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3

        1.
        202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nabell' is a new ornamental crabapple cultivar bred in 2020 at the 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It was selected from seedlings obtained through the open-pollination of Malus baccata collected from Mt. Palgong, Gunwi-gun, and Gyeongsangbuk-do. Line selection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6, and characteristic tests were evaluated from 2017 to 2019. The tree vigor and form of 'Hanabell' were determined to be medium and spreading, respectively. The flowering season of 'Hanabell' starts on April 17th and ends on May 2nd, lasting approximately 15 days. The size of 'Hanabell' flowers is approximately 48 mm, larger than that of general apple flowers, and they have a high ornamental value due to the abundance of blooms each year. Furthermore, 'Hanabell' possesses a distinct floral scent that releases a significant amount of benzyl acetate (C9H10O2) into the air during flowering, attracting bees. Subsequently, 'Hanabell' was officially submitted for variety protection to the KoreaSeed & Variety Service in 2021(Applicationno.2021-144).
        4,000원
        2.
        2022.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Bentonite has been considered as a buffer material in a deep geological repository for high-level radioactive waste (HLW). Bentonite may come into contacted with various chemical solutions during the long-term storage. In particular, solutions containing K+ can affect stability of bentonite (e.g., illitization). The bentonite can be gradually saturated with the inflow of groundwater, and the temperature can rise simultaneously due to the decay of HLW.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bentonite stability in contacted with very highly concentrated K+ solutions with different pHs at 150°C. Batch reaction tests using KJ-II bentonite were performed for 30–150 days in teflon-stainless steel reactors. De-ionized (DI) water (pH = 6.0) and 1 M KCl (pH = 6.0), and 1 M KOH (pH = 12.5) solutions were used as reaction solutions. After completing batch reaction tests, the reacted samples were analyzed using various analytical techniques. For DI water, chemical,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acted samples were similar to those of unreacted samples. For 1 M KCl solutions, cation exchage for Ca by K and slight changes in mineralogical properties of reacted samples were observed, but there a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In contrast, for 1 M KOH solutions, changes in chemical, mineralogical,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eacted samples were observed. Results of X-ray diffraction (XRD) analysis indicated dissolution of montmorillonite and formation of zeolite minerals, which were confirmed by thermogravimetricdifferential thermal analysis (TGA-DTA) and fourier transform infrared (FTIR) analysis. These results suggest that highly concentrated K+ (1 M) solution combined with high pH (12.5) and high temperate (150°C) may affect bentonite alteration. These prelimiary experiments were intended to qualitatively evaluate the mechanism and influncing factors of the buffer material alteration under extreme experimental conditions, and it is revealed that the conditions do not reflect the actual repository environment.
        3.
        202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uddybell’ is a promising crabapple variety developed as a pollinizer at the Apple Research Institut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and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Korea, in 2019. This variety was selected from seedlings obtained by natural crossing of Malus baccata. It was collected from Mt. Jeombong, Inje-gun, and Gangwon-do. Line selections were conducted from 2009 to 2016, and characteristic evaluations were performed from 2009 to 2010. Tree vigor and tree form of ‘Buddybell’ were medium and upright, respectively. The first flowering time was early, around April 16, and the flowering period was as long as 14 days. The flowers of ‘Buddybell’ were pink in the balloon stage and white in full bloom. ‘Buddybell’ has a high fruit setting rate with major apple varieties(‘Fuji’, ‘Hongro’, and ‘Tsugaru’). The amount of pollen weight per 1,000 inflorescence of ‘Buddybell’ was 2.5 times higher than that of 'Maypole'; hence, it is highly useful as a pollinizer in apple orchard. ‘Buddybell’ was officially applied for variety protection on Korea Seed & Variety Service in 2020 (Application no.2020-237).
        4,000원
        5.
