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72

        203.
        200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국내 85점, 중국 길림성 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 비교하였다. 국내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 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으나, 중국 길림성 수집종은 모두 조생종이었다. 1,000립중은 국내 수집종에서는 평균 2.79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고, 대부분 중·소립종이었다. 입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중국 수집종은 평균 2.6g이었으며, 2.2~3.1g으로 국내 수집종에 비하여 립중이 다양하지 않았다. 종피색은 국내 수집종의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중국 수집종은 암갈색이 20%, 갈색이 80%이었다.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는 국내·중국 수집종 모두에서, 화방군 당 삭수와 화방군장은 국내 수집종에서, 1,000립중과 성숙기, 화방군수와 경장, 절수는 중국 수집종에서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 당 삭수와 1,000립중과는 국내 수집 종에서, 화방군장과 경장, 분지수, 절수, 화방군수와는 중국 수집종에서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204.
        200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들깨의 기내배양에서 식물체 재분화에 영향을 미치는 최적 배지와 식물생장조절물질의 종류 및 농도의 최적조건의 구명을 위하여 수행하였다. 재분화에 요구되어지는 생장조절물질은 다른 종 및 수집장소, 혹은 인근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수집종들 사이에서도 서로 차이가 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으며 들깨의 식물체 형성에 있어서 각 계통 간 기내배양에서의 TDZ와 BAP의 처리에 따른 재분화율은 Kocf (한국산 들깨 재배형)의 경우에서는 1.0 mg/l의 BAP와 TDZ을 처리한 경우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으나 Kowf (한국산 들깨 잡초형)은 저농도의 (0.1 mg/l) BAP와 TDZ을 첨가한 경우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다. 차조기 의 경우에서는 BAP를 첨가할 경우 고농도에서 신초형성수가 우수한 반면 TDZ을 첨가할 경우에는 저농도로 첨가하는 것이 양호한 신초형성수를 나타내었다. 조합처리에서는 TDZ 1.0 mg/l와 IAA 0.5 mg/l를 조합처리된 배지에서 캘러스 형성율도 좋은 결과를 보였으며 신초 형성이나 뿌리 유도에서도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식물이 필요로 하는 탄소원 외에 배지 내의 삼투압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sucrose의 농도에 따른 재분화율은 캘러스 형성율에서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지만 shoot 형성이나 배발생캘러스 형성에서 3%의 sucrose의 농도에서 좋은 효율을 나타내었다. 재분화 조건에 가장 적합한 배지를 알아보기 위한 실험에서는 모든 배지에서 높은 캘러스형성율은 보였지만 완전한 식물체로의 분화는 MS 배지에서 조사되었다. Polyamine을 처리한 결과 spermine, spermidine의 경우에서는 고농도(10 mg/l)로 사용할 경우에 양호한 재분화율을 나타낸 반면 putrescine의 경우에는 5 mg/l로 첨가한 경우 가장 양호한 신초 형성수를 나타내었다. 호르몬의 첨가 없이 기본배지의 macro elements를 조절하였을 경우와 호르몬을 첨가 했을때의 재분화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실험에서는 캘러스 형성및 shoot 형성에서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기본배지의 macro elements를 조절한 배지에서 배발생캘러스 형성율이 높게 관찰되었다.
        205.
        2004.11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Microsomal Ω-3 fatty acid desaturase (FAD3) is an essential enzyme in the production of the n-3 polyunsaturated fatty acid α-linolenic acid during the seed developing stage. To understand the regulatory mechanism of the gene encoding the Ω-3 fatty acid desaturase, a genomic fragment corresponding to the previously isolated perilla seed PfFAD3 cDNA was amplified from perilla (Perilla frutescens Britt) by GenomeWalker PCR. Sequence analysis of the fragment provided with identification of a 1485-bp 5'-upstream region and a 241-bp intron in the open reading frame. To determine the tissue-specificity of the PfFAD3 gene expression, the 5'-upstream region was fused to the β-glucuronidase (GUS) gene and incorporated into Arabidopsis thaliana. Histochemical assay of the transgenic plants showed that GUS expression was restricted to seed and pollen, showing that PfFAD3 gene was exclusively expressed in those tissues.
