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5

        201.
        2013.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eading global literature in literature-based instruction on overall L2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development. One hundred twenty-two 5th and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and one hundred forty 7th and 8th graders in middle school in Korea participated in this study. Among the 262 participants, 131 students from each grade were assigned to the treatment groups,and remaining 131 participants were in the control groups. The treatment group received 39 sessions of reading global literature in thirteen weeks; the control group did not receive any treatment in this study. The latent mean analysis with the measurement model between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across control and treatment groups shows positive effects of reading global literature on L2 learners’ development of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study results provided support for reading global literature as an effective and powerful instructional method to improve L2 learners’ literacy ability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The students in the treatment group were more interculturally sensitive and outperformed the control group in L2 literacy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eaching L2 with global literature to enhance L2 learners’ intercultural sensitivity and literacy ability in their L2 learning.
        8,100원
        204.
        2013.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자교육과 독해의 결합은 전통적인 중국의 어문 한자교육에서 중시받고 귀감 으로 삼아야 할 귀중한 경험 중 하나이다. 이 경험은 한자의 특성과 규칙과 부합 할 뿐 아니라, 학생들로 하여금 한자의 형음의를 통일하여 연결하여 학습하게 하 는 훌륭한 기초를 마련해 줌으로서 한자교육의 범위를 넓혀 준다. 또 한 측면에서 한자교육의 효과는 언어를 운용하는 범주에까지 나아가 학생들로 하여금 훌륭한 언어 감각을 배양하게 하여 언어 운용의 훌륭한 기초를 쌓도록 하여준다.
        4,300원
        205.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visual input enhancement (VIE) of target forms and deliberate attention on grammar learning and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high school students. In Experiment 1, eighty-eight students read one of the three experimental texts: (i) BT (baseline text), (ii) VIE (BT with the target forms visually enhanced), and (iii) VIE-Attention (VIE with explicit instruction asking students to pay deliberate attention to both the target forms and reading comprehension). After reading, the students responded to grammar and reading comprehension tests. The results showed that only VIE-Attention promoted grammar learning, while both the VIE and VIE-Attention significantly impaired reading comprehension. In Experiment 2, an eye tracker was used in order to further probe the effects of VIE and deliberate atten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VIE and VIEAttention groups fixated longer and more often than those in the BT group and that the VIE and VIE-Attention groups performed better in the grammar test and poorer on the reading comprehension test than the BT group. The present study makes significant contributions to the VIE literature since it provides the first eye movement data elucidating the effects of VIE.
        6,300원
        206.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whether vocabulary knowledge has meaningful effects on reading comprehension of Korean high school EFL learners and investigated which specific type of vocabulary knowledge, between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plays a bigger role in reading comprehension when the learners’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is taken into account.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ninety eight high school EFL learners in Seoul, Korea, and they were tested on a series of measures tapping on their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vocabulary knowledge in two different dimensions (vocabulary breadth and depth).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were also measured in order to control for the effects of general oral language comprehension abilities known to be the foremost contributor to reading comprehension and thus to enable focused analysis of the role of vocabulary knowledge. The study findings revealed that 1) vocabulary knowledge itself played a critical role in predicting reading comprehension abilities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bilities and that 2) compared to vocabulary breadth, vocabulary depth played a relatively more important role in predicting reading comprehension, regardless of the learners’ language proficiency. The findings provide important implications for vocabulary and reading comprehension instructions for Korean EFL students.
        6,000원
        207.
        2012.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there is any difference in the extent to which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akes plac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background knowledge. Along with background knowledge, three other variables such a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reading strategies, and knowledge of words were examined to determine how each variable contributes to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e data from two groups of 60 second grade students in a Korean middle school was analyzed in this research, and the followings were measured: the use of reading strategies,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knowledge of passage sight vocabulary, background knowledge on a text, and knowledge of target words. The findings revealed that the participants inferred the meaning of unknown words better when they had more background knowledge. Each of the four variables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their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and played a facilitative role in the lexical inferencing process.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 conditions for efficient incidental vocabulary learning through reading.
        6,300원
        208.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누진굴절력렌즈의 피팅을 위하여 습관적인 독서자세에서 측정한 누진대 길이의 분포를 알아보았다. 방법: 2010년 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39~83세의 남녀 5,925명을 대상으로 Eye Move Photographing (EMP)을 이용하여 누진대 길이를 측정하였고, 연령대별 분포를 분석하였다. 결과: 측정된 누진대 길이(아이포인트에서 근용부 측정점까지) 분포는 10~11mm(34.45%), 12~13mm (32.66), 8~9mm(16.96%), 14~15mm(10.13%), 6~7mm(4.30%), 16~17mm(1.27%), 그리고 18~19mm (0.25%)로 나타났다. 39~49세에서는 10~11mm가 42.05%로 가장 많은 비율이었고, 50~59세, 60~69세, 그리고 70~83세에서는 12~13mm가 각각 31.84%, 35.48%, 그리고 46.15%로 가장 많은 비율이었다. 결론: 안경실무 종사자들은 습관적 독서자세에서 정확한 누진대 길이를 측정할 수 있는 진보적인 방법 들을 계속적으로 고안할 필요가 있다.
