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43

        201.
        201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제품 이미지에 대한 선호 반응에 있어서 뇌의 반응 패턴의 특징을 파악하고, 피험자가 동일한 대상에 대하여 직관적으로 평가한 선호도 결과와 비교 분석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하나씩 별도로 제시된 제품 이미지에 대하여 느끼는 인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뇌파 측정을 통한 쾌적도를 산출하였다. 두 번째 실험은 피험자가 모든 제품 이미지를 일시에 비교하며 선호도를 직접 평가하도록 하였다. 첫 번째 실험을 ‘독립적 인지 반응’이라 하고, 두 번째 실험을 ‘상대적 인지 반응’이라고 할 때 그 반응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독립적 인지 반응’에서는 자신의 경험에 의해서 축적된 정보와의 비교에 의하여 절대 가치로서의 감정 상태 를 표현하게 되며, ‘쾌’ 또는 ‘불쾌’라고 하는 감정이 절대적 가치로서 지속된다. ‘상대적 인지 반응’에서는 이미 지를 인지하는 단계에서 비교되는 다른 이미지 정보와의 상대적인 감정 상태를 표현하게 되며, 이때에는 ‘진정’ 이나 ‘흥분’에 해당하는 감정 상태가 상대적 가치로 작용한다.
        4,000원
        202.
        2014.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In apple orchards, the damages by woodborers are increased. Mainly infesting woodborers are elucidated three species, namely, the fruit-tree pinhole borer (Xyleborinus saxeseni (Ratzeburg)), black timber bark beetle (Xylosandrus germanus (Blandford)), and Xyleborus apicalis (Blandford). Investigated result from population densities of woodborers using trap at Apple Research Station in Gunwi, Gyeongbuk, X. saxeseni and X. germanus were first captured from late-March and reached highest peak at mid-April. X. apicalis also first captured from late-March and reached highest peak at mid/late-May than April. Entrance hall was first observed from late-March and recorded highest number at April, but steadily decreased. Numbers of entrance hall according to the apple varieties were ordered as ‘Hwangok’ > ‘Fuji’ > ‘Hongro’. Entrance hall by tree height were mainly observed range from 21 to 80 cm (from the ground), found with highest entrance hall at 190 cm. Entrance hall by lateral branch order were mainly occurred at the first lateral branch from the ground, but the entrance hall was decreased as height increased. The ratio of trunk and branch were showed as 6.5 : 3.5.
        203.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이 고형배지경에서 배액을 분석하여 생육단계에 따른 pH, EC 변화와 주요 영양소의 흡수변화를 구명하고, 이를 적용하여 오이의 생육단계에 적절한 양분관리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배액의 pH 와 EC 변화양상 및 배액분석을 통하여 오이의 생육단계는 정식 후부터 착과기, 착과 후부터 수확기로 분류하는 것이 적당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저온기에 가온시설 내에서 오이를 재배한 본 실험에서는 정식 후 첫 화방이 착과되기까지 약 3주의 시간이 소요되었고, 착과 후부터 첫 수확까지 소요일수는 약 7~10일로 조사되었다. 상위 화방으로 생육이 진행되는 속도는 약 3~4일정도 차이였고, 착과와 수확에 소요되는 일수는 대체로 일정했다. 오이의 코이어 자루재배 시, 전체 재배기간 중에서 착과 전에는 EC 농도를 3.0dS·m−1 정도로 높게 관리하다가 착과 후에는 2.0-2.3dS·m−1 정도로 낮추어 관리하고, 과실이 비대하면서 수분요구도가 증가하므로 일일급액량을 늘려주는 급액 관리가 적절한 것으로 사료된다. 원소별 로는 질소, 인, 칼슘은 착과 전에는 N 700mg·L−1, P 60mg·L−1, Ca 110mg·L−1 수준으로 공급하고, 착과 후에는 N 660mg·L−1, P 50mg·L−1, Ca 100mg·L−1 수준으로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칼륨과 마그네슘은 착과 전기에는 각각 400mg·L−1과 80mg·L−1으로 공급하고, 후기에는 공급을 조금 줄여주는 것이 비료이용효율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 될 것이다.
        4,000원
        204.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nglish writing instruction models in order to improve 1st grade high school students’ writing ability under the communicative framework. A writing pattern ‘describing pictures and making an inference’ was utilized to develop writing instruction models and lesson plans. In order to accommodate a wider range of teachers’ needs in high school, the study took into consideration two teaching conditions, learner proficiency levels (high, mid, and low) and skill integration (listening, writing, and reading, writing) in the development process. A total of five English writing instruction models and lesson plans for different teaching conditions were developed using two chapters extracted from two textboo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wly developed models and lesson plans were provided so that teachers can easily modify them for their own needs in the practice. Further, the writing pattern ‘describing pictures and making an inference’ turned out to be quite adaptable to real teaching conditions and seemed to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creativity as well as their writing skills. At the end, study limitations were discussed.
