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129

        201.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정한 풍환경하에 온실 피복재 관류전열손실을 분석하기 위하여 온실 열손실 분석용 소형 풍동을 제작하고 그 성능을 분석하였으며 모형온실을 적용하였을 때의 관류전열손실을 분석하였다. 소형 풍동은 시험부 측 공기흐름이 정상상태를 유지하고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풍동의 각 요소를 반영하여 구성하였으며 송풍부, 확산부, 정류부, 축소부, 시험부로 구성하였다. 소형 풍동의 형태는 개방형, 토출식으로 결정하였고, 시험부 규격은 제작하고자 하는 모형온실의 규격과 상사비율, 시험부의 단면 폐쇄율을 감안하여 결정하였다. 상사비율을 풍동실험에 적용할 모형은 농업시설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단동 비닐온실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형풍동 내 풍속을 조절함에 따라 나타나는 모형온실 피복재의 관류전열계수는 피복재 면을 크게 지붕면과 측벽면, 앞뒷면으로 나누고 각 면별 계측 데이터를 평균 내어 산출하였다. 지붕면은 풍속이 증가함에 따라 전열계수도 증가하나 증가폭이 감소하는 구간은 배치각도에 따라 1-2ms-1과 2-3ms-1으로 구분되어지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측벽면의 전열계수가 증가하는 폭이 큰 구간은 0-1ms-1 구간인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02.
        2020.01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ffect of heat treatment on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an Fe-6.5Mn-0.08C medium-manganese steel is investigated in this study. Three kinds of medium-manganese steel specimens are fabricated by varying heat treatments of intermediate quenching (IQ), step quenching (SQ), and intercritical annealing (IA). Hardness and tensile tests are performed to examine the correlation of microstructure and mechanical properties for the Fe-6.5Mn-0.08C medium-manganese steel specimens. The IQ and SQ specimens have microstructures of martensite matrix with ferrite, whereas IA specimen exhibits microstructure of acicular ferrite matrix with martensite. The tensile test results show that the SQ specimen with martensite matrix has the highest yield strength and the lowest elongation. On the other hand, the SQ specimen has the highest hardness due to the relatively lower reduction of carbon content in martensite during intercritical annealing. According to the fractography of tensile tested specimens, the SQ specimen exhibits a dimple and quasi-cleavage fracture appearance while the IQ and IA specimens have fully ductile fracture appearance with fine-sized dimples caused by microvoid coalescence at ferrite and martensite interface.
        4,000원
        203.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근적외선 흡수렌즈의 광학적 특성과 단열특성을 분석하였다. 방법 : 선명도를 분석하기 위해 화상테스트 차트를 카메라로 촬영하였고, 이미지 분석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32명을 대상으로 시력을 측정하였다. 단열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돼지피부와 안검 피부에 근적외선을 조사하고 디지털온도계와 열화상카메라를 사용하여 온도를 측정했다. 렌즈 표면에 근적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온도를 측정하였고, 열에 의한 렌즈손상을 관찰하였다. 근적외선 흡수안경과 착색안경을 착용하고 선명도, 눈부심, 열감, 광량에 대한 주관적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결과 : 근적외선 흡수렌즈와 착색렌즈에 의한 선명도와 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적외선 흡수렌즈를 착용 했을 때 돼지피부와 사람 안검의 온도변화는 착색렌즈를 착용했을 때보다 더 낮았다. 근적외선 조사에 의해 근적외선 흡수렌즈가 착색렌즈보다 표면의 온도가 더 높았고, 더 빨리 손상되었다. 설문조사에서 근적외선 흡수렌즈에 의한 선명도(p=0.040)와 눈부심(p=0.000)에 관한 만족도는 모두 청색렌즈보다 더 높았지만 나머지 착색렌즈들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적외선 흡수렌즈에 의한 열감과 광량에 관한 주관적 만족도는 착색렌즈보다 더 높았다. 결론 : 근적외선 흡수렌즈와 착색렌즈에 의한 선명도와 시력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근적외선 흡수렌즈의 단열효과는 착색렌즈보다 더 좋았다. 본 연구는 근적외선 흡수렌즈의 단열효과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고 생각된다.
