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3

        21.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1995년이후부터 재배되어온 큰느타리버섯은 배양중 오염율 증가, 발이상태불량, 기형버섯의 발생, 수량 격감 등 이른바 연작장해로 불리어지는 재배상 문제점들에 대한 원인파악과 해결책이 요구되어, 전국의 큰느타리버섯 주요 재배농가에서의 종균관리, 배지제조, 배양 및 생육관리 등 전반적인 재배실태와 연작장해 발생정도를 조사한 결과와 균배양, 버섯발생, 자실체 생육과정에서 발생된 병원균을 분리하여 동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가. 재배실태조사 결과 재배사 청결관리가 미흡하고 수확 후 재배사 세척 및 소독이 소홀하였다. 나. 발이유기시 습도가 90%이상, 환기는 소량 또는 억제하여 관리한 농가들에서 발이 유기부위에서 세균 및 곰팡이에 의한 오염과 기형버섯 발생 등으로 인해 수량이 낮았다. 다. 자실체 생육시 발이개체수가 과다하였고 환기 및 습도관리 미숙으로 자실체 갈변, 환기장해 등으로 자실체생육이 불량하였다. 라. 강제흡기-강제배기 방식보다 강제흡기-자연배기 방식이나 자연흡기-강제배기 방식의 농가가 많아 발이 유기시 많은 양의 환기를 필요로 하는 큰느타리버섯 재배에 부적합한 환기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마. 큰느타리버섯 재배농가에서 수집한 병원균은 총 28점으로 세균13점, 곰팡이15점이었고 채집부위별로는 배양병에서 8점, 발이유기부위에서 12점, 자실체에서 8점을 분리하였다. 바. 큰느타리버섯 재배시 문제가 되는 세균은 Pseudomonas sp. Erwinia sp 가 많았는데. 발이유기 배지표면 오염과 자실체 갈변 및 괴사와 관련된 병징을 유발하였고, 곰팡이는 대부분 Trichoderma sp. 이었으며 주로 배양병 및 발이유기부위에서 발병하였다.
        4,000원
        22.
        2004.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aCl처리에 따른 느타리버섯균 및 푸른곰팡이균의 균사생장과 간척답 볏짚을 이용하여 느타리버섯의 재배 가능성 여부를 검토한 결과, salt 농도별 PDA배지에서의 버섯균의 균사생장은 대체적으로 0.2% 까지는 증가되며, 그 이상에서는 감소되는 경향이었다. 푸른곰팡이균은 0.5~1.0% 까지 거의 큰 차이가 없이 생장하였으며, 1.0~3.0%부터는 생장이 감소되기 시작하였고, 5.0% 에서는 현저히 감소되었다. 볏짚배지에 salt 농도별로 침수하여 버섯균의 균사생장은 한천배지와 같은 경향을 보였고, 병원균은 0.3%까지는 포자형성이 무처리구와 비슷하며, 0.5%에서는 포자형성이 감소되기 시작하여 5.0% 이상에서는 포자형성이 되지 않았다. salt 농도별로 처리된 볏짚배지에서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NaO 함량은 높아졌으며, 살균전, 후 K2O는 감소되는 경향이었고, 수분함량은 NaCl 3.0% 까지는 비슷하였고 5.0%부터는 감소되었으며, pH는 뚜렷한 변화가 없었다. 볏짚배지 NaCl 농도별 처리에 따라 초발이소요일수는 차이가 없었으며, 버섯 수량은 무처리구와 비교하여 0.3% 처리구는 2,700g으로 수량이 비슷하였고 0.5% 이상에서는 수량이 감소된다. NaCl처리에 따른 침수용액 중의 EC는 볏짚 침수전보다 침수후에 높았으며, NaO 함량은 침수전, 후 모두 별다른 차이가 없었다. 볏짚종류에 따른 느타리버섯의 수량을 조사한 결과 간척답 볏짚이 일반답보다 약간 수량이 많았다.
        4,000원
        25.
