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7

        181.
        2012.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Peppers (Capsicum spp.) with pungent (chili, hot pepper) and non-pungent (sweet pepper, bell pepper, paprika, capsicum) fruits are important spice and vegetable crops worldwide, especially in many developing countries of Asia and Africa. Among the five cultivated species of the genus Capsicum, C. annuum L. var. annuum is the most widely cultivated; over the past 25 years, AVRDC – The World Vegetable Center has focused on improving this commonly grown species. Other domesticated species also have been used as resistance sources against biotic stresses in breeding programs to improve C. annuum (for example, C. chinense and C. baccatum resistant to anthracnose). The major focus of the Center’s pepper breeding activities has been to identify and use host plant resistance to many biotic stresses, including viral (Cucumber mosaic virus, Chili veinal mottle virus, Potato virus Y, Tomato mosaic virus, geminiviruses), fungal (Phytophthora wilt, anthracnose, mildews) and bacterial (bacterial wilt, bacterial spot) diseases. The Center disseminates seeds of improved lines to cooperators in developing countries (usually public and private sector breeders), who make use of the germplasm in various ways: (i) direct release of supplied breeding lines as varieties through national varietal release procedures, (ii) reselection among the supplied populations according to local trait preferences and subsequent release as new varieties, (iii) use of supplied materials (possibly after further selection) as parental lines in hybrid breeding, and (iv) use in crosses in breeding programs. Examples from these categories will be presented.
        182.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n experiment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effect of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of the baby leaf vegetable, specifically tah tasai Chinese cabbage (Brassica campestris var. narinosa). The effect of mechanical brushing during cultivation on the postharvest quality was determined in terms of the quality changes in weight loss, gas partial pressure, leaf color, and appearance during storage using a 30-㎛-thick polypropylene film at 16℃. The brushing treatment included brushing with A4 paper back and forth 50 times a day. The study revealed that the growths on the brushing-treated plant group were less than those on the control group. The structure of the leaf tissue of the brushing-treated plant also tended to be less compact than that of the non-treated plant. The brushing treatment resulted in less growth and denser plant tissues as well as in differences in the gas O2 consumption and CO2 accumulation after packaging. For the gas partial pressure, the O2 consumption and CO2 accumulation of the brushing-treated plant tended to be less than those of the non-treated plant. There were no differences, however, between the brushing-treated plant and control groups in the SPAD value and appearance. The study results also suggested that after packaging, the effects of the brushing treatment during cultivation on the quality of the tah tasai Chinese cabbage baby leaf vegetable was not significant. As such, it is recommended that effective post-harvest methods of improving the product quality of the baby leaf vegetable be further investigated.
        183.
        2012.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 of the packing methods for enhancing the shelf life and improving the postharvest quality of the tah tasai Chinese cabbage baby leaf vegetable was studied during storage. Fresh baby leaf vegetables were packed in four commercial packaging types: (1) a non-perforated bag with a 0.03-mm oriented polypropylene (OPP) film; (2) a perforated bag with 1.0-mm-diameter holes on an OPP film; (3) a 0.40-mm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container with a hinged lid; and (4) an expanded polystyrene (EPS) tray wrapped with a 0.02-mm polyvinyl chloride (PVC) film. The quality parameters, such as the weight loss, moisture content change, color difference, and appearance of the baby leaf vegetables were investigated. The baby leaf vegetables in the PET container and in the non-perforated OPP film bag showed relatively low weight loss, high moisture content, and good external appearance compared to those in the EPS tray and in the perforated OPP film bag during limited storage periods, at 16oC.ThePETcontaineralsoprotectedthebabyleafvegetablesfromphysicaldamage.Thestudyresultswillenabletheselectionofabetterpackagingsystemforextendingthefreshnessandincreasingthemarketabilityofbabyleafvegetables.
