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49

        21.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고창군의 곤충산업 현황을 파악하여 농가 현장지도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국 및 전라북도 곤충산업의 자료를 조사 비교하였다. 농가수를 살펴보면 전라북도의 경우 전국대비 2016년도에 약 8.14%, 2017년도에 약 8.62%였고 고창군의 경우 2016년도에는 약 1.18%, 2017년도에는 약 1.04%였다. 전라북도 내에서 2017년도에 고창군의 농가수는 약 12.10%를 차지하였고 종사자수는 9.25%를 차지하고 있었다. 고창군 곤충 사육시설의 경우 전북대비 판넬 면적은 약 18.27%를 차지하고 있었으며, 사육곤충 중에서는 흰점박이꽃무지 마리수의 경우 약 23.94%를 점유하고 있었다. 특히 고창군은 갈색거저리 사육마리수가 전북대비 약 99.41%로서 타 시군과 비교해서 월등하게 많이 사육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2.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ecological management and landscape improvement of recreation forest by surveying and analysing the vascular plants around Gosan recreation forest, Jeollabuk-do. The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520 taxa including 117 families, 315 genera, 455 species, 5 subspecies, 48 varieties, 11 forms and 1 hybrid. The endangered plants were 2 taxa including Saururus chinensis and Abeliophyllum distichum. The rare plants were 10 taxa including Juniperus chinensis var. sargentii, Epimedium koreanum, Corylopsis gotoana var. coreana, Alangium platanifolium and so forth.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2 taxa including Clematis trichotoma, Philadelphus schrenkii, Indigofera koreana, Weigela subsessilis and so forth.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49 taxa including 5 taxa of grade V, 4 taxa of grade IV, 12 taxa of grade III, 6 taxa of grade II and 22 taxa of grad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0 taxa including Rumex crispus, Euphorbia supina, Aster novibelgii, Centaurea cyanus, Eragrostis curvula and so forth.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and Lactuca scariola. The invasive alien plants are required to be constantly removed, as they may adversely affect nearby natural vegetation disturbances, natural landscape changes, as well as visitors.
        4,600원
        23.
        2017.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investigated in the vascular plants of high value ecological conservation Unjangsan (Mt.), Jeollabuk-do,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604 taxa including 107 families, 343 genera, 530 species, 5 subspecies, 58 varieties and 11 forms. The rare plants were 12 taxa including Paeonia japonica (VU), Syringa patula var. kamibayshii (LC), Cynanchum inamoenum (VU), Schpolia japonica (LC), Scrophularia koraiensis (DD) and so on. The Korean endemic plants were 16 taxa including Pseudostellaria coreana, Clematis trichotoma, Stewartia pseudocamellia, Ajuga spectabilis, Cirsium setidens and so on. In the specific plants by floristic region were 60 taxa, a degree I were 29 taxa (Sisymbrium leteum, Ilex macropoda, Eleutherococcus sessiliflorus, Cirsium pendulum, Veratrum versicolor and so on), 21 taxa of a degree II (Morus cathayana, Phellodendron amurense, Euonymus pauciflorus, Angelica tenuissima, Heloniopsis koreana and so on), 8 taxa of a degree III (Rhynchosia acuminatifolia, Stewartia pseudocamellia, Cynanchum inamoenum, Schpolia japonica, Scrophularia koraiensis and so on), Wisteria floribunda (Planted) of a degree IV and Prunus yedoensis (Planted) of a degree V. The naturalized plants were 42 taxa including Phytolacca americana,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Poa pratensis and so on. Naturalization rate (NR) was 6.9% of all 604 taxa of vascular plants and the invasive alien plants were 3 taxa including Solanum carolinense, Ambrosia artemisiifolia, Aster pilosu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ain plant distribution and protecting valuable plant populations Unjangsan areas in Jeollabuk-do is located in the inland performing will want to take as the basis for designating a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s.
        4,900원
        24.
        2017.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Fishing dredge in Jeollabuk-do began to become widespread in the 1960s and has continued to catch diverse kinds of shellfish in the productive fishing grounds around Dongjin River, Mangyeong River and Geum River estuaries. Since the 1970s, the construction of various large-scale industrial complex and the implementation of Saemangeum reclamation project have resulted in a decrease in main fishing areas and a sharp decline in shellfish production. As a result, dredge fishery has faced many difficulties.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is carried out with a total of 30 fishing permits as of 2016. Surf clams, hen clams, bladder moon snails, and common orient clams were mainly caught before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while comb pen shells, purple whelks and ark shells are mainly caught afterwards. Inside the Saemangeum dike, most fish species have disappeared due to low water level and low salinity, and littleneck clams are caught using a jet pump type of fishing dredge. Outside the dike, the diversity of shellfish species has been reduced; comb pen shells are mainly caught. In this process, a lot of friction occurs due to the use of a reformatted dredge. Therefore, a lot of research needs to be conducted in the near future.
        4,000원
        25.
