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87

        201.
        199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무받침동을 이용한 기초분리공볍 은 상부구조윤의 고유주기를 기초분리가 되지 않은 구조불보 다 길게 하 여줌으로써 지진에 의해서 발생하는 밑면 전단력을 감소시키 는 원리플 이용하고 있다. 이 원리 는 지진 지역에 있는 일반 건물구조물에 세계각국 에서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교량구조물 에도 그 역할 이 입 증되 어 미국, 일 본 퉁을 증심으로 적용이 급증하고 있다. 본 논문은 동열한 원리 를 우리나라에서 건설되고 있는 원 전구조물에 적용하여 기초분리된 원전 격납구조괄의 시동 윷 고찰하고 자 한다 이와 같은 지동해석을 실시하 는 데 있어서 , 시간영역 해석 은 않은 시간과 정비괄 요 하게 되어 현실 적으로 사용하기에 여러 어려움이 존재하 게 되는데 반해 , 주파수영 역 해석 은 이버한 단점을 극복하게 되어 실용적이며 효과적 인 결과를 제공하게 된 다 즉, 입력 지진파에 의한 기초분 랴 원 전 격납구조뀔 의 가 동을 예측함에 있어서 시스템 복소주파 응답함수 및 지진파의 파워스펙트럼 계산윤 몽 하여 보다 합리직인 접끈이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4,000원
        204.
        2020.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research has four specific objectives: (1) i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with less than container load (LCL) cargo services of logistics companies in HoChiMinh City (HCMC), (2) measuring the level of impact of the factors, (3) testing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among groups of customers with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ype of business and time of using LCL cargo services, and (4) proposing some management implications to improve the quality of LCL cargo services. Researchers interviewed 210 customers who enjoyed the LCL cargo service in HCMC for at least the last six months, using the convenient sampling method. SPSS 20 was used to analyze the reliability of the scale through the Cronbach’s alpha coefficient, the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he results identified the six factors that influence positively customer satisfaction of LCL cargo services of logistics companies in HCMC, by decreasing importance: service process, image, resource, price, management, and outcome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difference in customer satisfaction with LCL cargo services by types of business as well as time of using services. The research suggests some implications for the management of logistics companies in HCMC to enhance customer satisfaction.
        205.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가장 중요한 운영 목표 중 하나는 각 선박에 대한 서비스 시간을 최소화함으로써 안벽의 생산성을 극대화하 는 것이다. 선박에 대한 서비스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선박에 컨테이너를 싣고 내리는 해측의 안벽 크레인(QC: Quay Crane) 작업이 지연 없이 계속되어 그 효율이 극대화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장치장과 QC 간 컨테이너 운반을 담당하는 트럭인 YT(Yard Tractor)의 운영 을 효율화함으로써 QC가 YT를 기다리게 되는 지체 상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전략 기반의 YT 배차 방안을 사용할 것을 제안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는 실제 컨테이너 터미널에의 적용을 위해 기존에 제안된 전략을 수정 보완하고, 실제 터미널 데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실험을 통해 그 효과를 검증한다.
        206.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 터미널 운영자들은 적하작업과 반출작업의 시간을 줄이기 위하여 재배치작업 계획을 고려하고 있다. 재배치작업 계획은 자동화 야드 크레인의 유휴시간을 이용하여 야드에 장치되어 있는 컨테이너를 추후에 발생하는 적하작업 및 반출작업의 시간이 적게 소요되는 위치로 장치위치를 이동 배치하는것을 말한다. 본 연구는 수직배치형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의 장치블럭 내에서 베이간 재배치작업 계획을 다룬다. 베이간 재배치작업 계획은 주말이나 야간 등 유휴시간에 자동화 야드 크레인을 이용하여 재배치할 컨테이너, 재배치할 장치위치, 재배치 컨테이너들의 작업순서를 함께 결정하는 작업계획을 수립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재배치작업중 베이내 여유공간에 대한 제약을 만족시키는 작업순서 및 장치위치를 동시에 결정하는 재배치작업 계획에 대한 혼합정수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 또한, 빔 탐색기법을 이용하여 다양한 수치 실험을 수행하여 재배치작업 계획에 대한 여러 가지 특성을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207.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의 항만은 선박 대형화가 진행됨에 따라 허브 & 스포크 방식의 전략이 강화 되었다. 이러한 항만 이용자의 니즈 변화에 따라 항만 역시 대형화 및 현대화 되는 추세이다. 이 같은 상황 하에서 기존 항만 운영의 변화가 예상된다. 중, 소규모의 운영사 연합 운영을 통해 경제적, 운영적 효과를 도모하는 움직임은 하나의 예로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항 신항을 대상으로 중, 소규모의 운영사 연합이 경제 적 측면에서 어떠한 효과를 내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더불어 운영사 연합 내에서 비용배분의 문제를 게임이론을 통해 제시하였다. 결과적으 로 현재와 같이 5개의 운영사로 나뉘어 운영되는 것보다 연합하여 운영할 경우 운영사 측면에서 비용 감소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에 참여한 운영사 간에 비용을 배분하는데 있어 비례배분법, 샤플리밸류, 중핵 방법을 사용하는 것을 고려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샤플 리밸류 방법이 가장 적합한 방법으로 나타났다.
