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10

        181.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ersonality of individuals are different form each other and they have a different feature. So when they playing games, it would be common for them to choose the character that mach for their personality. When MMORPG game compares to the other genre of games, it has many characters and users can choose the character that fits their personality to playing a game. However, some MMORPG game was not doing well in the game markets because the form of common MMORPG have no differentiation with each others. In this research, will use the egogram to drew the character element of individuals and with that output use the AHP to show you the result of important analysis about the character element of individuals’s favor game characters. This research can use as base of developing a new games or updating a new contents, regulating balance between the characters.
        4,000원
        182.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도시재생 선도지역으로 지정된 곳이자 순천부읍성의 중심지역으로 700년의 역사성과 장소성을 지닌 순천 시 문화의 거리를 대상지로 중요도-만족도 매력속성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문화의 거리 중요도와 만족도간의 차이분석에서는 19개 모든 항목에서 기대속성인 중요도와 성취속성인 만족도간의 항목들이 서로 일치하고 있었으며, 중요도에 비해 만족도가 낮게 나타나 방문객의 높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방안이 요구되 었다. 전체 중요도는 3.65, 전체만족도는 3.17로 평균이상으로 평가되었다. ISA 결과, 중요도와 만족도가 모두 높은 매력속성으로는 접근성, 서비스, 대표성 등으로 나타나 이는 순천시 문화의 거리의 경쟁우위에 있는 강점들로 분석되었고, 전통성, 편의성, 야간이용시 안전성 등은 중요도에 비해서 만족도가 낮은 항목들로 분석되어 도시재생 및 문화의 거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양한 정책의 변화와 체계적인 관리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4,000원
        183.
        2015.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지금까지 멀티미디어 기기들의 대 부분의 콘텐츠 접근성은 사용자 중심으로 특화되어 있지 않고 제작자의 의 도에 집중 하였다. 이런 이유에서 실제 시스템을 사용하면서 생기는 문제점과 이용자의 요구를 분석하기란 쉽지 않다. 물론 일부에서는 사용자 중심에서 UT, UI 연구를 진행 해 오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일부 많은 혁신을 가 져오지만 아직 기대만큼 많은 효과를 거두지는 못하고 있다. 이유는 개별적인 인간 본연의 욕구와 정서를 해석 하고 적용하기란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간 본연의 심리적인 특성을 분석하고 이해하려고 노력하였으며 스마트 디바이스 의 접근성의 문제점은 단순히 기술, 기능을 향상 시키는 것 이 아니라 인간의 본연의 내면을 얼마만큼 분석 하는지 와 얼마만큼 이해하는지에 따라 사용성에 도움이 될 것 으로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사용자가 중심에서 스마트 디바이스를 이용함에 있어서 좀 더 나은 접 근성에 도움 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특히 인간의 내면의 감정과 성향에 따라서 어떤 장르의 콘텐츠를 선호 하며 소비하는지를 분석하고 인간과 콘텐츠의 상호작용을 집중적으로 연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감정과 콘텐츠 사이의 관계에서 일부 유효한 결과는 기쁜(HAPPY) 감정의 정도에 따라 더욱 더COMEDY 프로그램을 선 호함을 알 수 있었으며 남자가 여자 보다 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슬픈 감정(SAD)일 때는 유효 한 결과 값은 나오지 않았지만 흥겨운 콘텐츠를 미미하게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자 보다 남자가 좀 더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원인은 Zilinman의mood based management 이론인 슬픈 감정의 소유자는 그 감정을 감쇠하기 위해서 흥겨운 콘텐츠를 더 선호하며 추가적으로 Oliver 2009따르면 콘텐츠의 쾌락적인 요소 보다는 통찰(insight), 의미(meaningfulness), 이해(understanding)및 반응(reflection)에 모두 충족이 되어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한다. 이러한 사용자 감정과 성향에 따른 콘텐츠의 연구는 향후 새로운 스마트 디바이스 콘 텐츠 접근성 측면에서 좀 더 만족도와 방향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184.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모조품 이미지의 산자이 브랜드들이 최근 시장에서 급속도로 수용되어 주류 글로벌 브랜드를 위협하게 된 이유 는 무엇일까? 본 연구는 소비자의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과 그에 따른 실용적 소비 마인드의 활성화가 소비자로 하여금 산자이 브랜드의 낮은 상징적 가치보다는 우수한 실용적인 측면을 중시하게 하였고 이에 따라 산자이 브 랜드 선호가 증가하게 되었다고 제시한다. 이러한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과 산자이 브랜드 선호 사이의 인과관계 를 검증하기 위하여 행동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자신이 속한 사회의 계층 이동성이 제한되어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에는(vs. 제한되어 있지 않다고 인식하는 경우), 기능적, 실용적 측면에서 우수하나 브랜드 의 상징적 가치가 낮은 산자이 제품의 선호가 증가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또한, 이 현상은 낮은 사회계층 이동성 인식이 소비자들의 실용적 소비 마인드를 활성화시키기 때문이라는 것을 매개효과 검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 러한 결과는 최근 글로벌 사회에서 널리 담론화되고 있는 사회계층 이동성의 둔화가 소비자의 제품 평가와 선호 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5,700원
