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5

        1.
        2023.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Volcanic seawater has been naturally filtered and purified by volcanic rock layers. It contains abundant minerals such as calcium, magnesium, and ir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genotoxicity of calcium from Jeju lava seawater (CJLS). We performed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chromosomal aberration assay, and mammalian micronucleus test at up to 5,000 g/plate concentrations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to determine the CJLS genetic toxicity. None of these tests showed any mutagenic potential. The bacterial reverse mutation assay showed that the CJLS did not induce mutagenicity in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A100, TA1535, TA1537, and Escherichia coli WP2uvrA with or without metabolic activation of the S9 mixture. The oral administration of CJLS also did not significantly increase the number of micronucleated polychromatic erythrocytes or the mean ratio of polychromatic to total erythrocytes. Additionally, CJLS did not cause a significant chromosomal aberration in CHL cells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S9 activation. Therefore, CJLS could be considered as a reliable and safe functional food ingredient.
        4,000원
        2.
        202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나비류는 서식 환경의 변화에 따라 발생 양상과 개체군의 군집구조가 달라지기 때문에 기후변화를 감지하는 지표종으로 이용된다. 본 연구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간 한라산 아고산지역에 서식하는 나비 개체군의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영실에서 백록담까지 9개 구간을 선조사법을 이용하여 월별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결과 확인된 나비목 곤충의 출현 종수와 개체수는 총 5과 35종 15,943개체로 나타났으며 2018년이 다른 해에 비해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가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간별로는 선작지왓부터 윗세오름 통제소까지 구간 (D)에서 29종, 남벽통제소부터 백록담까지 구간(H)에서 4,590개체로 가장 많은 종수와 개체수를 보였다. 우점도 지수는 A구간과 6월, 풍부도 지수는 D구간과 7월, 균등도 지수는 G구간과 7월이 각각 가장 높게 분석되었다. 종다양도 지수는 A구간이 가장 낮은 반면 그 외 구간은 상대적으로 높게 유지되었고, 월별로는 7월이 가장 높았 다. 기상자료를 바탕으로 8개의 생물기후인자를 분석한 결과 주요 출현종의 분포는 강수량과 강수 일수가 개체 수 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4.
        2015.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마늘 특유의 매운 맛과 냄새를 억제하고 대표성분인 alliin을 보호하기 위해 코팅물질과 건조방법을 달리하여 미세캡슐화하였다. 코팅물질은 말토덱스트린(MD), 분리유청단백질(WPI), 전지분유(WMP), 탈지분유(SMP)로 하고 건조방법은 분무건조(spray-drying)방법과 동결건조 (freeze-drying)방법을 이용하여 캡슐화 후 코팅물질 별, 건 조방법 별 alliin 보호특성, 관능특성 그리고 분산성을 알아 보았다. 코팅물질을 증류수에 완전히 분산시키기 위해 24 시간 동안 교반한 후 동결건조 마늘분말을 천천히 첨가하 였다. 1:1 비율의 동결건조마늘분말과 코팅물질을 혼합한 용액을 균질기를 이용하여 균질화하고, 분무건조기 또는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코팅물질을 달리하여 분말화하였 다. 미세캡슐화된 마늘분말의 추출물을 HPLC로 alliin 함 량을 정량 분석하였다. HPLC 분석결과 전지분유를 코팅물 질로 하고 분무건조방법으로 캡슐화한 마늘분말의 alliin함 량이 4.131 mg/g으로 최대함량을 보였으며, 관능평가 결과 로서 코팅물질을 분리유청단백질로 하고 분무건조방법으로 캡슐화한 마늘분말이 매운 맛과 냄새를 억제하는데 효과적 이었다. 또한 혼탁도 측정을 통한 캡슐화된 마늘 분말의 분산성을 측정했을 때, 전지분유로 캡슐화한 마늘분말의 안정성이 가장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팅물질 중 유 지방과 단백질이 황화합물에서 발생하는 특유의 매운맛과 냄새를 억제해주며 alliin의 보호에도 기여함을 알 수 있었 다. 본 실험결과, 지표물질 보호특성, 이취개선 등의 기초 자료는 기능성 식품 산업에 있어서 마늘 소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5.
        2016.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We studied the anti-oxidant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hododendron lapponicum (L.) Wahlenb. var. parvifolium (Adams) Herder extract (RLE). Methods and Results : The RLE was prepared using methanol. The antioxidant effects of RLE was evaluated for its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Subsequently, using the RAW 264.7 cells, the cell viability of RLE was evaluated with or without LPS (lipopolysaccharide), and the anti-inflammatory effects of RLE was also estimated by nitric oxide (NO) and using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The extract showed antioxidant activity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with RC50 value of 57.67 ㎍/㎖. The reducing power of the extract was Abs 0.77 at 250 ㎍/ ㎖. The result indicated that RLE would have significantly high anti-oxidative effects. Cell viability was determined using the MTT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assay. To evalu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we examined the inhibitory effects on LPS-induced NO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he NO inhibition rate was 85.44% at 200 ㎍/㎖ RLE. At the same concentration, the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genes such as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 (COX)-2 also decreased. In RLE 50 ㎍/㎖ concentration showed the highest decrease. Conclusion : This result suggest that RLE is a novel re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foods and drugs that possess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Also, RLE can be developed as an inflammatory agents for cosmetic bases in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