        208.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선박 대형화는 규모의 경제 추구를 위한 글로벌 해운선사들의 생존전략이며, 이러한 전략에 따라 허브항만에서 많은 화물을 동시 에 적￿양하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컨테이너터미널은 터미널 시설 확충과 장치장 공간의 효율성 및 생산성을 높이기 위한 자동화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유럽의 항만은 지속적인 인건비 상승과 부족한 노동력 문제 해결을 위하여 자동화를 도입하였으며, 최근 세계 경제의 저성장과 초대형 선박의 등장, 대기오염, 안전사고 등에 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미국, 중국 등 각국에서 완전자동화 컨테이너터미 널 건설이 증가하고 있다. 국내 항만은 국외 완전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과 비교하면 자동화 도입 초기 단계이며 변화하는 항만환경에 대한 대응책으로 자동화 도입을 추진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터미널 관련 이해관계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집단 간 인 식을 파악한 결과 컨테이너터미널 운영사는 인건비 감소, 해운선사는 서비스 향상, 항운노조는 안전사고 예방, 항만공사 및 정부기관은 서비 스 향상의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집단 간 인식을 면밀히 살펴보고자 일원배치 분산분석(One Way Anova)을 수행한 후 집단 간 이 해관계를 살펴보기 위한 기초자료로써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209.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지금까지 컨테이너 자동화 터미널의 설계 및 운영 모델 개발은 주로 수출입 화물의 양적·하 기능에 특화된 서구 항만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기 때문에, 부산항처럼 다양한 On-Dock 서비스가 요구되는 컨테이너 항만에서는 자동화 터미널의 도입과 운영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부산항을 사례로 현재 컨테이너 물동량 구조와 터미널 내부 운영 특성을 진단하고, 기존 자동화 터미널 운영 모델의 부 분적인 변경을 통해 효과적인 공컨테이너 관리와 함께 터미널 운영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기존 수직 배열 자동화 컨테이너 터미널에 ‘인터체인지 이송 모델’을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한 결과, 수정된 운영 모델은 구내 이송장비를 추가로 투입해야 하는 불리함에도 불구 하고 기존 운영 모델 대비 최대 22%의 TAT 단축과 함께 연간 터미널 매출의 9.4%에 달하는 운영비용 절감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210.
        2020.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최근 부산신항은 항계 내의 장해물 제거 공사와 함께 부두 부근 항내 수심을 17m까지 확보하여 컨테이너 선박의 대형화 추세에 지속해서 대응하고 있다. 한편, 2020년도에는 24,000TEU급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입항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흐름에 맞추어 추후 항내 수 심을 23m까지 확보하는 것을 계획 중이다. 이처럼 대형선박 입항 시 상황에 따라 주의하여야 할 요소에 대한 사전 점검이 필요하며, 이를 위 한 이해관계자 간의 정보 공유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논문에서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통항에 따른 해당 항로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선박 입·출항 통계자료 및 선박 운항 성능 자료를 바탕으로 통항 안전성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4,000 TEU선박 통항시와 비교하여 최 대 8.4%높은 위험도가 발생하였다. 또한,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내 안전한 통항을 위한 도선 관점에서의 운항 특성 의견을 취합하 여 최소안전수심과 예선 운용 방안 등의 안전대책을 함께 제시하였다. 이를 통하여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의 부산신항 입·출항시 사고 예방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211.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eaports play a vital role in the economic development of countries, especially for countries having long coastlines such as Vietnam .Seaport industry in Vietnam has witnessed an impressive development in recent years. The national cargo throughput in the period 2013-2017 achieved a compounded annual growth rate (CAGR) of 11.8%/year, higher than that of the world (5.1%). However, the differences in planning policies and infrastructure systems has led to the differences in port performance efficiency of regional por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have a general and accurate view of the picture of Vietnam’s seapor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ve efficiencies of 26 Vietnam container terminals using traditional output-oriented CCR and BCC DEA model.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PI) was also applied to evaluate changes in container terminals productivity over time.