        18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논문에서는 Daum클라우드, 네이버 N드라이브, 구글드라이브, 드롭박스, 마 이크로소프트 SkyDrive, 애플 iCloud와 같은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기술혁신에 있어서 의 각 속성에 대한 개인 사용자의 선호요인을 컨조인트 방법론으로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 문헌을 통해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구성하는 주요한 속성으로 무료저장용량, 인지된 비용, 파일공유 기능을 통한 협업성 여부, 모바일 접근성, 사회적 영향력, 신뢰성을 기반으로 한 인지된 보안의 6가지를 요소를 추출하였다. 또한 컨조인트 분석 결과 6가지 속성 모두 클 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선호에 통계적으로 유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컨조인트 분석결과 가장 중요한 속성은 접근성 이었으며, 그 다음으로 중요한 속성은 무료저장용량과 협업성 이 었다. 그 결과로부터 더 진일보된 기술 혁신을 위한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생태계 조성 을 위해 각 회사의 서비스 간 상호호환성에 기반한 통합적인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 제공이 중요할 것이라는 함의를 찾을 수 있었다. 본 논문의 방법론에서 접근성과 협업성을 경제 적 카테고리로 묶고, 저장용량과 인지된 비용을 기술적 카테고리로, 사회적 영향력과 인지된 보안을 환경적 카테고리로 분류하였을때, 기술적인 부분이 가장 중요하게, 그 다음으로 경제 적인 부분이, 그리고 그 뒤로 환경적인 요인이 중요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시사점에서는 연 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의 클라우드 스토리지 서비스를 더욱 개선, 발전시킬 수 있는 사항 들을 제안해 보았다.
        8,400원
        186.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dolescence is the most important period of healthy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ood recognition, snack preference, and dietary behavior of 1st grade of middle and high school boys and girls. Subjects were 5,554 students from 16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and 3,406 students from 9 schools without healthy tuck shop in Seoul, Korea. Students from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control group for facility satisfaction and hygiene satisfaction (all p<0.05). For fruit, the preference (p<0.05) and recognition (attitude, p<0.001: intention, p<0.05: eating habit, p<0.001: social-environment, p<0.001: self-efficacy, p<0.001) of students in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a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in schools without healthy tuck shop. For the habit of checking the manufacturer, students in schools with healthy tuck sho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students in schools without healthy tuck shop (p<0.05). The result suggested that we have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fruits can be purchased easily at a tuck shop and to educate adolescents for the importance of healthy food purchasing behavior. In conclusion, healthy school tuck shop had a positive effect on accessibility to healthy food.
        4,000원
        187.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recognition, preference, and purchasing characteristics for Changnyeong onions and garlic as well as festival satisfaction among participants at agricultural product festivals in the Changnyeong region. Results showed that festival satisfaction of ‘place of festival’ was highest while ‘convenience facility & event contents’ earned the lowest scores. Most subjects (90.5%) had purchased Changnyeong agricultural and processed products. A major purchasing type was fresh agricultural products (66.7%). The pathways to recognize Changnyeong agricultural products were mostly ‘promotion by related institutions’ (22.0%), ‘family · relatives’ (20.8%), ‘mass media’ (16.6%), and ‘festivals and events’ (16.1%). The most considered factors for purchasing regional products were ‘geographical origin’ and ‘ingredients’. Changnyeong onion showed higher scores for recognition and preference and rate of purchase experience and intention than for garlic.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for onion and galic were 0.603 (p<0.001) and 0.598 (p<0.001), respectively. The explanation power (R2) of related variables for purchase of Changnyeong onions was 0.258. The regression coefficients (β) for ‘recognition’, ‘preference’ and ‘convenient facility & event contents’ were positive, whereas the regression coefficient for ‘price’ was negative. Recognition, preference, and convenient facility & event contents with garlic purchase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R2=0.253). The most effective promotion method to increase sales of Changnyeong agricultural products was ‘local festivals and events’ (27.8%).
