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8

        181.
        200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a group of predictor variables which constitute four determinants of dining satisfaction do exert a significant influence on messures of dining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s use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is technique enables the researcher to test for the effects of a set of predictor variables upon a multidimensional measure of dining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 Results suggest that multiple determinants are important in determining dining satisfaction in family restaurant. No one determinant can fully explain its complexities. The four determinants also appear to vary in terms of importance. Individual variables within four determinants also appear to vary in terms of importance. Finally,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 some insight into the types of marketing strategies that can be successfully used by operators who manage family restaurants.
        4,200원
        182.
        200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조명 색온도에 따른 작업자의 피로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조명 색온도(2700 K, 4000 K, 6500 K)를 실험변수로 하여 모니터상에서 오류수정 작업이 수행되었다. 색온도의 변화에 따른 인체의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먼저 주관평가와 작업수행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시각피로·정신피로와 집중도에 관한 주관평가를 실시한 결과, 2700 K에서 시각피로 및 정신피로가 가장 적고 집중도가 높으며 작업수행도가 가장 좋았다. 6500 K에서 정신피로를 가장 많이 느끼고 집중도가 제일 낮았으나, 시각피로를 가장 많이 느낀 4000 K에서의 작업수행도가 가장 낮았다. 결과적으로 세 가지 색온도 조건 중 2700 K가 모니터상의 오류수정 작업에 가장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4,000원
        184.
        200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연구는 울릉도의 성인봉과 태하령 지역의 산림 식생을 대상으로 199년 7-8월에 식생조사와 토양조사에 의한 너도밤나무 군락의 임분구조 및 DCCA ordination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울릉도 산림의 중요치를 각 군락별로 살펴보면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마가목, 섬단풍, 섬벚나무 등의 순으로 너도 밤나무-일색고사리 군락은 우산고로쇠 너도밤나무, 마가목 층층나무, 등수국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 군락에서 중요치가 높은 종은 너도밤나무 우산고로쇠 등수국 마가목 음나무등의 순으로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은 섬잣나무, 너도밤나무, 솔송나무, 회솔나무, 섬피나무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DCCA ordination에 의하면 산림군락과 환경요인과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네 군락 중 토양수분이나 전절소 유기물 등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일색고사리 군락은 해발고가 다른 군집보다 높고 토양수분이나 전질소, 유기물 등이 많아 너도밤나무-섬조릿대 군락과 매우 유사한 입지환경을 가진 지역이나 토성 중 clay 가 많이 함유된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너도밤나무-큰두루미꽃 군락은 해발고가 네 군락 중 중간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며 토양수분이나 유기물, 전질소 등도 중간인 지역에 분포하고 있었다. 솔송나무-섬잣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토양수분이나 전질소, 유기물이 적고 sand가 많이 함유된 토양에 분포하고 있었다. 3. 울릉도 산림군락으 Shannon의 종다양도 지수는 0.5455~0.8801으로 비교적 낮은 수치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너도밤나무 군락에서 분포하고 있는 주요 종의 조서열 중요치 곡선을 보면 전체의 기울기가 완만하여 너도밤나무 군락은 안정적이라 할 수 있다.
        4,000원
        186.
        199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백운산의 산림군락과 환경 요인과의 관계를 구명하기 위하여 TWINSPAN과 CCA Ordination을 이용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TWINSPAN에 의해서 서어나무 군락, 고로쇠나무 군락, 신갈나무 군락 및 굴참나무 군락의 4 group으로 구분되었다. 주요 군락과 환경 용인과의 상관을 보면 서어나무 군락과 굴참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중간이고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의 양료가 중간인 곳에 주로 분포하고 신갈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높고 유기물 함량과 유효인산의 양료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하며 고로쇠나무 군락은 해발고가 낮고 K+,Ca++,및 Mg++등의 양료가 많은 곳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주요 수종과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고가 높고 유기물 함량과 P2O5 많은 곳에 신갈나무, 노리재나무, 물푸레나무, 해발고가 중간기고 양료가 중간인 곳에 서어나무, 비목, 단당풍 졸참나무, 쪽동백나무, 때죽나무, 해발고가 낮고, 습하며K+,Ca++,및 Mg++ 등의 양료가 많은 계곡부타 까치박달나무 층층나무, 느티나무, 고로쇠나무, 들메나무, 나도밤나무 및 산뽕나무가 분포하고 있다.
        4,000원
        191.