        184.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seawater on growth of fettuce(Lactuca sativa L.), leaf perilla(perilI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 red pepper(Capsicum annuum L.) and cucumber(Cucumis sativus L.) seedlings were investigated in the glass greenhouse. These effects were studied on seedlings, and diluted seawater (1%, 5%, 10%, 20%, 50%, 100% v/v) was sprayed enough on feaves. The tested four vegetable crops have well grown up to 10% diluted seawater, but the tested vegetable crops were damaged from increasing salt levels. Of these, lettuce was provided salt-tolerant vegetable crop and red pepper was considered salt-sensitive vegetable crop. The salt tolerance of vegetable crops is different between crops and complicated because of additional detrimental effects caused by accumulated ions or specific ion toxicities in their leaves. These results show that agricultural use of seawater may be benefit crop cultivation in organic farming system as well as in conventional farming system.
        185.
        201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이용 실태 파악과 문화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대 남성 143명과 여성 148명을 대상으로 산채류에 대한 인식, 식별능 및 식용경험 유무를 조사하였다. 산채류에 대한 20대들의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남성들은 51.1% 이상이, 여성들은 39.1% 이상이 좋아한다고 응답하였다. 산채류를 좋아하는 이유로는 ‘몸에 유익한 성분이 많다’와 ‘무공해 식품이다’가 높게 평가되었으며, 싫어하는 이유로는 ‘맛이 없다’와 ‘쓴맛이 강하다’였다. 오일장에서 유통되는 산채류 32종류에 대해 5점 척도법으로 조사한 결과 이름의 인지정도에 대해서는 11종류에 대해, 아는 정도에 대해서는 6종류에 대해 ‘안다(4.0) 수준 이상으로 평가하였다. 전체 응답자 중 80% 이상이 구별할 수 있다고 응답한 산채류와 식용경험이 있다고 응답한 산채류는 각각 6종류(고사리, 도라지, 미나리, 부추, 쑥, 죽순)와 8종류(고사리, 냉이, 달래, 더덕, 도라지, 미나리, 부추, 쑥)로 18.8% 및 25.0%를 차지하였다. 이와 같이 조사된 결과를 감안할 때 산채 이용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산채류에 대한 유통개선과 함께 이용문화에 대한 교육 확대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88.
        2010.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풋콩용 신품종 ‘상원’은 1997년 황색 대립이고 극조숙인 큰 올콩을 모본으로 하고 일본에서 도입된 Oshimamidori가 교배된 조합이다. 1998년부터 2002년도에 걸쳐 F1 - F5세대를 계통육종법으로 전개하여 풋콩 특성이 유망하여 선발된 YS1309- 2B-4-1-1 계통으로 생산력검정시험에서 수확시기가 빠르고 도복에 강한 대립 풋콩 다수성 계통으로 유망하여 선발된 밀양154호이다. ‘상원’의 그 주요특성은 다음과 같다. 1. 유한신육형이며
        189.
        2010.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산채 자원의 이용문화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 측면에서 2010년 3월부터 6월 중순 까지 도⋅농복합지역인 전남 광양시 5일장에 출하된 신선 나물류의 유통실태를 조사하였다. 5일장에서 신선 산채류를 판매하는 곳은 100-132개소였다. 출하된 품목 수는 산채류 31종류, 나물용 채소류는 13종류였다. 초장은 쑥, 쑥부쟁이, 씀바귀는 10cm 이하의 것이, 머위, 고사리, 방아풀, 민들레, 방아풀, 미나리, 엉겅퀴, 비비추는 30cm 이상의 것이 많이 유통되었다. 신선 나물류의 유통경로는 채취 및 생산자들이 소비자들에게 직접 판매하는 비율이 81.9-87.7%를 차지하였다. 판매자의 연령대는 61세 이상이 93.0% 이상이었으며, 51세 이상이 97.6%를 차지하였다. 판매처당 판매품목 수는 72.4%이상이 4종류 이하를 판매하고 있었다. 신선나물류의 포장은 84.6% 이상이 플라스틱 용기를 이용하고 있었다. 이와 같이 확인된 산채 이용 문화의 보존과 발전을 위해서는 유통개선과 함께 도시민을 대상으로 한 이용문화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90.
