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5

        21.
        2020.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실험은 삼채에 발생하는 점박이응애의 효율적인 약제방제전략의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시판되고 있는 10종의 살비제에 대해 약제감 수성과 포장 방제효과를 평가하였다. 점박이응애 암컷 성충에 대한 실내감수성 평가 결과 Abamectin EC, Pyflubumide SC, Cyenopyrafen SC, Acequinocyl SC가 100%의 살비효과를 나타내었고, Pyflubumide SC, Acequinocyl SC, Etoxazole SC는 부화율이 0%로 나타나 100% 의 살란효과를 나타내었다. 실내감수성 평가에서 살비효과가 우수했던 Abamectin EC, Pyflubumide SC, Cyenopyrafen SC, Cyflumetofen SC, Acequinocyl SC를 대상으로 포장검정을 평가한 결과, 약제처리 7일차에서 모든 처리구는 90.3% 이상의 방제가를 나타내었다.
        4,000원
        23.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을 방제하기 위한 방제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항공방제의 환경 영향에 대한 논의가 계속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17년 경남 양산 금정산 일대를 무처리구와 처리구(3회 살포 및 5회 살포)로 구분한 뒤, 유인항공기로 살포된 티아클로프리드가 비표적 절지동물인 무당거미의 생물적 형질(체중, 체장, 머리가슴의 폭 및 뒷다리 전체 길이)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2017년 10월 11일에 각 조사구에서 성숙한 무당거미 암컷 성충을 채집하였다. 조사 결과, 무당거미의 생물적 형질은 살충제 살포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라졌는데, 특히 체장, 머리가슴의 폭, 그리고 뒷다리의 전체 길이는 항공방제구에서 채집된 무당거미가 무처리구에서 잡힌 개체에 비해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살충제 살포 횟수에 따른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무당거미의 형태적 특성은 살충제 살포에 의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 으로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개체군의 건강성에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향후 장기적으로 살충제(직접 효과)와 먹이 가용성(간접 효과)에 대한 무당거미의 반응에 대한 모니터링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4,000원
        2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서식지 이질성은 복잡한 구조를 가진 서식지일수록 생물다양성이 증가된다는 개념으로 농업생태계에서도 적용이 가능하다. 특히 농업생태계에서 해충 조절과 같이 포식자로 기능하는 거미를 이용할 경우 농업생태계의 전반에 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농업 생태계의 대표적인 재배 유형인 밭과 논에서 거미의 다양성이 공간 스케일에 따라 어떠한 특성을 나타내는지 확인하고자 수행하였다. 함정트랩을 설치하여 밭에서 24개 샘플을, 논에서 24개 샘플을 수집하였다. 공간 스케일에 따른 밭과 논의 종수는 누적 곡선과 추정 곡선을 통해 평가하였다. 전체 조사 지점들에서 종수는 밭에서 높게 나타났고 조사 지점별 평균 종수는 논에서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작은 공간 스케일에서는 서식지 구조의 복잡성이, 큰 공간 스케일에서는 작물 종류의 다양성이 거미의 다양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4,000원
        27.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정읍과 장수지역은 고도 차이로 인해 평균기온이 다르며, 이러한 환경조건은 생물군집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지표서식성 딱정벌레와 거미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2018년 3월에 지역별로 10지점의 논둑에서 pitfall-trap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딱정벌레는 정읍에서 42종이 장수에서 30종이 발견되었으며, 작은모래거저리가 가장 많았다. 거미는 두 지역 모두 40종이 발견되었으며, 턱거미가 가장 많았다. nMDS와 MRPP 분석에서 두 지역의 딱정벌레와 거미의 군집조성이 모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딱정벌레와 거미의 개체수와 다양성지수 (species richness, Shannon index, evenness 등)도 지역간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청동머리먼지벌레의 상대밀도는 장수가 12.3%로 정읍의 0.6%보다 컸다. 또한 밭고랑거미는 장수에서 거미 총개체수의 5.6%를 차지하였으나 정읍에서는 채집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두 지역의 환경차이가 딱정벌레와 거미의 전체 군집조성에 미치는 영향은 뚜렷하지 않지만, 일부 종에 대해서는 지역적 특이성을 보일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28.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거미는 산림 및 농작물 해충의 천적으로 알려져 있으며, 겨울철 벼 재배지에서 볏짚이나 논둑 등에 월동한다. 이 연구는 월동시기부터 모내기 전까지 유기 벼 재배지에 서식하는 거미상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거미의 발생을 조사하기 위해 함정트랩을 이용하였고, 농업과학원 유기재배포장에서 2018년 1월 중순부터 5월 중순까지 2주 간격으로 총 8회에 걸쳐 거미를 채집하였다. 조사가 이루어진 논은 거미가 월동 서식처로 이용할 수 있도록 볏짚을 걷어내지 않은 상태로 유지하였다. 조사 결과 6과 15종 359개체의 거미가 채집되었다. 그 중에서 애접시거미가 119개체(33%)로 가장 많았고, 들늑대거미(23%), 턱거미(17%), 각시긴손접시거미(8%)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4월 중순(7회)에 가장 많은 개체가 채집되었고, 채집이 이루어질수록 거미의 개체수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29.