        1999.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추의 뿌리에 서식하고 있는 근권미생물을 30여종 분리하여 고추 검은 곰팡이병원균 A. alteranta에 길항하는 미생물을 분리한 결과 분리주 No. J-24 균주가 가장 길항력이 우수하였으며 Bacillus subtilis로 동정되었다. B. subtilis J-24는 검은곰팡이병균(Alternaria alternata)에 대해서는 생육저지 효과가 99%로 나타났으며, 그외 갯빛곰팡이병균(Botrytis cinerea), 역병균(Phytophthora capsici), 잘록병균(Pythium ultimum), 탄저병균(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겹무늬병균(Stemphylium botryosum)에도 생육저지효과를 강하게 나타내었다. 고추 유묘의 생장활력은 미생물제제가 첨가된 상토가 일반 상토 보다 엽면적이 15%, 줄기길이가 12%, 뿌리길이가 12% 증가하였고 전체 건물중이 약 13% 증가하여 고추유묘의 생장활력이 증가되었다.
        4,000원
        28.
        198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29.
        1984.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사과나무의 과실 부패현상과 가지 사마귀현상의 평원균 및 그 병원성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다. 1.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가지 및 과실, 벚나무복숭아나무자두나무능수버드나무 및 자작나무의 가지 등 7종의 병든식물에시 분리된 것은 Dothierella mali (Botryosphaeria berengeriana 의 불완전세대)가 대부분이었고 사과의 썩은 과실에서는 Alternaria sp.와 Pencicillium expansum도 분리되었으며, 배의 썩은 과실에서는 Phomopsis sp.도 분리되었다. 2. B. berengeriana의 10개 분리균을 4종 재배에 배양한 결과 균사생장, 균총의 모양 및 색깔의 차이에 따라 2가지로 나눌 수 있다. 공시된 분리균은 배지에 특이한 색깔을 나타내지 않았다. 병자각은 자좌속에 형성되었으며, 모양은 구형 또는 편구형으로 흑갈색이었고, 크기는 사과 병조직의 것이 사이었다. 병포자는 보통 무색, 단포, 타원형-방추형으로써 사과나무 가지에서 분리한 균의 크기의 범위는 (평균 )이었다. 병포자는 발아전후에 1개, 2개 또는 3개의 격막이 생기는 것도 있었다. 배지 또는 접종부위에 형성된 병자각 안에는 소형포자도 형성되었다. 접종식물의 잎과 과실에는 겹무늬의 갈색-흑갈색 병반이 나타났고 사과나무와 배나무의 햇가지에는 사마귀상 돌기가 접종부위에 생기는 것이 있었으며, 복숭아나무 및 벚나무의 가지에는 조피형 동고성 병반이 나타났다.
        4,000원
        30.
        198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오이덩굴쪼김병균 Fusarium oxysporum f. sp. cucumerinum의 소형분생포자는 물한천배지상에서 Fe-EDDHA를 처리하였을 때 시간이 경과됨에 따라 발아율이 증가되어 무처리와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발아관의 길이는 현저하게 짧았다. Pseudomonas putid의 Siderophore를 처리하였을 때는 포자의 발아율과군사신장이 모두 현저하게 억제되었다. 토양중에 형성된 후막포자가 발아하는데 필요한 영양물질로 Glucose, Peptone을 각각 씩 첨가하였을 때 에 달하는 높은 발아율을 나타냈고, Glucose 와 Asparagine 를 첨가한 처리도 의 발아율을 보였다. 오이의 근권토양에서 후막포자는 발아후 10일된 유묘에서 의 발아율을 보인 반면 2일된 유묘에서는 정도 밖에 안되었으며, 10일 이상 경과된 묘에서도 발아율이 증가되지 않았다. 근권토양에 Fe-EDDHA를 첨가한 처리와 P. putida를 접종한 처리는 후막포자의 발아를 현저히 억제하였으며, 근권부위에 영양물질을 첨가한 처리에서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비근권토양에 영양물질을 첨가하여 후막포자를 발아시켰을 경우 Fe-EDDHA나 P. putida의 발아 억제 효과가 뚜렷하게 인정되지 않았다. 근권토양에서 후막포자 발아 억제효과는 Fe-EDDHA보다 P. putida를 접증한 처리가 더 큰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31.