        7,700원
        20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Hazardous air pollutants such as NO2, VOCs and PM10 were measured Daegu, Korea in major micro-environments,where housewives spend the most of their time, and personal exposure times were estimated by using time activitypatterns and exposure scenarios. The major microenvironments of housewives were selected using the ‘Time-UseSurvey’ conducted by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in Korea in 2009. A total of 4,514 (weekdays) and 3,063(weekends) housewives were recruited for the ‘Time-Use Survey.’ It seems that housewives are spending about80% of their time in the house, and about 5% of their time outdoors during weekdays and weekends. The indoor/outdoor ratio of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NO2 was more than 1, which indicated that the source was indoors.Toluene was shown to have higher concentrations indoors than outdoors. Ethylbenzene and xylene displayedsimilar characteristics to toluene, and the concentration ratio for indoor/outdoor was shown to be 1.29 ± 0.76 and1.04 ± 0.45, respectively, higher concentrations indoor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time activity patterns ofparticipants, 3 kinds of exposure scenarios were formulated. The spent time and air concentration in eachenvironment were assumed as normal and lognormal distribution, respectively. And then the Monte-Carlosimulation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simulation, the exposures to hazardous air pollutantsrevealed an increasing pattern as housewives visits other indoor environments such as supermarkets.
        4,000원
        206.
        201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염 또는 건조 스트레스 처리에 의한 톨 페스큐 종자의 발아율 변화와 유식물체 수준에서의 유전자 발현을 조사하기 위하여 in vitro 조건에서 NaCl과 PEG를 처리하여 분석하였다. NaCl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은 50 mM 농도에서 발아율이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350 mM의 농도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다. NaCl 처리 농도에 따른 발아율 감소율은 Fawn 품종이 가장 큰 변화를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또한, PEG 처리시 톨 페스큐 품종별 발아율의 변화도 NaCl 처리시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으며 고농도인 30% PEG 처리구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발아가 되지 않는 경향을 보였으며 Kentucky-31(E-) 품종이 가장 강한 내성을 보였다. 톨 페스큐 유식물체 수준에서 염해와 건조 스트레스에 의한 유전자 발현양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DEGs(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탐색을 위한 ACP-based GeneFishingTM PCR 분석을 통해 NaCl 또는 PEG 처리에 따른 발현량의 차이를 보이는 총 4개의 DEG를 선발하여 클로닝하고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무처리구에 비해 NaCl 처리시 4개의 DEG가 증가하였고 감소하는 DEG는 확인 되지 않았으나, PEG 처리에서는 3개의 DEG (DEG 1, 3, 및 4)가 증가하였고 1개의 DEG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발굴된 DEG들을 blastx 검색에 의하여 rubisco large subunit (DEG1), microsomal glutathion S-transferase (GST) 3-like isoform 1 (DEG2) 유전자로 동정되었다.
        4,000원
        207.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study variable radius pulley is proposed, and the proposal should be applied to pulley of CVT. Variable radius pulley consists of two disks and sliding pins. Phase difference of two disks make a change pitch diameter. Therefore change speed is accomplished by changing pitch diameter of pulley. In this paper analysis of rotating force for slot variation of the rotary disk of variable radius pulley was performed.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ppropriate to put to practical use of the variable radius pulley.
        4,000원
        208.
        2014.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산업집적의 공간적 패턴과 구조를 분석하여 고집적지(핫스팟)를 찾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경기도 지식기반산업을 대상으로 경기도 31개 시·군 및 538개 읍면동 단위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이용된 방법은 대표적인 공간통계기법 중 고집적지를 찾는데 탁월하다고 알려진 Getis-Ord’s Gi *와 입지계수(LQ: Location Quotients)의 약점을 보완하고자 제시된 Flegg’s Location Quotients (FLQ)이다. 이 방법들로 찾은 고집적지는 공통적으로 비슷한 지역을 찾아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집적분석을 통해 산업을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산업의 공간적 분포패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방법론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으며 이를 통해 경기도가 추구하는 지역혁신체계를 추구하기 위한 클러스터 정책을 펼치는데 유용한 정보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5,100원
        209.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bond strength is not enough due to the delaminate of epoxy between FRP and steel. However, the adhesion reinforcement method can improve the bond strength between steel plate and FRP plate. In this study, a bolt tighting and FRP sheet wrapping methods were used to improve bond strength between steel plate and FRP plate. Also, flexural test were performed according to the attachment pattern for AFRP plate strengthened steel beams.