        4,500원
        204.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냉지에서 실외기에 서리가 형성되지 않는 난방이 가능한 히트펌프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래서 실내에서 –25℃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항온기 및 실험챔버를 구성하였다. 실험장치 내에 설치된 히트펌프의 실외기 전면에 도달하는 공기의 특성을 파악할 필요가 있어 범용소프트웨어인 ANSYS CFX를 이용하여 유동해석을 하였다. 그 결과 시뮬레이션 조건(5.0∼7.0 m/s)의 모든 영역에서 실외기 전방에 도달하는 공기의 유속이 자연상태와 다르게 분포함을 파악하였다. 따라서 실외기 전면에 일정한 공기 유속이 도달할 수 있도록 별도의 공기분배기를 추가 설치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4,000원
        205.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a white smoke reduction simple prediction model of white smoke reduction heat exchange system was developed by using EES. In order to verify the reliability of the EES model, it was compared with the computational results. The developed EES predictive model was used to calculate the temperature and absolute humidity of the mixed SA and EA according to the change of cooling water capacity, flow rate ratio of SA/EA, and SA inlet temperature. The difference between final temperature and absolute humidity at the outlet of the mixer calculated by computational analysis and EES was within 1.4% and 3.6%. As the cooling water capacity and the inlet flow rate ratio increased, and as the inlet air temperature decreased, the temperature and absolute humidity of the mixer decreased.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the white smoke reduction effect among the design variables of the white smoke reduction heat exchange system was the flow rate ratio of SA/EA.
        4,000원
        20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heat-stressed environment on rumen microbial diversity in Holstein cows. Rectal temperature and respiration rate were measured and rumen fluid was collected under normal environment (NE; Temperature humidity index (THI)=64.6) and heat-stressed environment (HE; THI=87.2) from 10 Holstein cows (60±17.7 months, 717±64.4 kg) fed on the basis of dairy feeding management in National Institute of Animal Science. The rumen bacteria diversity was analyzed by using the Illumina HiSeq™ 4000 platform. The rectal temperature and respiratory rate were increased by 1.5゚C and 53 breaths/min in HE compared to that in NE, respectively. In this study, HE exposure induced significant changes of ruminal microbe. At phylum level, Fibrobacteres were increased in HE. At genus level, Ruminococcaceae bacterium P7 and YAD3003, Butyrivibrio sp. AE2032, Erysipelotrichaceae bacterium NK3D112, Bifidobacterium pseudolongum, Lachnospiraceae bacterium FE2018, XBB2008, and AC2029, Eubacterium celulosolvens, Clostridium hathewayi, and Butyrivibrio hungatei were decreased in HE, while Choristoneura murinana nucleopolyhedrovirus, Calothrix parasitica, Nostoc sp. KVJ20, Anabaena sp. ATCC 33047, Fibrobacter sp. UWB13 and sp. UWB5, Lachnospiraceae bacterium G41, and Xanthomonas arboricola were increased in HE. In conclusion, HE might have an effect to change the rumen microbial community in Holstein cows.
        4,000원
        20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환경풍동 내 공기의 온도와 속도 변화에 대한 공기 유동과 전열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치해석을 수행하였다. 풍동 시험부 내 각 단면의 평균 속도, 균일도, 그리고 대류 열전달계수는 노즐 출구의 온도와 속도에 따라 큰 영향을 받게 된다. 노즐 출구로부 터 멀어질수록 평균 속도와 균일도가 점차 감소하고, 노즐 출구의 속도가 50km/h일 때 공기온도가 -40~60oC까지 변화함에 따라 단면 평균 속도와 균일도가 각각 약 12.9%와 13.5% 정도까지 증가하였다. 또한 시험부 바닥의 대류 열전달계수는 50~150km/h의 속도 변화에 대해 약 59.7%까지 증가하였으며, 공기의 온도와 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시험부 열 유속도 함께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결과들은 최적의 환경풍동 설계에 필요한 주요 설계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4,000원
        20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하이브리드 감압 열펌프 건조기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건조된 굴 제품을 8주간 저장하면서 일반 성분의 변화와 글리코겐 함량의 변화 등을 조사하였다. 일반세균의 변화는 18~19×103 CFU/g으로 기존제품의 27~30×103 CFU/g 보다 안전하였다. 주요 지방산의 함유량은 건조기에서 건조한 시료의 DHA 및 EPA 함량은 L1-1, L1-3 및 R2-2에서 각각 17.87% 및 14.80%, 17.46% 및 14.38%, 17.89% 및 14.99%이었고, 반면 CD-1은 각각 15.41% 및 13.20%로 약간의 차이를 보였다. 각 시료의 유리아미노산 함량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1325.2~1360.4 mg/100 g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선도를 나타내는 K 값에서는 하이브리드 건조기에서 건조한 시료가 저장기간 동안 매우 우수한 신선도를 나타낸 반면, 시판 굴의 시료에서는 34.0~42.1%로 나타났다.