        2018.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의 생장은 대목의 지상부 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접수 품종의 특성에 맞는 대목 노출 길이의 선택이 중요하다. 따라서, 국내육성 신품종 ‘썸머킹’에 적합한 왜성대목 M.9, M.26의 노출 길이 구명을 위하여 접목부가 지면에서 5, 10, 15cm로 노출되게 재식 한 후 수체생장과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재식 4년차 신초장은 M.9와 M.26 5cm 노출이 10cm 노출에 비해 12.6, 5.5cm, 15cm 노출에 비해 11.4, 8.2cm 긴 것으로 나타났다. 재식 4년차 주간단면적의 경우 5cm 노출을 100으로 했을 때, 10, 15cm 노출은 M.9의 경우 58, 64 이며, M.26은 75, 61으로 조사되었다.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수록 수고, 신초장, TCA의 영양생장이 많아졌으며, 특히 5cm 노출은 ‘썸머킹’의 수세를 강하게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M.9와 M.26의 누적수량효율은 영양생장과는 반대로 15cm 노출에서 각각 0.99, 0.68로 가장 높았으며 10cm 노출은 0.91, 0.61이었으며 5cm 노출은 0.58, 0.51로 노출 길이가 길어질수록 우수하였다. 그러나 10cm와 15cm 노출의 통계적 유의차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썸머킹’의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고려했을 때 M.9와 M.26 노출 길이는 10cm가 가장 적정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6.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oonbaek’ bred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Horticultural & Herbal Science,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RDA) in 2011 is a new white standard chrysanthemum cultivar. The artificial crossing was made in 2007 between ‘Suishin’ and ‘Gilyangma’. ‘Suishin’ was the autumn-flowering standard chrysanthemum cultivar with white petals and low temperature flowering type, while ‘Gilyangma‘ grew well at low temperature. Vigorous plants with numerous white petals and low branches were selected in 2008. Genetic trait investigations of the line (07B1-659) had been performed between 2009 and 2011 and included flowering stability, uniformity, and year-round productivity, the final test of the producer and consumer preference. ‘Woonbaek’ is a new standard cultivar that blooms in late October in natural condition. The flower has numerous petals, a green colored center, and a s table flower shape. The number of ray flower was 249 and flower diameter was 14 cm. Vase life was approximately 21 days in autumn season. The stem was not significantly thinner at the upper end. ‘Woonbaek’ was applied as No. 2012 - 244 on March 23, 2012, for variety protection and its plant variety protection rights have been registered as No. 4839 on March 17, 2014, at the Korea Seed and Variety Service.
        4,000원
        7.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무측지성 수분수용 사과 품종 개발을 위해 ‘홍로’를 자방친, ‘메이폴’을 화분친으로 하여 교배한 교배실생을 조사·선발하여 ‘팅커벨’로 명명, 국립종자원에 품종보호 등록을 완료하였다. ‘팅커벨’ 육성 과정은 2003년에 인공교배를 실시하여 2009년까지 과실 및 생육특성을 조사하여 1차 선발하였다. 계통명 ‘03-2-095’로 2010년부터 2012년까지 과일특성 및 주요 품종과의 교배친화성을 평가한 후 최종 선발하였다. ‘팅커벨’은 대조품종 ‘메이폴’에 비해 만개기가 약 2일 정도 늦고, 수세가 약하고 가지 발생이 거의 없는 무측지성을 보인다. 대조품종 ‘메이폴’의 과형이 ‘타원형’인데 비해 ‘팅커벨’의 과형은 ‘넓은 타원형’이다. ‘팅커벨’은 117g으로 ‘메이폴’보다 과실이 크고, 과피가 매끈하며 과분이 없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었다. ‘팅커벨’의 당도는 12.3oBx로 ‘메이폴’ 10.7oBx 보다 높고, 산도는 1.2%로 ‘메이폴’ 1.8% 보다 낮아서 당산비가 ‘메이폴’ 보다 개선되었다. 주요 품종 과의 인공교배시 착과율은 ‘후지’ 90.8%, ‘홍로’ 94.9%, ‘쓰가루’ 71.0%로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수폭은 70cm이므로 사과 밀식재배체계에 아주 적합한 수분수용 신품종으로 판단된다.
