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85

        41.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마테(Ilex paraguariensis)로부터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아글리 콘 분획물을 제조하였고 이들 추출물/분획물에 대하여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추출물 및 분획물의 수율은 건조 분말 당 각각 32.0, 4.48 및 0.82%를 나타냈다. 1,1-Phenyl-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시험법을 이용한 자유 라디칼 소거 활성과 루미놀 발광법을 이용한 총 항산화능을 평가하였다.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 아세테이트 분획물 및 아글리콘 분획물의 라디칼 소거활성(FSC50)은 각각 8.83, 5.84 및 6.05 μg/mL이었다. 추출물 및 분획물의 총항산화능(OSC50)은 모든 추출물이 비교 대조군으로 사용한 L-ascorbic acid (1.72 μg/mL)과 유사한 항산화능을 나타냈으며. 5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OSC50은 1.03 μg/mL로 활성이 가장 큰 것으로 평가되었다. 1O2로 유도된 세포 손상에 대한 보호 효과 실험에서 모든 추출물은 10 μg/mL 농도에서 비 교 대조군인 (+)-α-tocopherol과 유의적으로 큰 세포 보호 활성(τ50)을 나타내었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물 은 10 및 50 μg/mL 농도에서의 세포 보호 효과가 (+)-α-tocopherol 보다 약 5배나 크게 나타났다. 에틸아 세테이트 분획과 아글리콘 분획의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효과는 미백제로 알려진 알부틴과 유사하였다. 이상 의 결과들은 마테 추출물이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2.
        2015.07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perjami is a new rice breed resulted from crossing ‘C3GHi (has high amount of Cyanidin 3-glucoside, and was developed from a cross between ‘Heugjinjubyeo’ and ‘Suweon 425’) and ‘Daeribbyeo 1’. Superjami has 10.9 times higher C3G content compared with ‘Heugjinjubyeo’. It also contains the highest essential amino acids of all kinds (except tryptophan content). This study was don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xtracts from superjami bran on the in-vitro antioxidant metabolism, in-vivo antioxidant metabolism and bone metabolism on menopause- induced condition in experimental rats. Overall, extract from superjami bran was confirmed of improving antioxidant and bone metabolism which can be considered as a good dietary supplement.
        43.
        2014.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수영 전초 추출물에 대하여 항산화 활성 평가와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실험에는 수영전초의 50%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아글리콘(aglycone) 분획을 사용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FSC50)의 크기는 아글리콘 분획 >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 50%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아글리콘 분획(45.10μg/mL)이 가장 큰 라디칼 소거활성을 나타냈다. Fe3+-EDTA/H2O2계를 이용한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50)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 아글리콘 분획 > 50% 에탄올 추출물 순으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2.68μg/mL)에서 가장 큰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총항산화능은 수용성 항산화제로 알려진 L-ascorbic acid (6.88μg/mL)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활성산소인 1O2으로 유도된 사람 세포 손상에 있어서, 수영 전초 추출물은 모두 농도 의존적(1∼25μg/mL)으로 세포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특히 아글리콘 분획(τ50, 104.80 min)은 가장 큰 세포 보호 활성을 나타내었다. TLC, HPLC, LC/ESI-MS/MS을 이용하여 수영 전초 추출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에 대하여 성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orientin, isoorientin, vitexin, isovitexin 등의 플라보노이드가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수영의 전초 추출물이 1O2을 비롯한 활성산소종을 소광 또는 소거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항노화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4.