        4,200원
        188.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동굴을 잠자리로 이용하는 동굴성 박쥐의 동면생태에 관한 연구를 위하여 2005년부터 2011년까지 6회의 동면기간 동안 수행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박쥐가 출현된 140개의 동면장소에서 관박쥐, 문둥이박쥐, 검은집박쥐, 긴가락박쥐, 관코박쥐, 대륙쇠큰수염박쥐, 흰배윗수염박쥐, 붉은박쥐, 큰발윗수염박쥐, 물윗수염박쥐, 토끼박쥐등 총 13,288개체를 확인하였다. 동굴성 박쥐 7종의 온도선호도는 종 간 차이를 나타냈다. 동굴성 박쥐 7종 가운데 붉은박쥐의 평균 체온은 13.64±0.76℃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관박쥐와 긴가락박쥐의 평균 체온은 9.19±2.35℃와 7.83±1.94℃였다. 반면 저온을 선택한 관코박쥐의 체온은 2.64±0.98℃, 토끼박쥐는 2.78±0.98℃, 검은집박쥐는 2.76±1.68℃, 물윗수염박쥐는 4.4±1.1℃로 다른 3종(붉은박쥐, 긴가락박쥐, 관박쥐)의 온도선호도와 차이를 나타냈다. 종 간 차이를 나타낸 7종의 체온은 대기온도(Ta)에 비해 암벽온도(Tr)와 밀접하게 상관되었다. 동굴성 박쥐 7종의 동면장소 별 출현된 박쥐의 종 수는 동면장소의 온도특성에 의해 차이를 나타냈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고온특성을 나타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HTR, 동면저의 최저온도가 7℃ 이상)에 출현된 박쥐 종수는 1.44±0.53로 가장 낮았지만,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특성이고 대기온도 범위가 좁은 동면장소(LTR, 최고온도가 7℃ 이하인 곳)에서 출현된 박쥐의 종수는 2.77±1.72였다. 동면장소의 온도가 저온과 고온특성을 모두 포함하는 대기온도 범위가 넓은 동면장소(WR)에서 3.02±1.36종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4,800원
        189.
        2014.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는 주요 수출대상국인 대만의 검역 강화에 따라 수출시장에서의 입지가 많이 위축되어 있으며, 수출 대상국 다변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는 중이다. 현재 식물방역법상 중국으로 사과수출은 불가능한 상황이지만, 한 중 FTA가 실질적으로 타결되고 한 중 일 FTA가 추진되는 등 한국 제1의 교역 대상국인 중국으로의 한국 사과 수출가능성을 타진해 볼 필요성이 제기된다. 또한, 중국인들의 소득 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과일 소비량은 일정 부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소득 수준향상에 따른 고품질, 고가품 등을 선호하는 중국인들의 특성상 고급시장을 형성하고 있는 고소득층도 다수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일본 대지진의 여파 및 중국 내 식품안전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현지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규제 강화 요구 및 중국 내 유기인증제도도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사과의 무역개방에 따른 수출가능성이 잠재되어 있는 중국을 조사 대상국가로 설정하고 중국 소비자들의 식품안전성에 대한 요구 및 선호도 조사를 위해 국가별 유기인증을 활용하였다. 유기인증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중국 소비자의 한국, 중국, 일본 3개국의 사과 원산지별 유기인증 에 따른 국가별 선호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선택형 실험을 이용하였고, 298명의 북경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다항로짓모형을 추정하였다. 모형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한국산 가격, 일본산 가격, 한국산 등급, 일본산 등급, 한국인증, 한국+중국인증, 일본인증, 일본+중국인증, 성별, 연령, 월 평균 가계소득에 대한 계수의 추정치가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 유의성을 가진다. 일본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한국산 사과의 등급이 높을수록 일본산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이 올라가며, 한국산 사과가 한국인증을 받거나 한국+중국인증 받을 때 일본산에 비해 한국산을 선택할 확률이 증가한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월 평균 가계소득이 높을수록 일본산과 비교해 보았을 때 한국산 사과를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한국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일본산 사과의 등급이 높을수록, 일본산 사과가 일본인증을 받거나 일본+중국인증을 받았을 경우, 여성인 경우에 일본산 사과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은 감소한다. 한국산 가격, 중국산 가격, 한국산 등급, 중국산 등급, 중국인증, 한국인증, 한국+중국인증에 대한 계수의 추정치가 5%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다. 