        199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국(全國) 112개(個) 저수지(貯水池)를 대상(對象)으로 유성인자간(流城因子間)의 관계(關係) 및 유성인자(流城因子)와 첨두유량(尖頭流量)과의 관계(關係)를 조사(調査) 분석(分析)한 결과(結果) 다음과 같은 결론(結論)을 얻었다. 1. 유성면적(流城面積)과 주하천장(主河川長), 유성면적(流城面積)과 유성(流城)의 주장(周長), 유성면적(流城面積)과 지류총연장(支流總延長), 주하천장(主河川長)과 유성(流城)의 주장(周長), 주하천장(主河川長)과 하천중심장(河川重心長), 주하천(主河川) 평균경사(平均傾斜)와 유성(流城)의 평균표고(平均標高)와의 관계(關係)를 상관분석(相關分析)하여 상호간(相互間)의 상관관계식(相關關係式)을 유도(誘導)하였다. 2. 각 유성인자(流城因子)와 첨두류량(尖頭流量)과의 단순상관분석(單純相關分析) 결과(結果) 상관계수(相關係數) r=0.004~0.546으로 비교적(比較的) 낮게 나타나 유성(流城)으로부터의 유출현상(流出現象)은 그 유성(流城)의 여러 인자(因子)에 영향(影響)을 받는다는 것을 확인(確認)할 수 있었다. 3. 유성면적(流城面積), 주하천장(主河川長), 주하천(主河川) 평균경사(平均傾斜), 저수지(貯水池) 설치점(設置點)의 표고(標高)를 독립변수(獨立變數)로 하여 첨두유량(尖頭流量)과의 다중상관분석(多衆相關分析)을 실시(實施)한 결과(結果) 인 상관식(相關式)이 유도(誘導)되었다.
        4,000원
        193.
        198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과육량(果肉量)이 많은 우량(優良) 고추품종(品種) 육종(育種)을 위한 효율적(效率的)인 선발기준(選拔基準)을 마련코자 8개(個) 품종(品種)과 이들을 이면교배(二面交配)하여 얻는 28개(個) 조합(組合)들은 공시(供試)하여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및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 등(等) 과육구성형질간(果肉構成形質間)의 상관관계(相關關係)와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種子重) 및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의 상관정도(相關程度)를 밝히고 과육중(果肉重)(생체(生體)와 건체(乾體))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을 하였던 바 얻어진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친(親)에 있어서 과경(果徑)과 생과육후(生果肉厚), 과육중간(果肉中間), 생과육후(生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유전(遺傳) 및 표현형상관(表現型相關)이 있었다. 2. 에 있어서 과장(果長)은 건과육후(乾果肉厚)와는 부(負)의 상관(相關)을 과육중(果肉重)과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으며 과경(果徑)과 과육후(果肉厚) 및 과육중간(果肉重間), 과육후(果肉厚)와 과육중간(果肉重間), 그리고 생과육중(生果肉重)과 건과육중간(乾果肉重間)에는 높은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3. 과육구성형질(果肉構成形質)에 있어서 과 양친평균간(兩親平均間)에는 유의(有意)한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4. 과육중(果肉重)과 종자중간(種子重間)에는 정(正)의 상관(相關)이 있었고 과육중(果肉重)과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종자중(種子重)의 비율간(比率間)에는 부(負)의 상관(相關)이 있었다. 5. 과육중(果肉重)에 대(對)한 경로계수분석(經路係數分析) 결과(結果) 과장(果長), 과경(果徑), 과육후(果肉厚)가 모두 정(正)의 직접결과(直接結果)를 나타내었고 에서 과장(果長)이 직접효과(直接效果)가 가장 컸다.
        4,000원
        194.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wheat cultivated area and the climate data in Sindh province of Pakistan. The extraction of wheat cultivation area is detected using the remote sensing technique. The analysis of the study area reveals the annual mean maximum and the mean minimum temperature tends to risen with a large range of changes. The trend of average annual precipitation showed a large change, thus it wa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and decrease yield of wheat were depend on the various growth periods of wheat crop.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re the annual mean precipitation and the annual mean minimum temperature at the seedling stage of wheat crop. The annual precipitation, annual mean maximum, and the annual mean minimum temperature are significant at the growth period. The annual mean maximum and the annual mean minimum temperatures are significant during the ripening stage of wheat crop in the study area.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wheat production varies with climate change in the Sindh province. In addition, this study will be used as an important basis for solving crop cultivation areas and production problems caused by climate change in the region.
        195.