        201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maximum sustained yield ( ) of shellfish caught through dredge fishery was 7,250 to 7,490 MT from 1990 to 1999, which was not affected by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The MSY from 2000 to 2016, under the influence of the dike, was 1,716 to 1,776 MT when the total annual fish catch was 1,000 MT or more, and 289 to 336 MT when it was less than 1,000 MT. The construction of the Saemangeum Dike led to a decrease in the catch volume of the offshore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to 4.2 to 23.7% of that before its construction. The allowable biological catch () was estimated to be 313 to 1,532 MT per year, which was about 72.3 to 94.3% less than before the construction of Saemangeum Dike. Currently, the dredge fishery in Jeollabuk-do relies on comb pen shells. For fishery management, the catch per vessel should be set at 51.0 MT/year or less, and the number of fishing vessels should be reduced to 22 as quickly as possible. Besides, in the long term, the number of current fishing vessels should be reduced to less than half in consideration of the comb pen shell collecting period in Jeollabuk-do.
        4,000원
        2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nalyzed the use suitability with regard to resource characteristics of provincial parks to provide basic data for park management, and has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Organized by resource, the use suitability is highest for landscape/scenery, weather/climate, smell/sound/colors, and topography/ geology. By season, weather/climate is important in the spring, and landscape/scenery is important in the summer and autumn in determining the use suitability. Aside from the temporary phenomena of the weather/climate, the resource that most influences the use suitability of provincial parks is landscape/scenery for spring, summer, and autumn. Specifically, on a park basis, Mt. Moak’s most important resource for park use suitability is the weather/climate; other parks’ most important resource is landscape/scenery. Mt. Moak and Mt. Seonun Provincial Parks have high use suitabilities in the spring; Mt. Daedun and Mt. Mai Provincial Parks have high use suitabilities in the spring and summer. Organizing parks on a seasonal basis, there a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resource type; moreover, there are differences in use suitability between parks depending on the season. Through evaluating the use suitability of parks, it is possible to identify resource characteristics of parks and to predict the seasonal use frequency of parks in park management, which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determining the intensity of management. As such, this study can aid visitors in determining which park suits their use purposes, and for managers in determining the priority by which the parks should be managed.
        4,000원
        2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곤충병원성 곰팡이 Zoophthora radicans (Entomophthorales: Entomophthoraceae)가 혹명나방, 배추좀나방, 복숭아혹진딧물과 진딧물 인 미분류 1종을 감염시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들은 전라북도 진안, 김제, 익산에서 수집되었고, 6월과 9월에 관찰이 가능하였다. 이 균에 감염 된 혹명나방은 진안에서 수집되었고, 감염율이 46%에 달하였다. 감염된 곤충 충체로부터 균을 분리하여 Sabouraud dextrose agar with yeast extract (SDAY)를 이용하여 인공배양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20~28°C가 인공배양을 위한 최적온도로 판단되며, SDAY보다 SDAY supplemented with egg yolk and milk (SDAY-EM)에서 발육이 보다 양호하였다. 이 곰팡이는 자연적으로 발생함을 포장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8.
        201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elements and landscape management pla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ose plans within the preservation management plan of the 4 provincial parks in Jeollabuk-do Province. A landscape management plan includes both natural and cultural landscape plans, in similar proportions. While a forest’s vegetation landscape is presented as the main focus of natural landscape management, temple landscape and landscape control points (LCPs) are the main focus of 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Analysis of the specific plans by the landscape management strategies, shows that an enhancement approach was incorporated into most of them, while reduction, avoidance, compensation and remediation approaches were also included in part. Management of natural landscape elements such as vegetation and forests is included in the plans, which aim to improve the negative factors and conditions that impair the landscape, by means of reduction, remediation, and compensation. 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such as LCP management, and management of temple landscape and other scenic elements, can usually be categorized as either enhancement or avoidance strategies. The objective of such plans appears to be the improvement of negative landscapes, through management strategies of reduction, remediation, avoidance, and compensation, while also managing the positive landscape elements with enhancement strategies. Historic-cultural landscape elements were revealed to be highly prioritized in provincial parks, as these landscape types were managed in every park in this study. Vegetation landscape management was concentrated at Mt. Moaksan, and this indicates that the importance of vegetation landscape is relatively low within the natural landscapes of the Jeollabuk-do provincial parks. Overall, management in each park appears to be focused on a unique landscape type characteristic of that park, such as vegetation, topographical, or facilities landscape.
        4,000원
        29.
        2016.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ating habits and dormitory foodservices’ satisfaction in university students using dormitory foodservice in the Jeollabuk-do Iksan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195 students (86 male, 109 female). Many students (58.5%) ate less than two meals per day and spent around 30 min eating meals. The results show that snack and midnight meals were the main reasons (37.9%) for unhealthy eating habits. Main source of nutritional knowledge and information were TV and the Internet (58.5%), followed by friends and people (25.1%), nutrition books (10.3%), elective courses (4.6%), and newspapers and magazines (1.5%). Men had significantly higher satisfaction scores for nutrition, taste, diversity of menu, as well as hygiene of dormitory food court compared to women (p<0.05). Salty taste was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evaluation of taste satisfaction, whereas sour taste was opposite. The reason for taste dissatisfaction in the dormitory food court was not salty enough, and it may be related with their eating habits. The results show that students need education for adequ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alth and nutrition.