        2019.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 species, because it devastates many horticultural and ornamental crops and fruit trees. The resistance ratios calculated for the LC50 value in acequinocyl- and pyridaben-resistant strain was 4,237- and 5,555-fold higher than that of the susceptible strain, respectivel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ross-resistance to several acaricides and to identify the mechanisms associated with acequinocyl- and pyridaben-resistant strain of T. urticae.
        30.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etranychus urticae and Myzus persicae are one of the most serious insect pests in many crops, vegetables, flowers, and fruit trees worldwide. Many insecticides have been developed to control green peach aphid and two spotted spider mite, but resistance to almost all insecticides has reduced their control effect. Particular groups of plant-beneficial microbials are not only root colonizers that provide plant disease suppression, but in addition are able to infect and kill insect larvae. Antimicrobial compounds produced by biocontrol microbes are effective weapons against a vast diversity of organisms such as fungi, nematodes, and viruses.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effectiveness of mixtures plant extracts and improvement of culture process biocontrol microbials on insecticidal activity. Azadirachta indica and Derris elliptica mixed with micorbials, which are nutrient sources of mung bean extract and lecithin, were more effective than other the mixtures. Leaf spraying with the mixture of Pseudomonas fluorescens significantly showed the highest insecticidal power in vivo for 24 hours after treatment. The effect of spraying mixture was more than 50% at 2000 times dilution, and the spraying concentration of 90% or more showed a dilution of up to 500 times. Our results indicated that the nutrient sources of microbe act as a key antimicrobial metabolite in biocontrol of insect pests, and mixing with plant extracts can provide synergistic effects as an optimal usage of the biocontrol agents.
        31.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Miticidal and repellent activity of twenty plant essential oils against the adults of two spotted spider mites, Tetranychus urticae, were examined. Sandalwood oil was the most potent one in mortality, whereas clary sage oil exhibited the greatest repellent activity. On those twenty essential oils tested, no apparent correlation between toxicity and repellency was observed. The chemical compositions of sandalwood and clary sage oils were identified via GC/MS analyses. The major constituents of sandalwood oils were sesquiterpene compounds, whereas the major ones for clary sage oil were monoterpenes. Among the major components in clary sage oil, linalyl acetate was not only the most abundant constituent, but also the most responsible one for its repellent activity against the adults of the two spotted spider mites. Nevertheless, the combination of seven major constituents of clary sage oil showed lesser repellent activity than the original essential oil did, implying the presence of interactions between the major and minor constituents affecting the overall repellent activity of the crude oil.
        32.
