한국인 영어학습자의 여격 구문 사용양상이 영어 원어민 화자의 여격 구문 사용과 어떻게 다른 양상 및 오류를 보이는지에 관하여 조사였다. 한국인 대학생 60명과 영어 원어민화자 10명이 그림기반 문장완성검사 실험에 참여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인 학습자들의 영어 여격 구문 사용양상에서 원어민화자들에게서 나타나는 것과 다른 유형의 선호도와 오류들이 발견되었다. 또한 그 차이가 영어 여격 구문의 특징과 다른 모국어인 한국어 여격 구문의 특징과 관련이 있으므로, 모국어 전이현상을 기반으로 그 결과를 논의하였다.
        8.
        2017.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investigates the validity of ‘subjecthood diagnostics’ in Korean proposed in the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 studies on subjecthood diagnostics in Korean Single Subject Constructions (non-MSCs) and Multiple Subject Constructions (MSCs), the role of two subjecthood diagnostics―Honorific Agreement (HA) and Plural Copying (PC)―in these two constructions are examined through an empirical syntactic experiment. Seventy Korean native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using acceptability judgment task designed to probe their intuition. The results show (i) that in the Non-MSCs, Honorific Agreement (HA) reliably seems to choose the subject (i.e., the only Nom-marked NP), whereas Plural Copying (PC) does not seem to pick out the subject in a less consistent manner; and (ii) that in the MSCs, neither Honorific Agreement (HA) nor Plural Copying (PC) seems to be a reliable subjecthood diagnostic. Possible reasons for these results are discussed.
        9.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re-examined the issues of Korean binding domain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studies (Kim and Yoon 2009, Kim 2013) by testing the validity of Tensed S Condition (TSC) in Korean binding. Hypothesizing that Korean TSC-violating anaphors are indeed exempt anaphors, the current study is designed to fix the problems of the previous studies. Twenty seven Korean native speakers were tested over Acceptability Judgment Task combined with Interpretation Task composed of 155 Korean sentences representing various binding conditions and Korean local anaphors. Overall results showed that Korean native speakers treat sentences with TSC-violating anaphors similarly to those with SSC-violating anaphors rather than the sentences representing local binding, which means that TSC-violating local anaphors are licensed as exempt anaphors in Korean, not core anaph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