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

        1.
        2012.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Major and reckless development which have been continued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have caused decrease and damage of urban green spaces in the point of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view. Particularly, it brought about reduction to urban neighborhood park which has taken the main role for landscape ecological value. Recently, neighborhood park planning based on the landscape ecological results has been increasing gradually. Most of all, diverse attempts such as the application of shape character analysis and the step of landscape ecological planning in urban park planning have been proposed. Today, w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mprehensive approach in urban green planning and neighborhood park planning, but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which is analyzing character and making proposal with isolation, connection and circulation is still insufficient. Most of neighborhood parks in Korea are surrounded by buildings and isolated from adjacent green spaces. Besides, these parks have landscape ecological problems such as reduction of size, isolation from adjacent green spaces, decline of nature, and excessive pavement which we ignored during urban development process. We have sympathy for understanding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s and considering improvement proposals for neighborhood park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select five neighborhood parks in Daegu, 2) analyze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s with isolation, connection and circulation, and 3) compare data. It is certain that these results should be the main data for the arrangement of improvement proposals which landscape ecological characters were appled to.
        4,500원
        2.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원자로 내 사고발생 시 냉각수의 비등으로 기포가 발생하고, 기포율을 측정하기 위하여 열수력 안전 분 야에서는 주로 Optical Fiber Probe(OFP)나 광학 카메라를 이용하여 측정하지만 기하학적 구조의 한계로 인 해 17 × 17 배열의 봉 다발 내에 장비를 설치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연구로서 봉 다발 에 적용하기 전 X선 시스템과 다양한 모사 팬텀을 이용하여 연구 가능성 평가를 수행하였다. 라디오그라피 및 토모그라피 실험을 통해 X선 발생 장치의 관전압 130 kVp, 관전류 1 mA가 적합하였다. 또한, 기포 해상 도 팬텀을 통해 가시적으로 1 mm 크기의 구멍에 대해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막대 팬텀을 이용한 대조도 평 가의 경우 프레온 내부에서 대조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영상 재구성 시 일그 러짐이 없는 좋은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다. 기포 발생 팬텀 실험을 통해 기포의 유동 방향 확인 및 단층 영상을 획득할 수 있었고, Image J 툴을 이용하여 하나의 단층영상에 대해 18 %의 기포율을 측정할 수 있 었다. 본 연구는 핵연료 주변 기포율 측정을 위한 선행 연구를 수행하였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기초 연 구로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