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83

        201.
        2016.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글은 미국에 거주하는 한인 결혼이주여성과 그 자녀의 언어 사용 양상 및 정체성 형성 과정을 탐색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해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이루어진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해, 연구 참여자들의 사용 언어(한국어, 영어)에 대한 인식, 시간의 흐 름에 따른 인식의 변화, 그 과정에서 형성되고 변화된 정체성의 양상에 관심을 두고 연구 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언어와 정체성 간에는 긴밀하고도 유기적인 관계가 있음이 확인 되었으며, 이는 연구 참여자들의 사례를 통해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언어 사용과 정체성 형성은 유동적이고 가변적이어서, 시간과 환경에 따라 복잡한 양상으로 변화한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언어 사용과 정체성 형성에 있어 결혼이주여성과 자녀는 상호 간 중요한 위치에 있었으나, 이들의 언어 사용-정체성 형성은 동일한 양상으로 전개되 지 않음이 발견되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한국 다문화교육을 위한 시사 점을 제시하였다.
        202.
        2016.03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Lupus anticoagulant-hypoprothrombinemia syndrome (LAHS) is a rare disease associated with lupus anticoagulant and factor II deficiency. LAHS is usually associated with autoimmune disease or with transient viral infection. A 27-month-old boy had a gross hematuria. Prothrombin time (PT) and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 were markedly prolonged. The aPTT was not corrected after mixing with normal plasma. The level of factor II was decreased. Diluted Russell's viper venom test demonstrated the lupus anticoagulant. He was diagnosed with LAHS. His clinical symptom was improving without medical treatment. Serial laboratory studies showed that PT, aPTT, and factor II level were normalized.
        203.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의 기질과 교사-유아 관계가 어떻게 나타나며, 유아의 기질별로 교사-유아 관계는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한 경향성과 성차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이천시에 소재한 공립 유치원의 9학급에 재원 중인 만 5세 학급 유아 185명(남아: 105명, 여아: 80명)이었다. 그 결과 순한 기질 유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교사의 지각 정도는 갈등은 보통이거나 낮은 편이고, 친밀감은 보통이며, 의 존은 보통이거나 낮은 편이었다. 이를 유아의 성별로 보면, 갈등과 친밀감 그리고 의존에서 모두 남아와 여 아가 비슷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더딘 기질 유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교사의 지각 정도는 갈등은 보통이며, 친밀감과 의존은 높은 편이거나 보통이었다. 이를 유아의 성별로 보면, 갈등은 남아와 여아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겪고 있고, 친밀 감은 여아와 더 많이 느끼고 있으며, 의존은 남아와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까다로운 기질 유아에 대한 교사-유아 관계의 교사의 지각 정도는 갈등은 높은 편이거나 보통이며, 친밀감 과 의존은 보통이거나 낮은 편이었다. 이를 성별로 보면, 갈등은 남아와 여아 모두에게 느끼고 있는 편이기는 하지만 남아와 더 많이 겪고 있으며, 친밀감과 의존은 남아와 여아의 관계에서 비슷하게 느끼고 있었다.
        204.
        2015.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교사가 지각하고 있는 교사-유아 관계와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며, 교사-유아 관계의 각 하위 척도에서 교사의 지각 정도에 따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이 어떻게 나타나는지에 대하여 그 경향성과 성차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대전광역시에 소재하고 있는 사립 유치원에 재 원 중인 만 5세 유아 281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는 교사-유아 관계에 대해 비교적 원만하고 긍정적 으로 지각하고 있으며, 유아의 성별에 따라 다르게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은 보통 수준 이상이며,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유아 관계의 하 위 척도에서 교사의 갈등 지각 정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인 사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스트레스 다루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친밀감 지각 정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인 사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스트레스 다루기 모두에서 유 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의존 지각 정도에 따라 친사회적 행동 전체와 하위 요소인 사 회생활 기본 능력, 기관 적응 능력, 친구관계 기술, 감정 다루기, 비공격적으로 대처하기, 스트레스 다루기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5.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을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가 학교에서 상담을 하면서 겪는 어려움 유발 변인과 그것을 야기하는 상황은 무엇인가를 질적연구를 통해 알아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상담 을 전공 중이거나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 15명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현장에서 겪는 상담의 어려움 에 대해 심층 면담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자료에서 얻은 축어록을 합의적 질적 분석법 (CQR)을 통해 분석 및 합의과정을 거쳐 각 영역에 해당하는 내용을 추출하였다. 그 결과 상담을 전공한 초등교사가 느끼는 어려움의 유발변인은 다음과 같다. 우선 ‘상담 개념에 대한 미정립’ 영 역에는 ‘상담에 대한 좁은 인식’과 ‘교사와 상담자 간의 역할 혼란’이라는 학교상담의 어려움 유발 변인이 포함되었다. ‘상담 역량 부족’ 영역에는 ‘상담 전개 및 평가 능력의 부족’, ‘상담 실습의 부 족’이 포함되었고, ‘소진’ 영역에는 ‘정신적 소진’과 ‘육체적 소진’이 포함되었다. 그리고 ‘상담을 어 렵게 하는 학교 환경’ 영역에는 ‘학교의 구조적 어려움’, ‘상담 시간 확보의 어려움’, ‘학생과 학부 모의 상담에 대한 동기 부족’이 포함되었다. 이 연구는 학교상담 시 어려움을 유발하는 요인을 보 완 및 제거하여 효율적인 상담환경을 조성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206.