        212.
        2019.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부산항 ‘A’ 터미널에서 발생한 지난 3년간의 사고 데이터를 분석하여 어떤 장비가 가장 많이 사고를 발생하였고 어떤 위험점이 가장 높은지를 위험성 평가기법으로 알아보고, 이러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방안을 보우타이 기법을 활용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실증자 료를 분석한 결과 터미널 내의 이동장비 중 야드 트랙터의 충돌사고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안전한 부산항을 만들기 위하여 우리는 가장 먼저 야드 트랙터의 충돌사고 예방법 (Control measure)과 사고 발생 시 대처방안 (Recovery measure)을 철저히 준비하여 사고를 미연 에 방지하여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관련 실무에 다양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213.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항만산업은 수출입 중심인 우리나라의 경제구조에서 중요한 국가기간산업이라 할 수 있다. 특히 국내 컨테이너 물동량의 75%를 처리하는 부산항은 지속적으로 글로벌 선사 물동량 유치를 위해 정기선 항로 서비스를 확대하는 노력 등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에 대한 중요도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는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부산항을 기항하는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패턴분석을 통해 세계 주요항만과의 중심성을 파악하여 부산항과 연결되어 있는 항만 네트워크의 구조적인 특성을 파악하였다.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상에 연결정도 중심성, 근접중심성, 매개중심성이 높은 항만은 싱가포르항으로 분석되었으며, 실제 연도별 부산항 주요 국가 항만별 처리물동량 순위와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항로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간 순위 비교는 서로 상이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부산항 처리 물동량의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중국 동부항만이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네트워크상에서 보았을 때 부산항의 허브항으로 보기 어렵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부산항 컨테이너 정기선 서비스 항로 수는 증가하더라도 해당 항로에 투입되는 선박이 중소형으로 한정되어 있거나 네트워크상 부산항이 싱가포르항 기항을 위한 피더항(Feeder Port)의 성격을 띄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214.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컨테이너터미널은 적정 규모의 선석(길이)과 야드 부지를 확보하였을 때, 운영 효율성이 극대화 될 수 있다. 하지만 부산신항을 비롯한 일부 컨테이너항만은 운영주체 분리로 인해 다수의 터미널이 분리 운영되어 물류 효율성에 제약이 존재한다. 이 연구에서는 인접한 2개의 컨테이너터미널에 야드 코피티션 영역을 활용할 경우, 기존에 비해 전체 터미널 운영(물류) 효율성이 크게 제고될 수 있음을 분석한다.
        215.
        2018.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제해사기구(IMO)에서는 해양 환경보호를 위해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이산화탄소(CO2) 등의 선박 배기가스 배출 규제를 강화하고 있으며, 특히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 배출가스통제구역(Emission Control Area, ECA)을 설정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러한 환경 규제의 대응방법으로서 친환경·고효율 선박에 대한 요구가 커지면서 배출가스를 줄일 수 있는 전기추진시스템 관련 연구 및 기술에 대한 관심이 늘어나고 있다. 컨테이너선과 같은 상선은 경제속도 운항의 이유로 전기추진시스템의 적용대상에서 벗어나 있었으나, 앞으로 배기가스 배출 규제가 강화되고 4차 산업혁명 기술로 대표되는 빅데이터, IoT 기술을 적용한 자동화 시스템이 선박에 적용되기 위해서는 모니터링 및 제어가 쉬운 전기추진시스템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6,800TEU 컨테이너 선박을 대상으로 전기추진시스템을 적용하기 위해서 기존 컨테이너 선박의 부하분석을 통해 부하분석 기반의 발전기 및 배터리 용량 설계를 목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부하분석기반으로 설계된 시스템은 배터리를 이용한 부하분배제어를 통해 발전기가 높은 효율구간에서 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216.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urrently, container transport services play a substantial role in global cargo transportation, by serving as an intermodal between exporter and importer. Container shipping has become increasingly important over the past few decades, due to obvious advantages. However, Vietnam's container market has shown severely ongoing competition among numerous domestic and foreign shipping lines, resulting in serious consequences occurring such as freight rates substantially decreasing within the last 10 years. Vietnam's sea lanes have become more defensive, to cover losses of shipping companies. Selection of criteria for competitive evaluation of container transport companies is necessary, to facilitate addressing the problems within the enterprise, especially relating to its position in the market and from here, business management can implement strategic plans and reasonable policy, to survive and grow.