        206.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유전자원을 평가하여 품종육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전국적으로85점을 수집 2001년에 충북농업기술원에서 재배하고, 작물학적 특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들깨 수집종 85점은 조생종이 19개로 전체의 23%, 중생 종이 57개로 67%, 만생종이 9개로 10%였는데, 조생종은 주로 중북부지역 수집종이었고, 만생종은 주로 남부평야지역에서 수집된 것들이었으며, 중생종은 전국적으로 고르게 분포되었다. 2. 천립중은 평균 2.7g이었는데, 경남 함양종이 3.9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강원 평창종은 1.7g으로 극소립종이었는데, 대부분 중. 소립종이었다. 립중이 무거울수록 만생종인 경향이었다. 3. 종피색은 암갈색이 30%, 갈색이 55% 그리고 회갈색이 6%로 갈색계통이 전체의 91%였다. 회백색 계통이 경장이 길고, 립중이 무거웠다. 4. 경장과 절수, 분지수와 화방군수 그리고 화방군당삭수와 화방군장은 상호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이었으며, 화방군당삭수와 천립중과는 유의한 부의 상관이었다. 5 .회백색 계통 1개 수집종과 3.5g이상의 대립인 경남 함양 종 등 4개 수집종을 교배모본으로 활용하고자 한다.
        207.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강원지역 들깨 42점을 수집 분석하였다. 성숙일수는 109∼140일 이었으며, 116∼130일이 95.2%로 대부분 이었고, 115일 이하와 131일 이상은 각 2.4% 이었는데, 109일로 조숙종인 양구군 수집종 1종을 선발하였다. 경장은 80∼140 cm로 수집품종 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111∼130cm가 54.8%로 가장 많았고, 111 cm 미만 28.6%, 131 cm 이상은 16.7%순 이었다. 5 cm 이상의 화방군수는 23∼120개로 수집품종간에 차이가 컸으며, 40∼70개가 57.2%로 가장 많았고, 40개 미만과 100개 이상은 각각 16.7%, 11.9%이었는데, 영양군 서면과 양양읍 수집종이 각각 118과 120개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당 삭수는 20∼40개 이었으며, 31∼35개가 38.1%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장은 5.1∼9.0 cm로 분포하였고, 6.1∼8.0 cm가 64.3%로 가장 많았다. 1,000립중은 1.7∼3.8g으로 수집품종간 차이가 컸으며, 2.4∼2.6 g이 35.7%로 가장 많았고, 3.0∼3.2 g은 19.1% 이었다. 3.8 g으로 가장 무거운 화천군 수집종 1종을 선발하였다.
        208.
        2004.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잎들깨 반촉성 재배시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효과와 파종적기 구명 및 입모향상 시험을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흑색유공 polyethylene 멀칭재배가 무멀칭재배에 비해 지온이 높고, 출현이 빠른 반면 성숙이 늦고, 경장이 크며, 엽수량뿐만 아니라 종실수량도 많았다. 2. 생육과 저온피해 등을 고려해 볼 때, 잎들깨의 안정적인 파종기는 1월 상순이었다. 3. 입모향상에 도움이 되는 피복재료는 부직포와 투명 polyethylene이나 출현 후 안정성이나 관리의 편의성 등을 고려해 볼 때 부직포가 적당하였다.
        209.