        4,000원
        20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Electric of using in daily life is always exposed to risk of electrical fire and electric shock. Only degree of risk is different, there is no risk free electrical product. Generally, the higher voltage, the risk of electric shock is high. The much electric current, the risk of electrical fire is high. But, we can’t help using electric because of risk and we effort to reduce the risk of electrical fire and electric shock. This study deal with the fire prevention generated on heating equipment using SSR for current.
        4,000원
        214.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ults of internal temperature. productivity and immunity analysis of the laying hen house by the thermal environment and the supply of cold drinking water were as follows. The external temperature was changed from the minimum of 18℃ at night and the maximum of 36℃ during the day, and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laying hens varied from 20~31℃. Thermal imaging analysis showed that the body temperature of the laying hen decreased by 2.4℃ with the supply of drinking water. The laying hen amount increased 2.36g and laying hen rate increased 3.62%p. Albumin increased 6.1%, decreased AST 15%, and decreased cholesterol 12.7%. Immune activators increased and T cells and B cells increased to increase immunity.
        4,000원
        215.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eat transfer and pressure drop of horizontal heat exchangers with different configurations and installations numerically characterized. Three different heat exchangers were used and shaped as linear, wavy, and horizontal slinky, respectively. Installation depth was set from 0.5m to 3.0m and pipe spacing was ranged from 0.3m to 2.1m. The results showed that heat transfer rate and pressure drop were increased with the increase in the installation depth and the pipe spacing. The horizontal slinky heat exchanger carried more heat compared to others due to the greater effective heat transfer surface area per installation area. In terms of a ratio of heat transfer rate to pressure drop indicating the system efficiency, the linear heat exchanger performed better than others. On the other hand, the horizontal slinky heat exchanger was the most effective with respect to a ratio of heat transfer rate to installation cost.
        4,000원
        216.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인공위성 해수면온도 편차(Sea Surface Temperature Anomaly, SSTA)를 이용하여 한반도 연안해역의 고수온 해역을 추출하고, 국립수산과학원의 고수온속보 발령 문서와 비교하였다. 일일 SSTA 이미지를 이용하여 임계값을 적용하는 고수온 탐지 알고리즘을 제안하였으며, 고수온 주의보는 2℃ 이상, 경보는 3℃ 이상인 것으로 가정하였다. 2017~2018년 7~9월의 일평균 SST를 기반으로 한 편차자료를 사용하였으며, 고수온속보에 사용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위성기반 탐지 결과를 9개 영역으로 구분하고 비교하였다. 해역별 고수온 발생 횟수 비교 결과, 수온 관측 부이가 고르게 분포한 남해 연안은 고수온속보와 위성 탐지 횟수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반면에 다른 해역은 위성 탐지 횟수가 약 2배 이상 많았으며, 이는 고수온속보 발령이 해역의 일부 위치 수온만을 고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는 향후 위성기반 연안해역 고·저수온 모니터링 체계 개발에 활용하고자 한다.
        4,000원
        217.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the formation, microstructure, and wear properties of Colmonoy 88 (Ni-17W-15Cr-3B-4Si wt.%) + Stellite 1 (Co-32Cr-17W wt.%) coating layers fabricated by high-velocity oxygen fuel (HVOF) spraying are investigated. Colmonoy 88 and Stellite 1 powders were mixed at a ratio of 1:0 and 5:5 vol.%. HVOF sprayed selffluxing composite coating layers were fabricated using the mixed powder feedstocks. The microstructures and wear properties of the composite coating layers are controlled via a high-frequency heat treatment. The two coating layers are composed of γ-Ni, Ni3B, W2B, and Cr23C6 phases. Co peaks are detected after the addition of Stellite 1 powder. Moreover, the WCrB2 hard phase is detected in all coating layers after the high-frequency heat treatment. Porosities were changed from 0.44% (Colmonoy 88) to 3.89% (Colmonoy 88 + ST#1) as the content of Stellite 1 powder increased. And porosity is denoted as 0.3% or less by inducing high-frequency heat treatment. The wear results confirm that the wear property significantly improves after the high-frequency heat treatment, because of the presence of wellcontrolled defects in the coating layers. The wear surfaces of the coated layers are observed and a wear mechanism for the Ni-based self-fluxing composite coating layers is proposed.