        197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생되었던 Kresek에 과한 발생의 균형 및 재현에 관한 시험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흰빛잎마름병균에 의한 Kresek 현상은 주로 남부방인 전라남도 화순, 무안, 강진, 영암, 곡성, 광산, 경상남도 진양군에서 볼 수 있었다. Kresek 발생지의 병원균의 균형은 I, II, IV, V군에 의한 발생을 나타냈다. 3. Kresek이 가장 심하였던 화순군에서는 21균주중 17균주는 IV군, 2균주는 II군, 2균주는 V군이었으며 광산군의 5균주는 IV군dp 속하는 균주였다. 4. 화순군에서는 II, IV, V군이 혼재하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5. Kresek 재현에 관한 시험에서는 접종 5일만에 발병을 볼 수 있었으며 뿌리 절단법에서 발병율이 현저히 높았고, 분무접종, 침접종에서도 발병을 볼 수 있었다. 6. 병원균농도가 높을수록 발병이 많았다.
        4,000원
        32.
        2023.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ffects of essential oils on pH, pathogens, and volatile fatty acids (VFA) in two poultry litters were investigated through a lab study. Essential oil-added poultry litters were randomly divided to two groups: control (200 g poultry litter) and Treatment (50 g thymol/Briefly, 200 g broiler litter was treated with or without 50 g thymol (Control and T1, respectively; 1 groups) and 200 g duck litter was treated with or without 50 g carvacrol (Control and T2, respectively; 2 group). Adding thymol to broiler litter increased the pH, reduced pathogens, and did not affect VFA. Interestingly, adding carvacrol slightly reduced the pH of duck litter, but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pathogens and VFA. This difference is probably because the essential oil used and the properties of the two litters are different. In addition, pH was thought to control the odor generated from the litter, but this has not been proven. Further field studies should focus on clarifying this point.
        33.
        2020.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o develop an environment-friendly fungicide for controlling tomato wilt diseases, antifungal active substance was isolated Rheum australe D. Don roots against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a pathogen of tomato wilt, in this study. Methanol extract obtained from Rheum australe roots was successively fractionated with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and water. The ethyl acetate fraction, which showed the highest antifungal activity, was separated by column chromatography, and 60 subfractions were obtained. The 60 subfractions were anlayzed for antifungal activities by bioassay. The active compound was identified as 5-[(E)-2- (3-hydroxy-4-methoxyphenyl)ethenyl]benzene-1,3-diol (rhapontigenin) by NMR and GC-MS analysis. As a result of testing antifungal activity of rhapontigenin against Fusarium oxysporum, EC50 of rhapontigenin was showed strong antifungal activity at 7.48 mg/L. Therefore, this study showed that the Rheum australe roots extract can be a potential candidate which is a environment-friendly fungicide against Fusarium oxysporum.
        34.
        2019.04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Ginseng (Pnanx ginseng C. A. Meyer) is famous worldwide, and is very important cash crop and medicinal herb in Korea. It takes four to five years to produce harvestable ginseng roots, and ginseng is attacked by several pathogens during cultivation. We investigated the disease rate caused by ginseng root rot from 6 years old ginseng cultivation fields (Chungnam; 9 fields, Chungbuk; 11 fields, Gangwon 5 fields). The highest disease severity was Dangjin D (2.9) and the lowest one was Gaesan C (0.6). Of the 625 isolations, 340 isolations were classified as Ilyonectria radicicola and Fusarium solani. Finally, genetic diversity of I. radicicola and F. solani was confirmed by sequence analysis. Among the I. radicicola group, I. mors-panacis, which is known as highly virulent pathogen, and I. liriodendri, I. robusta and I. cyclamicicola, which are weakly virulent pathogens, were identified. In the case of F. solani, it is divided into two groups, but it is necessary to conduct diversity research through genetic analysis and pathogenetic studies using various markers. Based on these results, it could be used as a basic data for control of ginseng root rot pathogens.