        4,800원
        30.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A surveillance of chigger mites was performed to monitor the incidence of scrub typhus vectors at 5 environmental collection points of 3 locations (Muju, Namwon and Gimge) from April 2016 in Jeollabuk-Do, Korea. During the surveillance period, 3,292 chigger mites were collected and the predominant species were Leptotrombidium pallidum (42.9%). The high environmental collecting rates were recorded at reservoir bank (31.6%) and grassfield (29.7%). We detected Orientia tsutsugamushi from the samples collected in Jeollabuk-Do using nested polymerase chain reaction. The specific DNA of O. tsutsugamushi were detected in 11 pools among total 119 pools and its minimum positive rate was 0.35%. In ord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higger mites and scrub typhus cases, further survey will be needed.
        31.
        2016.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S: There are many recently constructed roundabouts in Jeollabuk-do province. This study analyzed how roundabouts reduce the risk of accidents and improve safety in the province. METHODS: This study analyzed safety improvement at roundabouts by using an accident prediction model that uses an Empirical Bayes method based on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RESULTS : The results of our analysis model showed that the total number of accidents decreased from 130 to 51. Roundabouts also decreased casualties; the number of casualties decreased from 7 to 0 and the seriously wounded from 87 to 16. The effectiveness of accident reduction as analyzed by the accident prediction model with the Empirical Bayes method was 60%. CONCLUSIONS : The construction of roundabouts can bring about a reduction in the number of accidents and casualties, and make intersections safer.
        4,000원
        32.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로드 킬 현황에는 기간과 주기가 명확하지 않아 자료에 신뢰성이 낮기 때문에 로드 킬 저감 연구에 왜곡될 가능성이 높았다. 따라서 이 연구로 현실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한국도로공사에서 제공받은 자료를 활용, 분석한 결과 최근 5년(2010-2014) 간 전북 권 고속도로에서 발생한 야생동물 로드 킬 사고를 분석하였다. 전북권을 지나는 고속도로 7노선을 선정하여 조사한 결과 중부선(1472개채, 46.90%)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로드 킬을 당한 야생동물 중에 고라니(Hydropotes inermis)가 2010년도부터 2014년까지 84.60%로 다른 동물과 비교가 안 될 정도로 높게 측정되었다. 그리고 계절별 사고 수는 4계절 중 봄(31.73%)과 여름(30.05%)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3년도와 2014년 사고발생 시간 중 오전 7시에 79건 (9.11%)으로 사고건수가 가장 많았고, 오전 04-08시 구간이 323건(37.25%)을 차지하였다. 2010년도부터 2014년도까지 월별 사고 수는 5월(20.36%), 6월(18.67%)로 높게 측정되었다. 향후 지속적인 유사 연구를 통해 고속도로 로드 킬 감소에 야생동물과 국민의 안전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이를 위해 부족했던 오차 범위, 사고 주기, 로드 킬 시간, 사고 원인 조사결과 등 자세한 통계가 필요하다.
        4,000원
        33.
        201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conducted an on-the-spot survey on the 21 national and private forest roads in the Jeollabuk-do area in order to construct a GIS-based map of the disaster-prone zones in forest roads, and built the database of the locations of the disaster-occurrence and disaster-prone zones and disaster-prone zones. In addition, it built the DB with the Raster of size 10m x 10m using the GIS program after extracting the gradients, the forest shapes, the age of stand, and the soil properties factors by referring to a 1: 25,000 digital map, a detailed soil map, and a digital map of the forest shapes in connection with forest road disasters, and then built a rainfall distribution chart(Raster) after extracting the rainfall factors using the rainfall data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Development Corporation. The map of the disaster-prone zone in forest roads was constructed through the combination of all the completed Raster charts and the applications of the Raster calculation(Raster calculator) technique. It is expected that with a more localized and more quantitative assessment, these study results will provide the base line data for a structural and managerial improvement of the forest roads.