        4,200원
        218.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차광도포제 처리는 시설하우스 내부의 고온 제어를 위한 유용한 관리 방법 중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 우리나 라 포도과원에 설치된 비가림 시설은 강우를 방지하여 병 발생을 예방하는 독특한 시설로 여름철 고온 피해를 받을 가능성이 높다. 본 시험에서는 포도 비가림 시설 아래의 과도한 고온을 회피하기 위해 차광도포제의 농도를 달리하여 비가림 비닐 외부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35% 차광도포제 처리는 비가림 비닐 아래의 PPFD (광합성 광양자 자속 밀도)의 45%를 감소시켰다. 또한 35% 차광도포제 처리는 무처리 대비 과방부위 온도를 2oC를 낮추는 결과를 나타냈다. 차광도포제 처리는 포도 비가림 시설에서 유의하게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확인되었지만 주변 온도보다 낮은 온도로 제어 할 수는 없었다. 자연적으로 제거되는 35% 차광도포제 처리는 우리 나라의 포도 비가림 시설내의 여름철 과도한 열 손상과 과일 품질 저하를 방지하는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4,000원
        219.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교량에서의 화재는 최근까지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으며, 특히 케이블교량에서 화재가 발생될 시 케이블에 높은 온도상승으로 인해 케이블에 손상 및 파단이 발생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교량에서 발생될 수 있는 화재 시나리오를 설정하였다. 또한 실물차량 화재실험 결과를 토대로 화재강도모델을 제안하여 대상교량 케이블의 열전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 결과 단면적이 작은 케이블에서 더 높은 온도상승이 발생되며, 유조차를 제외한 차종의 경우 내화 성능 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유조차 화재의 경우 갓길에서 발생될 때 최소 단면적 케이블에서 내화 성능 기준을 초과하는 결과 를 보이며, 기준을 초과하는 케이블의 높이는 약 14m로 나타나 이에 따른 대책 및 내화 보강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케이블교량에서 화재가 발생될 때 케이블의 온도변화에 대한 간접적인 평가가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화재 발생 시 바람에 영향을 고려한 열전달 해석과 케이블의 온도상승 시 교량의 사용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4,000원
        220.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단순 폐기 되는 농업폐기물(토마토, 고추, 파프리카)을 고형연료로 재활용하기 위한 열 풍건조장치를 개발하고 실험을 통해 그 성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건조용량 500 kg/hr인 쓰레기소각장 폐열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건조기를 제작하였다. 경상남도 진주시 농산물 시장에서 구입 한 남해산 시금치를 실험원료로 사용하였다. 열교환기에서 스팀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건조공기를 열풍 으로 사용하여 절단 원료 투입량(126, 250, 300 kg), 원료교반여부(수동 교반, 수동 비교반), 건조방식 (건조물 정치, 건조물 이송), 건조시간(0.25, 0.5, 0.6 hr)에 따른 건조특성을 파악하였다. 투입 원료의 함수율은 85.65%로 측정되었으며, 소각장 공급 스팀에 의해 열교환기에서 가열된 건조공기온도는 건조 기에 투입된 실험원료의 퇴적고에 따른 압력저항에 의해 다소 차이를 보였으며 약 108 내지 144℃로 측정되었다. 동일 건조방식, 투입량, 건조시간, 건조공기온도에서 상하층간 원료를 교반하는 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약 2배 정도의 높은 건조속도를 보였다. 각 실험에서 건조용량은 약 500 kg/hr으로 나타났다. 국내 농산물 건조기 157개의 농업실용화재단 검사성적서를 기준으로 투입 에너지에 대한 건조 소요에너지 비를 나타내는 건조효율을 비교한 결과 국내 농산물 건조기 57.76%, 개발 된 농업폐기물 건조기 33.46%로 기존 농산물 건조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개발된 농업폐기물 건조기는 건조시간이 1시간 이내로 건조시간이 짧으며, 건조 중 많은 풍량이 손실되어 건조효율이 저하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각장 폐열을 직접 건조열원으로 사용하는 경우 건조공기온도는 최저 160℃ 이상으로 예상 되는 바 건조용량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예측된다.
        4,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