        201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factors influencing the ado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n greenhouse vegetable production of Jeonnam province. An interview survey were conducted during 2008, including six counties: Gwansanku of Gwangju, Gwangyang, Goheung, Damyang, Boseong, and Suncheon. Major crops grown in surveyed area were green peppers, cucumbers, strawberries, cherry tomatoes, tomatoes, and watermelons. Logit model results show that adopters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extensional education programs, attend educational programs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have greater cultivated acreage, and have larger agriculture-only-designated farmland. However the adopters are less likely to have greater number of family members participating in farming, and live Goheung county. Efforts should be made in extensional education programs to lead more vegetable growers to adopt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Policy makers’ additional efforts should be followed to increase adoption rate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e in lower adopted areas.
        191.
        2010.04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비가열 신선 과채음료 6종에 대한 250~350 MPa 범위의 중고압 처리에 따른 미생물 개체수, 비타민 함량, 관능적 특성 변화 측면에서 권장 유통기간 3일 동안의 품질 안정성 확보 및 유통기간 연장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초기 미생물 개체수가 g당 이하로 유지되는 채소 및 과일 원료에 있어서 온도 , 습도 55~60% 가 유지되며, 낙하균과 부유균의 미생물이 각각 CFU/plate, 의 수준으로 관리되는 신선 음료 생산 현장의 경
        192.
        200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피부노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타입 I 콜라겐 생합성 저하 및 피부 진피세포의 증식 활성 감소를 들 수 있다. 효과적으로 피부노화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안전하면서도 효능이 우수한 소재를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진은 항노화소재를 스크리닝하였고, 완두콩과 밀 펩톤이 성체줄기세포의 세포증식을 증가시키는 효능을 관찰하였다. 완두콩과 밀 펩톤을 포함하는 식물성 펩톤은 다양한 크기의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어 세포배양 시 첨가해 주면 영양공급원이나 growth factor로 세포 성장과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간 진피섬유아세포를 이용하여 완두콩과 밀 펩톤이 세포증식 및 콜라겐합성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작용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세포증식 실험에서 완두콩과 밀 펩톤은 유의성 있게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증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인간 COL1A2 프로모터 루시퍼라아제와 타입 I 프로콜라겐 생합성 실험에서 완두콩 및 밀 펩톤이 COL1A2 프로모터의 활성화를 통해 타입I 프로콜라겐 생합성을 촉진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GF-β1 루시퍼라아제 리포터 실험과 TGF-β1 ELISA 실험에서는 완두콩 및 밀 펩톤이 TGF-β1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한다는 사실을 관찰하였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완두콩 및 밀 펩톤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기전이 TGF-β신호와 관련이 있음을 제시하였다. 즉, 완두콩 및 밀 펩톤은 TGF-β1의 발현촉진을 통해 콜라겐 생합성을 유도함을 유추할 수 있다. 완두콩과 밀 펩톤을 포함한 로션을 인체피부에 4주 동안 도포하여 피부자극을 관찰한 결과, 어떠한 부작용도 관찰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종합해 볼 때 완두콩 및 밀 펩톤이 피부자극이 없으며 피부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는 소재로 사용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194.
        200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Nokwon, a new cultivar for vegetable soybean,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Keunolkong and Hyangnam-1 and released in 2006. The pedigree of Nokwon, designated as Milyang 153 in 2003, was SS96425-2B-11-4-1-1-1. Nokwon, used as a vegetable soybean was characterized by dark green pod, large seed, very short plant height, and lodging resistance. Nokwon has determinate growth habit, white flowers, gray pubescence, oval leaf shape and brown pods at maturity. The mature seeds have a greenish yellow seed coat with brown hilum and yellow cotyledon. In Korea, Regional Yield Trials (RYT) for vegetable soybean from 2004 to 2006, Nokwon shows strong tolerance to soybean mosaic virus and lodging in fields. Fresh pods of Nokwon harvested at the beginning of August, and stem height was 11cm shorter than 45 cm of Hwaeomputkong. In the same tests, fresh pod of Nokwon (11.4 ton/ha) yielded 14% higher than Hwaeomputkong (10.0 ton/ha). Nokwon had 5.9 cm fresh pod length, 13.1 mm fresh pod width, 75.4 g seed weight per 100 green seed, 39.4% green seed protein content, and 17.3% green seed oil content.
