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6

        201.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현장에 있는 초등교사의 다문화교육 인식과 실행, 그리고 그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장애요인을 심층적인 사례 연구를 통해 파악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고찰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문화아동을 담임하고 있는 2명의 초등교사를 관찰 및 면담하였으며, 그 학급의 다문화아동과 일반아동도 관찰과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다문화학생을 주류 문화에 동화시키는데 큰 비중을 두고 있는 초보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다문화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행의 모습은 다문화아동과의 경험이 증대함에 따라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으나, 시간부족, 교사의 전문성 부족, 학부모의 무관심, 행정지원 체제의 미비 등의 장애요인에 의해 좌절되기도 하였다. 그러므로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인식과 실행을 변화할 수 있는 다문화교육 교육과정과 연수를 체계적으로 이수할 수 있는 제도의 도입이 필요하다.
        202.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효과적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역할, 예비교사양성과 선발 과정에서 인성교육 강화 방안, 현직교사 인성교육 개선 방향을 제안한다. 교사는 학생들에게 인성의 모델로서 인식되고 학생들의 인성발달을 관찰하여 적절한 처방을 제공하는 인성발달의 주요 행위자이다. 인성교육의 효과적 실행을 위해 교사는 인성과 지식을 조화로운 발달시키는 촉진자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덕적 인성, 시민적 인성, 지적 인성, 수행적 인성을 균형 있게 발달시키는 수업 전문가, 인성발달을 통해 창의성을 발달시키는 수업 설계자, 도덕적 성찰의 모델, 도덕적 문제에 대한 상담자 역할을 해야 한다. 교사를 유능한 인성교육자로서 양성하여 선발하기 위해서는 예비교사 교육 과정에서는 교양윤리 및 시민적 인성 함양을 위한 공동체생활 교육 프로그램 이수, 지적 인성과 수행적 인성 함양을 위한 인성교육 교수․학습 실연 수업 강화, 인성발달에 대한 평가 교육 강화, 생활지도와 수업 실습으로 이원화된 교육실습 등 교원양성정책의 전환이 필요하다. 교사 선발 및 임용에서는 교직적성심층면접의 인성 및 도덕성 평가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 현직교사 인성교육 및 연수에서는 인성 교수․학습 자료 연구․개발 지원 확대, 스마트 인성 교수․학습 자료 개발 인증을 통한 석사학위 취득, 봉사․체험 인성교육 연수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203.
        2013.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교사자격 세부기준의 개정에 따라 교직소양 과목의 하나로 개설된 「교직실무」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육대학에 적용한 사례 연구이다. 이를 위해 교직실무 관련 교재와 타 대학의 강의계획 사례분석을 기초로 교재를 제작하고 강의계획을 수립하여 적용하였다. 교과부고시에 따르면 이 과목은 ‘교사로서의 학습지도 능력 이외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영역을 주제별로 운영토록 되어있으며, ‘교직윤리’, ‘사회변화와 교육’, ‘학생문화’, ‘학급관리와 학생지도’ 등을 포함토록 되어있다. 이 과목은 교직관 형성을 위한 교사론,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학급운영, 그리고 제도적 이해를 위한 학사․인사 등 3개 주제로 구성하였다. 강의방식과 쟁점 관련 토론방식을 병행하였고, 실무실습 보고서 평가와 무감독 시험방식을 병행했다. 수업 후 수강생에 대한 의견조사와 담당교수 간의 협의를 통하여 운영상 문제점을 분석하고 개선 과제를 제시하였다. 교직이론 과목을 비롯하여 교육실습 활동과의 연계 운영의 필요성과 교직실무 과목 내용 구성을 위한 학회 차원의 논의를 제언하였다.
        204.