        3,000원
        8.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의 수세는 품종 고유의 유전적 특성에 따라 결정되지만 환경 조건, 재배 관리, 대목 종류 및 노출 길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품종 고유의 특성에 따라 적합한 대목 종류 및 적정 노출 길이를 선택하는 것이 나무의 생육, 생산성 및 수명에 바람직한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육성된 ‘서 홍’, ‘썸머드림’, ‘홍금’에 적합한 대목 노출길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하여 M.9 자근대목에 각각 접목한 후 접목부가 지면에서 10, 20, 30 cm로 노출되게 재식하여 수체생장과 생산성을 조사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은 대목 노출이 짧을수록 TCA 증가가 컸다. 재식 6년차의 TCA는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각각 ‘서홍’ 70, 60, ‘썸머드림’ 88, 66, ‘홍금’ 55, 41으로 현저히 낮아졌다. 또한 ‘서홍’, ‘썸머드림’, ‘홍금’의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수록 수고, 수폭, 신초장, 정단신초장의 영양생장량이 더 우수하였다. 재식 6년차까지의 누적수량 역시 대목 노출 길이가 짧을 수록 많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재식 6년차 누적수량의 10cm 처리구를 100으로 했을 때 20, 30cm 처리구는 ‘서홍’ 77, 63, ‘썸머드림’ 85, 76, ‘홍금’ 73, 58으로 조사되었다. 과실 특성에 있어서 대목 노출 길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재식 6년차까지 ‘서홍’, ‘썸머드림’, ‘홍금’ 의 영양생장과 생산성을 고려했을 때 M.9 대목의 노출 길이는 10cm로 하는 것이 적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9.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클레마티스의 경삽에 의한 삽목번식이 잘 되지 않는 7-8월의 영양번식방법으로 수삽의 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험을 수행하였다. 수삽시 적정한 삽수길이 및 발근제 처리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클레마티스 ‘호노라’ 의 1마디 삽수와 2마디 삽수를 NAA 0.1mg·L−1에 처리 하였다. NAA 0.1mg·L−1 처리구는 삽수길이에 관계없이 100% 발근되었지만, 무처리구는 1마디, 2마디 삽수 각 각 약 30%와 19%로 발근율이 현저히 낮았다. 뿌리수, 뿌리길이도 NAA 0.1 mg·L-1 처리구가 우수하였고, 그 효과는 1마디 삽수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호노라’ 수삽의 결과를 바탕으로 2013년 클레마티스 ‘파이루’의 1 마디 삽수를 이용하여 NAA(0, 0.1, 0.5, 1.0mg·L−1) 처리농도에 따른 발근율을 비교 하였다. 발근소요일수는 약 70-74일로 약 10주가 소요되었고 농도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하지만 발근율은 NAA 처리농도가 높을수록 높았으며, NAA 1.0mg·L−1 처리시 약 90% 발근되었다. 전반적인 뿌리의 생육은 NAA 0.5mg·L−1 이 상의 농도에서 향상되었다. 하지만 ‘파이루’는 NAA를 처리하지 않아도 76%이상 발근되는 것으로 보아 ‘호노라’보다 수삽에 의한 번식이 용이한 품종으로 생각된다.
        4,000원
        1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광중단 처리에 있어서 광원 및 광질이 스탠다드 국화의 생육 및 개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스탠다드 국화 ‘백마’, ‘신마’ 품종에 LED 590, 610, 630, 660, 680nm와 형광등 480+540 +610nm의 혼합광을 정식 후부터 단일처리일 전까지 40 일간 1일 4시간(22-02시) 광중단 처리하였다. ‘백마’의 발뢰소요일수는 형광등 처리에서 21.3일로 가장 길었으며, LED 590nm 처리는 15.8일로 가장 짧았다. ‘신마’는 형광등, LED 610nm와 660nm 처리에서 발뢰소요일수가 각각 18.0일, 17.8일, 17.7일로 가장 길었으며, LED 590nm 처리에서 15.1일로 가장 짧았다. ‘백마’의 개화소 요일수는 형광등처리에서 56.9일로 가장 길었고, LED 590nm 처리에서 51.6일로 가장 짧았다. ‘신마’는 형광등과 LED 660nm 처리에서 각각 56.0일, 56.7일로 가장 길었고, LED 590nm 처리에서 52.9일로 가장 짧았다. 따라서, 스탠다드 국화의 화아분화 및 개화조절에 가장 효과적인 광원 및 광질은 ‘백마’ 품종의 경우 형광등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며, ‘신마’ 품종은 형광등과 LED 660nm 처리가 가장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백마’ 품종 의 절화장과 절화중은 화아분화 억제효과가 가장 좋았던 형광등 처리에서 각각 92.7cm, 61.9g으로 우수하였으며, ‘신마’ 품종의 경우에도 형광등 처리에서 절화장, 절화중이 각각 114.6cm, 71.3g으로 우수하였다. 결과적으로 스탠다드 국화의 생육 및 개화에 있어서 광중단 광원 및 광질로 형광등 처리가 우수하였으며, LED 660nm 처리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4,000원