        2004.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olatile oil components were analysed in Perilla frutescens accessions collected from different regions in South Korea and identified chemotypes based on the major volatile oil components. Major components out of 30 compounds identified were limonene, perillaldehyde, perillaketone, isoegomaketone, beta-caryophyllene, beta-farnesene, myristicin, and dillapiole. P. frotescens collec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chemotypes : PA type (57.7% limonene and 19.8% perillaldehyde), PK type (89.8% perillaketone), ST type (82.4% sesquiterpene, as 54.5% beta-caryophyllene and 27.9% beta-farnesene) and PP type (40.3% phenylpropenes as 13.6% myristicin and 26.7% dillapiole) and 37.8% sesquiterpenes. The majorities of P. frutescens collections in this study belong to PA type (41.9%) and PK type(38.8%).
        210.
        2004.03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깻잎을 이용한 건강 식품을 개발하고자 먼저 깻잎의 주산지인 금산에서 5월 온실재배한 깻잎과 8월 노지재배한 깻잎들의 품질특성과 향기성분을 조사하였다. 시료깻잎 모두 4.0%의 조단백질과 0.8%의 조지방을 함유하고 있었고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온실재배 깻잎 25.2%, 노지재배 깻잎 26.5%로 시료깻잎간에 큰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사포닌 함량도 2.7%와 2.8%로 비슷하였다. 시료깻잎의 효소 활성은 오직 알칼리성 단백질 분해효소 활성만이
        211.
        200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 들깨 속의 개화일수는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큰 변이를 보였다. 5월 1일 이후 파종기가 지연됨에 따라 품종간 차이가 적어지는 경향이었고 8월 1일 파종기에서 품종간 5일로 가장 적은 개화일수 차이를 보였다. 2) 들깨 속은 파종기 및 품종에 따라 개화반응이 다양하였다. 1월 1일 파종 및 5월 1일 이후 파종기에서는 영양생장에서 생식생장으로 정상적인 개화 반응을 보였으나, 2월에서 4월까지 파종한 경우에는 영양생장~→생식생장~→영양생장+생식생장~→근영양생장~→생식생장, 영양생장~→영양생장+생식생장~→영양생장~→생식생장, 상위분지는 영양생장만 하고 하위분지는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을 동시에 하는 등 영양생장과 생식생장이 가역 적으로 변화하였다. 3)들깨의 화성자극 이동방향과 분열조직에 있는 엽수에 따른 반응을 조사하기 위하여 처리한 결과 단일 처리된 부위만 개화반응을 보여 들깨에 있어 화성자극은 이동하지 않는 것으로 도꼬마리 등 다른 식물과는 상이하였다. 4)단일처리 기간에 따른 개화일수 단축은 9월 상순 이전에 개화하는 품종은 8일 처리로 효과가 있었으나 9월 하순에 개화하는 품종은 14일 처리에서 유의하게 단축되었다.
        212.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obtain informations on the variations of oil content and fatty acid composition among 90 Korean perilla collections. Average oil content of 90 perilla collections was 44.2% with a range from 29.7% to 61.9%. Perilla collections with late-maturing, super-large seed and gray seed coat showed higher oil content than other types in general. Average saturated fatty acid content in perilla oil was 9.0% with a range from 8.2% to 10.7%, while average unsaturated fatty acid content varied from 89.3% to 91.8% with a mean of 91.0%. Conten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were not related to maturity.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the contents of saturated and unsaturated fatty acids according to maturity. Linoleic acid and linolenic acid contents were the highest in the super large-sized group(15.5%) and in the large-sized seed group(61.4%), respectively, while contents of fatty acids among the perilla collections were variable with different seed coat colors. Most of the traits studied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il content, but linoleic acid(Ω-6) content was negatively correlated (r=-0.217*) with linolenic acid(Ω-3) content.
        213.