        2014.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건조방법(열풍건조, 원적외선건조, 진공동결건조)을 달리한 오미자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효과를 비교 검토하여 고품질의 건조 오미자를 얻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수분 함량 및 수분활성도(Aw)는 열풍건조 > 원적외선건조 > 진공동결건조 순으로 나타났다. pH는 건조방법에 따른 차이는 없었고, 당도는 6.60°Brix로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탁도는 열풍건조 8.24 T%, 원적외선건조 0.32 T%, 진공동결건조 71.85 T%를 나타내었으며, 색도 L, a, b는 진공동결건조가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유리당 함량은 glucose > fructose > sucrose 순으로 나타내었고, 총 유리당 함량은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5.01 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항산화 활성에서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에서는 각각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88.68%, 93.85%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반면 아질산염 소거능은 원적외선건조 오미자가 90.04%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열풍건조 오미자는 88.78%,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82.58%의 순으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총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총 탄닌 함량에서 진공동결건조 오미자가 1633.70 mg/100 g, 351.35 mg/100 g, 514.04 mg/100 g으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에서 건조방법은 오미자의 품질특성 및 항산화 효과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진공동결건조 오미자는 다른 건조방법에 비해 높은 품질 특성과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45.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예로부터 민간에서 사용되어진 약초인 토인삼 추출물의 피부보호 효과를 측정하기위해항산화, 자외선에 의해 유도된 matrix metalloproteinases-1 (MMP-1) 발현저해효과, 자외선에 대한 세포보호효과, 노화세포를 이용한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SA-β-gal) 활성을 사람 섬유아세포(HDF)를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토인삼 추출물의 free radical과 superoxide radical 소거효과는 처리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농도 의존적으로 나타났으며, 토인삼 잎, 줄기 추출물(LSE) 500 μg/mL에서 98.45%와 97.01%의 DPPH와 superoxide radical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토인삼 잎, 줄기 추출물(LSE)의 MMP-1의 발현 저해효과는 섬유아세포에서 UVA조사 실험에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UVB 조사에 의한 세포보호 효과도 우수하게 나타났다. 또한 노화세포를 이용한 SA-β-gal활성은 토인삼 잎, 줄기 추출물(LSE)을 처리하였을 시 염색된 세포의 수가 감소하여 세포내 senescence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토인삼의 지상부분인 잎, 줄기 추출물(LSE)은 항노화 및 항산화제로서의 우수한 특성으로 피부손상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평가된다.
        46.
        2013.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Effects of newly developed functional rice grains Goami (high-amylose rice) and Nokwon (green-kerneled rice) on the glucose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defense system in C57BL/6N mice under high fat diet condition were investigated. Animals were randomly divided into five groups (n = 8) and given experimental diets for eight weeks: normal control diet (NC), high fat diet (HF), and high fat diet supplemented with white rice (HF-WR), Goami rice (HF-GR), and Nokwon rice (HF-NR). At the end of the experimental period, the HF group exhibited markedly higher blood glucose level, insulin concentration, plasma lipid peroxidation and lower hepatic glycogen concentration than that exhibited by NC group. However, diet supplementation of Goami and Nokwon suppressed the high fat diet-induced hyperglycemia and oxidative stress through inhibition of the glucose-regulating enzymes and enhancement of the antioxidant enzymes activities. The results illustrate that the new functional rice Goami and Nokwon may be useful in the development of functional foods with preventive effect against high fat diet-induced hyperglycemia and oxidative stress.
        47.
        2013.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국내 유통되는 한약재를 이용한 신장질환의 예방 및 치료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63종의 한약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 및 사구체혈관간 세포의 증식억제능 탐색 활성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강진향, 고련피, 대풍자, 목향이 RMC 세포의 증식을 50% 이상 억제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ORAC와 DPPH assay를 통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한 결과 백단향, 백렴이 가장 우수한 ORAC 활성 효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에서는 계혈등, 귀전우, 대풍자, 반대해, 백단향, 백렴이 우수한 효능을 나타냈다. 이 중 대풍자 추출물과 목향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과 사구체혈관간세포 증식억제능 모두 뛰어난 효능을 나타냈으나, 목향이 함유하고 있는 aristolochic acid는 임상적으로 신장에 독성을 일으켜 신장질환 치료제에서 제외되는 한약재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가장 뛰어난 효능을 보인 대풍자 추출물은 신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한약재 후보물질로서 분획별 항산화 활성과 유효성분 규명의 연구가 요구된다.
        48.
        2013.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금불초(Inula britannica) 종(種) 및 개화시기에 따른 금불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을 알아보았다. 이들 추출물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살펴본 결과, 만개한 금불초 꽃(I. britannica var. chinensis)추출물의 경우 500 μg/mL의 농도에서 79.89%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나, 금불초 유사종인 가는 금불초(I. britannica var. linariaefolia Regel), 가지 금불초(I. britannica var. ramosa) 및 버들 금불초(I. salicinavar. asiatica)의 꽃 추출물의 경우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꽃이 만개하였을경우 꽃 추출물 분획에서는 93.62%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봉우리 추출물 분획은 43.28%, 낙화추출물 분획은 14.11%를 나타냈다. 금불초의 종 및 개화시기를 선정 후, 추출용매, 온도, 시간을 조절하여 최적의 추출조건을 확립하였다. 그 결과, 65 ℃ 에탄올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이 나타났으며, 시간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 실험에서 세포보호효과를 측정한 결과, 5 ~ 50 μg/mL의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으로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50 μg/mL의 농도에서 τ50이 116.1 min으로 비교물질인 (+)-α-tocopherol에 비해 1.58배 더 큰 세포 보호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HPLC로 금불초 꽃 추출물을 분석한결과 flavonoid의 일종인 quercetin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65 ℃ 에탄올로추출한 만개한 금불초 꽃 추출물의 경우 다량의 quercetin을 함유하며, 그로 인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 및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효과적으로 보호함으로써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하는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기능성 화장품 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49.