        2012.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글에서는 일본 대학의 한국어교육의 현황을 교육과정과 교사, 학습자를 중심으로 기술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미래를 전망한다. 주지하듯, 이른바 ‘한류붐’과 2002년 한일월드컵을 기점으로 일본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괄목할만한 성장을 거듭해왔다. 일본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은 10여년전인 2005년 国際文化フォーラム을 통해 대대적으로 실시된 바가 있으나, 최근에는 거의 이루어진 적이 없다. 이번 조사의 결과, <전공한국어> 과정은 현재 약 23개 대학에 설치되어 있으며, <교양한국어> 과정을 설치하고 있는 대학도 전체 대학의 50% 이상을 상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담당교원은 모어별로는 한국어를 모어로 하는 교원이 일본어 모어화자 교원보다 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으며, 전공별로는 일본어 및 일본문학 관련 전공자가, 임용 형태별로는 전임강사의 수가 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학습자의 한국어 학습 동기는 십년 전의 그것과 다를 바 없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의 목적도 ‘여행’이나 ‘단위 취득’을 위해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렇듯,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은 교육과정도 체계적으로 정립되어 있지 못하고, 한국어교육을 전공한 교원의 수도 부족하며, 학습자의 학습 동기도 높지 않다. 따라서 일본 대학에서의 한국어교육의 발전과 활성화를 위해서 연구자들은 이론에 기반한 실천 연구를 통해 그 성과들을 축적하고, 그것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교육의 실제와 접목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205.
        201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유아교육을 전공하는 대학생 4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1학년 2학기에 교육학 강의를 수강하는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학생들이 교육에 대해 좀더 많은 고민과 생각 후에 갖는 생각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기 후반부에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학생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 작성, 내용 명료화를 위한 추가적인 면담을 통해 이루어졌다. 이 연구 결과에 따르면, 예비교사들이 생각하는 다문화 교육의 바람직한 교사상은 아홉가지로 나타났다. 첫째. 세계시민으로서 다문화를 이해하고 다문화 교육에 필요한 다양한 역량을 갖춘 교사, 둘째, 편견과 차별이 없는 교육을 하는 교사, 셋째, 모든 아이에게 지속적 관심과 애정을 가진 인간적이고 긍정적인 교사, 넷째, 문화적 갈등해소를 위해 다양한 문화 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는 교사, 다섯째, 다문화 학생의 부족한 것을 파악, 이해하고 발달에 맞게 눈높이 교육을 하는 교사, 여섯째, 부모와 소통하면서 상담을 잘하는 교사, 일곱째, 한국어 학습을 잘 지원하는 교사, 여덟째, 학생 상호간의 다문화를 이해하고 조력하며, 타협하는 교사, 아홉째, 다문화 학생들이 소중한 존재라는 정체성을 갖게 하고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교사로 나타났다. 이 연구 결과는 다문화 가정의 자녀들이 급증하는 우리 사회에서 바람직한 교사상은 무엇이고, 다문화 교육을 담당할 교사를 어떤 교사로 길러내야 하는가를 이해하는데 많은 시사점을 준다.
        206.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장애학생 통합교육 현장의 사례를 제시한 영상자료 활용 교육이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장애학생 교수에 대한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에 110명의 중등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인식조사와 중재가 이루어졌다.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와 교사효능감 조사를 사전검사로 실시하고 나서 3회기의 영상자료 활용 교육이 이루어졌고, 이 후에 사후검사로 동일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중재는 영상자료의 시청, 소그룹 토론과 성찰노트 작성, 통합교육의 방법 설명으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 영상자료 활용 교육을 통해 예비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태도 측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대부분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상자료 활용 교육을 통해 통합교육 상황에서 장애학생의 행동을 관리하는 측면의 교사효능감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207.
