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6

        41.
        2007.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러시아 연해주와 북한으로부터 도입하여 지리산국립공원에 방사한 1~2년생 반달가슴곰(Ursus thibetanus ussuricus)의 동면장소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2004년 10월부터 2006년 4월까지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방사한 곰들은 나무굴, 바위굴, 곰탱이 등 3가지 유형의 동면장소에서 동면을 취하였다. 방사한 곰들의 동면장소는 참나무류가 우점하고 있는 지역으로 해발고도 평균 923±221m, 사면경사 평균 25.9±7.9˚이었으며, 동면기간은 평균 98±9일 이었다. 동면장소는 방사지점으로부터 평균 2.8±2.8km, 인근마을로부터 평균 2.0±0.9km, 인접 탐방로로부터 평균 1.9±1.7km, 자동차도로로부터 평균 1.9±1.0km 거리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동면장소의 환경특성은 방사지점의 환경요인과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4,000원
        42.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잎응애류의 포식성 천적인 민깨알반날개의 실내사육에 필요한 몇 가지 생태적 특성 즉 산란 습성, 성충우화율, 저장온도 그리고 귤응애의 밀도억제효과를 시험하였다. 민깨알반날개 암컷성충은 유자잎 뒷면에 를 산란하였으며, 그중 를 귤응애의 탈피각이나 배설물로 알 표면을 피복하였다. 과수원 내 밭토양에서는 민깨알반날개의 우화율이 였는데, 밭토양 대신 원예용상토를 사용했을 때 로 향상되었다. 대부분의 유충은 지면으로부터 2 cm이내 깊이에서 번데기가 되었다. 성충 저장에 가장 적합한 온도는 발육영점온도인 이며, 저장 10, 20, 30일 후에 생존율은 각각 96.7, 73.3, 였다. 유자에 발생한 귤응애 방제를 위한 효율적인 방사비율은 150:1 미만으로 방사하였을 때 가장 효율적이었다.
        4,000원
        43.
        2003.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크로스도킹이란 창고나 물류센터에 하역된 물품이 저장됨이 없이 도착지별로 재분류되어서 직출하되는 물류 시스템이다. 크로스도킹은 물류비용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보관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객의 요구에 빠른 대응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크로스도킹이 성공적으로 수행되기 위해서는 창고나 물류센터의 입고에서부터 출고까지의 모든 작업들이 계획적이고 원활하게 수행되어져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임시보관 장소를 보유하지 않은 크로스도킹 시스
        4,500원
        46.
        200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hapel and Exhibition hall of Chul-du-san-Holy place ar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work of architect Lee Hee-Tai (1925-1980), and as a work representing Korean architecture in 1960's. What is the reason that these buildings can acquire such a remarkable estimation? This study tries to make clear this reason with an analytic method. These buildings are situated in singular site, in which small mountain comes up alongside with Han-river. Architect laid out the Chapel and Exhibition hall to the memory of 108 saints who died for their faith in this mountain, considering the specificity of the site, the direction of approach stair, and the formation of public space. Architect proposes an opposed composition of form for these two buildings. So the Exhibition hall is characterized by trabeated structure, centripetal force and Apollonian order. It has strictly proportioned facade, which is composed of two 15m-by-l5m squares and subdivided equally in three portions. The Chapel is charaterized by arcuated structure, centrifugal force, and Dionysosian sentiment. In this work, architect Lee Hee-Tai also expressed the locality of Korean architecture with the grammar of column-roof.
        5,200원
        47.