        2015.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study of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conducted to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children’s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self-exp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 children (5 boys and 5 girls) sampled from H Community Child Center in K City. The horticultural activity program was executed twice a week and a total of 12 sessions during the period from July 4 to August 22, 2014.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results of the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test the mean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57.0 before the horticultural activity to 63.0 after (P=0.005). In the results of the self-expression test the mean scor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67.2 before the horticultural activity to 71.1 after (P=0.008), and among its sub-factors, the content element was changed significantly. The result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horticultural activities for community child center children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their emotional regulation ability and self-expression.
        207.
        2015.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용인에 소재한 J병설유치원과 근거리에 위치한 S병설유치원의 만5 세 유아들로 실험집단 26명과 통제집단 26명으로 총 52명이었다. 연구 대상 유아의 평균연령은 연구 시작 일을 기준으로 하여 63개월이었으며, 실험집단은 62개월(여: 64개월, 남 62개월), 통제집단은 63.5개월(여: 64개월, 남: 63개월)이었다. 실험처치는 2014년 4월 21(월)부터 2014년 7월 4일(금)까지이며, 그림책을 활용 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은 주 1회씩 실시하여 10주간 총 10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박정란(2008)이 고안한 또래 유능성 검사도구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 유아의 또래 유능성은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 유능성의 하위요소인 놀이 주도하기, 친구 사 귀기, 공유하기, 갈등 해결하기는 그림책을 활용한 갈등상황 토의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과 실시하지 않은 통제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9.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율곡의 저서 중 가정의 자녀교육과 관련 깊은「동거계사(同居戒辭)」,「격몽요결(擊蒙要訣)」사친장(事親章).거가장(居家章),「성학집요(聖學輯要)」정가편(正家篇),「소아수지(小兒須知)」에 나타난 자녀교육관을 자녀교육의 목표.내용.방법으로 분석하고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율곡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의 목표는 첫째, 가정의 법도를 알고 실천하며, 은혜를 갚고자 하는 마음 기르기 둘째,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는 부모됨을 배우고 익히기, 셋째, 분수를 지키기 위하여 마음의 절제력 기르기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목표는 자녀에 대한 신뢰를 바탕으로 하는 교육,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는 일의 중요성을 인식한 방향성 있는 자녀교육이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자녀교육의 내용으로는 첫째, 자애와 공경을 바탕으로 한 가정의 법도로 부모와 자녀관계의 도리로서 효, 부부 관계의 도리로서 예, 형제관계에 있어서의 우애, 장유관계로서의 예로 어른을 어른으로 대접하는 예가 나타났으며, 둘째, 사람다운 사람을 기르는 부모됨을 준비하기 위한 내용으로 심신이 건강한 아이를 얻기 위한 부모의 정성과 노력; 태교와 교육자로서의 부모됨의 준비로서 자녀교육의 순서; 입교의차례, 자녀의 바른 몸가짐과 마음가짐을 향한 부모의 관심; 기본생활습관교육이 나타났다. 셋째, 중용의 지혜를 터득하기 위한 절제를 가르치기 위하여 분수를 지키기 위한 마음의 중심잡기와 의롭기 위한 절검을 찾아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율곡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의 방법은 수범교육, 적기.습관화 교육, 앎과 행동.몸과 마음이 하나 되는 교육으로써 지행병진교육 및 표리상응교육, 마지막으로 잘못을 일깨우는 이성적 대화와 행위로써 훈계로 나타났다. 율곡의 저술에 나타난 자녀교육관은 그 모습 그대로 접목이 가능하진 않지만 교육을 통해 실현되어야 할 인간과 교육의 본질과 방향을 담고 있으므로 오늘날에도 유효하며, 어떠한 의식이나 형태로든 앞으로도 이어져 나아갈 수 있고 나아가야함을 인식하여야 할 것이다.
