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02

        21.
        2017.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achers’ job satisfaction is a crucial factor to determine the quality of education in that it affects their dedication and participation. While teachers’ job satisfaction in general has been widely investigate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has been sparsely explored. Thus, this study investiaged both general and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and compared them. A total of 117 secondary English teachers in Seoul participated in a survey which measures job satisfaction in terms of seven factors: relationship with people, job duties, work environments, opportunities for professional development, compensations, administration systems, and recognitions. Overall, the participants showed a modest level of satisfaction in both general and subjet-related jobs. Yet, subject-related job satisfaction was higher than general job satisfaction. They were particularly satisfied with their relationship with students and teachers. They also showed high satisfaction with recognition they receive as a teacher as well as an English teacher. In contras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compensations and workloads in general, and the number of students in charge and administrative support in teaching English. Finally, their job satisfaction was affected by gender, school type, position, and marriage.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to enhance secondary English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made.
        5,800원
        22.
        2016.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mantic clustering on Korean secondary school students’ English vocabulary learning.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with 56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South Korea. In order to determine if and how semantic clustering affects second language learner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semantically related (SR) word group and a semantically unrelated (SU) word group. The two comparison groups were taught the same 25 vocabulary items in different clusters (SR vs. SU). In the experiment, vocabulary test scores were gathered and analyzed three times: on a pre-, post-, and delayed-test. In the results, scores from the SU word group significantly outperformed the SR word group on the post-test, but on the delayed-test. Findings suggest that presenting new L2 words in SU sets is more effective than SR sets in the short term with Korean EFL secondary school students.
        6,000원
        23.
        2016.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motivational factors affect Korean EFL secondary students’ motivated learning behavior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It further examined differences in the internal structure of L2 motivation over time. A total of 489 second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Data were collected at two time points during an academic semester: in the beginning and at the end of the semester. Results of the SEM showed that students’ ideal L2 self was the strongest determinant of their motivated learning behavior at both time point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hereas for high school students, ought-to L2 self had the strongest direct an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motivated behavior in learning English throughout the semester. It was also found that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bout the international posture of English and their parents’ involvement in English learning made indirect effects on their motivated behavior. Pedagogical implications and research suggestions are discussed.
        5,800원
        24.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thiopian development plans have dealt with the education sector as a key strategic pillar. There have been a lot of educational efforts. In particular, to cope with a lack of qualified teachers, lack of good teaching models, and remote rural regions separated from educational benefits, the Ethiopian Ministry of Education has made efforts to utilize educational media, such as satellite TV programing, to improve the quality of secondary education for last decade. However, there was lack of national investigation in the aspect of systemic evaluation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satellite TV programing.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ctual practice and effectiveness of the satellite TV programing in Ethiopian secondary schools. To achieve the goal, on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the CIPP model. Two secondary schools were selected and 228 students (Grade 9-12) participated in the survey. Data collected from them were utilized for descriptive & frequencies analysis, chi-square tes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d that Ethiopian students utilizing satellite TV programing scored highly in the evaluation areas of context, input, process, and product of the program. It was also found that learning demand, learning content, and class management were factors affecting the satisfaction in the satellite TV programing.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satellite TV programing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the quality of Ethiopian secondary education. As a conclusion, several educational and administrative strategies to improve the TV program were recommended.
        4,600원
        25.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중등학교에서 사용할 수 있는 미세먼지 포집 장치를 직접 설계 및 제작하고 이를 통해 미세먼지에 포함된 중금속 및 미생물을 분석하는 활동이 가능한지 여부를 탐색하고자 한다. 중등학교 현장의 과학 탐구활동을 위해 청주지역에서 미세먼지를 포집하는 방법과 그 속에 포함된 중금속 및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미세먼지의 포집장소는 청주지역 대학교의 4층 건물 옥상에서 포집하였다. 모터 펌프, 인넷, 지름 1.0μm 테프론필터, 필터 홀더 등을 이용하여 포집장치를 제작하였다. 이 포집장치를 이용한 미세먼지 포집은 2013년 12월-2014년 6월까지 진행하였다. 포집한 미세먼지의 중금속 성분과 미생물 포함 여부를 분석하였다. 중국에서 날아온 미세먼지 속에는 Cu, Zn, Cd, Ni, Pb 등인위적인 오염물질로 판단되는 중금속 성분이 국내 기원 미세먼지 보다 많았다. 더 나아가, 미세먼지 속에는 중금속 뿐만 아니라, 곰팡이나 세균같은 미생물도 다량 포함하고 있었다. 이 연구는 미세먼지가 중금속 뿐만아니라 미생물도 포함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와 모니터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이 연구는 중등학교 과학실험의 사례로 제공될 수 있다.
