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2.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ssess forest healing programs to middle-aged people in Korea with metabolic syndrome as a method to control the syndrome through prevention and health improvement rather than treatment. In order to develop healing programs in the urban forests for metabolic syndrome patients, environment condition of the forests and moods of participants were compared. Thermal environments and the concentration of phytoncides were analyzed by the site. Saneum Healing Forest had a lower temperature but a higher humidity than Seoul Forest. Seoul Forest had higher PMV and PPD levels than Saneum Healing Forest, providing patients with freshness. This seems to be due to the seasonal factor of autumn. As for the total emissions of phytoncide, mountain forest generated more than urban forest. Nine components out of investigated twenty turned out to be generated more in the urban forests. The atmospheric composition of phytoncides, volatile organic compounds that are released from vegetation, was analyzed at both sites. Profile of Mood States (POMS) was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healing program. The POMS suggested that forest environments reduce stress and increase comfort, calm, and feelings of refreshment. The tendency towards positive mood state in the forest recommend that middle-aged Metabolic syndrome patients participate in healing programs in the forests.
        4.
        2016.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stablish principles of space planning required to create community gardens for improving self-support capability of vulnerable groups. The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garden users and the purposes of community gardens were considered when setting these principles. The target users are vulnerable groups. In considering the circumstance of the homeless who have difficulties in overcoming physical, mental, social and financial risks, 13 universal design principles were applied: Equitable use, flexibility in use, simple and intuitive use, perceptible information, tolerance for error, low physical effort,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self-supporting, aesthetics, economic feasibility, environment friendly, healthiness, and sustainability. As the space planning principles based on the community garden purposes are set to achieve mental, social and financial self-support, healing garden and urban agriculture were combined in the principles. Maximally efficient division of space where various programs are available, privacy-protected space, rest areas for strengthening resilience and health, pleasant and beautiful spaces with plants, easily accessible and safe space, and easy maintenance and sustainability are required factors for community gardens. As the ultimate goal, financial self-support, a space where they can develop acquired skills and then proceed with productive activities was included in the space planning principles. Additionally, ecological aspects such as cycle of materials, efficient energy use and expanded biodiversity were combined and supported by local communities to secure sustainability of the use of space.
        7.
        2015.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노숙인들의 자활증진을 위한 커뮤니티가든 프로그램 시행을 위해 노숙인에 대한 이해와 실태를 정확히 파악하고자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노숙인은 IMF라는 외환위기를 계기로 사회의 관심을 받게 되었으며 경제상황이 좋아지면 사회에 복귀할 것이라는 예상과 달리 노숙인의 수는 줄지 않고 있다. 노숙 인은 일반인에 비해 신체적, 정신적 장애의 유병률이 높은데, 건강 은 자활의지와도 연관이 있어 노숙인의 건강관리는 자활을 위해 매 우 중요하다. 노숙인의 지원 목적은 사회로부터의 격리가 아닌 사 회복귀이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일자리의 제공과 직업훈련이다. 노숙인에게는 생존권의 보장이라는 측면에서 기초생활유지와 사 회통합을 위한 각종 서비스가 지원되고 있다. 최근 노숙의 근본 원 인을 해결하고자 주거지원 정책이 시행되고 있는 가운데 지원주택 에 지속적인 서비스의 결합이 시도되고 있다. 이와 같은 지원주택에 커뮤티니가든을 도입하는 것은 노숙인들의 자활 증진을 위한 신체 적, 정신적 건강관리와 소통의 공간을 통한 사회성 향상, 직업교육 의 공간 제공 등 종합적인 서비스를 가능하게 할 것으로 기대된다.
        9.
        2014.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연구는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에 활용한 사례를 분석하여 도 시취약계층의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주거공 간에 적용할 수 있는 도시농업 활동 유형을 도출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시농업은 최근 전 세계적으로 도시빈민을 위한 안전한 먹거리 공급과 소득창출의 수단으로 활용되는 사례가 많다. 도시농업 활동 은 장소와 종류, 대상자에 대한 범위도 초기와 달리 많이 확장되었 으며, 다원적 기능을 적극 활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보고 있다. 특히 도시취약계층의 자활을 위해 기술교육뿐만 아니라 사회적 응을 위한 일상적인 생활 기술까지도 교육하고 있다. 또한 지속적 인 자활을 유지할 수 있도록 지역사회에서 여러 경로로 지원하고 있다. 도시농업 활동의 국외 사례를 자활개념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 과, 자활능력 증진을 위한 도시농업 활동은 일자리를 고려하고 대 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도시농업 활동에 흥미를 갖고 활동에 참여 하도록 심신의 회복을 돕는 치유형, 개인의 건강한 식생활과 식비 지출 절약에 도움이 되는 자가소비형, 함께 도시농업 활동을 하면 서 지역사회와 교류하게 되는 사회관계형, 생산활동을 통해 수입과 일자리를 갖게 되는 일자리형으로 구분하였다. 도시농업 활동을 자활능력 증진을 위해 실제 적용하기 위해서는 대상자의 자활정도에 따라 적절한 활동과 지원을 적용하는 것이 필 요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구분된 도시농업의 유형이 자활능력 증 진을 위한 사업에 적용한다면 효과적인 사업을 수행하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