        4,000원
        34.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1. 서론 마이산은 전라북도 진안군 진안읍과 마령면에 걸쳐 있고, 많은 역사․문화․종교 관련 문화재가 자리하고 있으며, 산봉 의 특이한 형상과 돌탑군으로 인하여 탐방객이 많은 명승 지이다. 탐방객이 많은 만큼 등산로가 많이 형성되어 있고, 등산로의 훼손도 심한 편이다. 우리나라의 탐방로는 잘 계 획된 노선이 아니라 험준한 산악지형에서 신속히 정상에 도달할 목적으로 단거리, 급경사를 따라 자연발생적으로 성 립된 것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탐방로에서 발생하는 각종 훼손은 자연훼손을 고려하지 않은 노선체계에다 강우를 비 롯한 국지적 기상과 토질 등의 환경적인 취약성을 바탕으로 과밀이용과 무질서한 이용행태가 가세하면서 발생되며, 보 수․정비의 미흡 또는 지연, 자원 및 이용자 관리체계의 미비 등으로 인해 훼손이 더욱 심화되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는 마이산도립공원 구역에 형성되어 있는 등산로의 현황과 훼손실태를 파악하고, 공원자원의 관리 차원에서 등산로의 복원 및 관리방향을 제시하였다. 2. 연구방법 및 내용 현장조사는 2012년 3월부터 5월 사이에 실시하였으며, 조사대상은 공원구역내에 형성되어 있는 지정 탐방로와 비 지정 탐방로를 모두 포함하였다. 조사방법은 구간별 훼손지 점을 전체적으로 조사하는 전체조사법과 일정한 간격마다 구분하여 조사하는 신속조사법을 병행하여 실시하였다. 조 사야장은 GPS 현장조사야장과 숲길(등산로)훼손/환경피해 도 조사야장을 이용하고 훼손지 조사항목은 GPS장비를 이 용하여 조사구간, 구간길이, 조사지점 등의 위치정보를 수 집하였다. 환경피해 조사항목은 노폭 및 나지폭, 뿌리노출, 암석노출, 침식깊이, 노폭확대, 노면침식 등으로 구분하여 훼손등급 및 유형 등을 기재하였다. 기존 공원계획에 반영 되지 않은 비지정 탐방로를 GPS와 GIS를 이용하여 조사하 고 DB를 구축하였으며, 구축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GIS와 AutoCAD 상에서 탐방로 훼손지의 위치도를 수치지형도 (1/25,000)로 작성하였다. 등산로 복원방법의 하나로서 기 존 노선계획과 공원 자연자원 및 공원시설의 연계성을 고려 한 합리적인 신설노선을 검토하였고, 나아가 훼손된 등산로 의 복원 및 관리방안을 제시하였다. 3. 결과 1) 탐방로의 현황 마이산도립공원 탐방로는 총 19개 노선으로 분류되었고, 총연장은 37.5km이었다. 이것을 수치지형도로 작성한 결과 는 그림 1과 같다. 이 가운데 16개 노선은 지정노선이고, 3개는 비지정노선(17, 18, 19 노선)이다. 비지정노선 중에 서 17번 노선은 8번 노선에서 탕금봉을 경유하여 전망대(비 룡대) 방향으로 가는 길이고, 18번 노선은 탐방객이 자유롭 게 산책할 수 있도록 2006년 6월 ‘연인의 길’로 지정한 아스 팔트 포장의 산책로로서 등산로 형태의 탐방로는 아니며, 19번 노선은 마령면 강정리 월운마을을 시점으로 태자굴과 광대봉 갈림길을 통과하여 정상으로 가는 탐방로로서 마이 산 자락에서 가장 깨끗한 물이 흘러 마을 주민들이 이를 보호하기 위해 탐방로로 지정하지 않은 노선이다. 2)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및 이용영향 총 19개 노선에서 추출된 유효측점은 142개로 이들 조사 지점으로부터 관측한 각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을 평균치로 표시하면, 노폭은 1.6m, 나지폭은 1.1m, 최대침식 및 등산 로 물매는 각각 13.6cm와 18.4%이다. 각 노선별로 지형적 요인 및 이용강도에 따라 물리적 영향을 크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탐방로 훼손의 특성 19개 탐방로의 총 142개 지점에서 조사된 각종 훼손유형 및 발생빈도를 각 구간별로 집계한 결과 나지화는 진행되지 만 지표침식이나 뿌리노출현상은 발견되지 않은 4등급이 전체의 80.3%, 나지로서 지표침식이나 뿌리노출현상이 나 타난 5등급이 전체의 18.3%, 극심하게 침식이 이루어진 6 등급에 해당하는 탐방로는 1.4%로 나타났다. 대부분의 노 선에서 훼손등급이 다소 낮은 건전지점으로 분류되었고, 주 요 탐방 코스인 일부 구간(3번, 7번, 8번)에서 훼손등급이 다소 높은 것으로 분류되었다. 한편, 복원이 우선시되는 6등 급이 2개소 출현하였는데, 이는 6번 구간의 경우 은수사 우측편 탐방로 시점 하단부에 위치하여 빗물에 의해 일부 노면이 세굴된 형태이며 면적은 크지 않고, 15번 구간의 경우 관암제 주변 리기다소나무 벌채지 작업로에서 노면세 굴이 발생한 사례이다. 발생빈도가 가장 높은 훼손 유형은 암반노출형 54개소(38.0%)이고, 수목뿌리노출형 30개소 (21.1%), 노폭확대형 19개소(13.4%), 노면침식형 14개소 (9.9%)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기타 노면세굴형, 샛길형, 노 면주변훼손형, 계단높이불편형의 출현비율은 낮았으나, 노 면배수불량형이 2개소 출현하였다. 4) 탐방로 복원 및 관리방향 훼손된 탐방로에 대해서는 노선별 훼손유형에 적합한 복 원방안을 검토해야 한다. 복원과 관리의 기본방향은 먼저, 탐방로는 쾌적하고 구조적으로 안정된 길로 조성되어야 하 며 탐방로 시설이나 시설행위가 주변 생태계나 경관을 훼손 하지 않도록 정비되어야 한다. 또한, 탐방로 복원은 산지 사면별 또는 노선별로 완결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노면 침식을 예방하기 위하여 적정한 횡단배수시설을 설치해야 하며, 시설물은 10년 이상의 내구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35.