        2012.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수학교사의 ICT 활용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조사하고, 초·중·고 학교급에 따른 수학교사의 인식 및 태도의 차이를 분석하고자 95명의 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먼저, 수학교사의 ICT 활용 현황은 초등학교 교사는 ICT 도구 중 프레젠테이션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으며, 문제상황의 제시를 위해 ICT를 주로 활용하는 반면, 중·고등학교 교사는 ‘수학 소프트웨어’의 활용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수학교사의 ICT 활용 변인 간 관계를 살펴본 결과,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과 ICT 활용 동의가 ICT 활용 의지에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급별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 ICT 활용 동의, ICT 활용 의지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초·중학교 수학교사에 비하여 고등학교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 활용 동의, 활용 의지 모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반적으로 수학교사의 ICT 활용 스킬과 활용 동의가 높을수록 수학교육에서 ICT를 활용하고자 하는 의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고등학교 수학교사 보다는 초·중학교 수학교사의 ICT 활용 의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8.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영성을 고려한 교육 수행의 핵심 조건을 영성을 갖춘 예비교사의 양성으로 가정하고, 예비교사교육에서 영성교육의 적용가능성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의 영성교육에 관한 연구가 영성에 대한 학문적 정의 없이 연구가 진행됨으로 영성을 고려한 교육과 그렇지 않은 교육 간의 학문적 경계가 불명확함을 지적하고, 영성에 대한 학문적 정의를 탐구하였다. 그리고 영성의 정의를 구성하는 핵심요소인 '삶의 목적 및 가치 인식', '초월적 연결성 인식, '인식과 삶의 일치'가 교사의 개인적 삶 및 교직 수행에 있어서 갖는 의미 및 중요성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를 위한 영성교육의 효과를 논의하기 위해서 영성교육이 예비교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청년기 성인의 발달단계 및 대학생의 심리 및 신체 상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예비교사교육의 실질적 교실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영성교육의 교수법으로 명상, 성찰적 글쓰기, 탐구공동체 활동을 제안하였다.
        209.
        2012.07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기술공학적 교사교육의 대안으로 반성적 교사교육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우리나라 예비교사들이 과거 자신의 삶을 성찰적으로 돌아보고 미래의 교사로서의 모습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통하여 자신의 삶 전반과 교육적 경험 속에서 아동으로서, 학생으로서, 예비교사로서 어떤 경험을 해왔으며 그것이 장차 교사로서 교육에 대한 자신의 관점과 신념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를 탐색하는 것에 목적을 두고 실행되었다. 이에, 연구방법이자 교수방법으로 자서전적 방법을 활용하여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자서전적 글쓰기를 진행하였고 자서전을 통해 나타난 경험의 특징을 탐구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과거의 의미 있는 교육적 경험으로서 부모와의 경험, 교사와의 경험, 학교에서 경험했던 특별한 사건들을 기억했고 이는 자신이 생각하는 교사의 역할 모델로 반영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다. 지속적인 자기성찰을 통해 자신의 역할과 행위를 인식하고 재구성해나가는 교사의 삶은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되어야 한다. 또한 그런 측면에서 본 연구는 하나의 대안적 가치를 갖는다고 판단되며 이를 토대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서 보다 실제적이고 다양한 시도가 후속되기를 기대한다.
        210.
        201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받은 예비교사 대학생들의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살펴보는 관점에서 수행된 질적 연구이다. 연구를 위해 다문화교육을 수강한 대학생들 대상 심층면담과 참여관찰로 다문화 역량 변화를 조사하여 다문화교육의 효과를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교육 전 예비교사 대학생들은 다문화이해에 대한 내용이 충분히 인지되어 있지 않았으며 다문화 역량의 수준이 낮았다. 그러나 다문화교육 후에는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들이 인식되면서 다문화 역량이 크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국 다문화사회와 다문화가정 및 다문화가정 아동의 실태 위주의 다문화인식은 다문화에 대해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태도를 이끌었다. 또한 다문화교육을 통해서 다문화가정 학생 대상 다문화교육의 인식 및 다문화교육의 효능감에 큰 변화를 가져왔음이 확인되었다.
        211.