        4,200원
        26.
        2014.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다양한 중등학교 과학교과서 동해 해류도의 통일이 최근에 완성됨에 따라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도 제작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 연구는 그 첫 단계로서 과학 논문과 2014년 현행 교과서의 해류도들을 분석하여 향후 황해와 동중국해의 통일된 해류도를 제작하는 과정을 촉진시키고자 하였다. 우선 교과서와 과학 논문의 아날로그 해류도들을 수치화하여 해류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조사하였고 해류도들을 상호 비교하였다. 쿠로시오해류, 대만난류, 대마난류, 황해난류, 중국연안류, 한국연안류, 양쯔강 유출류와 같이 황해와 동중국해의 해류들을 선정하고 정의하였다. 이 해류들의 경로를 조사하기 위하여 18개의 세부 항목을 만들고 이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각 세부항목에 대하여 교과서와 과학 논문 해류도들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 해류도들은 과학 논문으로부터 획득한 해류에 관한 최근의 지식과 상당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한 황해와 동중국해 해류는 계절에 따라 크게 변화하므로 해류 전문가들의 활발한 토의를 통하여 교과서 해류도를 적어도 여름철과 겨울철로 구분하여 제시해야 할 것이다.
        6,700원
        27.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문언문의 한자․어휘 교육은 중학교 중문 교육의 필수적인 부분이다. 이전에 홍 콩의 중학교에서 시험을 치르었던 아니던 간에, 문언문은 최근 중학교 졸업시험에 서 그 지식과 이해가 포함되고 있으며, 중국 어문교과의 읽기 교과에서도 일정한 비율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은 소홀히 할 수 없다. 그러한 가운데 학 생들이 효과적으로 문언문 한자․어휘를 분석하고 습득하게 교육시킬 수 있는 전 략과 방법은 바로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관건이 된다. 이를 위 해 본고에서는 필자 개인의 경험과 홍콩의 문언문 읽기 교육의 실제를 결합하여 구체적이고 실천적인 교수-학습 방법을 탐구해본다. 우선 홍콩의 문언문교육의 발전을 회고하여 보고, 이전의 문언문 교육이 가졌던 난점을 개괄한 후, 고대 한어 의 어법적 특징에 집중하여 몇 가지 문언문 교육에서 효과적인 방법과 전략을 제 시하여 이를 통해 학생들의 문언문에서의 한자와 어휘와 대한 인식과 이해, 흥미 를 증가시키고자 한다.
        5,500원
        28.