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북도에서 이용되는 민속식물을 파악하 기 위하여 2013년 3월부터 2014년 7월까지 수행하였다. 11개 시∙군지역의 주민 59명을 대상으로 수집한 885 건의 설문조사를 분석한 결과, 민속식물은 총 66과 137 속 140종 2아종 12변종으로 총 154분류군이 확인되었 다. 지역별로는 완주시가 135분류군으로 가장 많았고, 고 창군이 128분류군, 무주군 104분류군, 진안군 103분류군, 부안군 87분류군, 정읍시 69분류군 등의 순으로 높게 나 타났다. 용도별 이용은 식용 112종류, 약용 62종류, 관상 4종류, 염료 3종류, 유지 3종류, 향료 1종류, 수액 1종류, 향신료 1종류, 기타 9종류로 식용과 약용의 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이용부위로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전체 순으 로 나타났다. 표준식물명과 각 시∙군별 지방명의 일치 에서는 무주 (59.4%), 완주 (51.8%), 부안 (51.0%), 고창 (50.4%), 순창(46.3%) 등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전반 적으로 민속식물의 이용정보는 대부분 구전으로 습득하 였다.
        4,500원
        36.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 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 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동물 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동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동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 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 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도 전반에 걸쳐 동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 사 2차와 3차 조사결과를 문헌리뷰하여 결과를 업었고, 시 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 담수수계에서 조사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5문 8강 20목 87과 312종이었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종의 관찰은 유량의 변화에 아주 민감하게 반응하여 나타나 며 또한 계절에 의한 종의 차이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이들 무척추동물 중에서 전 지역에 걸쳐 고루 분포하는 동 물군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산간계류에서는 비교적 청정한 지역에서 발견되는 강도래류 토우민강도래, 진강도래, 녹색 강도래, 꼬마강도래, 총채민강도래, 날도래류에는 검은머리 물날도래, 플라나리아, 옆새우류 등이 발견되었다. 강의 하 류나 평지에서는 비교적 오염된 지역에 서식하는 종들이 주를 이루었다. 전라북도 담수에 서식하는 어류는 최근 문헌자료에 의하 면 총 9목 19과 88종이 보고되었다. 이 중 잉어목이 51종으 로 가장 많았고, 칠성장어목 1종, 뱀장어목 2종, 메기목 6종, 바다빙어목 2종, 숭어목 2종, 동갈치목 2종 드렁허리목 1종, 횟대목 21종이 보고되었다. 환경멸종위기종 Ⅰ급 어류는 임실납자루, 감돌고기 총 2종이 출현하였고, 멸종위기종 Ⅱ 급 어류는 다묵장어, 꾸구리, 돌상어, 모래주사 총 4종이 출현하여 총 6종의 멸종위기종이 출현하였다. 또한, 특산종 은 각시붕어, 칼납자루, 줄납자루, 큰줄납자루, 가시납지리, 쉬리, 참중고기, 중고기, 긴몰개, 몰개, 참몰개, 왜매치, 돌마 자, 왕종개, 줄종개, 미유기, 눈동자개, 자가사리, 꺽지, 동사 리, 얼룩동사리, 큰볏말뚝망둥어 등 22종으로 전체 25%를 차지하였으며 외래어종은 블루길 베스 2종이 보고되었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육상곤충류는 18목 249과 2,105종 이 보고되었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Ⅰ급은 없었으며, Ⅱ급에 속하는 고려집게벌레, 멋조롱딱정벌레, 붉은점모시 나비, 비단벌레, 쌍고리부전나비, 왕은점표범나비 등 6종만 이 기록되었다. 고려집게벌레는 전주시 완산 칠봉에서 최근 에 관찰되었으며, 멋조롱딱정벌레는 무주군에서 문헌상으 로만 전해지며 붉은점모시나비는 무주군, 정읍시, 진안군에 서 문헌기록상으로 전해지고 있다. 비단벌레는 부안 변산국 립공원과 정읍내장사에서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쌍 꼬리부전나비와 왕은점표범나비는 각각 무주군과 무주군 및 정읍시에서 문헌기록으로 전해지고 있으나 최근까지 관 찰기록은 없었다. 전라북도 양서류는 총 2목 6과 19종이 출현하였고, 환경 부 멸종위기종 Ⅰ급에 해당하는 수원청개구리 1종과 Ⅱ급 에 해당하는 맹꽁이, 금개구리 2종이 출현하였다. 보호종은 두꺼비, 맹꽁이, 금개구리 3종이 확인되었고, 외래종은 황소 개구리 1종이 발견되었다. 파충류는 2목 10과 30종이 출현 하였고, 환경부 멸종위기종 Ⅱ급은 구렁이 1종이 출현하였 다. 