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를 대상으로 명품 브랜드 확장 시 영향의 요인을 살펴보기 위해 모브랜드의 특성 및 확장제품 간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첫째, 모브랜드의 특성으로는 브랜드의 명품성 정도에 따라 명품 브랜드와 비명품 브랜드를 선정하여 브랜드 명품성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실증 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명품 브랜드의 확장제품에 대해 비명품 브랜드의 확장제품보다 브랜드 확장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둘째, 확장제품의 일치성이 브랜드 확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소비자들은 일치, 극도로 불일치한 확장제품보다 적당히 불일치한 확장제품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또한 명품 브랜드, 비명품 브랜드에 적용하여 본 결과에서도 적당히 불일치한 브랜드 확장에 더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브랜드의 명품성과 확장제품 일치성의 상호작용에 따른 브랜드 확장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중국소비자들을 대상으로 실증연구한 결과 브랜드의 명품성과 확장제품의 일치성 정도는 브랜드 확장 평가에 상호작용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소비자들에게 어필하기 위해서는 ‘브랜드의 명품성’과 ‘확장제품의 일치성’이라는 변인을 접목시켜 브랜드 확장 전략을 사용해야 됨을 실증한 결과이다. 따라서 두 변인 간의 연결 고리를 확고히 하고, 브랜드 확장을 통해 중국 소비자들과의 긴밀한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자사의 브랜드 확장 제품을 인식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
본 연구는 세계 최대 소비시장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국 소비자의 G감성 유형별 특징을 알아보고, 감성별 소비형태 및 선호 컬러를 분석하여 중국시장을 위한 기초자료로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를 위해 중국 4개 도시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G감성 및 소비 형태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G감성유형을 분류한 결과 중국 소비자는 자신의 가치관과 정체성에 따라 행동하며, 합리적이고 논리적인 소비를 추구하는 G1유형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선행연구의 한국소비자에서 가장 많이 나타난 G3유형과는 다른 시장 성격을 나타냈다. 소비의 특성으로 중국소비자는 백화점에서 의류 구입을 선호하고 있으며, G2유형의 경우 백화점 다음으로 로드샵을 선호하고 있어 G감성에서 제시한 행동범위가 넓고 소비가 많은 행동파의 유형특성과 일치하고 있다. 중국소비자는 의복구매 시개인이 선호하는 컬러를 우선 구입하고 있으며, 무채색의 선호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무채색에서 검정의 비율이 가장 높았으며, 백색, 짙은 회색, 옅은 회색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유채색에서는 브라운, 오렌지, 빨강, 파랑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G4유형의 경우 다른 유형에 비하여 다양한 색채 선호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디자인과 기업의 마케팅전략 기초자료로 활용 할 수 있으며, 소비자를 위한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법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국제경영과 마케팅 분야의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주요 신흥시장인 중국의 소비자 선호에 대해 이론적으로 고찰하고 실증적으로 검증하였다. 특히 기존 국제경영 분야의 연구에서 중국 소비자의 성향을 단일시하는 경향이 있었던 것과 달리,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들의 지역적 특성에 의한 차이가 중국시장에 진입하는 기업들의 성과에 영향을 미치고 더 나아가 향후 전략적 의사결정에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이론적 단초를 제공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중국의 자동차 시장을 선정하여 인터넷 포럼에 반영된 소형 자동차에 대한 구매의사가 있는 소비자들의 선호구조를 hedonic/utilitarian, cognitive/experiential, independent/interdependent 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내용분석기법 (content analysis) 으로 분석한 결과, 지역에 따라 소비자들의 선호구조와 소비성향에 현저한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시장에 진출하는 다국적 기업의 전략수립에 있어서 현지시장과 소비자의 선호구조가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외국제품에 대한 중국 소비자의 외국제품에 대한 평가 및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대표적인 사회심리적, 감정적 요인으로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에 관심을 가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자민족중심주의 차이, 그리고 중국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효과에 대한 국가이미지의 조절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상해, 북경, 청도, 심양, 성도 등 중국 내 5개 주요 도시의 1,327명의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4개국(미국, 독일, 일본, 한국), 2개 제품(승용차, 디지털 카메라)을 포함하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중국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은 과시적 유행추구형, 합리적 개성추구형, 전통적 보수지향형으로 나누어졌으며, 중국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소비자 자민족중심주의 성향에는 유의적인 차이가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의 자민족중심주의와 외국제품 브랜드에 대한 태도는 부의 관계를 보였으나, 제품에 따라 약간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비자의 자민족중심주의 효과에 대한 국가이미지의 조절효과는 부분적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American,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usage behavior of marketing communication towards overseas Korean restaurants. The survey included both on and off-line method and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written in three languages- English, Chinese and Japanese. The sample was collected from 5 hub cities for globalization of Korean food- LA, New York, Tokyo, Beijing, and Shanghai.