        2012.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통일교육은 여러 가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다. 이는 통일교육이 도덕과 내용으로서의 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으나, 도덕과 교사의 실천적 정체성이 부족한 탓에서 기인한 면이 존재한다. 본 연구는 Wenger의 실천공동체(CoP) 이론을 통해 그 해결점을 찾고자 노력하였다. 특히, 기존의 실천공동체 이론에서 핵심적으로 논의되어 오던 개념에서 탈피하여, ‘의미’라는 새로운 개념의 측면에서 통일교육을 바라보았다. 이를 통해 진정한 통일교육의 의미를 재탐색하고, 도덕과 교사의 정체성을 논해 보았다. 결국 도덕과의 내용 요소로서 통일교육이 진정한 교육적 의미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실천적 정체성을 강화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실천공동체 이론은 그 중 도덕과 교사 조직 및 교육 기획 프레임 구성에 있어 유의미한 방향을 제공해 준다. 즉, 조직 기획 면에서 교사들이 통일교육과 관련된 학습을 지속적으로 시행하는 것이 공동체의 역량을 높이는 것이고, 교육 기획 면에서 내용 전달보다는 학생들 사이에서 학습공동체가 형성되고 활성화되도록 지원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한다.
        212.
        2012.0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예비음악교사들의 교육실습 실태 및 요구를 조사해 봄으로써 음악교육실습 프로그램 운영 실태등 현황을 파악하는 데 주목적을 두고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이를 통하여 효과적인 예비음악교사의 전문성을 신장할 수 있는 음악교과를 위한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전국 10개 사범대학에 재학 중인 예비음악교사를 주요 대상으로 선정하여 교육실습제도의 운영, 교육실습 대상학교 선정방법, 교육실습 대상학교의 환경 및 실습프로그램 운영 방법, 교육실습 환경 및 교육실습 관련 교육과정의 유용성 , 교육실습시 애로사항 및 중점실행사항,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개선사항 및 요구사항으로 구성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분석결과 예비음악교사들은 교육실습기간의 연장과 배당학점의 증가, 교육실습 시기의 조절, 적정한 교생인원배정과 수업시수, 교육실습전의 참관수업, 집중이수제에 따른 다양한 교수방법의 개발 등을 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213.
        2011.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mprove robotics education in public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57 secondary school teachers regardless of their gender, age and majo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68.2% of the respondents (81.2% of the STEM(Science, Technology, Engineering, Mathematics)-related teachers) thought that robotics education should be included in public education because it will be a very important area in the future. Second, 73.3% of respondents (89.3% of the STEM-related teachers) agreed that robotics education will be worth teaching as a regular subject. The most important reason was that they thought the robots would be an excellent tool to initiate their class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ir study motivation. Third, the results from this survey showed that the technology teachers would be the best suitable instructors for robotics education. Lastly, teachers felt a great deal of burden to teach robotics although they thought robotics education was necessary. In order to implement robotics education in public school, teachers think it is necessary to take professional training. In addition, teachers should be supported with the reduction in their workload along with sufficient fundings, educational robots such as LEGO MINDSTORMS, and newly designed teaching materials.