        199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의 학교 어린이들 사이에서 (1927)와 파운드의 빌라네레: 심리적인 시간 (1916) 은 모두 장소의 개념을 시의 주제와 연결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두 시인이 모두 외부경치의 묘사로 서두를 장식하는 낭만주의 명상시의 영향 아래 있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두 시인이 사용한 장소의 개념과 각 시의 주제를 연결시켜 보면 두 시인의 다른 성향을 알 수 있다. 먼저, 학교 어린이들 사이에서 에서 예이츠가 사용한 교실은 생로병사 같은 인간의 한계를 상징적으로 표현하며 그 새장 혹은 감옥의 좁은 방과 같은 한계성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이 시의 주된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시의 마지막 시구 (“춤과 춤추는 이를 어떻게 구별할 수 있을 것인가?”)는 비록 학자마다 그 해석을 달리하여 아직도 논란이 있는 게 사실이지만 나의 소견은 예이츠가 추구해온 합일의 신비적인 힘을 결정적으로 표현한 것이라고 해석하고 싶다. 즉, 처음에 설정된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는 길은 합일의 힘 뿐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면 인간의 주관적인 힘에 더욱 더 무게를 두는 낭만주의의 전통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음을 알수 있다. 한편, 파운드의 빌라네레: 심리적인 시간 은 집의 묘사로 그 서두를 장식하고 있는데 우리는 그 집이 화자의 시각 (주관적인 관점)을 제한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장소의 선택으로 인간이 필연적으로 경험하게 되는 주관의 한계(집의 내부에서 밖을 보는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음으로)를 극복하게 하려는 파운드의 치밀한 계산이 깔려있는 것이다. 파운드의 방법은 객관적인 시각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래서 보다 다양한 관점을 유지하여 주관의 한계를 극복하려는 것이 다. 그러나 이 시에서는 파운드가 기다리고 기다리던 객관적인 관점은 이루어지지 않고 주관적인 관점의 한계만 드러낸 채 끝을 맺는다. 이는 예이츠와는 달리 파운드는 주관적인 힘 그리고 인간의 상상력의 힘에 대한 한계를 인정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예이츠의 상상력에 대한 동경으로 시를 쓰고 그에게 인정받으려고 노력했던 파운드가 이제는 예이츠의 시적 노선에 대해 조금씩 거부반응을 보이기 시작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예이츠가 그 자신을 마지막 낭만파 시인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으로 파운드는 이 시를 기점으로 이후에 보다 주관이 배제된 형식으로 객관적이고 사회적, 그리고 정치적인 시들을 발표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시가 시인의 내적세계라는 좁은 울타리를 나와 보다 이 사회의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해야 한다는 파운드의 시학으로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5,100원
        48.
        199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is a kind of tool which helps people to experience the environment not as the thing itself but as a meaningful one. It, gathered by place, constitutes 'genius loci', as the existential structures. It, in other words, gives a thing 'cognitive quality', and serve people to 'dwell' because 'a place is a gathering thing with concrete presence.' Our environment, only when it possesses the language, presents itself as a namable thing or an understood world. Such a meaningful identification is dwelling. The modern world is a complex melting-pot. It is 'complexities' and 'contradiction'. The language of architecture is never created, rather it is selected by needs of the time and the place. In this sense, architectural design means discovery and interpretation of the poetic order of architypal form and style, and the poetic order is a way for people to dwell in the humanistic sense. These reminds me of Martin Heidegger's statement : 'Architecture belongs to poetry, and its purpose is to help man to dwell.'
        4,300원
        49.
        1997.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rchitecture is a shelter for society whose social pattern requires a specific form to accord with its material and spiritual needs. Providing a truly acceptable architecture requires our deeper understanding of cultural tradition - mythic values - not only because myth is an interpreted and configured form of 'thing' through man's second nature, such as his subjective and objective consciousness -'self-revelation of the absolute'- but also because, in the world of mythical imagination, a fragment of substantial reality -'thing'- becomes an equivalent mode to the signification, and emerges as 'its independent spiritual form' and 'the characteristic force of the logos.' In this sense, myth of place and myth behind tectonic form are the most essential sources for comprehending people's relationship to the world of inner and conscious experience. The recent efforts of modern architects to achieve cultural continuity should begin with re-interpretation and configulation of the myths behind describable material culture, especially artistic imagination inspired by deeper understanding of the myth of place. Myth provide artists with a creative inspiration, as they did in the past.
        4,500원
        50.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3,000원
        51.
        198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000원
        52.
        202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ausality of placeness cognition which includes the place satisfaction, place attachment, place fun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those who visit Suseong amusement park. A questionnaire survey was administered to 255 individuals who visited in Suseong amusement park. To conduct the analysis, six hypotheses were formulated and tested. While two hypotheses were statistically rejected, four hypotheses were accepted. First, plac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ce function (β=.577, p<0.001). Second, place attachment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β=.450, p<0.001). Third, place func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β=.247, p<0.05). Fourth, place fun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place attachment (β=.637, p<0.001). Unlike most existing research which has indicated that place satisfaction has a direc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is study suggests a that double mediating effect through place function and place attachment between place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In addition to increasing satisfaction through the environment of the Suseong Amusement Park, it is also necessary to improve the function of the place to ensure repeated visits from visitors.
        53.