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searching for Korean restaurants-related information was ``the interaction`` and the least one was ``the diversity``. The most commonly informed Korean restaurants-related content through the on and off-line media was ``the general information, such as location, telephone number, and operation hour``. Korean restaurants-related content that the respondents` most interested in was ``the information of menu and price``. Results of this study can expectedly be used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by providing empirical data of foreign consumers for effective marketing communication strategies of overseas Korean restaurants.
A survey on the quality improvement and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y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conducted by 30 Korean specialists in order to develop an improved green onion kimchi product. The long green onion shape, kimchi juice, seasonings, off-odor of fermented sea food, and stimulatory flavor of green onion were the main issues considered for the improvement of green onion product. Usage of the favorite ingredients of the Chinese and Japanese consumers was also suggested. The percentages of Chinese and Japanese who already knew green onion kimchi were 54.1% and 30.3%, respectively, whereas 46.8% of Chinese and 28.1% of Japanese have actually tried green onion kimchi in Korea.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ference for green onion kimchi between Chinese (3.25/5.0) and Japanese (3.17/5.0) consumers. For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green onion, Chinese consumers thought off-flavor, fibrous texture, and fermentation level were more significant while the Japanese considered red color, various taste, MSG content, and length of green onion. Seasoned tofu with green onion and rice were suggested as complementary foods to green onion kimchi by the Chinese and Japanese, respectively.
중국, 일본, 한국인의 3개국의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버섯의 소비형태를 조사하였다. 버섯의 주된 구입장소는 중국인은 시장, 일본인과 한국인은 마트였으며 버섯의 이용정도는 한국인보다는 중국인과 일본인이 더 자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버섯을 구입할때 모양과 가격을 가장 먼저 보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버섯가공품에 대한 인지도는 한국인(45.1%)에 비하여 중국인(68.3%)과 일본인 (62.4%)이 높았으며 주로 구입해본 가공품으로는 중국인과 일본인 조사 대상자들은 버섯절임류(특히, 일본-병조림)가 가장 많았으며 한국인 조사 대상자들은 버섯차를 가장 많이 구입해 본 것으로 나타났다. 식용버섯(느타리, 큰느타리, 표고버섯)의 구입 형태를 조사한 결과 느타리버섯과 큰느타리버섯의 경우는 생것을 선호하였으며, 표고버섯은 건조품을 많이 이용하였고 주된 요리방법은 볶음이었다. 느타리버섯의 경우 갓의 크기에 따른 선호도를 조사한 결과 중국인과 한국인들은 각각 47.9%와 71.2% 갓의 크기가 2-5cm인 버섯을 선택하는 반면 일본인들은 50.6%가 갓이 2cm이하인 것을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국 내수시장에서 제품의 브랜드와 제조국에 따른 제품형태별로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에 어떠한 차이가 나타나며, 이들 두 요인에 의해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이 실제 영향을 받고 있는지를 살펴보고, 중국 내수시장에서 제품형태별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을 추정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중국 상해에 거주하는 성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C-TV 제품의 구매의사결정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브랜드와 제조국을 달리하는 7개의 C-TV 제품형태별로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에 차이가 있으며, 브랜드와 제조국이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품질 지각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의사결정 모형의 추정 결과 단일 국적 제품의 경우에는 대체로 브랜드 선호도에 의해, 그리고 이중 국적 제품의 경우에는 주관적 규범에 의해 구매의도가 보다 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기업이 중국의 내수시장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먼저 중국시장을 알아야 하겠다. 중국시장의 이해부분에 있어서 가장 기초적 연구는 중국소비자의 분석이다.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의 분석과 이해를 위하여 첫째, 90년대 중국의 경제적, 사회적, 인구통계적 변화와 추세를 분석하였다. 