보호종은 남생이, 까치살모사 2종이 출현하였고 외래종 은 붉은귀거북 1종이 출현하였다. 전라북도에 서식하는 조류는 총 17목 53과 257종이 출현 하였다. 아비목 1과 1종, 논병아리목 1과 4종, 사다새목 1과 2종, 황새목 2과 14종, 기러기목 1과 26종, 매목 2과 17종, 닭목 3과 4종, 두루미목 1과 4종, 도요목 5과 49종, 비둘기 목 1과 3종, 두견목 1과 5종, 올빼미목 1과 5종, 쏙독새목 1과 1종, 칼새목 1과 2종, 파랑새목 3과 6종, 딱다구리목 1과 4종, 참새목 27과 110종이 출현하였다.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조류에는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큰고니, 노 랑부리저어새, 독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소쩍새,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황조롱이, 원앙 16 종이 있었으며,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Ⅰ급에는 매, 청다리 도요사촌, 저어새, 참수리, 노랑부리백로 총 5종이 출현하였 고, 멸종위기종 Ⅱ급 종으로는 큰고니, 노랑부리저어새, 독 수리, 참매, 붉은배새매, 새매, 수리부엉이, 올빼미, 개리, 검은머리물떼새, 큰기러기, 물수리, 별매, 솔개, 조롱이, 큰 말똥가리, 잿빛개구리매, 알락개구리매, 새홀리기, 뜸부기, 흰목물떼새, 알락꼬리마도요, 검은머리갈매기, 긴꼬리딱새 총 24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은 총 29종이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에는 고창군과 군산시 지역에서 노랑부리백로 1종만이 발견되었다. 전라북도 포유류는 총 5목 11과 30종이 출현하였으며, 천연기념물에 속하는 포유류는 하늘다람쥐, 수달 등이 발견 되었다. 또한 환경부 멸종위기종Ⅰ급에 수달 1종이 출현하 였고, 멸종위기종 Ⅱ급에는 삵, 담비, 하늘다람쥐 총 3종이 출현하여 멸종위기종이 총 4종 출현하였다. 한국 고유종으 로는 멧토끼와 고라니 2종이 확인되었다.
        37.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최근 자연환경에 대한 관심이 증가되고 있으며, 전라북도 에서 보유하고 있는 생물자원 등 자연환경여건을 조사 분석 하여 전라북도의 자연환경보전계획 수립함에 있어서 식물 자원에 대한 기초자료 확보 필요성을 대두되고 있다. 또한 이런 식물자원을 향후 타시도 식물자원과 비교 분석을 함으 로써 전라북도 자연환경 여건에 맞는 장기적인 보전 및 활 용계획을 수립할 수 있도록 본 조사를 시도하였다. 전라북 도 전반에 걸쳐 식물상 조사는 환경부 자연환경조사 2차와 3차 조사결과와 환경영향평가서 및 현지조사 결과를 리뷰 하여 결과를 얻었고, 시군별로 분리하여 도뿐 만아니라 시 군에서도 환경정책 및 자연자원 보전계획에 활용할 수 있도 록 자료를 구축하였다. 전라북도는 동부산간지대인 무주, 지안, 장수, 남원지역이 서부평야해안지대인 김제, 부안, 고 창, 익산, 군산 등지보다 많은 식물이 분포하며, 지리산 국립 공원을 끼고 있는 남원시가 가장 많은 종을 보유하고 있었 다. 또한, 전라북도는 고산수종부터 남부해안 수종까지 다 양한 식물이 분포하며, 이는 동부산간지대와 서부평야해안 지대로 구성된 전라북도의 지형적인 특성에 기인하였다. 전라북도의 관속식물상은 총 141과 615속 1,313종 7아 종 171변종 총 1,49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지역 의 식물 멸종위기종으로는 무주군에 광릉요강꽃, 가시오갈 피, 산작약, 복주머니난으로 4종, 남원시에 솔붓꽃, 산작약 으로 2종, 임실군에 솔붓꽃, 정읍시에 진노랑상사화, 부안군 에 미선나무로 각각 1종씩 확인되었다. 고창군에는 솔붓꽃, 가시연꽃으로 2종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식물구계학적 특정종 가운데 정밀생태조사종에 해당하는 Ⅲ등급종은 152 분류군, Ⅳ등급종 27분류군 및 Ⅴ등급종 32분류군으로 총 211분류군이 확인되었다. 특히 각 시군 가운데 완주군은 Ⅲ등급종 23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및 Ⅴ등급종 3분류 군으로 총 28분류군이 확인되어 가장 많이 확인되었고, 그 뒤로 남원시가 Ⅲ등급종 18분류군, Ⅳ등급종 2분류군 Ⅴ등 급종 3분류군으로 총 23분류군, 정읍시가 Ⅲ등급종 18분류 군, Ⅳ등급종 1종 Ⅴ등급종 3분류군으로 총 22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한국고유종은 양치류 3 종, 나자식물은 구상나무로 1종, 피자식물로는 쌍자엽식물 은 42종과 단자엽식물 7종으로 나타났다. 한국고유종은 26 과 43속 44종 8변종 1품종으로 총 53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또한, 전라북도에서 나타난 산림청 희귀종으로는 24과 29 속 28종 2변종 30분류군으로 고란초, 사스레피나무, 개서어 나무, 만주바람꽃, 쥐방울덩굴, 백작약, 매미꽃, 히어리, 낙 지다리, 물매화, 왕벚나무, 모감나무, 태백제비꽃, 금강제비 꽃, 구상난풀, 꽃개회나무 등 총 30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전라북도 전역에서 나타난 귀화식물에서 생태교란 야생종 은 애기수영, 가시박, 도깨비가지, 돼지풀, 단풍잎돼지풀, 미 국쑥부쟁이, 서양금혼초, 가시상추, 털물참새피 등 9종이 확 인되었다.