중국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한국산 등급이 높을수록, 한국인증 및 한국+중국인증을 받았을 경우 중국산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이 증가한다. 반대로 한국산 사과의 가격이 높을수록, 중국산 사과의 등급이 높을수록, 중국인증을 받았을 경우 중국산 사과에 비해 한국산 사과를 선택할 확률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국가별 유기인증 결합이 각 원산지 국가별 점유율에 미치는 한계효과는 한국산이 한국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 한국산 사과의 점유율을 11.9% 증가시키고 일본산의 점유율은 7.2% 감소시킨다. 또한 한국산이 한국과 중국에서 모두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 한국산 사과의 점유율은 15.9% 증가하며, 일본산의 점유율은 14.1% 감소시킨다. 한국에서만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보다 한국과 중국에서 유기인증을 받을 경우 점유율이 4.0% 더 증가한다. 이는 한국 유기인증뿐 아니라 중국의 유기인증을 동시에 받을 경우 사과수출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따른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이 나타난다. 첫째, 한국과 중국의 유기인증이 효과가 있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보여주고 있으므로, 중국 유기인증 획득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정부는 대중 수출농가들에게 한국과 중국의 유기인증 제도에 대해 홍보할 필요성이 있다. 둘째, 일본산 유기인증뿐 아니라 일본산 사과의 일본+중국 유기인증 획득 시 시장점유율의 증가 폭은 한국산에 비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중국인들이 일본 농식품의 안전성을 더 높이 평가하고 있음을 유추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제고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한류를 홍보 수단으로 적극 활용해 한국 농식품에 대한 이미지를 제고해야 할 것이다. 셋째, 한국산 친환경식품 중에서 구매의향이 있는 품목은 과일류, 채소류, 전통가공식품 등의 순으로 나타나, 향후 한국산 사과가 중국 시장에 수출되었을 경우, 잠재적 수요계층이 존재한다는 것을 반영한다. 하지만 한국산 사과의 경우 중국산과의 가격경쟁력 및 일본사 사과와는 품질경쟁력에서 뒤쳐지는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품질 향상을 위한 기술적 지원 및 유기인증 시스템의 국제적 기준을 고려한 정책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190.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는 부정감정인 좌절에 주목하고, 좌절감정을 유발시키는 원인을 탐색하였으며, 좌절한 소비자가 좌절 을 극복하는 과정을 식별하고, 또 제품을 선택하는 경우에 디자인의 심미성 선호도의 제품선택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좌절은,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있을 때 느껴지는 분노와 다르게, 목적달성의 실패가 확실하 고 실패의 원인이 소비자가 통제할 수 없는 환경요인에 있을 때 느끼는 것으로 탐색되었다. 둘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재도전을 통해 실패상황을 적극적으로 극복하기 보다는, 자신의 실패상황에 대한 감정적 지지와 위로를 가까운 지인으로부터 받아서 실패상황을 감정적으로 극복하려 한다. 셋째, 좌절을 느낀 소비자는 제품의 선택 에서 제품의 디자인이 강조심미성 보다는 조화 심미성을 느끼게 할 때에 더 선호한다. 따라서 마케팅관리자가 좌절을 느낀 소비자에게 자신의 제품을 소구할 때에 제품 디자인에서 강조원리보다 조화의 원리에 의한 접근이 필요하다.
        4,600원
        19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제품 이미지에 대한 선호 반응에 있어서 뇌의 반응 패턴의 특징을 파악하고, 피험자가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평가한 선호도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하나씩 별도로 제시된 제품 이미지에 대하여 느끼는 인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뇌파 측정을 통한 쾌적도를 산출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피험자가 모든 제품 이미지를 일시에 비교하며 선호도를 직접 평가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실험을 ‘독립적 인지 반응’이라 하고, 두 번째 실험을 ‘상대적 인지 반응’이라고 할 때 그 반응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독립적 인지 반응’에서는 자신의 경험에 의해서 축적된 정보와의 비교에 의하여 절대 가치로서의 감정 상태 를 표현하게 되며, ‘쾌’ 또는 ‘불쾌’라고 하는 감정이 절대적 가치로서 지속된다. ‘상대적 인지 반응’에서는 이미 지를 인지하는 단계에서 비교되는 다른 이미지 정보와의 상대적인 감정 상태를 표현하게 되며, 이때에는 ‘진정’ 이나 ‘흥분’에 해당하는 감정 상태가 상대적 가치로 작용한다.