        35.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Plants cultivation is hindered by root rot, a major disease caused by the soil-born fungi. The ginseng-cultivated soil is one of the nutritious habitats for soil-borne microorganisms. Bacteria from ginseng-cultivated soil can increase plant growth by supplying nutrients and hormones as well as protecting against pathogenic fungal infections and induced systematic resistance. Methods and Results : The novel species DCY115T was isolated from ginseng-cultivated soil in Gochang province, Republic of Korea. The isolate was assigned to the genus Paraburkholderia due to its 16S rRNA gene sequence closely proximity to P. xenovorans LB400T (98.8%). Strain DCY115T is gram-negative, facultative aerobic, rod-shaped, non-flagellated, oxidase and catalase positive. The predominant isoprenoid quinone is ubiquinone Q-8. The genomic DNA G + C content is 61.3 mol%. Phenotypic tests and chemotaxonomic analysis place strain DCY115T in the genus Paraburkholderia. DNA-DNA hybridization values between strain DCY115T and closely related reference strains were lower than 51%. The DNA relatedness data in combination with phylogenetic and biochemical tests showed that strain DCY115T could not be assigned to any recognized species. Finally, strain DCY115T showed the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ies of siderophores production, phosphate solubilization, and antagonistic activity against root rot fungal pathogen Fusarium solani (KACC 44891T) and Cylindrocarpon destructans (KACC 44660T). Conclusion : The results support the novel strain DCY115T as a potential biocontrol agent against root rot fungal pathogen within the genus Paraburkholderia for which the name Paraburkholderia panacihumi is proposed. The type strain is DCY115T (= KCTC52952T = JCM32099T).
        36.
        2018.10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is an important agriculture plant in Korea. However, plant yield is reduced by pathogens. Cylindrocarpon destructans and Fusarium solani are responsible for root-rot and replant failure of ginseng in Korea. Because of root rot pathogen, the productivity decreased and repeated cultivation is difficult. Methods and Results : The number of Cylindrocarpon destructans and Fusarium solani in soils can be measured by real-time PCR. This methode makes it possible to select of land for caltivation of ginseng. The specific primers of C. destructans and F. solani were synthesized from β-tubulin region. The equation of the standard curve between the colony forming unit(cfu) and the Ct value in the C. destructans was y (Ct value) = -1.608X (cfu) + 39.325. The equation of the standard curve between the colony forming unit (cfu) and the Ct value in the Fusarium solani was y (Ct value) = -1.608X (cfu) + 39.077. This method makes possible to rapidly exactly measure the number of pathogens in soil. C. destructans, a ginseng root rot fungus, was detected in soil samples of 32 (16%) in soil samples. 35.5% of paddy field, 34.3% of paddy field, 64.1% of field, and 65.6% of paddy field were found in perennial plant. Conclusion : As a result, the major causative agent of ginseng root rot was Cylindrocarpon and the onset density was 102 cfu/g in soi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nsity between fusarium and disease.
        37.
        2018.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chemical blend additives (a combination of ferrous sulfate and aluminum chloride) on decreasing pathogens in poultry litter. A total of 240 broiler chickens were assigned to 4 chemical treatments with 4 replicates of 15 chickens per pen. The four chemical blend additives were a control (no treatment), 25 g ferrous sulfate + 75 g aluminum chloride/kg poultry litter, 50 g ferrous sulfate + 100 g aluminum chloride/kg poultry litter and 100 g ferrous sulfate + 150 aluminum chloride/kg poultry litter. During the 6-wk experimental perio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oth E.coli and Salmonella enterica for weeks 4 through 6, but not at weeks 1 and 3, respectively. Consequently, using chemical blend additives that serve as methods to control strict environmental regulations reduced pathogens in poultry litter.
        40.
        2017.05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ackground :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medicinal plants in Korea, but its yields are often reduced by a variety of root pathogens. The root rot of ginseng is a destructive soil-borne disease caused by Cylindrocarpon destructans (teleomorph: Ilyonectria radicicola). Methods and Results : Ilyonectria radicicola and its Cylindrocarpon-like anamorph represent a species complex that is commonly associated with root rot disease symptoms on virulence. During the course of this study, several species could be distinguished from I. radicicola sensu stricto based on morphological and culture characteristics. As results of investigated culture characteristics, optimal temperature for mycelial growth of isolates were 20℃, and colony pattern and color were slightly different on PDA. Isolates of I. radicicola were analyzed for their genetic relatedness based on several genes and microsatellite region. I. radicicola group was divided into two small groups. Conclusion : Therefore, we were able to confirm pathogenicity and genetic difference between the isolates in each of the groups of the pathogen. Among these isolates, 21.5% were classified as highly virulent and 78.5% were weakly virulent. *(Corresponding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