        210.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의 이야기를 통해 아버지의 문해 교육이 어떠한지를 질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분당에 거주하는 만 3세에서 5세 사이의 유아기 자녀를 둔 5명의 아버지이다. 연구 기간은 2013년 6월 22일부터 8월 31일까지 10주 동안 인터넷 카페 운영, 심층 면담, 이야기 쓰기, 연구자 약기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심층 면담 내용의 전사 및 확인, 자료의 통합, 자료 분류 및 분석, 분류된 내용의 해석 단계로 이루어졌다. 연구결과는 첫째. 아버지의 문해 교육에 영향을 준 사람은「뿌리가 된 아버지」, 「문해 교육의 동반자가 된 아내」, 「정보를 교류하는 지인」그리고 「공부하는 자신」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아버지의 문해 교육에 대한 생각은 「문해에 대한 관점」과 「시대의 조류 속에서 생각하기」로 나타났다. 아버지의 문해 교육의 실제는 「내 아이 가늠하기: 문해를 여는 열쇠」, 「문해 학습으로의 초대」그리고 「문해 문화 속에서의 산책」으로 나타났다.
        211.
        2014.12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12개월 미만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첫 자녀가 12개월 미만인 어머니 1인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참여관찰, 면담, 연구자의 반성적 저널, 연구참여자의 육아일기 등을 통해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자는 12개월 미만의 첫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 경험을 크게 세가지로 범주화하였으며, 첫째,「새 생명과 함께 하는 첫 걸음」은「자녀의 성장이 주는 경이로움」,「최고의 것을 주는 행복」,「우리 가정에 찾아온 보물」로 범주화하였다. 둘째,「힘겹지만 함께 걸어갈 길」은「아가, 너는 나의 전부」,「때로는 힘겨운 시간들」,「나란히 함께 걷고픈 사람」,「이제는 긴 담을 허물 시간」으로 범주화하였고, 셋째,「모두의 행복을 위한 새로운 걸음」은「미래를 위한 또 다른 시작」,「일 선택의 조건」,「마음 단단히 먹기」로 범주화하였다.
        219.
        2014.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인간은 환경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서 발달하며 특히 아동은 건전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환경적 요인이 더욱 중요하다. 아동 친화적 환경은 아동 중심의 패러다임으로 아동의 욕구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 기본적인 아동의 권리를 보장할 수 있도록 조성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도모할 수 있는 환경의 요소를 포함하여 환경의 요인을 범위로 아동 친화적 환경의 개념을 도입한 아동 친화 환경 디자인의 토대를 만드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친화적 환경을 정의하기 위해 유니세프와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된 기본 전제들을 개념화하였다. 둘째, 아동 친화적 환경을 디자인하기 위해서 생태학적 이론, 사회적 배제 이론에 근거하여 아동과 관련 있는 환경 요소들을 다차원적,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셋째, 친화적 환경 디자인 정책을 마련하기 위해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비전을 제시하여 친화적 환경 디자인의 전략을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아동 친화적 환경은 아동에 대한 영향력을 고려하여 조성되어야 하고, 최소한의 안전과 건강을 보장할 수 있도록 모니터링 되어야 한다. 또한 환경과 관련된 모든 사항에 대해 아동의 참여를 보장하고 아동 중심의 예산이 공정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디자인되어야 한다.
        220.
        2014.08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이 연구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과정에서 어떻게 자아를 표현하고, 그 양상이 어떻게 변화되어 가는지를 살펴보고,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지를 분석해보았다. 연구대상 유아는 6년 4개월 된 남아 1명으로 유아가 때때로 다른 사람 앞에서 자신을 드러내는 일에 지나치게 소극적인 자세와 경직된 태도를 보이는 문제로 의뢰해 온 유아였다. 연구절차는 모래상자놀이실시, 모래상자놀이 표현, 모래상자놀이의 적용 효과로 진행되었다. 모래상자놀이도구는 Kalff(1996)가 제시한 방법에 따라 2013년 6월 26일(수)~8월 28일(수)까지 10주 동안 10회의 모래상자놀이를 실시하였다. 모래상자놀이 표현은 매회 유아의 행동 특성을 기록한 일화기록, 사진, 비디오 촬영, 유아의 놀이평가 등을 종합하여 모래상자놀이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모래상자놀이는 대인인지에 어려움을 보이는 유아가 모래상자놀이 경험을 통해 자신의 모습을 돌아보는 의미있는 기회를 통해 자신의 특성을 알고 자신을 드러내는 경험을 통하여, 자기인지를 바탕으로 다른 사람을 이해하고 다른 사람과의 관계에서 자기인지와 타인인지를 조화롭게 조절하여 긍정적 변화가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