        4,000원
        192.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온라인 쇼핑을 이용하는 사람들의 수는 시간이 지날수록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오픈마 켓은 가장 각광받고 있는 온라인 시장이다. 현재 오픈마켓은 너무 많은 상품들로 인해 고객들이 원하는 상품을 찾을 때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오픈마켓은 효율적인 상품을 제공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를 개선해 야 한다. 본 연구는 국내 오픈마켓 주요 4사의 메인 화면을 기준으로 웹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였고, 분석요인에 대한 만족도 평가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고객들이 어떠한 요인을 선호하는지에 대해서 알 수 있었으며, 설문 응답자로부터 가장 높은 만족도를 얻은 오픈마켓과 응답자들의 선호 요인이 인과관계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4,000원
        193.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 성인의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이다. 숲과 숲길의 선호도에 대한 수요자 선호를 파악하여 보다 표적화되고 차별화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잠재 수요자인 일반 성인 남 여를 대상으로 2014년 4월 19일부터 6월 30일까지 온라인 설문으로 숲과 숲길의 선호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613부의 유효표본이 실제 분석에 사용되었다. 자료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다중응답분석을 통해 인구통계학적 특성(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른 숲과 숲길의 선호도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 결과, 선호하는 계절의 숲은 봄, 가을, 계절 상관없음, 여름, 겨울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 연령,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상태의 숲은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장소로서 선호하는 숲은 자연휴양림, 치유의 숲, 도시숲, 공원, 학교숲 순으로 응답하였다. 거주지로부터 프로그램 장소까지의 거리에 따른 선호하는 숲을 조사한 결과 모든 경우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게 나타났다. 숲길의 형태에 관해서는 약간의 경사가 있는 길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산림치유 목적으로 1회 걸을 때 선호하는 숲길의 길이는 1.5~3km, 1.5km이하, 3km 이상 순으로 나타났고, 성별과 연령, 교육, 월평균 가계 소득, 교육에 따라 선호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일반성인의 숲과 숲길조사를 통하여, 성별, 연령, 교육수준, 직업, 월평균 가계 소득에 따라 숲과 숲길에서의 프로그램에 차별성을 두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연령에 따라 차별화된 프로그램이 제공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분석 결과가 성인을 대상으로 하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4,000원
        19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벼 생태형별 자포니카 1품종, 인디카 1품종 및 통일형 2품종에 대하여 아프리카인들이 선호하는 쌀의외관품질과 밥맛을 평가하기 위하여 한국인의 선호도와 비교하여 수행되었다.1. 쌀 외관품질 항목 중에서 패널로 참여한 아프리카인이 선호하는 쌀의 외관품질은 쌀의 길이>향>모양 순이었으며, 반면 한국인은 쌀의 외관 > 쌀의 길이 순이었다. 품종별 선호도에서 아프리카인은 인디카 태국 수입쌀을, 한국인은 자포니카하이아미를 가장 선호하였다. 따라서 아프리카인은 장립이면서 향이 나는 쌀, 한국인은 단원립이면서 완전미율이 높은 쌀을 선호하였다.2. 아프리카인 패널을 대상으로한 밥맛 선호도 평가결과 품종간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반면 한국인은 하이아미>다산1호=한아름>인디카 쌀의 순으로 뚜렷한 선호도를 나타냈다. 한국인대상의 선호도에서 차이가 뚜렷했던 자포니카와 인디카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자포니카인 하이아미를 선호한패널은 카메론, DR 콩고, 탄자니아인 이였으며, 반면 우간다,말리 및 나이지리아인 패널은 인디카인 태국 수입쌀을 선호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그 외 케냐, 말라위, 가나, 수단인 패널은 자포니카와 인디카 품종간에 유사한 선호도를 보였다. 3. 향후, 아프리카 국가별 밥맛 선호도 차이 여부에 대하여다양한 분야의 적정 수의 패널과 현재 아프리카 국가별 소비자가 선호하는 쌀 품종을 포함하여 다양한 품종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195.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comparative analysis, using the SPSS 17.0 program for a survey conducted from March to July 2013, on the level of perception and preference factors of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Virginia, USA(89 male and female adults of 20 years of age or above). For the information on the degree of obesity, a survey was used and the subjects provided with their heights and weights. The researcher used this data to calculated their BMI and distinguished the degrees of obesity. For the BMI, the obesity diagnosis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was used for Koreans, and the WHO's obesity diagnosis on adults were employed for Americans. First, regarding the Korean participants, the level of obesity appeared in the order of normal (79.6%), overweight (14.3%), and underweight (6.1%). Also, the level of perceptions of their health conditions appeared in the order of average (51.7%) and good (34.7%). No one perceived their health to be in poor condition. Meanwhile, for the American participants, the order was as follows: overweight at about 45%, normal weight at about 35%, obesity at about 12.5%, and underweight at about 7.5%. In terms of the level of perception of health during ordinary times, about 55% of the American participants answered that they are in good health. Therefore, the Americans were found to perceive their health to be in relatively better condition than the Koreans residing in the USA. Also, concerning the level of interest in health while eating food at ordinary times, the American participants were discovered to be more interested (about 62.5%) than the Korean participants. The research on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was conducted as a survey, and the subjects were asked to choose an item according to their subjective feeling. Regarding the preference for salty taste, both Koreans and Americans residing in the USA responded as moderate. However, a higher proportion of Americans than Koreans responded to favor salty taste. Concerning the reason for their preference for salty taste, Koreans responded with various reasons whereas Americans mostly responded that it is because they eat salty food frequently. For any changes in dietary behavior related to eating salty food, both Korean and American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amount of their daily intake of salt is appropriate and that they consider taste as most important in selecting a snack. Based on the above data,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dicate a need for actual improvement in the diet with regard to salty food along with diverse policies for promoting life with a low salt diet in future.