        2018.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이동성 해충인 벼 멸구류를 조사하기 위해 우리나라를 포함한 아시아지역 12개국 13기관에서 농촌진흥청 아시아식량작물협력협의체(AFACI)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아시아지역 이동성 병해충 국제협력 네트워크 구축”프로젝트를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벼 멸구류 및 거미류 의 포장 발생 실태를 파악하기 위해 2016년부터 2018년까지 경남 밀양, 전남 신안, 전북 완주지역의 무농약 논포장에서 6월말부터 9월말까지 점착트랩을 이용한 타락법으로 멸구류 발생 상황을 조사하였다. 2018년도에 애멸구는 7월 중순 이후에 밀도가 높아졌고, 흰등멸구는 신안지역에서 8월 이후에 밀도가 증가하기 시작하였다. 벼멸구는 모두 지역에서 발견되지 않았다. 거미류는 모든 지역에서 후반기로 갈수록 개체수가 증가하고, 9월 초순에 가장 많이 발생하였다.
        33.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20종의 식물정유를 이용하여 점박이응애 성충에 대한 살비활성 및 기피활성을 확인하였다. 살비활성 평가에서는 샌달우드 오일이, 기피활성 평가에서는 클라리 세이지 오일이 가장 높은 효과를 나타내었고, 평가에 사용한 20종의 식물정유간에는 살비활성과 기피활성간 의 상관관계가 매우 낮게 나타났다. 높은 활성을 나타낸 정유들의 혼합시험에서는, 거의 대부분의 조합이 서로간에 저해효과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샌달우드 및 클라리 세이지 오일의 구성성분은 GC/MS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으며, 샌달우드는 세스퀴터펜류가, 클라리 세이지 오일은 모노 터펜류가 주종을 이루었다. 클라리세이지 오일의 구성성분 중에서는 linalyl acetate가 가장 높은 함량을 갖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정유가 기피효과를 갖는 주된 효능물질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34.
        2018.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Koch (Acari: Tetranychid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 species devastating many horticultural and ornamental crops and fruit trees. In the present study, a field strain was collected in January 2001 and has been selected for sixteen years with acequinocyl. The resistance ratio calculated from the LC50 of eggs and adults was 191- and 4,237-fold, respectively. The laboratory-selected acequinocyl resistance (LSAR16) strain was screened with 11 acaricides for cross-resistance. The detoxifying enzyme activities and quantitative real-time PCR analysis were performed in the LSAR16 strain. Crossing experiments revealed that LSAR16 strain was inherited maternally, incompletely dominant and monogenic. Most importantly, we identified two new point-mutations at mitochondrial cytb from acequinocyl resistant T. urticae.
        35.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water spider (Argyroneta aquatica), a rare member of its species, is one of the few insects known to live under water all over the world. In Korea, the water spider can be found only in the Eundae-ri, Yeoncheon, Gyeonggi province, where they are designated as a natural monument. However, loss of habitat is obvious, as the Eundae-ri wetland undergoes hydrarch succession. Loss of habitat has a direct impact on the water spider population. Thus protective measures for the water spider are needed to preserve the water spider habitat. In this study, a sweeping and visual survey of insect species was conducted in the water spider habitat from May to September 2015. The characteristics of each one of the different insect species and the community featur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A total of 3,929 insects representing 276 species from 13 orders collected for the analysis. The most frequently collected insects from the Order Hemiptera represented 24.2% of total species and 82.3% of the total number of insects. Community analyses showed dominance, diversity, evenness, and richness indices of 0.23, 2.27, 0.41, and 31.2,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previous survey data, these results showed that reduction of the spider’s wetland habitat caused the most commonly collected insects to adapt and spread to the surrounding terrestrial environment.