둘째, 90년대 중국사회의 환경변화에 따른 중국소비자의 가치관의 현황과 변화방향을 문헌연구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환경변화와 가치관 변화에 따른 중국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 유형과 특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로서는 중국은 현재 사회주의 개발도상국가가 거쳐온 사회환경변화를 겪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배금주의, 개인주의, 경제생활중심의 핵심가치관의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또한 중국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도 지역차별화, 계층화와 세대차별화에 따른 온포족, 소강족, 지식인족, 신세대족과 YUPI족의 5가지 군집이 각각 차별적 소비형태와 특성을 보이고 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purchase intention and conduct price sensitivity analysis of Korean Shine-muscat for Chinese consumers. Logit model has been set up to find purchase intention with survey data which was conducted in Beijing China. The results show that the high-income, unmarried consumers are more sensitive to the price of Korean Shine-muscat than low-income, married consumers, but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 Also, consumers who perceive Korea positively and those who prefer Korean dramas are more sensitive to the price but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 Consumers with a high monthly purchase frequency of Shine-muscat have higher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Shinemuscat, but are more sensitive to the pr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ng the export of Korean Shine- muscat to China.
Purpose –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automobile. The aims of this study investigated to find out how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image affect th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of Korean automobiles in China. We consider the product attributes, brand image as evaluation criteria, also recognized as objectives for 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sitive effects on Chinese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with the variables by using the research model.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Based on theory of Purchase Intention, the concept of purchase intention was assessed by two factors: a) product attributes, and b) brand image to test the proposed hypothese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30 days, from October 17 to November 16 in 2018. With IBM SPSS Statistics 23.0 and IBM SPSS AMOS 23.0,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Cronbach’s alpha and correlation were tested. 300 samples were used for this analysis.
Results – As a main result,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image exerted significant effects on consumer’s purchase intention. Thus, <H1> and <H2> were suppor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duct attributes, brand image had positive effects on purchase intention. The findings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Firstly, automobiles’ quality factors wer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like product properties (price, performance, design, economy, and safety), and brand image (awareness, favorability, reliability, and familiarity). Second, it showed that product properties and brand image had positive impacts on purchase intention of consumer.
Conclusions - The impact of product attributes and brand image on consumer perceived value of Korean automobiles in China can be seen as a universal psychology of consumers who trust automobile products such as high quality, technology, ets. The results offer some insights into the extended model and have important managerial implications for Korean automobile enterprise. As the findings of this thesis show, all strategic orientations have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s on the ability of innovation. At the same time, automobile company must pay attention to quality.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utomobiles’ performance and brand image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automobile companies should have comprehensive strategic orientations focused on strengthening these factors.
본 연구는 중국에서 중요한 소비 계층으로 급성장하고 있는 중국 대도시의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경제 발전, 교육수준, 제품품질, 기술연구, 생활수준, 민주 체제의 요소로 국가이미지를 측정하여 한국의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의 식품, 의류패션, 생활용품, 음악제품, 자동차, 가전제품의 구매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국가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제품별 구매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자제품을 제외한 식품, 생활용품, 의류패션, 음악제품, 자동차 구매시 한국의 국가 이미지가 중국 소비자들의 구매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 표본 구성의 한계로 인해 본 연구의 일반화에는 주의가 필요 하나 국가이미지의 각 구성 요소가 제품구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여 국가 차원에서의 국가이미지 구축 전략의 필요성을 확인하고, 또 각 기업들이 자체적으로 중국시장에서의 브랜드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는 점에서 본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