        4,000원
        196.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2013, for the 130th anniversary of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s between Korea and Germany as well as the 50th anniversary of the dispatch of Korean workers to Germany, a surve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s related to Bibimbab was carried out among students in Bayreuther, Germany majoring in hotel management who had not tried Korean food before. As part of the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10 different foods that Germans might like were prepared, and the survey took place after food tasting. In the results, 44% of students noted that their first impression of Bibimbab was good, and impression was more favorable after tasting than before. The preference for nine foods other than Bibimbab was in order of Kimchi, Bulgogi, Mandu, Modum-jeon, Samgyetang, Gimbab, Japchae, Tteokbokki, and Sangchu-muchim. Students liked Bibimbab due to its healthiness, and most students showed interest in Korean food after tasting Bibimbab. To improve Bibimbab, most students answered diversifying sauces.
        4,000원
        197.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any examples of sub-optimal decisions in the marketplace have captivated the attention of media, business institutions, and public policy in recent years. For instance, the sub-prime mortgage crisis in the United States that led to the 2008 recession, the insufficient health care architecture that bolsters the debates among US houses on health care reform, and the problem of food epidemic resulting in obesity and various other health-related problems among the growing number of young people worldwide. Despite these examples, more work is needed to learn about the processes that contribute to better decision outcomes among the market participants. In all of these instances, decisions must have some objective quality (e.g., the probability of choosing the optimal choice) and not just subjective quality (e.g., feeling confident or satisfied). In light of the ever-increasing use of handheld devices (e.g., tablets and smart phones) and the expanding digital media sources to access marketplace information, there is a proliferation of global visual culture (e.g., Pinterest, Instagram, Facebook, etc. See for example: Walter, 2012). Thus, it is important to examine the effects of two major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s – visual vs. textual – on consumer decision outcomes. This paper focuses its research question on examining the effect of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s on consumer decision outcomes in complex choice environments (e.g., financial products). Using construal level theory (Trope & Liberman, 2003; Trope & Liberman, 2010),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information presentation formats (visual vs. textual) on a set of credit card products. Preliminary analysis reveals that significantly more participants opted for the textual information format for choosing a credit card offer. However, there is no difference in participants’ readiness and ability to make a choice based on the information format in the context of credit card offers. In addition, there is a non-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who felt ready to make a choice based on the information in their chosen format, and those who stated unable to make a choice. The seemingly apparent reason for this weak support for the visual effect in this study is the population of the sample. The participants were junior or sophomore students, 84 percent of whom aged between 20 and 22 years old. In a further examination of why participants felt unready/unable to make a choice, they stated the strong necessity to consult with parents, desire for more research and understanding, and the (lack of) usefulness of having a credit card for daily usage in their stage of life.