        210.
        2014.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Riptortus pedestris (Fabricius) (Hemiptera: Alydidae)]는 콩에서 중요한 난방제 해충이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와 두 종의 알기생벌의 계절적 발생 패턴을 기주 식물과 연관하여 고찰하였다. 또한 천적 상호간의 상대적 발생 패턴의 차이와 이유를 분석하고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기주 식물에 대한 적합도 검증 결과를 바탕으로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관리 전략을 제시하였다. 톱다리개미허리노린재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 저항성품종의 사용, 과수의 경우 주변 작물에서 콩을 배제하는 것, 기주알 공급을 통한 보존적 생물적 방제, 살충제 사용 시기의 조절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211.
        201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온대활엽수림에서 초식곤충의 먹이 활동이 계절 및 고도에 따라 어떻게 변하는 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는 지난 3년간(2011~2013) 지리산국립공원의 고도가 다른 세 지역(피아골, 시암재, 노고단)에서 이루어졌다. 조사방법은 각 지역에 서식하는 수종(3종)을 선정하여 4월부터 6월까지 1~2주마다 초식곤충의 식흔 활동을 식흔지수를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조사 결과 고도가 가장 낮은 피아골(􀎕300 m)에서 가장 먼저 식흔이 나타났고, 중간고도인 시암재(􀎕900 m)에서는 가장 많은 식흔이 조사되었다. 고도가 가장 높은 노고단(􀎕1300 m)에서는 식흔이 가장 늦게 나타났지만 짧은 시간에 급속히 식흔의 총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기존에 발표된 연구를 토대로 한 결과 초식곤충의 활동시기는 조류(곤줄박이)의 첫 산란일과 거의 비슷한 것으로 나타나 식물-곤충-2차 소비자(조류)와 밀접한 관련을 보여준다. 기후 환경이 변함에 따라 초식곤충 활동의 기간이 바뀌게 될 것이며 이러한 먹이사슬의 변동을 감시할 수 있는 지속적인 장기 생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
        4,000원
        212.
        2014.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f tooth brushing patterns before and after education with a newly invented toothbrush. All participants performed toothbrushing on left lower first molar teeth for 10 seconds, using Modified bass method with the Newly invented toothbrush before education. After recording the brushing pattern, the participants were randomly classified into 1) Tell, 2) Tell-Show and 3) Tell-Show-Do group. After their education, toothbrushing patterns were recorded again. A comparative statistical analysis with a professional group was done by a one sample t-test. Each motion of toothbrushing was represented by Roll, Pitch and Yaw directions and pressure. After toothbrushing education, the Pitch, Roll direction and the value of pressure in all groups showed significantly similarity to the professional group. The Yaw direction appears to be improved after education, but the delineated motion was not considered to represent the Modified bass method. The patterns of each group were similar to the professional group as follows; Tell < Tell-Show < Tell-Show-Do. There was general evidence of higher educational effects by telling, monitoring and practical training. Finally, toothbrushing patterns were able to be analyzed by the Newly invented toothbrush correctly and quickly. This will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correct toothbrushing habits through public use.
        4,300원
        213.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국내 도심지의 자연산림지와 반자연지에 방사된 꽃사슴 개체군을 모니터링 하여, 그들의 행동양식 및 서식지 특성분석을 통하여 국내 자연 환경에 적응하는 꽃사슴 (Cervus nippon taiouanus)의 개체군 조절기작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서울과 경기 주변부에 인접한 자연산림지와 반자연지에 각각 꽃사슴 12개체 (숫꽃사슴 3개체, 암꽃사슴 9개체)를 정부의 승인을 얻어 방사하였으며, 2011년 5월부터 2012년 1월까지 각 개체별로 서식지 이용 특이성을 나타낸 먹이섭취장소, 수분섭취장소, 주간 휴식장소, 야간 휴식장소 등의 서식지 유형별로 연구조사원들이 유관으로 모니터링을 하였다. 방사된 꽃사슴개체군들이 무리를 이루는 적정 성비 및 개체수는 수컷 1마리와 암컷 4~9마리이었으며, 여러 마리의 새끼들과 함께 무리를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다. 꽃사슴 1마리가 소비하는 먹이 섭취량은 연평균 생초 391.62 kg이었으며, 건초는 286.90 kg이었고, 수분섭취량은 생초 섭취 시 218.28 L, 건초 섭취 시 209.89 L이었으며, 건초를 섭취하는 시기인 가을과 겨울에는 더 많은 수분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산림지와 반 자연지에 방사된 꽃사슴 방사 시 꽃사슴의 성비 및 방사 개체수 결정, 방사예정지의 자원생산 능력 및 서식지 특성에 따라서 도입 할 개체수와 공간 구성 요건의 기준으로 활용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꽃사슴의 연구 결과를 통해서 국내 다른 대형 포유류의 자연서식지 방사와 관련된 모니터링 방법 및 효과적인 개체군 조절 메카니즘의 기초적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다.