        38.
        2013.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성삼재 지역을 관통하는 도로는 1988년 천은사~반선 간 지방도 861호를 개통한 이래, 지리산국립공원 전체 탐 방객의 약 50%정도인 약 120만명의 탐방객과 40만대 이 상의 차량이 통과하는 주요 탐방거점이 되고 있다(김동필 등, 2008). 특히 지리산국립공원을 관통하는 성삼재 관통 도로(지방도861호선) 개설로 인해 주요 야생동․식물 서식 처가 파괴되고 단절되었으며, 각종 생태계 교란 및 외래식 물 등이 유입됨으로써 자연생태계 교란이 우려되고 있는 실정이다. 전라북도 본 조사는 2008년 10월부터 2012년 8까지 총 5회 에 걸쳐 천은사 입구에서 성삼재휴게소 지역을 거쳐 도계삼 거리까지 15.7㎞에 이르는 도로변 식물자원을 중심으로 현 지조사를 실시하였다. 성삼재 도로는 지방도 861호선으로 천은사 입구에서 도계 삼거리까지 1988년에 도로폭 7m를 아스콘 포장을 하였다. 현지조사는 도로변 출현종의 수직분 포를 밝히기 위하여 총 6개구간으로 나누어서 현지 식물상 조사를 실시하였다. 천은사 입구에서 수도암까지 80분류군이, 수도암에서 상 선암구간은 65분륙군, 상선암에서 시암재휴게소구간은 98 분류군, 시암재휴게소에서 성삼재휴게소구간은 73분류군, 성삼재에서 심원마을 구간은 110분류군 및 심원마을에서 도계삼거리는 82분류군으로 총 21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외래종은 협의의 외래종과 광의의 외래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임동옥 등, 2008). 협의의 외래종은 환경부지정 귀화 식물과 같이 우리나라가 아닌 외국이 원산지인 종들을 말하 며, 광의의 외래종, 즉 외부에서 도입된 식재종으로 본 조사 대상지역에 살지 않았던 종을 도로나 택지개발 등으로 도입 하여 식재한 종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처럼 구분한 외래종 은 총 34분류군으로서 협의의 외래종은 28분류군, 광의의 외래종은 6분류군이었다. 특히 광의의 외래종은 젓나무(전 나무), 잣나무, 금테사철, 개나리, 무궁화 및 등으로 총 6분 류군이었다. 구간별 확인된 종은 다음과 같다. Ⅰ구간(천은사 입구~ 수도암)에서 외래종에 해당하는 종은 13분류군이다. 초본 식물은 미국자리공, 주홍서나물, 개망초, 망초, 서양민들레, 능수참새그령 등 6종이며, 목본식물은 삼나무, 편백, 사방오 리, 만첩빈도리, 아까시나무, 흰말채나무, 왕대 등 7분류군 이다. 그리고 광의의 외래종 즉 식재종은 잣나무, 금테사철 및 등나무로 3분류군이다. Ⅱ구간(수도암~상선암)에서 외 래종에 해당하는 종은 10분류군이다. 초본식물은 달맞이꽃, 주홍서나물, 붉은서나물, 망초, 서양민들레, 미국개기장 등 6분류군이며, 목본식물은 만첩빈도리, 족제비싸리, 아까시 나무, 흰말채나무 등 4분류군이다. 그리고 광의의 외래종 즉 식재종은 잣나무로 1분류군이다. Ⅲ구간(상선암~시암재 휴게소)에서 외래종에 해당하는 종은 12분류군으로, 초본 식물은 소리쟁이, 다닥냉이,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붉은 서나물, 망초, 큰방가지똥, 서양민들레, 개보리 등 9분류군 이며, 목본식물은 족제비싸리, 아까시나무, 철쭉sp. 등 3분 류군이다. 그리고 광의의 외래종 즉 식재종은 잣나무와 개 나리로 2분류군이다. Ⅳ구간(시암재휴게소~성삼재휴게소) 에서 외래종에 해당하는 종은 12분류군으로, 초본식물은 달 맞이꽃, 토끼풀,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서양민들레, 큰김의 털, 능수참새그령 등 7분류군이며, 목본식물은 일본잎갈나 무, 사방오리, 만첩빈도리, 족제비싸리, 철쭉sp. 등 5분류군 이다. Ⅴ구간(성삼재휴게소~심원마을 입구)에서 외래종에 해당하는 종은 14분류군으로, 초본식물은 소리쟁이, 다닥냉 이, 달맞이꽃, 붉은서나물, 개망초, 망초, 서양민들레, 개보 리, 큰김의털, 능수참새그령 등 10분류군이며, 목본식물은 일본잎갈나무, 일본목련, 족제비싸리, 아까시나무 등 4분류 군이다. 그리고 광의의 외래종 즉 식재종은 전나무, 잣나무 및 개나리로 3분류군이다. 