        195.
        2008.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유채의 새싹 발아와 생리활성에 효과적인 영향을 미치는 LED 광질 종류를 구명하기 위해 청색, 녹색, 적색, 백색, 황색, 적색+청색광을 발광 14시간, 암조건 10시간, 주간 25℃, 야간 18℃로 조절하여 종자 발아와 새싹을 생장을 시켰다. 생리활성 조사는 새싹을 메탄올로 추출한 것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종자 발아율과 발아속도는 광질에 관계없이 3일 만에 100% 발아 되었다. 파종 후 6일째의 신선중은 녹색광과 백색광에서 각각 0.339g/10plants 및 0.339g/10plants로 높았다. 새싹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적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72.5 및 70.9mg·L-1로 많았다. 전자공여능은 추출물 2,000mg·L-1일때 청색광과 백색광 처리구에서 각각 90.0 및 90.3%로 높았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적색광 처리구에서 57.4mg·L-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Tyrosinase 저해 활성은 녹색광 처리구에서 22.5mg·L-1로 가장 많이 나타났다.
        196.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A new peanut variety “eonan”(Arachis hypogaea ssp. hypogaea L.) was developed at the Yeongnam Agricultural Research Institute, NICS, in Milyang in 2007. It was developed from the cross between the erect short stem cultivar “P9128” and the high-yielding cultivar “aekwang” “eanan”which is Virginia plant type has 18 branch number per plant with early maturing and long-ellipse shaped large kernel. Each pod has two grains with brown testa and 100 seed weight was 87 g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RYT). Especially this variety has resistance to lodging owing to short stem. The free sugar and tannin content of fresh peanut are 3.7% and 0.48%, respectively, similar to check variety. In the regional yield trials “eonan”was outyielded than check variety by 14% with 8.59 MT/ha for fresh pod and by 7% with 3.75 MT/ha for grain.
        197.
        200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들어 콩을 채소처럼 먹을 수 있는 풋콩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여 그동안 풋콩 전용품종들이 개발 보급되어 왔으나 대부분 조생종인 하대두(올콩)형이었며, 과거 우리 선조들이 이용했던 검정 및 갈색 종피를 가진 유색콩을 재배하여 종실에 착색이 시작되는 성숙시(R7 단계)에 수확, 9 10월 추석 송편속이나 밥밑용으로 이용하는 풋콩품종은 적었다. 따라서 콩의 국내 자급율 향상과 이용도를 다양하게 확대할 목적으로 9 10월경 수확할 수 있는 적합한 품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유색콩 품종들의 생육 및 수량을 포함한 풋콩 특성을 비교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유색 장려품종 6개와 재래품종 3개 등 9품종을 공시하여 발아특성을 비교한 결과 출아는 립중이 무거울수록 지연되는 경향을 보였으나 출아율은 유의차가 없었다. 2. 수확기는 검정올콩이 7월 30일로 가장 빨랐으며, 논산재래가 10월 21일로 가장 늦은 극만숙종이었다. 3. 경장은 25~104cm 로 넓은 범위를 보였으며, 아산재래가 104 cm로 가장 커서 도복지수가 높았으며, 검정올콩이 25 cm로 가장 작았다. 4. 개체당 협수는 9~111 개의 분포를 보였는데 가장 많은 품종은 일품검정콩으로 111개이었고 가장 적은 품종은 아산재래로 9개이었다. 5. 풋콩 특성 중 2립협 이상 비율이 높은 품종은 검정올콩이 82%로 가장 높았으며, 황금콩과 검정콩1호가 각각 78%와 73%로 비교적 높았다. 6. 10a당 생협수량은 일품검정콩이 1,567 kg으로 가장 많았으며, 선흑콩 1,468 kg과 갈미콩 1,397 kg으로 많은 수량을 보였다. 따라서 공시된 9품종 중에서 9 10월에 추석 송편속이나 밥밑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것으로 상품성에서는 검정올콩, 황금콩 및 검정콩 1호가 높으나 수량이 너무 낮았고, 수량성이 좋은 일품검정콩, 선흑콩, 갈미콩이 풋콩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라고 판단된다.