        4,200원
        214.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 intelligent pattern-based real-time trading system (PRTS) using rough set analysis of technical indicators, dynamic time warping (DTW), and genetic algorithm in stock futures market. Rough set is well known as a data-mining tool for extracting trading rules from huge data sets such as real-time data sets, and a technical indicator is us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data sets. To measure similarity of patterns, DTW is used over a given period. Through an empirical study, we identify the ideal performances that were profitable in various market conditions.
        4,000원
        215.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문대학도서관 정보공유공간과 이용자를 대상으로 이용행태와 이용가치를 조사하여 향후 정보공유공간의 도입과 예산배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결과, 정보공유공간에 대한 이용자들의 만족도를 대체로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으며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정보공유공간의 주이용서비스에 대한 이용가치를 측정하였다. 도서관 예산대비 정보공유공간 주이용서비스의 BC ratio는 0.43으로 산출되었다.
        7,800원
        216.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첨단교통정보시스템(Advanced Traveler Information System : ATIS) 환경에서 운전자는 최단거리나 최소시간 이외의 다른 기준에 의한 운전경로를 원하기도 한다. 이 연구에서는 최단거리, 최소시간, 최소사고, 최소교차로, 최다차선 등의 다양한 기준을 적용하기 위하여 교통패턴데이터를 이용한 운전자정의 경로안내 App을 구현하였다. 실험을 위한 교통패턴데이터는 3개월 간의 서울시 UTIS (Urban Traffic Information System) 자료로부터 생성하여 서버 DBMS (database management system)를 통해 제공되도록 하였다. 교통패턴데이터에 기초한 운전경로는 클라이언트 측 스마트폰앱에서 표출되며,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은 중개 미들웨어가 담당하도록 구성하였다. 강남구를 대상으로 한 실험평가에서는 첨두시와 비첨두시 모두 최소사고 경로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운전자정의 경로안내는 정보가 제한적인 운전자들에게 유용하며, 스마트기기를 통해 맞춤형정보로 제공될 수 있다.
        4,500원
        21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attern cases for Korean traditional socks are named “beoseonbongip” which means a pouch to keep patterns for making “beoseon”. “Beoseon” is Korean traditional socks. This study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and to develop cultural products based on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cases. One hundred fifty one photos of “beosonbongip” were collected and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analyzed. Seventy percent of them were made between Joseon Dynasty and 1960s. As a result, most of the collected pattern cases are rectangular and square shapes, red color, and silk fabrics, and sizes of them are from 9cm to 15cm. A few pattern cases with different sizes and colors were also observed. Most pattern cases were made by fixing two among four triangle pieces which made by folding four tips of a rectangular or square cloth and then puting a not or a loop on the remaining triangle pieces in order to open and close the pattern cases. In a small number of the pattern cases, three of the four pieces were fixed and a button, a bead, a broach, or two nots or two loops were put on the other piece for opening and closing. Products such as apparels, bags, pouches, frames, and key holders were made using “beoseonbongip” form and construction method. This shows that “beoseonbongip” is a useful motive for creative product development.