        217.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Colombo noticeably became the most economical gateway to the Indian subcontinent, in terms of cost as well as time. The Colombo Port Expansion Project (CPEP) started commencement with the purpose of accommodating mega ships, under the long-term strategies of making Colombo the hub of South Asia. In this contex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Indian ports’ originated container traffic, and total transshipments of the port of Colombo, and also to identify the nature of the causality between the two variables, evaluating Granger causality test results. It finds unidirectional causality from total transshipments of Colombo to Indian ports’ originated transshipments in the port of Colombo. It suggested that ongoing port expansion projects, opening up for new markets and attracting new shipping lines in the port of Colombo, have generated significant impact on Indian ports’ container traffic, via the port of Colombo. Findings would be valuable for future forecasting of container traffic in Colombo port and the policy-making process in the port as well.
        218.
        2018.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hipping containers promote rapid development of the transport industry, and generate economic and social value. However, problems often occur due to imbalance in dynamics between exports and imports, container relocation, traffic congestion, and general shipping network designs. So, efficient and cost-effective cargo management has become crucial for the Jeju Island – Mokpo container route (JMCR) in South Korea. Dozens of recent studies reveal that collapsible or foldable containers, may become an innovative solution to problematic issues within the shipping industry. The major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conditions required for successful commercial application of foldable containers, based on a cost-benefit analysis precisely for the JMCR. Findings reveal usage of foldable containers can be cost-effective, if containers make a “FULL<->EMPTY” route. To the contrary, a “FULL<->FULL” route can drastically increase expenditure. However, economic analysis of actual figures for 2010-2015 indicate that benefits for Mokpo – Jeju direction are significant to cover losses on the Jeju – Mokpo line. Seasonal patterns and mixing percentages of foldable and standard containers on the route, may also produce cost-effective solutions. Sensitivity analysis reveals that benefits from using foldable containers, depend mostly on empty container shares in addition to various extra costs.
        219.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Uplift phenomenon of container cranes occurred during the past earthquakes. Therefore, the evaluation of the potential uplift of the container cranes is an important task when the demand for trade is increasing.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robability of the uplift occurrence of the container crane subjected to a wide range of earthquake intensity. The uplift results are then fitted to the log-normal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CDF).
        220.
        2018.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세계 주요 컨테이너터미널들은 중심항만으로 성장하기 위해 치열한 경쟁 속에서 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자동화 시설을 확충하는데 노력하고 있다. 최근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자동화 시스템의 완전 통합을 위해 시스템 설계 및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는 컨테이너터미널의 야드 작업 효율성을 높이는 데 집중 할 수 있고 다른 컨테이너터미널 운영 프로세스와 통합이 쉬워지기 때문이다. 컨테이너터미널에서 자동 화 시스템은 고객에게 더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고 수익성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이다. 컨테이너터미널 가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결 과적으로 생산성을 높이려면 Container Handling Equipment(CHE)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확인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컨테이너터미널에 DGPS를 이용하여 컨테이너터미널 자동화 장비의 실시간 위치와 상태를 확인하고 자동화 시스템을 실제 개발, 적용, 운영하는 컨테이너터미널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시스템의 구성요소와 기능을 살펴본 후 실제로 적용하여 기존 야드 이송장비 시스템과 야드 이송장비 자동화 시스템을 비교 분석 및 적용방안에 대해 제시하였다. 또한, 컨테이너터미널의 핵심 장비인 이송장비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최적의 야드 이송 장비 자동화 시스템을 이용하게 되면 컨테이너터미널의 생산성 및 이송장비의 효율성을 좀 더 높일 수 있다는 걸을 알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