        11.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베라 ‘Harmony’, ‘Sunshine’, ‘Pink melody’를 대상으로 화경 기부의 절단 정도와 수확 후 물올림 시기에 따른 수분 흡수 및 생체중 변화가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자 수행되었다. 실험 결과 3 품종 모두 수분흡수, 생체중, 절화수명 및 수분 이동에서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화경 기부를 각각 3cm, 5cm, 10cm절단한 절화는 무절단과 절단 1cm 처리구에 비해서 일일수분흡수량은 더 많았고, 최초 생체중 대비 생체중 감소율은 더 낮았으며, 이로 인해 절화수명은 2-5일 연장되었다. 화경 기부의 절단 유무에 따른 수분흡수량 차이의 원인을 구명하기 위하여 현미경 검경을 통해 수분의이동 경로를 관찰한 결과, 화경 기부를 3cm 절단한 경우에는 목부 뿐만 아니라 목부섬유, 사부섬유, 수조직의 주변 세포 등을 통해 수분이 이동하는 반면, 화경 기부를 절단하지 않은 경우에는 목부로만 수분이 이동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확 후 물올림 시작 시기의 지연이 거베라의 절화수명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화경 기부를 절단하지 않고 물올림 시작 시기를 지연한 절화는 지연된 시간이 길어질수록 화경굽음 및 꽃잎위조 현상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절화수명도 짧아진 반면, 화경 기부를 절단한 경우에는 수확 후 12시간 까지물올림을 지연 했음에도 불구하고 절화수명에는 유의한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물에 침지한 후 물관을 포함한 다양한 유관속 조직을 통하여 흡수된 많은 양의 수분이 화경과 꽃잎세포의 팽압을 회복하는데 조력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2.
        201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절화용 스탠다드 국화 ‘백설’의 전처리제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1-MCP 0.5g·m-3 처리구가 대조구에 비해 2일 정도 꽃봉오리의꽃잎착색과 조기개화가 지연되었으며 개화 정도도 9일 까지 개화를지연시켜 품질선도를 유지시킬 수 있었다. Promalin(GA4+7+BA)100mg·L-1과 500mg·L-1 처리구에서도 개화지연 효과가 나타났으나,500mg·L-1 이상의 고농도에서는 잎과 꽃의 조기 위조현상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체중의 변화에서도 1-MCP 0.5g·m-3, 1.0g·m-3 및Promalin(GA4+7+BA) 100mg·L-1 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고찰해보면 1-MCP 0.5g·m-3와Promalin(GA4+7+BA) 100mg·L-1 처리는 절화 국화 ‘백설’의 수확 후 꽃봉오리 화색변화 및 조기개화를 억제시켜 품질 선도유지에매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3,000원
        13.
        2012.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광원에 따른 국화의 화아분화 억제 효과를 보기 위 하여 형광등과 LED로 암중단 장일처리를 하였다. 청색 LED광원에 의한 광중단 처리시 ‘백마’는 평균초장 이 약 20 cm 정도 신장되고, 평균 생육일수가 약 20.1일 정도 되었을 때 조기에 발뢰되어 화아분화가 억제되지 않았다. 광원에 따른 개화소요일수는 형광등 55.5-61.0일에 비하여 혼합 LED처리에서는 약 0.7-4.6 일, 적색 LED처리에서는 약 5.6-9.3일 개화소요일수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화아분화억제 효과는 형광등과 혼 합 LED처리가 가장 크며, 적색 LED처리에 의해서도 어느정도 화아분화 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 나, 청색 LED처리는 오히려 조기발뢰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형광등과 혼합 LED처리에 따른 절화장은 두 광원에서 우수하였으며, 통계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절화중은 품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백 마’와 ‘핑크프라이드’는 형광등처리에 비하여 혼합 LED처리시 가장 무거웠으며, ‘신마’는 형광등에 비하여 가벼웠고, ‘일월’은 같은 경향을 보였다. 꽃목길이는 스 탠다드와 스프레이 국화 모두 적색 LED처리시 가장 짧았으며, 오히려 스프레이국화에서는 청색 LED처리 에서 긴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특히 ‘핑크프라이드’는 10.0 cm로 매우 길었다. 화아분화억제를 위해 36일간 4시간씩 심야에 조명한 전력소모량은 형광등 792.0 kw 에 비하여 혼합 LED에서는 234.7 kw로 70.4%가 절 감되었다.
        4,000원
        14.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e produced cylindrical porous TiNi bodies by Self-propagating High-temperature Synthesis (SHS) process, varying the heating schedule prior to ignition of a loose preform compact made from (Ti+Ni) powder mixture.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eating schedule on the behaviour of combustion wave propagation and the structure of porous TiNi shape-memory alloy (SMA) body, change of temperature in the compact during SHS process was measured as a function of time and used for determining combustion temperature and combustion wave velocity. Microstructure of produced porous TiNi SMA body was observed and the results were discussed with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From the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he final average pore size could be controlled either by the combustion wave velocity or by the average temperature of the preform compact prior to ignition.