        2019.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existential verb HABER and the locative verb ESTAR can be us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a person or thing. But they are seldom interchangeable in Spanish. The subtl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words can completely change the meaning of a sentence. In concrete, the difference mentioned is that the verb HABER is used to indicate the mere existence of the person or thing. On the other hand, ESTAR is introduced to indicate the location of the person or thing. As a general rule, the locative verb ESTAR is permitted when a specific person or thing is referred to, however the existential verb HABER is used with nouns that can’t have a location. As a result, a noun preceded by a definite article, a demonstrative adjective or a possessive adjective normally would be introduced with the verb ESTAR. The locative verb ESTAR y the existential verb HABER can be used in situations where “to be” is used in English. So they’re usually confusing for students. In this paper, we have argued that the existential verb HABER is derived from the copulative structure. In this point of view, the locative verb ESTAR is defined by the spell-out of the event feature.
        54.
        2019.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Visual place recognition is widely researched area in robotics, as it is one of the elemental requirements for autonomous navigation, simultaneous localization and mapping for mobile robots. However, place recognition in changing environment is a challenging problem since a same place look different according to the time, weather, and seasons. This paper presents a feature extraction method using a deep convolutional auto-encoder to recognize places under severe appearance changes. Given database and query image sequences from different environments, the convolutional auto-encoder is trained to predict the images of the desired environment. The training process is performed by minimizing the loss function between the predicted image and the desired image. After finishing the training process, the encoding part of the structure transforms an input image to a low dimensional latent representation, and it can be used as a condition-invariant feature for recognizing places in changing environment.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prove the effective of the proposed method, and the results showed that our method outperformed than existing methods.
        55.
        2019.01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직시 표현의 올바른 이해와 사용이 성공적인 의사소통에 도움이 된다는 전제로 출발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직시 표현 사용 양상을 확인하기 위하여 한국어 교실에서 이루어진 발화 전사 자료를 분석하여 교사와 학습자의 직시 표현 사용 양상을 살펴보는 데 있다. 직시(deixis)란 한 개인이 발화를 할 때 그 발화의 맥락을 이루는 요소들을 직접적인 언어 표현으로 가리키는 현상을 말하며 가리키고 지시하는 데 사용하는 언어적 형태를 ‘직시 표현’이라고 한다. 직시 표현은 표면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직시 표현이 사용되었을 때의 발화 상황과 맥락을 이해하여야만 최종적으로 가리키는 바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알고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수행할 수 있다. 본고에서는 인칭 직시 표현, 시간 직시 표현, 장소 직시 표현을 중심으로 그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세 가지의 직시 표현 중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된 것은 인칭 직시 표현으로 42%를 차지하였다. 다음으로 시간 직시 표현이 30%, 장소 직시 표현이 28%순으로 나타났다. 인칭 직시 표현에서 1인칭 복수로 사용되는 ‘우리’가 44%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시간 직시 표현에서는 ‘지금’이 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 며 장소 직시 표현에서는 ‘이, 이거, 이것’이 40%, ‘여기’가 33%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한국어 교실에서 교사와 학습자의 발화 분석을 통해 직시 표현의 사용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 직시 표현과 사회적 직시 표현을 포함한 직시 표현의 사용 양상과 직시 표현의 사용에서 나타나는 의사소통의 장애 요인, 효과적인 직시 표현의 사용 방안 등에 대한 연구와 분석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56.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진주 월아산의 法輪寺와 靑谷寺는 寺格에서 조선 초기에 법륜사가 우월했으나 조선 중기에 접어들면서 차츰 변화가 일어나 청곡사가 우위에 서게 되었다. 이러한 변화의 주요한 요인은 사족들과의 인적 네트 워크에서 찾을 수 있다. 특히 牧隱 李穡과 愼齋 周世鵬 등은 조선 중기 진주지역 사족들의 청곡사에 대한 긍정적 인식, 청곡사의 사격 변화와 사세 유지·확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던 인물이다. 청곡사의 사격이 높아지자 16세기 중반에 이르러 진주지역의 사족들도 그곳을 유람과 독서의 장소로서 자주 찾거나 머무는 장소로 삼았다. 이로써 청곡사는 지역 사족들의 다양한 경험이 매개된 장소로서 의미를 갖기 시작했다. 이들은 남명학파로 분류되는 지역의 이름난 사족 가문 출신이었다. 이는 1592년 10월 왜군에 의해 燒盡된 청곡사의 중창 불사가 비교적 빠른 1601년 겨울부터 시작될 수 있었던 사회·문화적 배경이었다. 浮査 成汝信과 鳳岡 趙㻩은 17세기 전반에 이루어진 청곡사의 중창 불사를 重建 記文으로 남겼다. 이는 청곡사 역사에서 남아 전하는 첫 문헌적 근거라는 점에서 의미가 적지 않다. 성여신의 「靑谷寺重建記」 와 조겸의 「靑谷僧堂記」에 의하면 청곡사의 중창 불사는 1601년 겨울부터 시작되어 1624년에 1차, 1644년에 2차에 걸쳐 모두 70여 칸 이상의 전각이 완성되었으며, 이 절의 승려 性侃, 戒行, 克明, 道引, 宗修, 惠嚴 등이 주도하였다. 또 두 기문에는 청곡사의 寺勢를 엿볼 수 있는 내용이 구체적으로 나온다. 이러한 청곡사 중창의 시기에 진주지역 남명학파는 정치적 격변을 겪었다. 특히 서인정변 이후 진주지역 사족 집단은 정치적 측면에서 정체성의 혼란을 겪었다. 이 같은 때 성여신 등은 정치적 불안과 혼란에 대응하여 自靖하고 뒤이어 그들은 청곡사를 은거의 장소로 삼았다. 이는 1602년 이후 청곡사의 중창 불사로 인한 寺格과 寺勢의 변화가 초래한 공간적 요인만이 아니라 정치적 오해를 불식시킬 필요성과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57.
