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6

        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sect killing fungus Beauveria bassiana has been widely studied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However, many studies have been focused on lab or field-based management. Herein this work, comparison of three B. bassiana strains was investigated under a molecular level. The whole genome sequences of ERL836, JEF-007 were analyzed by PacBio (35.5 Mb of ERL836 and 36.5 Mb of JEF-007) and ARSEF2860 referenced from GenBank (33.7 Mb). To compare the three strains, virulence, thermotolerance and chemical resistance were assayed. The transcriptomes of non-infecting B. bassiana and infecting B. bassiana against western flower thrips were analyzed using RNA-seq. This work can provide that genome features, functions, morphology and gene expression could be different under the molecular level, even if in the same species.
        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global biopesticide market was estimated to become about 4% of the total crop protection market in 2015, mainly due to variability of their efficacy, narrow spectrum or difficulties in long-term storage. Therefore, many people focus on overcoming these issues as a big trend. Suggested solutions include the investigation of synergy between microorganisms, the use of genetic engineering, improving the pesticide life shelf, etc. As a result, biopesticides market has grown by more than 17% over the last decade. In this context and aiming to develop new entomopathogenic fungi–based pest management tools, we constructed a fungal library by isolating insect pathogenic fungi from soil. A total of 581 isolates belonging to 35 species were isolated and characterized. Beauveria bassiana was the most abundant, representing 38.55% of the total strains, followed by Metharizium anisopliae (22.55%) and bubillosa (8.6). …% of the total isolates were highly virulent against Tenebrio molitor killing most of the treated insects in 2 to 3 days.
        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Japanese pine sawyer, Monochamus alternatus, is the main pest that mediates pine wilt nematode, Bursaphelenchus xylophilus, that causes serious damage to pine forests. In this study, we studied the strategy to control M. alternatus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The fungi were collected from soil by an insect-baiting method and two fungal isolates (Metarhizium anisopliae JEF-197 and JEF-279) showed high virulence against M. alternatus. The Metarhizium isolates were evaluated for insecticidal activity against M. alternatus by spray treatment on live pine trees and wintering trees, and the M. anisopliae JEF-197 showed high insecticidal activity. In addition, the interaction of fungi and M. alternatus were analyzed by RNA-seq. This result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sect control agents using entomopathogenic fungi.
        10.
        2018.07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자가면역 췌장염 없이 발생하는 IgG4-SC는 임상 양상이나 영상 검사에서 간문부 담관암과 구별이 쉽지 않으며 치료 방법과 예후도 다르므로 불필요한 수술을 피하려면 감별진단이 중요하다. 저자들은 자가면역 췌장염 없이 담관 협착을 보여 간문부 담관암과 감별이 어려웠던 IgG4-SC 환자에서 혈청 IgG4 및 담관 조직내 IgG4 양성 형질 세포 침윤 여부 이외에도 약 2주 동안 스테로이드에 대한 치료 반응을 확인 후 확진 하였던 증례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한다.
        4,000원
        1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벼메뚜기의 인공사료 개발을 위하여 일본의 Konno식 먹이를 대조구로 하고, 28개의 배합비율별 인공사료를 제작하여 급이시험을 하였다. 시험결과, Konno식 보다 6주 후 1마리당 체중은 22개 처리에서 높았고 우화성공율은 23개 처리에서 높았다. 폐사율은 부화입식 후 45일까지 Konno식 대비 24개 처리에서 높았다. 1마리당 체중, 우화성공율, 폐사율을 종합해 볼 때 탄수화물원으로는 옥수수 건조잎 분말 또는 통밀가루와 단백질원으로는 2~5%의 탈지대두분 또는 어분의 배합비율이 벼메뚜기의 인공사료로서 가능성이 높았다.
        12.
        2017.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nthriscus sylvestris (L.) Hoffm. is a perennial herb found widely distributed in various regions of Korea, Europe, and New Zealand. The root of A. sylvestris have been extensively used in the treatment for antitussive, antipyretic, cough remedy in Oriental medicine, but the physiologically active function of the leaf of A. sylvestris is as yet unknown.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cancer activity and the mechanism of cell death of water extracts of leaf of Anthriscus sylvestris (WELAS), on human FaDu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Our data showed that WELAS treatment inhibited cell viability in a concentration- and time-dependent manner. In addition, the treatment of WELAS markedly induced apoptosis in FaDu cells, as determined by the viability assay, DAPI stain and FACS analysis. WELAS also increased the proteolytic cleavage of procaspase-3, -9 and PARP (poly(ADP-ribose) polymerase). In addition, exposure to WELAS decreased the expression of Bcl-2 (an anti-apoptotic factor), but increased the expression of Bax (a pro-apoptotic factor), suggesting that mitochondria-dependent apoptotic pathways are mediated in WELAS-induced apoptosi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ter extracts of leaf of A. sylvestris inhibits cell growth and induces apoptosis via the mitochondrial-dependent apoptotic pathway in FaDu human hypopharyngeal squamous carcinoma cells. Therefore, we propose that the water extracts of leaf of A. sylvestris is a novel chemotherapeutic drug, having growth inhibitory proper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in human oral cancer cells.