그리고 Ⅵ구간(심원마을 입구~ 도계삼거리)에서 외래종에 해당하는 9분류군으로, 초본식 물은 애기수영, 달맞이꽃, 미국가막사리, 개망초, 망초, 서양 민들레, 개보리 등 7분류군이며, 목본식물은 족제비싸리, 아 까시나무 등 2분류군이다. 그리고 광의의 외래종 즉 식재종 은 전나무, 잣나무 및 무궁화로 3분류군이다. 지리산국립공 원은 우리나라 국립공원 1호로 지정되었으며, 특히 성삼재 지역을 관통하는 도로는 1988년 천은사~반선간 지방도 861 호를 개통한 이래, 지리산국립공원 전체 탐방객의 약 50% 정도인 약 120만명의 탐방객과 40만대 이상의 차량이 통과 하는 주요 탐방거점이 되고 있어서 특별한 관리 방안이 요 구된다. 특히 성삼재 지역은 백두대간의 능선 마루금에 놓 여서 백두대간 관리에도 모범적인 선례를 남겨야 되는 중요 한 지역이다. 특히 외래종의 관리에는 특별한 관리가 요구 된다. 첫째, 외래종은 외국 국적의 종으로 자생능력이 있는 귀화식물종과 식재하였을 때 사계절을 견디고 살아가는 종 을 협의의 외래종으로 볼 수 있다. 한편 지리산 성삼재 지역 에 자생하지 않았던 종을 도입하여 식재한 경우, 예를 들면 무궁화, 개나리, 전나무나 잣나무 등과 같은 종들을 광의의 외래종으로 규정하였다. 이렇듯 지역 자생종이 아닌 종들을 무분별하게 도입하는 것은 신중을 기해야 되겠다. 둘째, 협 의의 외래종은 우선 제거 대상 종으로 삼아야 되겠다. 셋째, 국립공원지역 내에서는 환경부에서 정한 위해외래종의 제 거뿐만 아니라 일반 외래종도 제거하는 방안을 강구해야 되겠다.
        39.
        2011.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전라북도 동부 산악지역 낙엽송 임분의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생장모델을 개발하고, 지역․기 후 인자인 고도, 연평균 강우량 그리고 연평균 기온을 독립변수로 이용하여 모델의 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그 결과, Schumacher 다형방정식이 흉고직경과 흉고단면적 추정을 위한 최적의 모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흉고직경 생장모델의 경우 고도와 연평균 강우량을 삽입하여 모델의 정도를 향상 시킬 수 있었으며, 흉고단면적 생장모델의 경우 연평균 강우량을 이용하여 모델의 정도를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편, 더욱 정도 높은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고도와 연평균 등 환경 인자와 더불어 임목본수, 고사율, 간벌율, 그리고 토양상태 등의 다양한 인자를 포함하는 모델의 추정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 된다.
        4,000원
        40.
        200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전라북도 전주시의 전주천에서 2000년 4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상류인 한벽교부터 삼천 합류지점까지 도심을 관통하는 7.2km의 구간에서 "자연형하천 조성사업" 이루어졌으며, 이에 대한 전주천의 자연형 하천 조성 사업 전과 후의 어류상 및 군집을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조성사업 이전인 1975년부터 1999년까지 전주천에서는 12종~8종의 어류가 출현하였으나, 공사 이후인 2003년~2008년 사이에는 총 34종이 확인되어 어류의 다양성이 크게 향상되었다. 특히 도심지인 중류지점 (다가교-서신교사이)에서는 공사이전에는 5종의 적은 종이 출현하였으나 공사 이후에는 22종으로 급증하는 특징을 보였다. 이러한 어류상의 변화는 자연형 하천 공사로 인해 생활하수의 유입 차단으로 인한 전주천의 수질개선 및 직강화 되고, 평탄화 되어 있던 하천에서 여울과 소가 반복적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하상구조도 돌과 자갈, 모래, 진흙 등으로 다양화되어 어류의 서식공간이 다양화되었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4,200원
        1 2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