        4,000원
        209.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day, there are a multitude of papers being written on films that deal with multicultural socie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find research on German films that deal with multicultural societies from the educational perspective of cultural exchange. This paper chooses the following four German films and aims to examine them from that perspective – Doris Dörrie’s Kirschblüten, Fatih Akın’s Solino and Gegen die Wand, and Percy Adlon’s Bagdad Café. Kirschblüten is about longings for and communication with other cultures, Solino about cultural differences and ways to overcome them, Gegen die Wand about cultural conflicts and identities, and Bagdad Café about cultural connection and communication. What is of particular importance in handling these movies in the classroom will be to raise and discuss relevant pedagogical questions to encourage the students to contemplate the various aspects of cultural encounters as their own issue. Thus, the ultimate goal of the education should be the learning of the values of coexistence, harmony, and exchange that are required of any multicultural society.
        4,900원
        210.
        2012.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요한복음을 내러티브 관점으로 이해하여 저자가 의도하는 주제와 내러티브의 다양한 요소들(플롯․인물구성․관점․아이러니․상징 등등) 중 상징체계에 관한 문학적 성서 해석을 말하는 것이다. 요한복음의 문학적 상징 읽기가 가능한 것은 요한복음 자체가 다른 성서들보다 더 풍부한 상징적 내러티브의 결합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서 문학적 상징 이해와 특징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하게 되며 문학적 상징 이론을 성서의 신학적 상징에도 동일하게 적용시킨다. 그 결과로 요한복음의 독특한 문학적, 신학적 해석을 할 수 있게 된다. 요한의 저자는 전체 내러티브에서 예수의 정체성과 사역을 상징의 도구로 표현하고 있다. 1세기의 요한공동체와 현대의 독자들에게 요한복음서의 상징은 하나님의 구원과 계시를 전달해주는 초월적인 의미가 되어 하나님의 신비를 경험하게 된다. 이러한 요한 신학의 상징 경험은 독자들에게 자기반성과 신학적, 윤리적 의미를 제시하게 된다.
        6,900원
        211.
        2012.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는 1798년의 아일랜드 항쟁과 1916년 부활절 봉기의 민족 항쟁 들을 직접적으로 언급한 두 편의 정치 극을 집필하였는데, 두 작품은 상징과 은유의 기법을 통해 정치적 의미들을 가지는 예이츠의 다른 드라마와는 다르다. 두 작품 캐 서린 훌리언 과 죽은 자들의 꿈 의 비교는 두 작품이 비슷한 정치 주제를 어떻게 다 르게 접근하는지를 밝히기 위한 시도다. 예이츠의 초기에 쓴 작품은 정치색이 너무 강 한 한편 후에 쓴 작품은 자신의 시학을 펴기 위해 정치를 이용할 뿐이다.
        5,100원
        214.
        2012.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문과 교육과정의 ‘읽기’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 및 성취수준의 내용 을 분석한 것이다. 7차 교육과정까지 내용 요소는 학습요소를 중심으로 진술했다. 2007, 2009 교 육과정은 성취수준을 중심으로 진술하였다. 한문과의 읽기 영역은 중학교 한문은 1~3學年群別 성취기준과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교 한문Ⅰ은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고등학 교 한문Ⅱ는 학교급별 성취 기준, 영역 성취 기준, 학습 내용 성취 기준으로 되어 있다. 한문과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한문과 교육과정 내용(교육과정 성취 기준)과 비교해 보면 성취 기준 요소가 보다 상세하다. 중학교 한문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 9112> ‘글을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에 대한 성취 기준은 <한9112-1>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문 단문, 한문 산문을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와 <한9112-2> ‘글의 의미가 잘 드러나도록 한시를 알맞게 띄어 읽을 수 있다’로 나뉘어져 있다. 고등학교 한문Ⅰ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Ⅰ111> ‘글을 화자의 어조에 맞게 읽을 수 있다’는 4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고등학교 한문Ⅱ의 교육과정 내용의 <한Ⅱ111> ‘글의 분위기를 살려 유창하게 낭독할 수 있다’는 무려 5개의 성취기준으로 세분화되어 있다. 교육과정 내용의 성취 기준이 다수의 학습 성취 기준을 포괄적으로 담았으며, 교육과정 내용은 성취 기준으로 진술되어 있지만 학습 요소에 대한 성취 기준이며, 성취 기준은 교육과정 내용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므 로 평가 요소를 보다 작게 세분화했던 것이다. 따라서 교육과정 내용과 성취 기준은 학습 내용의 성취 기준과 학습 내용 평가의 성취 기준의 관계이다.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에 대한 성취 수준은 학습자의 성취 수준의 도달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상․중․하의 3단계로 설정하였다. 상․중․하 3단계의 진술 방식은 ‘학습 내용 + 수행(행동)’으로 진술하였다. 여기서 드러난 문제는 한문과 영역에서 읽기에 대한 성취 기준을 평가하는 도 구를 개발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즉 ‘한문 단문, 한문 산문, 한시 등을 구성하는 한자의 바른 음을 알고 그것을 소리내어서 읽을 수 있는가’의 평가 대상은 지필 형태의 평가로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또한 일부의 단문, 산문, 한시를 수행평가 를 통해서 평가할 수 있지만, 평가 내용이 읽기라는 것과 평가 방법이 소리내어 읽은 것을 평가하는 것이므로 평가의 시간과 평가의 공정성을 확보하기가 그리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일부 요소는 소리로 읽는 것을 ‘지필’ 형태로 대체 하는 방법도 존재하였으나, 그 또한 읽기 요소의 평가를 다 반영할 수 없다는 문 제를 갖고 있음이 밝혀졌다. 따라서 읽기 영역의 성취 기준은 평가 방법에 있어서 획기적인 창안이 필요하다.