        2014.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의 중문 능력을 효과적으로 향상시키 는데 있어, 읽기를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도 현저한 효과가 드러나는 방법 이다. 그러나 효과적인 독해의 목적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의 한자 능력을 발전시키고 공고하게 하는 것이 우선적인 임무이다. 본 연구의 주요 목표는 Dr. David Rose가 제안했던 Reading to Learn 학습이 론에서 출발하여 그림책 교육의 과정에 결합시켜 어떻게 하면 비화교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이 효과가 극대화할 수 있으며, 이를 토해 그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쓰기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가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액션 러닝 기법을 이용하였는데, 이들의 행동을 연구하는 기간 동안에 연구원과 유관 중학교의 부교장은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사용 능력이 향상되 어, 읽고 쓰는 능력에 이르는 것 외에도 위에서 제기하였던 방법을 실제 어떻게 운영하여 얼마나 비화교 학생들의 그림책 읽기의 흥미와 효과를 높일 수 있는지 를 알고 싶어 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우리는 Reading to Learn 학습법이 그림책을 결합한 교육인 「文類教學法」을 운용할 때 비화교 학생들의 한자 습득과 읽기 능력이 증가함과 더 나아가 읽기에 대한 흥미를 진작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6,900원
        29.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analyze which classes teachers and students, who are the subjects on the education field, view as ‘good physical education classes,’ and thus analyzing the differences in response, conceptualize the concrete realities and apply them to the actual classes. In order to achieve the stated goal above, a survey was conducted of 190 secondary school physical education teachers and 742 secondary school students of Seoul Metropolis who were chosen through random sampling. The survey was reconstructed with reference to previous researches, after which it was tested with regard to credibility and validity before use. The conclusions were as follows: First, with regard to the values that should be pursued in ‘good PE classes,’ both teachers and students stated that relationships were seen as the most important, with 'transmission' and 'product' viewed as least important on the part of the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Second, with regard to the factors hindering ‘good PE classes,’ both groups chose the education policy as the main obstacle, with teachers selecting the available facilities and environment as the second greatest factor, and students in turn choosing reciprocal relationships with teachers. Third, with regard to the subcomponent factor, it was found that students viewed meaningful and interesting class contents as important, whereas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it was important to lay down definite goals and contents. With regard to the teaching method, teachers viewed methods that provoke student interest and take into account individual student aptitude and ability highly, while students viewed interesting classes as ‘good PE classes.’ Both groups felt that active interaction and an atmosphere of mutual respect were important to the class ambience and environment. Although there was a relatively low response rate with regard to the general view on evaluation, teachers were of the opinion that in order to get a thorough evaluation on ‘good PE classes’ there needed to be an assessment on student attitude and emotion in addition to athletic capability, whereas students felt that a reliable, impartial, and objective assessment was the best way to evaluate good PE classes. Thus, based on the research above, we can define ‘good PE classes’ as classes where interesting and meaningful contents can be delivered to students through various, interesting means, where teachers and students can interact actively, and where not only athletic capabilities, but attitudes and emotions can also be evaluated in an impartial and credible way.
        4,800원
        30.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長期以來,香港很多非華語中學生在學習中文寫作時都面對著字詞不足、文章結構散亂、文類特徵含糊等困難,因此必須給予他們足夠的寫作教學支援。「以讀促學」教學法(Reading to learn methodology)是目前廣泛應用在澳洲土著學生的英語第二語言閲讀和寫作教學法,其成效備受肯定。故本論文嘗試應用「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的中文論説文寫作教學上,採用前實驗設計的單組前後測的研究方法,選取一位中文老師和十五位非華語中學生作爲研究對象,進行爲期五個星期的教學試驗研究,配以觀課、訪談及比較學生在教學之前和之後所寫的論説文,來探究「以讀促學」教學法在非華語中學生論説文課堂教學的實施成效。研究結果發現,師生一致認爲「以讀促學」教學法能夠有效提高學生上課的投入程度,師生課堂互動較多;並能提高學生學習中文寫作的信心,增加其課堂參與度。而學生在接受教學之後所寫的論説文,在字詞運用、文章結構鋪排及文類特色呈現三方面均比接受教學之前所寫的論説文為佳。
        31.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要有效提高非華語中學生的中文能力,閱讀是其中一個重要而效果卓著的方法;而要達到有效閱讀之目的,發展並鞏固學生的識字能力,更是首要之務。本研究之主要目標乃探討由 Dr David Rose 提出的「從閱讀中學習」(Reading to Learn) 的學習理論,在結合圖畫書教學的過程中,如何能有效促進非華語中學生學習漢語,從而提升其中文能力。與此同時,研究員及有關中學的副校長,也希望在提高非華語中學生的識字能力,以至閱讀能力之餘,更能進一步檢視上述方法,能否同時提高非華語中學生閱讀圖畫書之興趣與效能。
        32.