        4,000원
        15.
        1999.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study was made on the fabrication of nanostructured Fe-Co powders by mechanical alloying and their magnetic properties. Microstrural development during the process of MA was inverstigated by means of X-ray diffraction, differential thermal analyze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The magnetic properties of NS Fe-Co powders were evaluated through the measurements of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as well as the coercivity . The average grain size calculated from line braodening in XRD peak was about 10nm or less and confirmed by TEM. In this experiment, two different milling methods (cycle opertion and conventional milling) were used. Cycle operation had an advantage over the conventional milling method in that more refined powders can be obtained. Solid state alloying of the components was confirmed from both the change of the saturation magnetization and the change of lattice parameter with Co contentration. Maxium was obtained at the composition of 30at.%Co. Relatively high coercivities of 10~150e were obtained for the compositions investigated, and this seems to be due to the high amount of internal strain introduced during milling.
        4,000원
        16.
        2017.11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사과는 에틸렌에 의해 호흡량이 일시적으로 상승하는 호흡급등형 과실이다. 에틸렌 발생은 세포벽분해효소 활성화와 세포벽 연화를 진행시켜 사과의 상품성과 저장성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사과의 에틸렌 생합성 과정에는 Md-ACS1 및 Md-ACO1 유전자가 연관되어 있으며, 두 유전자는 과실의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사과 국내육성 28품종의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을 분석하고, ‘Fuji(FJ)', ‘RubyS (RS)', ‘Hongro(HR)', ‘Arisoo(AS)', ‘Summer King(SK)', ‘Greenball(GB)', ‘Golden Supreme(GS)'을 대상으로 수확 후 25일까지의 에틸렌 발생량 및 상온저장(20℃) 20일 동안의 경도 연화율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관련 된 대립유전자(favorable alleles0(FA)) ACS1-2, ACO1-1이 많을수록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낮은 경향을 보였다. GS은 ACS1-1/1, ACO1-1/2(FA 1)으로 모든 품종 중 가장 높은 에틸렌 발생 수치와 경도 연화율를 보였다. SK와 GB은 ACS1-1/2, ACO1-1/2(FA 2)으로 ACS1-2/2, ACO1-1/2(FA 3)인 HR와 AS 보다는 높고 GS 보다 낮은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을 보였다. ACS1-2/2, ACO1-1/1(FA 4)인 FJ는 RS를 제외한 모든 품종 중에 에틸렌 발생량과 경도 연화율이 가장 낮았다. 본 실험의 결과 Md-ACS1 및 Md-ACO1 대립유전자형과 사과의 에틸렌 발생량 및 경도 연화율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Md-ACS1 및 Md-ACO1 분자표지를 사과 국내육성 품종의 저장성 예측과 육종 효율 향상을 위한 Markerassisted selection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 된다.
        17.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절화국화 ‘Yes Song'의 이산화염소 전처리가 선도유지 및 품질 을 조사하였다. 개화 단계는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수확 후 8일까지 급속히 개화하였고, 특히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구에서 비교적 선도가 유지되었다. 생체중 변화는 모든 처리구에서 5일까지 증가하였으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나 타내었고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 구가 다른 처리에 비해 높은 생체중을 유지하였다. 수분 흡수량은 대부분의 처리구에서 5일까지 증가하다 이후 감소 추세를 보였으 며, 특히 ClO2 5mg.L-1 처리는 다른 처리구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 였다. 수확 후 잎의 엽록소 함량은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시 높은 수준을 유지하였다. 꽃잎의 화색변 화에서는 BA 25mg.L-1 처리시 화색변화를 가장 오래 지연시켰다. 에틸렌 발생량은 초기 3일째는 급속히 증가하다가 그후 비교적 완 만한 경향을 보였으며 처리별로는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구에서 가장 적은 발생량을 나타내었으며, 절화 수명 및 절화 품질에 있어서도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시 다른 처리에 비해 8일정도 증가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고찰해보면 BA 25mg.L-1 + ClO2 5mg.L-1 + NaClO 200mg.L-1 처리구에서 도관 의 미생물 발생 억제 효과가 지속적으로 작용하여 수분 흡수가 원 활히 이루어짐으로써 수확 후 절화 국화의 선도유지 및 품질에 매 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수출저장유통 과정 중에 상용적인 기 술로 사용 가능함을 제시 할 수 있었다.