        198.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콩의 용도는 메주나 장류 또는 두부로 이용하는 장류콩, 나물로 이용하는 나물콩, 혼반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밥밑용으로 이용되어 왔으나, 최근에는 콩을 채소처럼 먹을 수 있는 풋콩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시험은 풋콩재배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검정용 및 갈색콩 품종들의 풋콩재배시 가지풋콩의 상품성을 향상시키면서 풋콩수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적정재식거리 구명을 위한 실험으로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재식거리는 파종으로부터 개화까지의 소요일수, 수확까지의 소요일수 및 도복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2. 경장은 밀식할수록 증가한 반면 협수, 분지수, 개체당 협수, 분지당 협수, 경협중 및 2+3립협의 비율은 밀식할수록 감소하였다. 3. 풋콩의 크기는 재식밀도간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풋콩의 수확지수는 밀식할수록 낮았다. 4. 밀식을 하면 풋콩의 수량은 증대하지만 경협중, 분지 당 협수 및 2+3립협의 풋콩수량을 고려한 가지풋콩으로의 상품성을 고려할 때 적정재식밀도는 선흑콩과 일품검정콩은 60×25cm , 갈미콩은 60×35cm 이었다.
        199.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대립 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단경 다수성인 ‘CUP brittle’과 조숙인 ‘대광’를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조평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평은 버지니아 초형으로 개화기가 빠르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단경 다분지성이다. 조평은 대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 성숙협비율등 양호한 등숙특성을 보이며 100립중이 87g인 대립품종이다. 도복은 매우 강한 특성을 나타내며 갈반병, 그물무늬병, 흑반병에 비교적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 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조평은 단백질이 30.9%, 기름함량이 43.1%이고 양질지방산중 올레산과 리놀산의 비율이 2.1로 산화안정성이 양호한 특성을 가진다. 조평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전국평균 8.37ton/ha로서 11% 증수되었다. 조평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
        200.
        2008.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간식용 풋땅콩의 선호도가 높음에 따라 대립 양질 다수성 신품종 육성을 위하여 자색종피인 ‘HYQ(CG)S-10’와 다수성인 ‘신광땅콩’을 인공교배하여 육성한 참원의 주요 특성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참원은 신풍초형으로 주경과 분지에서 개화 및 착협하고, 지상부 생장습성은 직립 소분지성이다. 참원은 팔광땅콩에 비해 성숙협수는 같으나 100립중이 90g으로 5g 더 높은 대립품종이다. 갈반병, 그물무늬병은 팔광땅콩 보다 강하고 낙엽율도 낮아 생육후기까지 녹엽 유지에 유리하였다. 참원의 기름함량은 25.8%, 단백질이 31.3%로서 팔광땅콩에 비해 높고, 탄닌함량이 낮고 유리당 함량이 높아 풋땅콩의 품질이 양호하다. 참원은 3년간 지역적응시험 결과 대광땅콩에 비하여 풋땅콩이 전국평균 8.93MT/ha로서 18%, 종실이 3.95ton/ha로서 4% 증수하였다. 참원은 개화가 빠르고 병해에도 강한 편이나 충분한 성숙을 위하여 강원도와 산간 고냉지를 제외한 지역에서 적응성이 높은 품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