        2013.08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文言文的字詞教學是中學中文教學的必要組成部分。不論在以往的香港中學會考,還是在剛推行的中學文憑試當中,文言文篇章的識讀和理解,在中國語文科閱讀卷別中均佔有一定的比例,其重要性不容忽視。其中,培養學生有效地掌握辨析文言字詞意義的策略,正是提升學生文言文閱讀能力的重要關鍵。傳統的文言文教學,較強調要求學生記誦及掌握文言常用詞的意義及用法,雖有一定成效,然而由於古漢語常用字為數甚多,也為學生的學習帶來相當大的負擔;與此同時,學生往往由於文字障礙及古今文化隔閡造成的心理距離,削弱了閱讀文言的興趣,長遠來說更進一步影響他們的文言理解能力。為此,本文嘗試結合筆者個人的教學經驗及香港的語文教學的實際,針對香港中學文言文教學的難點,探討具實踐性的教學策略:(1)增字成詞法:把握古漢語較多單音節詞的構詞特點,增字成詞,把文言字詞轉換成學生熟習的現代漢語詞語,強化辨析和記憶字詞的效果;(2)偏旁歸類法:善用漢字偏旁與字義的對應關係,適當歸類偏旁相同的字詞,有利於辨析和把握同、近義詞,減少閱讀文言文的障礙;(3)辨析通假字;(4)掌握虛詞的運用;以及(5)辨析倒裝句等等。期望通過掌握上述的文言文閱讀策略,學生在閱讀和理解文言文時能夠觸類旁通,以簡馭繁,掃除文字障礙,從而提升認讀及理解文言字詞的能力與興趣。筆者也希望藉此能拋磚引玉,分享經驗,為語文教師提供一些教學借鑒。
        33.
        2012.09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new in-service teaching certificate system, the TEE Certificate system, was launched for Korean teachers of English with the aim of encouraging them to use English in their daily teaching practice.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key issues regarding the current development of the TEE Certificate system and addresses the implications for a successful TEE policy in Korea. It employs document analysis produc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lmology and to key Regional Offices of Education and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5 supervisors, 11 teachers and 2 TEE Certificate examiners. The research findings suggest that there is a gap regarding the aims of the TEE Certificate system among stakeholders, leading to the different attitudes toward it. Those who have positive perceptions of the system see it as a tool for encouraging Korean teachers of English to develop their English language teaching competence. On the other hand, those who have negative attitudes see the negative aspects such as another type of burden on teachers and even the possibility of a form of lay-off. The new strategies of how to use the system are required to make it play a proper role in terms of the provision of an English-fi'iendly learning environment and supporting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6,000원
        34.
        2012.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중등학교 한문교과의 심미적 교육에 대한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중 등한문교과 제7차 교육과정 새 교육과정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한문 자료를 비판 적으로 이해하고 심미적으로 향유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라는 목표를 새롭게 설정하여 한문교과의 심미적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심미적 교육과정 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는 전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논문에서는 이 문 제를 논의하기 위하여 한자, 한자어, 고사성어, 한시, 한문산문, 번역으로 나누어 나름대로 그 방안들을 열거해 보았다. 한문 교육의 텍스트 속에는 다양한 심미적 교육요소들이 함의 되어 있다. 이 요소들을 어떻게 심미적으로 교육할 수 있을까 에 대하여 그 목표와 내용, 그리고 그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한문교과의 심미적 교육은 학습자들의 인성을 순화하게하고, 창의력과 상상력을 제공하며 전통문화를 계승하고 문화를 창도하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중요한 영역임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한문교육의 심미적 교육영역의 다양한 고찰을 통해 그 심미적 교육요 소들을 분석하고 정리하여 한문교육의 심미적인 영역을 재조명하여 그 위상을 제 고하려고 노력하였다. 한문교육의 다양한 방법의 추구로 한문교과의 심미적 교육 위상의 새 지평이 열리는 계기가 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
        8,700원
        35.
