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

        1.
        2014.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Using the spray pyrolysis process, nano-sized cobalt oxide powder with average particle size below 50 nm was prepared from cobalt chloride solution. The influences of the raw material solution on the properties of the powder formed examined.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low(20 g/L), the average particle size of the powder formed was roughly 20 nm, and the cohesion between these particles was significantly strong.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increased to 100 g/L, the droplets nearly failed to exist in circular form and reflected a severely divided form. Furthermore, the average size of the particles formed was roughly 40 nm, and the particles reflected a polygonal form. When the solution was increased to nearly saturation level (Co at 200 g/L), the particle size distribution reflected significant unevenness due to severe droplet division while the surface also reflected significant unevenness. Furthermore, the average size of the particles formed increased significantly to 70 nm. The results of XRD analysis showed that the strength of the peaks reflected very little change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from 20 g/L to 50 g/L. Alterna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100 g/L, the strength of the peaks increased compared to when the concentration was 50 g/L. However, when the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o 200 g/L, the strength of the peaks failed to reflect significant change compared to when the concentration was 1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ramatically decreased by 30 %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from 20 g/L to 50 g/L. Alternatively,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the solution increased to 1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by roughly 15 %. Furthermore, when the concentration of Co was increased to nearly saturation level(200 g/L), the specific surface area decreased by roughly 35%.
        4,000원
        2.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에 자생하는 기름생산이 가능한 목본식물의 바이오디젤 원료로서의 이용가능성을 구명하기 위해 기름함량, 지방산 조성 및 전이에스테르화를 통해 생산된 바이오디젤의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목본 기름식물의 종자 내 기름함량은 15.1 ~ 70.3%로 다양하였으며, 지방산조성은 주로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등 이였으며 올레산의 함량이 가장 높았고 모든 식물에서 불포화지방산이 포화지방산보다 많았다. 지방산메틸에스테르의 산화안정성은 2.25 ~ 8.62 hours/110℃로 나타났고, 요오드가는 때죽나무 기름이 가장 높았으며 이는 불포화지방산의 함량이 다른 식물 종보다 높기 때문이다. 저온 필터막힘점은 0℃ to -13℃로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이팝나무 지방산메틸에스테르가 저온유동성이 가장 우수하였다. 기름함량, 지방산조성, 바이오디젤 특성 등을 종합하였을 때 동백나무, 이팝나무 및 때죽나무의 종자에서 추출한 기름이 바이오디젤로의 이용 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생각된다.
        3.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주요 구성지방산이 Oleic acid인 유채유, 동백유, 올리브유와 Palmitic acid가 주요 구성 지방산인 팜유를 기준으로 중량비로 혼합하여 지방산 조성 및 물성변화를 관찰 하였다. 지방산 조성의 변화를 전체적으로 살펴보면 50:50(w/w)비율에서는 Oleic acid은 유채유와 대두유의 혼합 시 42.8%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유채유의 혼합비율에서 72.1%로 가장 높았다. 75:25(w/w)유채유와 대두유 혼합비율에서 가장 낮았고 동백유와 올리브유의 혼합비에서 가장 높았다. 팜유를 기준으로 식물성 유지를 혼합하였을 시에는 다른 유지와 혼합 후 총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다. 혼합 후 지방산 조절을 통한 산화안정성 및 저온에서의 유동성 개선이 기대 된다. 혼합 후 동백유 〉 올리브유 〉 유채유 순으로 산가 안전화 경향을 보였으며 이는 Oleic acid 함량에 따라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혼합을 통한 산화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며, 색도는 비율 및 유지에 따른 유의적인 변화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바이오디젤 생산 정제공정에 있어서 혼합비율 조절에 따른 정제비용 절감이 기대 된다. 본 연구를 통하여 유지간 혼합에 의한 특성변화를 확인하고, 혼합유의 원료 다양성 확보 및 품질개선을 위한 정보를 얻어 향후 연구수행의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