        2003.12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yearly variations of climatic elements and yearly variations of productivity in perilla. In addition,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estimated. The data of yield and yield components were investigated for 10 years from 1991 to 2000. The meteorological data gathered at the Yeosu Weather Station for the same period were us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s between climatic elements and productivity. Yearly variation of the amount of precipitation in September was large with coefficients of variation(c. v.) of 11.1%, but the coefficient of variance(c. v.) in July and August were relative small with 1.8, 2.1%, respectively. Number of cluster per hill and weight of 1,000 grains were greatly with c. v. of 76.1, 79.3%, respectively, but the coefficients of variance(c. v.) of plant height and seed yield were more less with 9.58, 10.60%,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recipitation of September and seed yield were positively significant correlation at the level of 5.1%, respectively, but the duration of sunshine in September and seed yield were negative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5.1%, respectively. Correlation coefficients of these, the plant height, number of branches per plant, cluster length, number of cluster per hill, weight of 1,000 grains and seed yield were positively significant at the level of 5.1% respectively.
        215.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eyou”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through the crossing lines of high oil content Yeupsildlkkae and Heukim's hybrid line and it was combined by Pakesa and low seedcoat ratio variety Suwon 8 in 1991. Daeyou has grey
        216.
        2003.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icient regeneration condition for perilla (Perilla frutescens cv. Yeupcildllggae). Leaf, cotyledon and hypocotyl explants were excised from perilla plants 10-12 days after germination and subjected to regenerat
        217.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Kwangim”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through induced mutations breeding by EMS treatment on the Suwon 38 perilla seeds in 1993. Kwangim has dark brown seedcoat colour with abundant and long clusters. Anthesis of Kwa
        218.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Dasil” was developed at the National Crop Experiment Station, RDA in 2001 through induced mutation by γ-ray irradiation on local perilla accession “Yechon” in 1994. Dasil is characterized as short plant height, dark-brown seedcoat color, medium size of s
        219.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들깨 유전자원 특성평가로 품종육성의 기초자료를 얻고자 남부지역 들깨 196점을 수집 분석한결과 성숙일수는 104∼136일로 넓게 분포하였으며, 111∼130일이 96%로 대부분 이었고, 110일 이하와 131일 이상은 각 2% 이었는데, 111일 미만의 조숙종인 전남 나주.보성, 전북 고창 수집종의 3계통을 선발하였다. 경장은 71-157 cm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많았으며, 111∼130 cm가 41%로 가장 많았고,90 cm 미만 7%, 151 cm이상은 4%순 이었으며, 장경종인 전남 담양 수집종 등 7계통을 선발하였다. 5 cm 이상의 화방군수는 52∼291개로 수집종 간에 차이가 컸으며, 100-180개가 57.1%로 가장 많았고, 100개 미만과 221개 이 상은 각 13.3%이었는데, 전북 진안과 남원 수집종이 각각 291과 302개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당 삭수는 23∼56개 이었으며 ,26∼45개가 49.5%로 가장 많았다. 화방군장은 6∼20 cm로 분포하였고, 8∼14 cm가 62.8%로 가장 많았다 1,000립중은 2.4∼5.7 g으로 차이가 컸으며 ,3.1∼4.0g이 66.8%로 가장 많았고, 4.1∼5.0 g은 12.8% 이었다. 2.9 g이 하는 19.4%이었으며 ,5.1 g 이상은 전북 남원과 경남 창녕의 수집 종으로 1.0% 이었다.
        220.
        200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몇가지 전. 후작물을 도입하여 들깨에 관한 작부체계 확립으로 안정생산 기반을 구축하고자, 들깨단작 등 6작부유형을 도입하여 2001년부터 2002년까지 2년에 걸쳐 시험한 결과 잡초발생은 보리+들깨, 흥화+들깨에서 많았다 보리+들깨와 홍화+들깨의 작부유형은 전.후작물의 생육에 지장이 없으며, 홍화+들깨는 전작물의 비닐 피복물을 후작물에서도 이용할 수 있어 생력화와 경영비를 절감할 수 있었으나, 참깨가 전작물로 도입 시에는 파종기가 늦어 생육이 부진하고 수량이 감소되었다. 소득은 들깨단작에 비하여 보리+들깨와 홍화+들깨에서 각각 4.1배, 5.2배 높았다. 작부유형별 토양 물리성 개선효과는 보리+들깨와 홍화+들깨에서 양호하였다.
        11 12 13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