        18.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LED 파장이 스프레이 국화의 화아분화 및 생육에 미 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스프레이 국화 ‘핑크프라이드’와 ‘예스 송’ 품종에 LED 590, 610, 630, 660, 680nm와 형광등을 정식 후 부터 단일처리일 전까지 40일간 1일 4시간(22-02시) 광중단 처리 하였다. ‘핑크프라이드’의 발뢰소요일수와 개화소요일수는 형광 등(14.9일, 67.7일)과 LED 660nm(14.7일, 66.7일) 처리에서 가 장 길었다. ‘예스송’의 발뢰소요일수는 ‘핑크프라이드’와 유사하 게 형광등(15.0일)과 LED 660nm(15.1일) 처리에서 가장 길었으 며, 개화소요일수는 형광등(53.0일) 처리가 가장 길었고, LED 660nm(51.5일) 처리가 다음으로 길었다. 단일처리일부터 발뢰일 까지의 초장 생장량은 두 품종 모두 형광등 처리가 가장 길었으며, LED 660nm 처리가 다음으로 길었다. 절화장 또한, ‘핑크프라이 드’의 경우 형광등 처리에서 가장 길었고, LED 660nm 처리가 다 음으로 길었으며, ‘예스송’은 형광등과 LED 660nm 처리에서 가 장 길었다. 절화장을 제외한 다른 절화특성에는 처리간의 뚜렷한 차이를 찾을 수 없었다. 따라서, 스프레이 국화의 화아분화, 개화 조 절 및 초장 생장에는 형광등과 LED 660nm 처리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생각된다.
        19.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클레마티스의 번식은 종자 및 삽목번식으로 하는데, 삽목 성공 률이 낮아 번식에 어려움이 있다. 이에 효과적인 번식법으로 삽목 번식 방법을 구명하고자 클레마티스 삽수를 채취하여 유리온실에 서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삽수길이는 1마디와 2마디 길이로 하였 으며, 배지는 단용배지로 피트모스, 펄라이트, 버미큘라이트, 발근 제는 IBA 4000mg·L-1 3초 침지, IBA 500mg·L-1 30분 침지와 루 톤을 처리하였다. 클레마티스의 발근기간은 약 10주가 소요되었 다. 클레마티스의 삽수 마디길이를 2마디보다 1마디로 하였을 경 우 발근율이 약 43% 증가하였다. 1마디 삽수의 경우 발근제 루톤 분의 처리 시 발근율은 대조구보다 약 7% 더 향상되었다. 따라서, 삽수 양이나 삽목 후 관리를 고려할 때, 1마디 삽수를 이용하는 것 이 효과적인 것으로 보인다. 배지와 발근제에 따른 발근율은 버미 큘라이트와 IBA 4,000mg·L-1 처리에서 96%로 가장 높았으며, 뿌 리수와 뿌리 길이도 IBA 4,000mg·L-1 및 루톤 처리에서 우수하였 다. 즉, 1마디 삽수를 버미큘라이트 배지에 삽목한 경우 발근율은 평균 약 80-83%로 피트모스와 펄라이트보다 약 25-29%, 13-39% 더 높았으며, 버미큘라이트 배지에 IBA 4,000mg·L-1 침지처리 시 발근율이 89-96%로 9-13%가 더 증가되어 가장 효과적이었다
        20.
        2014.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hrysanthemum white rust, caused by Puccinia horiana, is one of the most destructive fungal diseases in chrysanthemum cultivation worldwide. For increasing efficiency of resistant breeding, molecular markers linked to chrysanthemum white rust resistance gene were developed in pseudo F1 cross population between ‘Puma White’ as susceptible and ‘Dancer’ as resistant using bulked segregant analysis (BSA). Of 280 RAPD primers (Operon 10 mer), 18 primers found to be polymorphic. After screening of these primers in 20 individual lines, only OPI-13520 was selected as closely linked marker to white rust disease resistance. Based on correspondence between phenotypic resistant level and marker in 187 segregation population, the genetic distance between white rust resistance gene and OPI-13520 marker assumed to be 3.8 cM. For OPI-13520 marker conversion into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SCAR) marker, the amplified fragment of OPI-13520 was purified, cloned and sequenced. Based on the DNA sequence of OPI-13520, SCAR maker was generated and verified in 20 individual lines used in BSA-RAPD.The results showed SCAR marker could be used to identify white rust resistance in chrysanthemum.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