        4,900원
        36.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제저항성 GM 벼인 밀양 204호와 익산 483호가 비표적 곤충과 거미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GM 벼와 non-GM 벼에 대한 보리수염진딧물과 벼멸구의 기주선호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며, GM 벼를 섭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체중 변화에도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밀양 204호와 그 대조 모본 non-GM 벼에서 서식한 벼멸구를 포식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에는 차이가 없었 으나, 벼멸구를 통해 익산 483호에 노출된 황산적거미의 생존율은 대조 모본 non-GM 벼에 비해 통계적으로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또한 익 산 483호의 화분을 섭식한 꿀벌 유충은 밀양 204호와 다른 non-GM 벼 화분을 제공하였을 때 보다 현저하게 긴 용기간을 보였다. 농업생태계에 서 중요한 포식 천적인 황산적거미와 양봉 산업으로서 중요한 기능을 하는 꿀벌에 GM 벼가 부정적인 영향을 보임에 따라 국내에서 개발된 제초 제저항성 GM 벼의 농업 환경 노출 이전에 충분한 추가 연구와 안전성 평가가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4,000원
        37.
        2016.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pests of crops. However, chemical acaricides are not always effective and their continuous use has resulted in resistance among two-spotted spider mite populations. To reduce or replace use of chemical acaricides, the entomopathogenic fungi having acaricidal activity were investigated. As results, 12 isolates could be selected from 342 isolates of fungi against two-spotted spider mite. To show the multiple roles of entomopathogenic fungi against plant pathogen, the antimicrobial activity of selected 12 isolates were evaluated to plant pathogenic bacterium Ralstonia solanacearum and fungus Botrytis cinerea. Various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observed against these plant pathogens. Consequently, these entomopathogenic fungi would be offered an alternative for dual control agents against the two-spotted spider mite and plant diseases.
        38.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e two-spotted spider mite Tetranychus urticae is being steadily problematic on strawberry. To effective control of this pest, one combination application using predatory mite Phytoseiulus persimilis plus a pesticide Acequinocyl suggests. Prepared six beds (1.5 × 3 m; 20 strawberry plants) on glass house, 100 T. urticae was inoculated on per 20 plants. Four plots prepared - Acequinocyl treatment, P. persimilis application, Acequinocyl+P. persimilis double application, and the control. The change of T. urticae density was investigated in the seven-day intervals. In an Acequinocyl treated plot, T. urticae density was decreased after Acequinocyl sprayed, but began to increase steadily one month later. In a P. persimilis applied plot, T. urticae density began to decrease at 20 days after P. persimilis inoculation. In an Acequinocyl + P. persimilis double applied plot, T. urticae density was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application and then no found the T. urticae. To practical use in farmhouse, it will be possible to control by inoculation of P. persimilis only when low density of T. urticae; however, double application with spray pesticide Acequinocyl plus apply the natural enemy P. persimilis will be good when high density of T. urticae.
        39.
        2016.04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Expression of hairpin RNA corresponding to the part of COPA transcript was done by agroinfiltration in soybean plants and was confirmed by qRT-PCR. In a pot experiment, T. urticae was infested on agroinfiltrated soybean plants and T. urticae mortality was observed and compared with control plants overtime. Significantly higher mortalities of T. urticae were observed in the COPA-agroinfiltrated soybean plants from post-infestation day 2 (15 ±5%), day 4 (50 ±10 %). At post-infestation day 6, mortality reached to (70 ± 15%). To validate the observed COPA silencing effect in T. urticae fed on the agroinfiltrated soybean plant expressing COPA hairpin RNAs, qRT-PCR analysis was performed. The transcript level of COPA gene was decreased in T. urticae fed on agroinfiltrated soybean plants expressing COPA hairpin RNA from post-infestation day 2. At post-infestation day 2, 4 and 6, COPA transcript levels were reduced by 23.8, 20.7 and 18.8 fold, respectively compared to post-infestation day 1 (control).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lso ruled that the plant mediated production and uptake of silencing (dsRNAs/siRNAs) is an effective way to trigger RNAi in the T. urticae.
        40.