        6,100원
        215.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OEIC continues to be an important test in Asia and TOEfC preparation classes are as popular as they have ever been.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however, to determine the most effective ways to help students prepare for this test. This study sought to analyze the impact of explicit TOEIC instruction when supplemented with Silent Sustained Readi ng (SSR) and an online vocabulary learning program. Four combinations of these practices were tested: ( I) explicit instruction supplemented by online vocabulary instruction, 2) a combination of explicit instruction, SSR and online vocabulary practice, 3) explicit instruction supplemented by SSR, and 4) expli cit instruction on ly. Total time for instruction and practice were kept constant among the four groups. Due to between-group differences on pre-test TOEIC scores, an ANCOVA analys is was used. On total TOEIC scores, all groups made sign ificant and statistically eq ual gains. However, on an analysis of the reading portion of the TOEIC resu lts, group 2 (combination of explicit instruction, SSR, and online vocabulary practice) outperformed group 4 (exp licit practice only group). The author concludes that the combination of all three practices had a synergistic effect on the reading portion of the test and led to superior gain s.
        6,400원
        216.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collocations to reading and writing skills. Eighty-six Korean university students were given a collocation knowledge test, followed by a reading test; both lexical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in the collocation test were extracted from the passages in the reading test. Subsequently, the students were given a writing test, and its topic was related to the content of the reading passages; both lexical and grammatical collocations appearing in their compositions were counted based on the classification criteria provided in The BBI Combinatory Dictionaty of English.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re were no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the students' co llocation knowledge and reading ski ll s. Howe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writing quality and col location use. Good and poor readers were simil ar on average in both grammatical and lexical co llocations, which corroborates the non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reading and collocation knowledge. In contrast, good and poor writ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both grammatical and lexical collocations, thus substantiating the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riting quality and collocation use. The group difference was more pronounced in grammatical collocations. Across good and poor writers, lexical collocations were used much less than grammatical collocations.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pport a need for EFL writers to learn both grammatical and lexical coll ocations to improve writing quality. The results also caution not to overgeneral ize the influence of co ll ocation knowledge on reading performance . •
        6,300원
        218.
        2012.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독서 습관 형성을 위한 책 읽기 프로그램을 통해 독서 교육을 시행한 결과이다.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가치나 능력은 일방적인 정보전달을 받아들이기만 하는 것과 달리 스스로 이해하고 사색하고 비판하고 창조하는 과정을 거쳐서 길러지는 것이기 때문에 적절한 독서 활동을 통하여 가르치는 것이 더 적합하다. 책과 친해질 수 있는 책 읽기 환경을 조성하여 자신만의 책 읽기 전략을 세우도록 하였다. 또, 책읽기에 관심과 흥미를 느껴 책 읽기에 몰입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안·적용하여 책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고, 가정 및 지역사회 내에서 책 읽기를 생활화하여 지속적인 책 읽기 습관을 형성하도록 하였다. 그리하여 학급 아동들이 흥미와 즐거움을 느끼면서 자발적으로 책을 읽는 습관을 형성 할 수 있도록 하며, 독서를 통하여 아동들이 지닌 다양한 능력과 창의성을 기를 수 있는 체계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했다.
        4,900원
        219.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article strives on the primary school Chinese words learning&writing theory and practice per IT for integration of IT and teaching. Attached details as below for colleagues’reference!
        220.
        2012.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Neither Chinese character (Hanzi) learning nor classicalChinese literature instruction should be done in isolation. This paperexplores the way to integrate Hanzi learning, classical Chineseliterature and comprehensive reading in primary schools. It firstdiscusses the hypothetical mental process of children’s readingcompetence development. Guided by this hypothesis, children couldeasily learn Chinese characters in their reading practice, higher gradeprimary school students could learn to fluently read simple classicalChinese articles with proper pause, and they do not need to spend extratime on Chinese learning. In this paper, all of the practices are guidedby the principles of teaching target category in the curriculum designtheories accepted worldwide, such as how we teach students learn tocorrectly write the commonly used Hanzi required by course standards, howwe teach students to write Hanzi in a standard way so that theirhandwriting looks good, how we teach students to learn Pinyin, and howstudents could improve both reading and writing skills in comparativeclassical Chinese literature reading exercises, et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