        2019.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한국과 미국 방사선학과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방사선 정보원과 전공 선택 만족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한국의 충북 소재의 일개 4년제 대학교와 미국의 텍사스 주 소재의 일개 4년제 대학교의 방사선학과 1, 2 학년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조사는 2019년 5월 7일부터 5월 28일까지 방사선 정보원과 정보원 신뢰도 그리고 방사선학과 선택 만족도에 대해 자기기입방식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첫째, 양국 대학생 모두 인터넷을 가장 많이 사용하는 정보원이지만 교과서를 통한 정보 수집 비중은 미국 대학생들이 유의하게 높았다. 둘째, 한국 대학생들은 미국 대학생들보다 정보원에 대한 신뢰도가 정부의 인쇄물을 제외한 인터넷, 신문, 소셜 네트워크 순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셋째, 미국의 대학생들은 한국 대학생들보다 방사선학과 선택 만족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넷째, 한국 대학생들은 다양한 정보원을 통해 전공 선택에 도움을 받고 있었으며 특히, 소셜 네트워크간의 상관계수가 유의하게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196.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ATM터널의 경우 대부분 산악지역에 위치함에 따라 배수형 터널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NATM 터널에서의 배수기능 저하와 수압작용, 이에 따른 라이닝 변상(누수, 백태 등)이 다수 보고되었으며, 매년 내구성과 사용성 확보를 위한 유지관리 비용이 투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속철도 NATM 터널을 대상으로 최근 실시한 정밀안전진단 결과를 활용하여 횡배수관 막힘 현상과 지보패턴과의 상관관계 분석사례를 소개하고 향후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197.
        2019.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댐의 경우 일반적으로 저수위, 간극수압계, 누수량계 및 정상침하계 등을 이용하여 안전관리를 수행하고 있다. 상기 계측기의 설치 목적은 대부분 공사 중 안정성과 관련 있지만 댐 완공 후 관리중인 시점에서는 주로 계측기의 경시변화만 분석하여 그 활용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로 주성분 분석을 통해 저수위-간극수압계의 상관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간극수압계 그룹 내에서의 상호 상관관계로부터 그룹 내 계측기들이 상호대체 될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미계측 값의 추정 및 이상값 제거를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198.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examined the efficiency of satellite images in terms of detecting wheat cultivation areas, and then analyzed the possibility of climate change through an correlation analysis of time series climate data from the western regions of Gyeongnam province, Korea. Furthermore, we analyz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wheat production through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the time series wheat production and climate data. A relatively accurate distribution was achieved on the wheat cultivation area extracted through satellite image classification with an error rate of less than 10% in comparison to the statistical data. Upon correlation analysis with time series climate data, significant results were displayed in the following changes: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seedling stage, the monthly mean duration of sunshine,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growing period, the monthly mean humidity,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of the ripening stage, and the monthly mean ground temperature. Accordingly, in the study area, the monthly mean temperature, precipitation, and ground temperature generally increased whereas the monthly mean duration of sunshine and humidity decreased. The monthly mean wind speed did not display a particular change.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greatest effect on the production and productivity of wheat as climate factors included the annual mean humidity of the seedling stage, the annual mean temperature of the wintering period, and the annual mean ground temperature of the ripening stage.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re is a change in wheat production depending on the climate change in the study area. in addition, it is determined that this study will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in the resolution of food security problems based on climate change.
        199.
        2019.04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paper presents an automated determination technique of optimal subset sizes for digital image correlation (DIC) analysis of speckle patterned images. The smaller subset size would typically have the higher DIC accuracy with respect to local minute deformation, but insufficient speckle pattern information within the excessively small often augment DIC errors due to lack of correlation features. Therefore, optimal subset size determination is crucial for the precise DIC analysis. To automate the optimal subset size determination process, first, the reference and test speckle pattern images are obtained from the target structure surface with a certain time interval. Then, an initial seed point which will be used for the subset center point is assigned on the reference speckle pattern image. Subsequently, normalized cross correlation (NCC) between the reference and test images is performed by increasing subset sizes from the seed point. Next, the matching distance between the two images is calculated using the maximum correlation coefficient. As the subset size increases, the matching distance between the two subsets converges a certain value. It physically means that the sufficient correlation features will be included in the subset. Finally, the optimal subset size can be determined by selecting the minimum subset size where the matching distance value starts to be converged. The proposed technique is experimentally validated using an aluminium plate with sprayed speckle pattern.
        200.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heavy metals in cement in the last 3 years and the amount of waste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The result shows that the average Cr6+ content in cement products is controlled at 10 mg/kg. Cu and Pb have lower detection tendency in white cement than in ordinary portland cement. In addition, heavy metals such as Cd show a certain level of detection regardless of the input wastes. Copper slag and phosphate gypsum are the main influencing factors on the heavy metals in cement products. In auxiliary fuels, plastics waste and wood waste are considered to affect heavy metals in cement products. Alternative raw materials are considered to be affected by the alternative raw materials managed as byproducts. In the case of supplementary fuels, auxiliary fuels managed as waste instead of auxiliary fuels managed as byproducts affect the heavy metals in cement. This study examined the input amount without considering the heavy metals in each waste. Therefore, the result may vary in different situations, and further research must be conducted to supplement the findings. However, if the heavy-metal contents in the waste are constant, it can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for the control of heavy metals in cement produ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