        2015.10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물거미(Argyroneta aquatica)는 전 세계에서 1과 1속 1종 인 희귀종으로 주로 구북구 온대지방의 유럽, 시베리아, 중 앙아시아,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고 있다. 물거미는 물속에서 공기집을 짓고 그 안에서 탈피, 번식 활동, 먹이 활동 등을 한다. 우리나라에서 물거미는 경기도 연천군 전 곡읍 은대리 습지에만 유일하게 분포하고, 문화재청은 1999년 9월 18일자로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를 천연기념물 제412호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동물)의 증식․보존을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 기 위해 시설을 조성하고 인공사육 조건 내에서의 물거미 번식 생태를 분석하여 사육기술 확보와 더 나아가 대체 서 식지 개발 및 적용을 목적으로 한다. 실험방법으로 연구대상은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의 암컷 물거미 13마리와 수컷 물거미 11마리를 활용하였다. 인공사육시설은 2014년 7월 7일부터 7월 28일까지 야외에 서 유리 수조에 인공수초, 자연수초, 돌, 여과기 등으로 조건 별로 조성하였고, 수조의 물높이는 15㎝, pH 6.5~7.0, 수온 은 최고 30℃를 넘어가지 않도록 유지하였다. 이후 7월 29 일부터 1년간 실내로 장소를 옮겨 수온 25~26℃를 유지하 였고, 수조마다 조명을 설치하고 오전 9시부터 오후 6시까 지 타이머를 설정하여 하루 일조량을 맞춰주었으며 성체는 실지렁이를 급여하고 크기가 작은 새끼들에게는 실지렁이 와 물벼룩을 함께 급여하였다. 실내외 인공사육 시설을 조성하여 실험한 결과 7월부터 11월까지 총 16개의 알집이 생성되었고 그 중 12개의 알집 에서 총 510마리의 물거미가 부화되었다. 번식기 내 물거미 가 알을 보호하는 기간은 최소 14일에서 최대 24일로 평균 18일이 소요되었으며 한 마리의 암컷이 최대 3번까지 산란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짝짓기한 암컷은 수컷과 격리 후에도 2번까지 산란이 가능함을 확인하였고 최대 76일이 지난 후에도 산란한 암컷이 확인되었다. 부화된 새끼 물거 미 평균 개체수는 56마리였고 최소 17마리에서 최대 66마 리가 부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물거미의 생존율을 보면 부화 직후의 생존율을 100%로 보았을 때 75일 이후에는 7.25%까지 하락하고 150일에는 2.35%, 300일 이후로는 1% 미만으로 나타났다. 1년 동안 전체 새끼 물거미의 생존 개체수는 8월에 247마리로 가장 높았고 8월 이후부터는 개체수가 빠르게 감소하다가 12월 에는 14마리, 이듬해 7월에는 2마리만 생존하는 것으로 확 인되었다. 1개월마다 새끼 물거미의 크기를 측정한 결과, 부화 직후 평균 1.53㎜로 시작하여 8개월 이후 평균 8.07㎜까지 꾸준 히 성장하였고, 그 이후로 12개월까지 평균 8.61㎜까지 완 만하게 성장하여 성장곡선은 6개월까지 빠르게 성장하고 그 이후로는 완만한 모양인 S자형으로 나타났다. 성장이 끝난 암컷 성체의 크기 범위는 6.7~9.91㎜, 수컷은 7.73~ 9.15㎜였으나, 암수의 크기에는 차이가 없었다(Mann-Whitney U test, p>0.05). 야외에서 인공 조건으로 사육을 하였을 경우 자연 서식지 와 유사한 수온, 일조 변화로 실내 사육 환경보다 부화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고 부화한 새끼 수도 많았지만 수온이 3 0℃가 넘어갈 경우 물거미의 폐사율이 급격히 증가하고 관 리, 관찰이 어려운 점이 있어 실내 사육이 불가피한 단점이 있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에서 실시한 2009년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 조사에서 7~8월의 수온이 약 27~29℃였고 실내 사육 환경의 수온이 25℃로 2~4℃의 차이를 보여 이 로 인해 물거미의 번식 능력에도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 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연구에는 수온을 서식지의 7~8 월 평균 온도에 해당하는 약 28℃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계절의 변화에 따라 서식지 수온과 최대한 일치하도록 온도 를 일정하게 유지하였을 때의 생존율과의 관계를 비교분석 할 계획이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