        214.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초등기술교육은 기술의 세계에 대한 소개와 실천적 체험활동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보다 창의적인 문제해결의 경험을 제공하고자 실시되어왔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현직교사들의 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을 위한 교사들의 동기유발과 어려움을 조사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이 연구는 국내외의 초등기술교육과 동기유발이론에 대한 문헌 연구를 통해 이론적 기초를 가진다.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교사들의 동기를 알아보기 위하여 기대-가치(Expectancy-Value) 이론과 초등기술교육에 관한 문헌 연구를 통하여 조사도구를 제작하였다. 이 연구의 참가자는 중부지역에서 이루어진 초등 교사를 위한 2개의 연수에 참여한 302명의 교사들이며 이 중 설문 참여에 동의한 219명의 교사들이다. 수집된 설문지의 자료는 SPSS 17에 의해 기술통계, 탐색적 요인 분석, 독립적 t 검증을 통해 자료 분석이 이루어졌다.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동기는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초등기술교육의 인식된 가치와 초등기술교육의 실천에 대한 자기능력의 기대로 구분된다. 이 연구에서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의 초등기술교육의 가치에 대한 인식은 높은 편이지만 이를 실천하기 위한 능력은 충분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초등기술교육의 유용함과 중요성을 비롯한 다양한 가치들(다른 과목과의 통합적 시도, 학생들이 살아갈 미래에 필요한 것, 문제해결, 창의적 사고, 그리고 자기 주도 학습과 같은 고등사고능력, 그리고 학생들의 심동적 영역의 발달)을 인식하고 있으나 여전히 이를 실천하기에는 여러 어려움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기술교육과 관련된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내용과 목표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나타냈고, 초등기술교육을 실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해결해야할 과제로 실습을 위한 물리적 공간의 확보, 실습 재정 지원, 등을 지적하였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현직교사들을 대상으로 하는 인식조사연구로 초등학생과 초등예비교사의 초등기술교육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215.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초등학교 통합교육의 실태 및 특수학급과 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조사하여 이를 근거로 통합교육의 진전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실태 조사 결과, 1) 연구에 참여한 40개 학교의 5%는 특수교육 자격이 없는 일반교사가 특수학급을 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2) 보조 교사와 보조 인력의 지원을 모두 받는 학교와 보조 교사의 지원만을 받는 학교는 각각 12개(30%), 보조 인력의 지원만을 받고 있는 학교는 13개(32.5%), 지원이 전혀 없는 학교가 3개(7.5%)인 것으로 조사되었고 3) 통합학급의 교재는 일반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사용하며 통합학급 교재의 개발에 대해서는 54.6%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특수/통합학급 교사들의 의견 조사 결과, 1) 통합학급 운영의 가장 큰 단점을 통합학급 교사의 무관심이나 장애학생이 방치되는 것이라고 37.5%의 특수교사들이 응답한 반면, 장애학생의 수업 방해로 일반학생이 피해를 보는 것이라고 36.4%의 일반교사들이 응답하는 등 특수교사와 일반교사의 인식의 차이를 좁히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2) 장애에 대한 편견이나 차별이 교육을 통해 개선될 수 있도록 건강한 인간관계 교육이 실시되어야 하고, 3) 응답자의 30%에 해당하는 특수교사들이 학부 교육과정에 특수/통합 교육의 시수 및 실습이 확대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하는 등 교육적 통합을 위한 전문성이 요구되며, 4) 통합교육이 수월하다고 인식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통합교육에 대한 연구와 수업 설계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예술, 체육교과의 전문적인 교수·학습 방법이 연구되어야 할 것 등이 논의되었다.
        216.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 창의적 체험활동에 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 수준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교사들의 관심 제고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국 초등학교 교사 214명을 대상으로 미국 텍사스 대학교(Uni. of Texas at Austin) 교사교육연구소에서 개발한 교육과정 실행모형(CBAM)에 따라 설문조사하고 그 자료를 통계분석 하였다. 연구를 통해 밝혀진 창의적 체험활동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대상 교사들의 78.51%가 지각적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것은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이 매우 낮다는 것을 의미한다. 둘째, 성별, 경력별로는 관심 단계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였고, 지역별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초등학교 교사들이 창의적 체험활동에 이렇게 관심이 낮은 원인을 분석해 본 결과 먼저 지나치게 잦은 교육과정 개정으로 인한 교육과정 관심의 전반적인 하락이 창의적 체험활동의 관심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파악하였고, 창의적 체험활동의 운영에 있어 학교 평가 등을 통한 대한 암묵적 통제, 중등학교 중심의 창의적 체험활동 편제 등의 원인이 창의적 체험활동 관심 저하로 분석되었다.
        217.