        198.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reference Reversal and Discounting Everyone has experienced “procrastination”, for example, in the context of diet, quitting smoking, doing homework, etc. Despite a desirable goal in the long term perspective, people often divert their course for a minor gain of immediate future. “Marriage blue” is a typical example of such preference reversal along a temporal dimension. Wedding seems so desirable when it is planned. But as the wedding date approaches, one starts to focus minor issues in reality and becomes hesitant to get married. Such preference reversal along a time dimension has been considered as irrational behavior, and is often referred to as present bias or time inconsistency. Fields of Behavioral Economics and Behavioral Decision Theory try to explain the phenomenon using “discounting” along a time axis. Previous research has shown three well-known properties of “discounting over time”. (1) Invalidity of exponential discounting A discount rate is not constant, but decreases rapidly at first and later more gradually. (2) Amount effect A discount rate is larger for a small amount of money than for a large amount. (3) Sign effect A discount rate is larger for gain than for loss. The first property is used to explain “procrastination”. Exponential discounting, which assumes a constant discount rate over time, cannot explain the phenomenon because two utility curves, one for a large gain in further future and the other for a small gain in near future, never cross each other over time. On the other hand, hyperbolic discounting, with a declining discount rate over time, permits the crossing, thereby explaining “procrastination”. How about “marriage blue”? Unfortunately, neither exponential nor hyperbolic discounting can explain this phenomenon. By interpreting the initial desirability as gain and the minor issues as loss, the sign effect cannot explain the reversal, either. Perhaps more complicated discounting models are necessary. However, there exist many criticisms and complications for introducing complex discounting models. Construal level theory (CLT) with a minor twist can explain “marriage blue” in a simple manner, as will be shown. What is Construal Level Theory (CLT) ? CLT, which has been receiving increasing attention in Social Psychology and Consumer Behavior Studies, posits that people’s evaluation toward items and incidents differs by the psychological distance between oneself and the object. When the distance is close, people mentally construe the object in terms of low-level, detailed, and contextualized features. In contrast, when the distance is far, they construe the same object in terms of high-level, abstract, and stable characteristics. Such difference in mental construal leads to different evaluation and behavior, and thus preference reversal. Fiedler (2007) discusses different types of psychological distances, including temporal, spatial, social, certainty-related, informational, experiential, affective, and perspective distances. Using these general notions of “distance”, CLT becomes a powerful tool to explain various preference changes. Along social distance, choice of souvenir can differ whether it is for a work supervisor or for a family member. Along spatial distance, excitement toward bungee jump in the birth country of New Zealand when leaving airport in Tokyo can change to uneasiness when arriving at Oakland airport. Along experiential distance, an advanced medical treatment, which seems attractive from an outsider’s viewpoint, can change to anxiety for risk and side effect when you are the one to receive. Because “discounting” is used to explain preference reversal with varying time distance, it is rather natural to introduce this idea into CLT with appropriate adaptation. First, discounting applies not only to time distance but also to psychological distance in general. Then, the second property, “the difference in discount rates between low versus high amount of money” shall be translated to “the difference in discount rates between low versus high construal levels”. This conceptualization, which I refer to as GCLT, can explain “marriage blue” in a straightforward manner, when the high and low construal levels of wedding are interpreted, respectively, as the initial motive and the detail issues. Generalized Construal Level Theory (GCLT) Let us summarize the three propositions of the generalized construal level (GCLT). (1) [Generalization of distance] “Discounting” applies to psychological distances including time. (2) [Amount effect] Discount rate varies depending on the construal level: the higher the construal level, the smaller the discount rate. (3) [Sign effect] Discount rate is smaller for loss than for gain. The relationship between GCLT and CLT are as follows. 1) GCLT models the consequences of CLT using the idea of discounting. It does not mean GCLT can explain what CLT cannot. 2) GCLT introduces the notion of gain and loss into CLT. 3) While CLT usually discretizes the construal level (high vs. low), GCLT regards the construal level as continuous by nature. By modeling the input and output of CLT, GCLT bypasses the complicated and arguably controversial inner mechanism/process of human perception. GCLT can predict preference and behavior shift more easily as distance varies. There is no need to specify the functional form of discounting, such as exponential or hyperbolic. When the distance is limited to time and the construal level is limited to monetary amount, GCLT becomes consistent with the ordinary “discounting” of BDT, as it should. Empirical Studies The survey asks participants to choose one of two lotteries with the same expected return: one with a higher prize amount and the other with a higher winning probability. The reason for selecting a lottery is that attributes resulting in high and low construal levels are clearly defined and same for everyone. Previous research found that, in lottery choices, prize amount and winning probability lead to high and low construal levels, respectively. In other context, it is often ambiguous what attributes result in high and low construals. Moreover, such attributes can differ by people. We investigate how lottery choice changes when the psychological distance with the subject varies. We manipulate time distance through a lottery whose outcome is announced either tomorrow (short) or one month later (longer). We manipulate social distance through a lottery which is purchased either for yourself (short) or for a prize in a party at work (long). Proposition 1 The survey asks a respondent to choose either Lottery A or B, both of which have the same expected winning outcome of 1,000 yen. A half of the sample are asked to consider two cases of time distance (tomorrow and one month later), and the other half are asked to consider two cases of social distance (for yourself and for a prize in a party at work). The design is a within-sample study. The paired McNemar test is conducted to