        4,000원
        13.
        2016.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의료살균기술의 하나인 전극을 이용한 전기 충격 살균법을 순환식 수경재배의 배양액 재순환을 위한 배액 살균기술로 활용하고, 배액의 전기살균소독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할 때, 살균소독 효과가 높으며, 친환경적이고 경제적인 배양액 살균소독기술의 개발 및 전기살균소독시스템에서 사용될 전극의 최적 조건을 구명하고 전기소독의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전기살 균소독시스템 구축 시 적정 전극소재 구명을 위해 금속 전도체의 특성 조사 및 전기실험을 실시하여 배액의 pH 와 EC변화유무와 침전물 발생여부 및 배액의 원소변화 유무를 분석하였다. 새로이 개발된 전기살균소독시스템 구축 시 가장 적합한 금속 전도체 전극소재로는 전기전도도가 높고, 저항이 적으며, 소재의 수급이 용이하고, 가격이 저렴한 스테인리스 스틸임을 확인하였으며. 또한 스테인리스 스틸을 전극으로 사용하였을 때, 전기를 공급하기 전과 24V 이내의 전기를 공급한 후의 배양액내 원소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극의 두께 보다는 넓이가 증가함에 따라 전류의 양이 증가하였으며 전극의 거리가 멀수록 목표 전류량에 도달하는 시간이 증가하였다. 적합한 전류량에 따른 주요 병원균의 살균 력을 조사한 결과 대표적 세균병인 풋마름병의 원인균인 Ralstonia solanacearum가 전류 15V-3A 170초에서 97% 가 사멸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곰팡이병인 Fusarium oxysporum은 24V-10A에서 98%의 살균력을 보였다.
        4,000원
        14.
        2015.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술 후 체액 저류는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중요한 합병증 중 하나로 이로 인해 사망률과 재원 기간이 증가할 수도 있다. 초음파내시경 유도 하 배액은 췌장 가성낭종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이며 최근에는 수술 후 발생한 체액 저류 치료에 있어서도 성공적인 사례들이 보고되고 있다. 60세 여성이 한 달 동안 4 kg의 체중감소와 5일 전 부터 발생한 황달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복부 전산화단층 촬영 및 내시경 역행성 담췌관 조영술을 이용한 조직검사를 통하여 총담관암이 진단되어 췌십이지장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수술 2주째 발열, 복통, 백혈구 증가의 임상증상을 보였다. 진단을 위해 시행한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소낭의 위오목에 체액저류가 증가하여 내시경적 배액술을 시행하였고 이후 합병증 없이 증상이 호전되었다. 국내에서는 아직 췌십이지장절제술 후 발생한 체액 저류를 내시 경적 배액으로 치료한 증례가 보고된 바 없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4,000원
        16.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광파장 선택형 차광제와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이용하여 고온기 시설내 고온과 건조문제를 해소할 수 있는 적정 냉각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처리는 차광제와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설치하지 않은 대조구(Non), 이류체 포그시스템만 설치하여 작동한 처리(Fog), 차광제만 도포한 처리(Coat), 외부에 차광제를 도포하고 내부에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작동한 처리 (F&C) 등이었다. 유입 일사량(열량)은 Non, Fog, Coat, F&C 순으로 많았다. 시설내 기온을 낮추는 방법으로는 이류체 포그시스템이 더 효과적이었다. 또한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처리하면 상대습도도 적절히 조절할 수 있었다. 작물의 품온은 다른 처리구에 비해 대조구에서 약 6oC 이상 높았다. 연구결과, 고온기 시설내 광, 온도, 상 대습도 환경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이류체 포그시 스템과 차광제 도포를 함께 하는 것이나, 효과 및 경제 성을 함께 고려한다면 이류체 포그시스템을 활용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단동하우스의 경우에는 구조적 제약으로 이류체 포그시스템의 설치보다 광선 선택형 차광제를 도포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4,000원
        1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저온기 토마토 재배시 토마토의 생육과 수 확량에 최적의 측지관리방법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방울토마토인 유니콘(몬산토 코리아, 한국)을 실험에 사 용하였다. 배지는 코이어 자루배지를 사용하였다. 모든 측지를 제거하고 모든 화방의 상부 잎 1매까지 제거한 처리(UP-FL), 측지를 전부 제거하고 착과한 화방의 상부 잎 1매까지 제거한 처리(UP-FR), 모든 측지를 제거한 처리(AS-All), 화방 하부 첫 번째 측지의 잎 2매를 유지 하는 처리(AS-Part) 등 모두 4가지 방법으로 처리했다. 이상엽의 발생은 UP-FL, UP-FR, AS-All, AS-Part 순으 로 많았다. 즉, 주지와 측지의 잎을 많이 제거한 처리일 수록 이상엽의 발생이 많았다. 그리고 이상엽은 영양생 장과 생식생장이 균형을 균형을 이루는 2~3화방 개화기 이후에는 해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5화방까지의 수확 량은 처리간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저온기 토마토 재배 시 생육초기에는 과도한 측지제거 및 적엽은 지양하는 것이 좋은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8.