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

        1.
        197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을 이용한 도열병연구의 기초자료로서 도열병균의 포자와 발아균계에 각각 X-ray 10, 40, 80, 120kR를 조사시켜 그들의 방사선감수성 및 생존율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도열병균의 포자발아율은 X-ray 소사선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되었으며 120kR에서는 거의 생존하지 못하였다. 2. 비교적 저선량인 10kR 조사에서는 초기발아관신장의 촉진 현상을 보였으며 선량의 증가에 따라 균계의 사멸 현상이 현저하였다. 3. X-ray 조사에 의한 발아균계의 생존율 및 신장은 선량의 증가에 반비례하여 감소하였다. 4. X-ray를 조사받은 발아균계는 포자에 비하여 높은 방사선 감수성을 보였으며, 고선량일수록 그 차이는 현저하였다. 5. X-ray 조사에 의한 도열병균의 돌연변이율은 조사선량에 정비례하여 증가하였다.
        4,000원
        2.
        197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새로운 수도품종통일에 발생하는 갈색엽고병 유사증상을 발견하여 그 병반에서 병원균을 분리하여 그 형태를 조사하였으며 분생포자, 병반상에 형성하는 자남, 자남포자의 기재를 타연구자를의 문헌과 비교한 결과, 이는 일본에서도 보고된 바 있는 갈색엽고병임이 확인되었으며 병원균이 Fusarium nivale로 동정되었다. 또한 포장조건하에서는 본병은 다질소구에서 그 발생이 현저히 많았음을 관찰하였고, 본균의 생육적온은 였다.
        3,000원
        3.
        197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방사선을 투사한 이화명나방의 교미능력 및 경쟁력 조사를 5-7령 번데기에 gamma선을 투사하여 조사하였다.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방사선 처리웅충과, 정상적인 수컷에 매일 새로운 미교미자충을 넣어 주었을 때 그들간에 교미 최고회수에는 유의차가 없었다. 2. 교미초일은 정상웅충의 경우 평소 1.5일이며 25.30Krad 처리웅충은 2.4일이었다. 교미 일 간격은 정상웅충이 1.3일인데 대하여 처리웅충은 3.0일이었으며 방사선 투사는 교미력에 영향이 있었다. 3. 정상웅충 1두에 정상자충 5두와 10두씩을 넣어서 정상웅충의 평균교미회수를 조사한 겨로가 1.2회와 2.5회이었다. 4. 교미경쟁력 실험에서 미교미자충 5두에 대하여 방사선 투사 웅충과 정상웅충의 비율을 1:0, 1:1, 2:1, 1:2, 5:1, 1:5, 0:1로 하였을 때 난부화 감소율은 5:1(30Krad)에서 최대의 감소를 보였으며 이때의 난부화율은 이었다. 5. 방사선 투사는 교미능력에 다소의 영향을 미치나 처리웅충에 의한 산란수 감소의 영향을 고려한다면 이화명충에서 웅성불임 기술의 이용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6.
        1990.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여 국내외 재래종과 야생종 대두 계통들의 trypsin inhibitor의 변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본 시험이 시도되었으며 1706계통의 한국산 재래종과 103계통의 한국 야생종콩, 그리고 167계통의 외래 재배종과 71계통의 외국 야생종 대두가 공시되었다. 2. Trypsin inhibitor를 함유하지 않은 ti/ti형과 Ti c/c형은 한국 재래종에서만 발견되었으며, Ti* c형을 Hymowitz도 일본 대두품종에서 보고한 바 있으나 그도 이 계통은 한국 도래종일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한 바 있다. 3. 한국기원의 콩에서 trypsin inhibitor에 관한 이형접합형의 출현빈도가 외국 기원 콩 계통에서 보다 비교적 높았으며, 재래종에서 3.6%(N=61)와 야생종에서 9.7%(N=10)이었으며 종합적으로 보아 중국, 일본 등의 대두에 비해 한국 기원의 콩이 가장 큰 변이를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1.
        196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In a plant breeding program, an efficient selection of desired characters in a population is important. Generally, many agronomic characters in a given population are determined by polygenes and quantitatively inherited. In practice,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two observed characters which are undoubtedly subjected to the environmental influence is difficult to identify. In recent years, many workers have attempted to understant the genetic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s in terms of genotypic correlation, and the knowledge thus gained should furnish many important and useful information for the planning of breeding, selection, and interpretation of the result. The genotypic correlation is the result of pleiotropy, linkage of genes(2, 3, 5, 6, 8) and natural or artificial selection(4).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stimate genotyr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all possible pairs of nine characters. and to seek certain characters which may be useful as indicators of certain important agronomic characters. Weber and Moorthy(10), Johnson et al. (5) and Sheth(7) found that in general, the genotypic correlations were higher than the phenotypic correlations. Weiss et al. (11) obtain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maturity and oil content, maturity and low protein content, and high protein content and low oil content. Weber and Moorthy(10) reported the positive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flowering and maturity, yield and maturity, yield and plant height, yield and seed weight, and negative genotypic correlations between maturity and oil content, and oil content and seed weight. Johnson et al. (5) studied the genotypic and phenotypic correlations among 24 characters and concluded that selection based entirely on a long fruiting period, lateness, heavy seed, low protein, high oil and resistance to lodging would be effective in increasing yield. Sheth(7) found the following positive associations among characters; height and maturity, yield and lodging, low protein content and high oil content, and yield and low protein content. Hanson et al.(1) also reported high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eed yield and protein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