        2017.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object of this study is about ‘how a place make meaning to people’. This study starts with understanding internal mechanism of generative meaning through following a blog as a case study. With Greimassian perspective, meaning is not fixed but is being made through trajectory; deep structure, surface structure and discoursive structure. And this kind of hermeneutic approach can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with in-depth insight. As a result of the study, 4 main key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At first, there is smallest meaning (seme) in a form of semiotic square in deep structure. Secondly, there is a story that visitor wants to acquire the value of place. Thirdly, this narrative is found in behavior and words of visitor. Finally, meaning is in dynamic process and people participate in it where meaning is generated.
        58.
        2016.06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importance of a more immediate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ACL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according to the occurrence place of cardiac arrest in tertiary emergency department. The subjects were 493 patients who had received CPR in Chosun university, Emergency Medical Department, between April 2013 and March 2015. The subjec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occurrence place of cardiac arrest: pre-hospital, in-emergency room, and in-ward. We conducted a clinical analysis of the results. During the period, 493 cardiac arrest patients underwent CPR, 63 patients (12.8%) were discharged alive and 41 patients (8.3%) got a good score on the cerebral performance category (CPC). Concerned occurrence place of cardiac arrest, 11.3% (16 patients) of the in-emergency room group (total 288 patients) were discharged alive. Also, 9.4% (27 patients) of the In-emergency room group got a good score on the CPC. In the other two-group cases, 7.1% (10 patients) of pre-hospital group (total 141 patients) and 6,2% (4 patients) of in-ward group (total 64 patients) got a good score on the CPC. These results indicate that both the rates of alive discharge and a good CPC score of the in-emergency room group are higher than in out-of-emergency room. This difference might be due to the fact that patients could get the more immediate ACLS by emergency medicine doctors if cardiac arrest occurs in emergency room than other places.
        5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his Study attempted to comprehend difference between hiker and non-hiker's sense of place value 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Especially, it was analyzed after visitors, who were divided into local residents & tourists and first time visitors & repeat visitors. Out of 600 visitors, who were over 19 years old, participated in the survey, 587 responses were used for data analysis. Consequently, Sense of place value at Namhansanseong Provincial Park were classified into three factors: Health·Culture, Ecology·Environment, and Connectedness. Hikers feel higher value on promotion of health, relaxation, environment than non-hikers. Among hikers, local residents feel higher value on ecology·environment and connectedness than tourists. Among non-hikers, however, they have no difference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only repeat visitors and first time visitors. On this result, possibility of resident participation management on natural environment and trail was considered, and when the program, which is for raising cultural and traditional value, would develop, increasing number of repeat visitor should be considered as a high priority.
        60.
        2015.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주5일 근무제와 여가 생활의 증가로 인하여 캠핑을 하는 사람들이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캠핑장시설이 증가하고 있다. 사설 캠핑장의 경우 파쇄석이라 불리는 자갈 사이트와 일반 흙으로 된 사이트 등 다양한 사이트가 존재한다. 캠핑장은 야외 활동이 많은 곳이기 때문에 캠핑장내에서 측정되는 방사선량을 각각 다른 싸이트 별로 자연방사선량을 측정한 후에 분석하였다. 파쇄석으로 만들어진 장소보다는 흙으로 만들어진 싸이트에서 자연방사선량이 적게 측정되었으며, 인위적으로 만든 타프 그늘보다는 자연적으로 형성된 나무그늘이 자연 방사선량이 적게 측정되었다. 결론적으로 캠핑장소 선택시에서 자연방사선량을 피하려면 인위적으로 만든 캠핑장 보다는 나무가 많은 자연휴양림 장소가 캠핑하기 좋은 곳 이라고 알리고 싶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