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4

        1.
        201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수출을 통한 한국기업들의 국제화에 관한 선행요인에 대한 분석은 주로 기업 또는 경영자 수준에서 분석되어 왔으나, 재벌 또는 가족기업과 같은 한국 기업들의 독특한 소유지배구조, 그리고 사외이사의 특성이 기업의 수출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분석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기업의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요인을 지배구조, 그리고 최고경영자와 사회이사의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한국기업의 수출 성과를 종속변수로, 재벌, 가족기업,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 그리고 사외이 사의 해외경험을 독립변수로 하여 패널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결과, 재벌, 최고경영자의 해외경험은 기업의 수출성과와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가족기업의 경우 수출 성과와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외이사의 해외경험은 기업의 수출성과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6,400원
        2.
        2011.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2007년 일본내 491개의 해외 다국적 제조기업들을 대상으로 인력 현지화에 대한 해외자회사 조직내부의 결정요인들을 두 가지 관점(통제 및 조정관점, 지식관점)을 바탕으로 두 가지 차원(최고경영자 현지화,종업원 현지화)으로 구분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해외자회사의 최고경영자(CEO) 현지화 수준은 해외자회사에 대한 현지지분율이 많을수록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자회사규모가 클수록, 제품다각화를 할수록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해외자회사의 종업원 현지화의 경우 해외자회사에 대한 현지지분율이 많을 수록 종업원의 현지화 수준은 낮아지고, 해외자회사가 현지국에서 사업을 영위한 기간이 길수록, 자회사규모가 클수록 종업원의 현지화 수준은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본 연구는 해외자회사의 CEO 현지화의 경우 현지지분율, 자회사규모, 제품다각화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해외자회사의 종업원 현지화의 경우 현지지분율, 현지사업기간, 자회사규모가 중요한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증명하였다. 본 연구는 일본에 진출한 다국적 기업들의 인력 현지화에 대한 결정요인을 통제 및 조정관점과 지식관점을 기반으로 CEO와 종업원의 현지화 수준에 미치는 결정요인들을 통합적으로 분석해 보았다는 점에서 해외자회사의 인력 현지화에 대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6,900원
        3.
        201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7년 아시아 금융위기를 혹독한 구조조정을 통해 이겨낸 한국기업은 2008년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 이후 오히려 해외 직접투자(FDI)가 증가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기존연구는 1997년 금융위기 이전 한 시점에서의 연구가 대부분이며, 한국기업의 해외진출 성과요인으로써 기업 특유우위를 조명한 연구가 부족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기업의 FDI의 규모가 증가하는 시점인 2000년부터 2006년까지의 기업수준의 패널데이터를 이용하여, 한국 모기업의 기업특유 우위요소(기술노하우, 마케팅노하우, 해외경험)가 해외자회사 성과에 미치는 영향과 더불어 해외에 진출하는 지역(DC/LDC)과 재벌여부에 따라서 자회사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한국 모기업의 기술노하우는 해외자회사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마케팅노하우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해외진출 지역과 재벌여부는 조절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해외경험은 해외자회사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지만, 추가 분석결과 U자형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7,800원
        4.
        200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5,800원
        6.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7,700원
        7.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국제합작투자 성과 결정요인을 조직학습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파트너의 흡수 능력과 합작경험은 지식 습득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지식검색에 소요되는 비용을 절감시킴으로써 국제합작투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반면, 기업문화 차이와 파트너 간 갈등은 정보흐름을 방해하고 오해를 야기해 조직학습을 방해하고 내부 관리비용을 발생시켜 기업 성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였다. 국내 진출한 외국 기업과 한국기업간의 86개 국제합작투자에 대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현지 파트너기업의 흡수 능력과 합작경험은 국제합작투자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파트너간 갈등은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6,400원
        9.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에서 신규설립과 인수 선택 요인을 1979년부터 1997년 말까지 투자된 674건의 해외 생산법인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의하면 거래비용 요인으로서 해외사업경험이 적을수록, 본사와 현지자회사 간 생산 제품이 다를수록 한국기업은 인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기존 연구 결과와는 다르게 기술적 지식을 많이 축적한 한국기업일수록 새로운 기술을 확보하기 위하여 인수를 선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인수합병이론을 기반으로 해외시장에서 후발주자일 경우 혹은 해외인수경험이 있는 경우에는 한국기업은 인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지국과의 문화적 차이가 클 경우 신규설립을 선호할 것이라는 예상과는 달리 한국기업은 인수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700원
        10.
        200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기업과 외국기업이 투자하여 설립된 국내 국제합작기업에서 신제품개발과 관련된 지식 또는 노하우를 습득하는 데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지식관련, 합작기업관련, 파트너관련변수로 분류하여 각 요인과 지식습득정도와의 관계에 대한 가설들을 자원·지식기반관점과 거래비용이론에 근거하여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67개의 설문응답을 기초로 진행되었으며, 실증분석 결과 합작기업관련 요인인 학습역량과 합작동기가 지식습득정도와 정의 유의한 관계에 있음이 검증되었다. 또한 파트너관련 요인인 파트너간의 갈등이 높을수록 지식습득의 정도가 낮을 것이라는 가설도 유의수준 내에서 채택되었다.
        6,600원
        11.
        200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거래비용과 교섭력 관점에 기반하여 합작지분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한국기업의 해외합작투자 사례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다수지분자의 경우 지분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합작사업에 공헌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기업일수록, 해외사업경험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기업일수록 합작 후 지분을 증가시키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지정부 규제는 합작지분 증가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6,300원
        12.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offers the first large scale finn-Ievel study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Korean firms to manufacture abroad. By and large, my results support the predictions of the modem theory of FDI, which combines location and transaction costs variables. Size of target market and labor costs have the expected impact, though trade barriers do not. Technological intensity is a strong determinant of Korean FDI, as in the case of American, Swedish and ]apanese firms. One remaining difference, though, is in the impact of adveπising expenditures. Previous experience gained by Korean firms as well as group-affiliated firms showed strong impacts on Korean firms propensity of overseas manufacturing investment. Political stability of target market incites Korean investors to undertake FDI there, however, culturaI difference does not.
        6,700원
        13.
        199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거래비용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해외합작투자 소유지분 (다수지분 대 소수지분) 결정요인을 거래자산특유성과 불확실성으로 구분하여 이론적모형을 정립하였고, 이 모형을 이용하여 한국기업의 제조업분야 해외합작투자 소유지분 결정요인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한국기업의 경우 평판이 높은 기업일수록 해외합작투자에 있어서 다수지분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국가위험이 높은 국가에 진입하거나 본국과 문화적거리가 큰 국가에 진입하는 경우 한국기업은 소수지분을 선호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결과와 달리 독점적지식을 많이 축적하였거나 본사의 규모가 큰 한국기업의 경우 해외합작투자에 있어서 소수지분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외사업경험과 합작법인의 규모는 한국기업의 해외합작투자 소유지분 의사결정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4,900원
        14.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udy offers the first large scale product-level study of the factors which influence Japanese manufacturing firm`s order of U.S. market entry. Our results support market rivalry rather than firm-specific advantages arguments. Japanese first-investors do not have as strong a research concentration as second-investors and late-investors. Japanese firms with medium market shares have a greater tendency to be first-investors. Japanese firms belonging to enterprise groups tend to be first-investors due to stiff competition across enterprise groups. In addition, Japanese firms with previous experience in the U. S. market tend to be first-investors in another product market. On the other hand, Japanese firms` advertising intensity and their membership in a keiretsu group do not affect its order of U.S. market entry.
        5,4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