        2011.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해류는 기후변화와 지구상의 에너지 균형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정확한 해류와 순환에 대한 과학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더 강조되어 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과서 해류도의 오류를 분석하고, 가능한 원인에 대하여 토의하며, 학생들에게 동해에 관한 통일된 해류도를 어떻게 제안할 것인지 방안을 제시는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한 27종의 교과서를 기존의 문헌과 최근의 과학적 지식과 비교함으로써 동해 해류도의 특성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고 조사하였다. 서로 다른 도법을 바탕으로 제작된 교과서 해류도들을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영상자료로 변환한 후 메르카토르 도법을 사용하여 새로운 영상으로 전환하였다. 대한해협에서의 대마난류 분지 양상과 대마난류의 근해 분지가 일본 연안에 얼마나 근접하여 북상하는지를 정량적으로 조사하고, 동해 극전선 이남에서 사행하는 대마난류의 외해 분지의 양상을 면밀히 분석하였으며, 우리나라 동해안을 따라 북상하는 동한난류의 북상 범위, 이안 위도도 조사하였고, 난류의 유출 양상을 쓰가루 해협과 소야 해협 부근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리만해류와 북한한류가 시작하는 위도, 남하하는 범위, 연안에 근접한 정도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외에도 교과서 해류도에 대한 잘못된 표현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들은 교과서 해류도의 문제점을 드러내었으며, 이는 학생들에게 오개념을 일으킬 수 있다. 본 연구는 최신의 과학적 연구 결과를 가지고 있는 과학자들과 교육 자료가 필요한 교육자들 사이에 연결 고리의 필요성도 강조하였다.
        6,700원
        37.
        2010.12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t recently became evident that the EFL needs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could not be met by the then-current complement of teachers. This le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Conversational English Instructors in the public school system. This growing demand for EFL instructors in our nation‟s public schools requires an obligation to examine the selection criteria and process for incoming EFL instructors. Based on our analysis of a nationwide survey of EFL Instructors, we recommend reforms to the selection process system. A total of 199 EFL instructors in secondary schools including those in Seoul, metropolitan cities, medium-sized cities, and small communities participated in the main survey. The survey considered the entire EFL Instructor selection process including the 1st step of applicant specifications, the 2nd step of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test and interview test. Our analysis suggests that the selection criteria should include the applicant‟s proficiency test score in spoken and written English, and the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should be emphasized in a greater extent. This research suggests that the way of testing the applicants‟ teachinglearning performance in the 2nd step selection process should be changed into a more authentic microteaching situation, and that regional needs vary and must be considered in the selection process.
        6,900원
        39.
        201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과 예비 교사의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과 인식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지구과학 그래프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한 9개 그래프 유형의 18문항으로 구성된 1개의 검사지를 개발하였으며, 지구과학 그래프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한 2개의 설문지를 각각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들은 선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높은 반면, 중복 그래프와 방향성 변화 그래프에 대한 해석 능력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그래프 해석 능력이 그래프의 유형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등학생과 예비교사 모두 학년에 따른 해석 능력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에 비해 예비교사가 동일한 주제의 서로 다른 표현 방법의 그래프 차이를 더 잘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수의 고등학생과 예비교사는 지구과학 그래프가 타 과학 교과와 상당한 차이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가장 많은 차이가 있는 그래프 유형은 방향성 변화 그래프, 분산 그래프, 등치선도, 영역 그래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효과적인 그래프 지도 방략에 대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4,600원
        40.
        201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의 목적은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글의 구조적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경험하게 되는 과학 교과서 글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자료로 제 7차 교육 과정에 의해 개발된 초 중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산과 지진' 관련 단원의 글을 선정하였으며, '텍스트 구성적 의미', '상호 관계적 의미', '내용과 논리 관계 의미'의 측면에서 글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과학 교과서의 글은 학교급에 따라 글의 구조를 비롯한 언어적 특징이 다르게 나타나며, 학생들이 상급 학교로 진학하면서 이러한 글의 구조적 특징 차이에 의해서도 과학 교과서를 읽고 이해하는 것이 어렵고 생소하다고 인식할 수 있음을 문제로 제기하였다. 또한 과학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과학의 언어가 지니는 구조적 특징에 대한 과학 교사의 중재자 역할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4,8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