        2011.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통합 수업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대구와 경북 지역에 근무하고 있는 216명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제작하여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에서는 교과 간 통합 수업이 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으며, 그 원인은 통합 수업 준비에 대한 부담, 교과 간 관련성에 대한 연구 부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수업에 대하여 개념이나 기능의 전이가 용이하기 때문에, 창의적인 사고력과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등의 이유로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통합 수업 비중 확대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셋째, 초등 교사들은 교과 간 다양한 통합 수업의 유형에 대해서는 일부 유형만을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 유형을 자유롭게 적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통합 STEM 교육에 대하여 초등 교사들은 잘 모르고 있으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초등 교사 들은 통합 STEM 교육이 필요한 이유에 대하여 창의력과 사고력 배양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실생활에서의 적용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에 순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나 통합 수업에 대한 생각과 일치하였다. 여섯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보급과 통합 STEM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이해가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일곱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과학 교과를 중심으로 구성하는 것에 찬성하는 비중이 가장 높았고 그 이유는 다양한 분야에 응용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여덟째,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 프로그램은 창의적인 사고력 및 문제해결력 증진, STEM 관련 교과에 대한 학습 흥미 증진, 실생활과의 관련성의 순으로 중점을 두어 개발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마지막으로 초등 교사들은 통합 STEM 교육이 과학기술 분야 인재양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였다.
        218.
        2011.09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대화일지 쓰기는 학습자와 교사 간에 자연스럽게 의사소통을 할 수 있는 장이다. 대화일지를 통해 학습자는 부담감 없고 자유롭게 자기 생각을 표현하고 교사는 학습자의 글을 피드백해 줄 수 있다. 본고에서는 대화일지 쓰기를 통해 교사의 피드백 유형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 대화일지가 학습자의 쓰기 학습에 대한 자신감, 불안감, 부담감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를 실험을 통해 밝혀 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8주 동안 중급과정에서 한국어를 배운 1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 결과 대화일지 쓰기를 통한 교사의 피드백이 학습자의 쓰기 능력과 불안감 감소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 중 쓰기 능력에서는 대화일지를 통한 형태 중심․의미 중심의 피드백이 기존의 직접적인 피드백보다 담화 구성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었다.
        219.
        2011.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성취목표지향(숙달접근, 숙달회피, 수행접근, 수행회피)이 교육학 성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조사를 하였다. 선행연구들과 달리 2X6 요인구조(박병기⋅채선영, 2006)에 근거한 교직 인식론적 신념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D 교육대학교 4학년 학생 44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본 연구의 주요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고 상관관계, 적합도 및 경로분석을 하였다. 결과 초등 예비교사들의 교직 인식론적 신념은 숙달접근과 수행접근 지향성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숙달회피와는 부적 상관을 보였으며, 수행회피와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그리고 성취 변인인 교육학 성적은 세련된 교직 인식론적 신념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이러한 상관 자료와 선행연구들을 기초로 성취목표지향성을 매개변인으로 한 경로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교육학 점수에 영향 미치는 교직 인식론적 신념의 경로에서 매개효과가 크지는 않지만 성취목표 지향성에 대한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에 기초한 논의를 하였다.
        220.
        2011.0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세시풍속 중 하나인 단오 풍속을 유치원에 적합한 교육활동으로 개발하여 적용하는 과정에 참여한 교사와 학부모의 경험을 분석하여 참여과정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충청북도 유치원 1개소에서 2년간 단오 시기를 중심으로 실시된 1. 2차의 단오풍속 활동에 참여한 원감 1인, 교사 3인과 학부모 자원봉사자로 참여한 유아 어머니 11명이었으며, 연구도구는 연구자가 제작한 개방형 질문지였다. 자료분석은 질문에 대한 응답내용을 분석하여 범주화하였다. 분석결과에서 나타난 특성을 보면, 단오 교육활동에 참여한 교사와 학부모는 초기에는 준비의 어려움과 익숙하지 않은 활동에 두려움을 느꼈으나 활동을 진행하면서 직접체험의 교육적 의의를 인식하게 되었고, 전통문화에 대한 자긍심과 단오 풍속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는 전통문화교육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꼈으며 동료 교사와의 정보 교환과 협력에서 많은 도움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자원봉사자들은 자신들에게도 새로운 경험인 단오 교육활동에 참여한 것에 대하여 의의와 보람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사와 학부모는 단오 교육활동의 활성화를 위해서 직접체험 기회확대와 활동 이행에 필요한 교구․교재 구비 등 실질적인 지원을 요구하였다.
        11 1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