        2013.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was performed in order to compare the changes in fruit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depending on the ripeness degree of the banana flesh and peel (unripe, ripe, and over ripe) when stored at room temperature for 6 days. The moisture contents showed differences such as the significantly lower maturity in the over ripe fruit peel and the moisture content increase in the fruit flesh during ripening. During the maturity stage, the L and b values decreased, while the a value increased. During ripening, the titratable acidity (TA) decreased, while the soluble solids contents (SS), sugar acid ratio (SS/TA), total sugar, and reducing sugar contents increased, respectively. Also during ripening, the glucose and the fructose contents increased considerably, thus resulting in the decrease of the sucrose content. In addition,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henolic substance, which was part of the fruit skin, showed more favorable reaction to radical ability than the fruit flesh. Furthermore, the DPPH, ABTS radical scavenging ability, and reducing power showed better reaction for the fruit skin than for the fruit flesh, and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antioxidative activity as a result of the higher levels of phenolic substance. Therefore, maturity played an important role in changing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physiological activity of a banana. The unripe peels could be used as antioxidant ingredients and they could also enhance the biological activity in the utilization of by-products.
        50.
        2013.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evaluate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lower. The samples were collected in Jangyyeon-myeon, Goesan-gun, Korea and extracted with either hot-water or ethyl acetate (EtOAC). In DPPH, hydrox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Fe2+ chelating activity of EtOAC extracts were 93.41%, 98.43%, and 7.38%, while those of hot-water extracts were 86.93%, 41.33% and 47.68% at 200 μg/ml, respectively. In ΦX-174 RF I plasmid DNA cleavage assay, the protective effects of EtOAC and hot-water extracts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were 82% and 17% at 200 μg/ml, respectively. Both extracts showed the protective effect of DNA migration by oxidative stress in intracellular DNA migration assay. Both extracts had no cytotoxity in NIH3T3 cells. Several polyphenolic compounds were identified such as 2-methoxy-benzoic acid, vanillic acid, phytol and pulegone by GC/M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extracts of Abeliophyllum distichum Nakai flower showed antioxidant activities and protective activities against oxidative DNA damage and showed the possibility to be used as an effective natural antioxidants.
        51.
        2012.0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색소를 이용한 천연 색조화장품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15종의 천연색소를 사용하여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항균활성 및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6종의 균주 중 Bacillus subtilis, Staphylococcus aureus, Listeria monocytogenes, Vibrio parahaemolyticus, Aspergillus flavus에 대해 대부분의 색소혼합조성물에서 항균활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Proteus vulgaris에서는 다른 균주에 비해 항균활성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색소종류별로는 자색고구마, 여주, 파프리카, 뽕잎, 지치 등의 색소 조성물에서 다른 색소 조성물에서보다 더 높은 항균활성을 보였다. 또한 DPPH 라디컬 소거능은 양파껍질, 파프리카, 적양배추, 뽕잎, 포도과피, 오디, 레드비트 색소 함유 조성물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으며, 아질산염 소거능에 있어서는 특히 pH 1.2에서 적양배추, 포도과피, 오디, 백년초를 제외한 대부분의 색소에서 70% 이상의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다양한 천연색소를 이용하여 수행한 본 실험을 통해 천연색소의 높은 항균효과와 항산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러한 기능성을 활용한 안전한 천연 색조화장품 개발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52.
        2011.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천연 갈변저해제 소재를 발굴하기 위하여 민들레와 감국을 열수 및 80% 에탄올로 추출하고, 그 추출물에 대하여 PPO 저해활성과 DPPH radical 소거능, 총페놀 함량 등을 통하여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또한 추출물을 사과슬라이스에 침지하여 외관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감국 추출물이 민들레 추출물보다 높은 PPO 저해활성을 보였으며 DPPH radical 소거능 그리고 총페놀 함량 등에 대해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각 추출물에 대하여
        53.