        5,100원
        218.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옥상녹화 시 식물유형별 수분요구도에 대한 사항을 사전에 고려하여 저관리, 최소한의 관리로 조성되는 옥상녹화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고자 하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따라서 옥상녹화의 대표적인 식물로 알려진 세덤류 중 애기기린초와 내건성이 강한 일반 초화류 중 상록패랭이가 동일 조건에서 건조에 견디는 저항력과 토양종류별 토양수분감소에 대한 생육변화를 살펴보고자 실험을 수행하였다. 무관수, 무강우 조건에서 30일 경과 후 상록패랭이가 식재된 펄라이트 10㎝ 토양이 토양 내 수분함량이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고, 애기기린초가 식재된 인공배합토 20㎝의 토양이 다른 토양에 비해 가장 많은 수분함량을 나타냈다. 또한 전반적으로 토양종류와 토심에 관계없이 애기기린초가 식재된 토양구보다 상록패랭이가 식재된 토양실험구의 수분함량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상록패랭이의 수분요구도가 애기기린초보다 더 크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식물의 생육상태는 펄라이트 토양 중에서도 토심이 낮은 10㎝, 인공배합토양에서도 20㎝ 실험구보다 10㎝ 실험구에서 더 양호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본 실험결과 무강우 무관수 조건에서 토양 종류에 따라 토양수분의 감소패턴에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식물 종류에 따라서도 토양수분감소에 따른 수분스트레스 패턴의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4,300원
        219.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새끼 여우의 수유기 행동패턴을 분석하여 생존율 증대 및 효율적인 개체관리에 필요한 생태적 자료구축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는 국립공원종복원기술원 여우복원센터 시설 내에서 2013년 출생 후 관리중인 새끼 여우를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수유 및 굴 외부 출현패턴 분석 결과 새끼의 성장에 따라 일일 수유횟수와 어미의 수유시간은 감소하였으며, 새끼의 굴 외부 출현횟수, 활동시간, 이동거리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후 30일이 경과하면서 어미의 수유 행동은 크게 감소하였으며, 새끼의 굴 외부 활동성은 크게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향후원종 확보를 위한 증식개체 관리시 해당 일자를 기준으로 생물 먹이원의 증가가 필요하며, 야생에서 출생한 새끼의 개체표식을 위한 포획시에도 최소 생후 30일이 경과한 후 진행하는 것이 포획의 용이성뿐만 아니라 새끼의 성장에도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이다.
        4,000원
        220.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상류 댐 및 유입 지류의 물리적, 지형적 특성을 고려하여 의암호 수체의 혼합 거동을 해석하고 수질 분포에 미치는 인자로 수체간 혼합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3차원 시변화 모델, GEMSS 모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측 자료를 바탕으로 적용 모델의 재현성을 검토한 결과 본 연구에서 적용된 GLLVHT 모델은 상이한 강우 및 유량 조건에서 의암호 내 열수지 및 수체 혼합 특성을 잘 재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모델 보정 결과를 바탕으로 의암호의 수온, 전기전도도 그리고 체류시간의 시∙공간적 분포와 유입지류의 흐름 특성을 분석하였다. 의암호는 상이한 목적을 가진 소양강댐과 춘천댐의 방류량과 유입 지류의 큰 변동폭에 수리 및 수질이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 의암호는 봄과 여름철에는 수온이 높은 춘천댐의 방류량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크게 받아, 전체적으로 높은 수온 분포를 나타낸다. 반면 가을과 겨울철에는 소양강댐의 방류 유량이 많고 수온이 높고, 춘천댐의 유량이 매우 적어 상대적으로 전기전도도가 낮은 소양강댐 방류수의 수온이 의암호의 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기전도도는 춘천하수처리장과 공지천의 높은 유입으로 하류 의암댐 부근까지 높은 전기전도도의 분포를 나타낸다. 의암호의 체류시간은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유입되는 상류 수역은 체류시간이 비교적 짧게 나타나며 의암댐 부근의 하류에서 점차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중도 부근의 낮은 수심으로 인해 소양강댐 방류량이 많은 시기에는 역류현상이 발생하여 체류시간이 일시적으로 증가한다. 또한 하중도의 우안에서 공지천과 춘천하수처리장이 유입되는 수역, 중도의 우안에서는 연중 20일 이상의 체류시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정체수역에서는 지류들의 혼합률이 저하되고 유속이 낮은 특징을 가지기 때문에, 식물성 플랑크톤의 과대성장 우려가 있어 수질관리에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여름철 집중 강우시에는 유입 및 유출의 급격한 증가로 체류시간은 크게 감소하며, 춘천댐과 소양강댐의 방류수는 약 10일 이하의 짧은 체류시간으로 의암호로 유입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의암호 내 표층에서는 소양강댐의 방류가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특히 중도의 우안의 상류부까지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역류하는 현상이 나타나며, 중도의 좌안과 붕어섬 상류부에서 소양강댐 방류수가 흐르는 것을 알 수 있다. 춘천댐의 방류량이 큰 경우에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며 우안을 따라서 그대로 방류되는 특징을 보인다. 또한 붕어섬 상류부를 통하여 춘천댐의 방류수가 중도 좌안 및 소양강댐 방류 합류지점까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지천의 방류수는 소양강댐의 방류수가 많은 시기에 동시에 증가하여 공지천과 의암호 합류부의 상류로 역류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4,2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