statistically check whether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valuing prize amount (high construal) over winning probability (low construal) varies by distance. The result confirms the prediction by CLT, in which, for both time and social distances, respondents’ construal levels are higher when the distance is far and vice versa. Proposition 2 A respondent is asked to choose either Lottery A or B when Lottery R, an originally intended for purchase, is unavailable. Both Lotteries A and B have the same gain or loss in expected outcome of 1,000 yen. The difference is whether the gain or loss is due to the change in the prize amount or the winning probability. A half of the sample are asked to respond to two cases of time distance (tomorrow and one month later), and the other half are asked to respond to two cases of social distance (for yourself and for a prize in a party at work). Again, the design is a within-sample study. The paired McNemar test is conducted to statistically check whether the proportion of respondents valuing prize amount (high construal) over winning probability (low construal) varies by distance. The result shows that, for social distance, the respondents’ construal levels are higher when the distance is far and vice versa, under both gain and loss. It implies higher discount rate for a low construal level. For time distance manipulation, however, changing distance did not result in the construal level change under either gain or loss. Proposition 3 A respondent is asked to choose either Lottery A or B with the same expected winning outcome when the distance is far. The survey then asks whether she would switch from her initial choice when the distance becomes close. Switch from Lottery A to B trades off the loss in prize amount over the gain in winning probability. Likewise, switch from B to A trades off the gain in prize amount over the loss in winning probability. According to GCLT, switch is likely to occur from A to B but not in the other direction. This is because discounting of a high construal level (prize amount) in loss is small whereas discounting of a low construal level (winning probability) in gain is large, the net of the loss and the gain is likely to result in sign reversal as the distance becomes close. The chi-square test is conducted to statistically check whether the proportions of respondents switching from A and from B are the same. The result shows that, for both time and social distances, there are more switches from A to B than from B to A as the distance becomes close, thereby supporting Proposition 3. Conclusions Using two samples, students and web users, the survey study largely supports the three propositions of GCLT. The only exception is the amount effect in time distance. Our study could not confirm it using neither students nor web users.
        3,000원
        199.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presents a research study into urban adult Chinese consumers’ preferences in China with an analysis of the literature on country of origin effects on consumer brand preferences. The study implemented a mixed methods approach. Analysis of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ith results and conclusions are given.
        4,600원
        200.
        2014.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Subjective knowledge (SK thereafter) is defined as what consumers think they know, or their perceived level of knowledge (Brucks, 1985). SK influences what consumers search for, the effort that they put into searching, and the purchasing decision and choice of brands they finally make (Hadar, Sood, & Fox, 2013; Moorman, Diehl, Brinberg, & Kidwell, 2004). The existing literature on consumer knowledge development mainly argues that SK development is associated with consumers’ product related experience, such as product ownership and experience from usage (Alba & Hutchinson, 2000; Park, Mothersbaugh, & Feick, 1994).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as follows. We consider a broad market segmentation where the market consists of product owners and non-owners, The literature suggests that these two groups of consumers should have different levels of perceived knowledge due to their different product-specific experience (Park et al., 1994). Our research specifically contends that it is important to distinguish, within the group of non-owners, between those who intend to buy and those who do not intend to buy the product. Thus, this study examines how previous ownership and intention to buy, which is the goal motivation, influence the SK levels of consumers, which in turn impacts on consumers’ heterogeneous preferences for different attributes within a product category. It is contended that the motivation to learn about a product category of non-car owners who have strong intentions to buy influences what this group learns compared to those non-owners who do not intend to buy. More specifically, the research proposes to uncover how learning influences how different groups of consumers perceive their subjective knowledge and how this relationship in turn shapes their preferences, especially when we compare owners and non-owners who have strong intentions of buying a product. Therefore, we develop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H1: The SK lev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 product ownership experience. H2: The SK lev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purchase intention. H3: The relationship between purchase intention and SK level is moderated by the ownership of the product. H4: Preference heterogeneity for different types of brand attributes of the product between owners and non-owners is moderated by the SK level. The empirical context that illustrates the importance of this research is the Chinese car market where the majority of consumers are first time buyers. Our research shows that the SK level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both car ownership and purchase intention. Furthermore, the segmentation analysis finds that purchase intention has a significant effect only on non-car owners’ SK level, while the effect on car owners’ SK level is insignificant. An interesting finding is that SK development, in turn, influences consumer’s preferences for different types of brand attributes of a product. We demonstrate the role of SK in forming consumer preference heterogeneity by comparing preferences for a tangible and a non-tangible brand attribute respectively across different consumer segments. We further show how this preference heterogeneity across two consumer segments (car owners versus non-car owners) depends on their SK level.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generalized beyond the specific context of the empirical study of the Chinese car market when marketers are considering new products launch or launching products where the majority of consumers may be unfamiliar with the produ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