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effect of home physical therapy on patients who left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compared to the Daily living group, when it was applied to them, under the guidance of physical therapists. As research subjects, 20 patients that were scheduled to leave the hospital after unilateral total knee arthroplasty, were chosen, and they were randomly divided into a home physical therapy group(10 patients) and an Daily living group(10 patients) in order to conduct an experiment. During the 4-week research, home physical therapy was offered for 40 mins once for 5 days a week, and muscular strength, gait components were measured. For muscular strength,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were measured, and as gait components, endurance, speed, step time, single-limb support were analysed. For this experiment, pre- and post-measurement were performed, an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 18.0 statistical program. From the analysis of data, the following study results were obtained.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both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and quadriceps muscle strength, hamstring muscle streng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more significantly improved than Daily living group's. In relation to gait components, gait endurance, gait speed, step time significantly improved in both of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whereas home physical therapy group only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single-limp support. According to the comparison between two groups, gait speed, single-limp support and step time improved more significantly in the home physical therapy group than in the Daily living group. In conclusion, positive results were revealed in both home physical therapy group and Daily living group, with regard to muscular recovery of lower limbs of patients discharged from the hospital after total knee arthroplasty and walking, but considering the comparison results between two groups, it seems that applying home physical therapy is more effective than maintaining a daily life.
        4,000원
        19.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이 고형배지경에서 배액을 분석하여 생육단계에 따른 pH, EC 변화와 주요 영양소의 흡수변화를 구명하고, 이를 적용하여 오이의 생육단계에 적절한 양분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액의 pH 와 EC 변화양상 및 배액분석을 통하여 오이의 생육단계는 정식 후부터 착과기, 착과 후부터 수확기로 분류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온기에 가온시설 내에서 오이를 재배한 본 실험에서는 정식 후 첫 화방이 착과되기까지 약 3주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착과 후부터 첫 수확까지 소요일수는 약 7~10일로 조사되었다. 상위 화방으로 생육이 진행되는 속도는 약 3~4일정도 차이였고, 착과와 수확에 소요되는 일수는 대체로 일정했다. 오이의 코이어 자루재배 시, 전체 재배기간 중에서 착과 전에는 EC 농도를 3.0dS·m−1 정도로 높게 관리하다가 착과 후에는 2.0-2.3dS·m−1 정도로 낮추어 관리하고, 과실이 비대하면서 수분요구도가 증가하므로 일일급액량을 늘려주는 급액 관리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원소별 로는 질소, 인, 칼슘은 착과 전에는 N 700mg·L−1, P 60mg·L−1, Ca 110mg·L−1 수준으로 공급하고, 착과 후에는 N 660mg·L−1, P 50mg·L−1, Ca 100mg·L−1 수준으로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칼륨과 마그네슘은 착과 전기에는 각각 400mg·L−1과 80mg·L−1으로 공급하고, 후기에는 공급을 조금 줄여주는 것이 비료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4,000원
        20.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온기 시설내에서 토마토를 재배할 때 최적의 측지관리방법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유니콘(몬산토 코리아, 한국)을 접수로, B-블로킹(다끼이종묘, 일본)을 대목으로 접목한 방울토마토 접목묘를 실험에 사용하였다. 배지는 코이어 자루배지를 사용하였고, 급액은 타이머 제어법으로 제어하였다. 측지를 전부 제거한 처리(ACUT), 화방 아래 측지의 잎을 2매 남기는 처리 (PCUT) 및 모든 측지의 잎을 2매 남기는 처리(LEFT) 등 모두 3가지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연구결과, 토마토의 영양과잉으로 인한 이상경 발생시에는 측지를 유지하여 영양생장으로 많은 에너지가 사용되도록 하면 해결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적절한 측지관리로 작물의 생장 상도 재배자의 요구에 맞게 조절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엽과 측지의 잎들에 대한 광합성 속도는 차이가 없었으며, 처리에 따른 엽면적의 차이만 있었다. 따라서 처리간 엽면적의 차이에 의해 광합성 산물 총량의 차이가 발생하고, 이는 수확량에 영향을 주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고온기 토마토 재배에서 5단 이하의 단기밀식재배의 경우에는 측지를 모두 제거하는 것이 수확량과 수확속도에 효과적이었으나, 5단 이상의 장기재 배에서는 모든 측지의 잎 2매를 남겨서 관리하는 것이 작물의 생육과 수확량에 효과적이었다.
        4,000원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