        2011.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만병초 95%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총항산화 활성은 ABTS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만병초 추출물 0.2 및 1 mg/mL의 총 항산화능은 각각 0.33 및 2.26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만병초 추출물 0.2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능은 각각 45.0 및 77.0%이었다. 만병초 추출물 5 및 100 μg/mL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40.88 및 131.00 μ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만병초 추출물 0.2 및 1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37 및 1.25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만병초 추출물 0.1 mg/mL 농도의 첨가는 0.2 및 0.5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52.1 및 30.3%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만병초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54.
        2011.06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질경이 추출물을 농축하여 동결 건조해서 실험동물인 SD계 수컷 흰쥐의 실험식이에 0.5% 수준으로 첨가하여 7주간 사육하면서 체중은 7일 간격으로 섭취는 2일 간격으로 오전 9시에 측정하였으며, 활성산소 및 항산화 활성 측정은 2회 측정하였다. 또한 실험이 종료된 후 실험동물을 단두 도살하여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혈당, 인지질을 측정하여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 하였다. 질경이 추출물을 SD계 수컷 흰쥐 에
        55.
        2011.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큰뱀무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미백과 주름에 관련된 tyroinase,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ethyl acetate 분획에서 4.70 μg/mL로 측정되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 EDTA/H2O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큰뱀무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ethyl acetate 분획 0.22 μg/mL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큰뱀무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큰뱀무 추출물의 경우 1 ~ 25 μ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ethyl acetate 분획은 10 μg/mL 농도에서 τ50이 416.20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미백 효과측정으로는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를 측정하였는데 ethyl acetate 분획에서 95.23 μg/mL로 나타났으며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50 % 에탄올 추출물과 ethyl acetate 분획이 각각 6.27, 4.31 μg/mL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은 큰뱀무 추출물이 1O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킨다. 또한 큰뱀무 추출물의 ethyl acetate 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항산화 및 항노화 화장품 소재로서의 응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56.
        2010.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개머루덩굴 95% 에탄올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였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농도는 0.42 mg/mL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ABTS 라디칼에 대한 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0.65 및 3.71 mM Trolox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5 및 100 μg/mL의 peroxyl radical 소거능은 각각 22.75 및 131.25 μ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및 1 mg/mL의 superoxide 소거능은 각각 27.7 및 56.0%이었다. 개머루덩굴 추출물 0.5 및 2 mg/mL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0.55 및 2.06 mM gallic acid와 동등한 수준이었다. 또한, HepG2 세포주를 이용한 세포배양에서 개머루덩굴 추출물 0.1 mg/mL 농도의 첨가는 0.2 및 0.5 mM tert-butyl hydroperoxide로 유도된 세포독성을 각각 36.2 및 23.3% 감소시켰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들은 개머루덩굴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와 세포독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이러한 효능은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 억제와 높은 총페놀 함량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57.
        2009.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에서는 여뀌 추출물의 항산화, 미백, 항주름 효과를 통한 항노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활성(FSC50)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에서 5.23 µg/mL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2O2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여뀌 추출물의 총 항산화능은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0.40 µg/mL)이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여뀌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여뀌 추출물의 경우 1 ~ 10 µg/mL의 농도에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미백 및 주름억제 효과측정으로는 각각 ty-rosinase 및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Tyrosin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는 aglycone 분획(8.90 µg/mL)에서, elastase의 활성 저해 효과(IC50)도 aglycone 분획(2.37 µg/mL)에서 가장 큰 저해활성을 나타났다. 여뀌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과 aglycone 분획에 대한 실험 결과로부터 항산화, 항노화 화장품 원료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58.
        2009.10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의 목적은 오레가노 추출물의 유리 라디칼 소거 및 지질과산화 억제 등 항산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Pyrogallol의 억제율을 100%로 기준하였을 때, DPPH 라디칼을 50% 억제시키는데 필요한 오레가노 함량은 21.8μg이었다. 총항산화 활성은 강력한 자유라디칼에 대한 총항산화능으로 측정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7.5 및 15μg의 총항산화능은 각각 15.1 및 31.4 nmol Trolox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0.2 및 0.4μg의 산소라디칼 소거능은 각각 1.4 및 2.4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오레가노 추출물 30 및 75μg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0.5 및 83.9 nmol gallic acid와 대등한 수준이었다. 지질과산화에 대한 억제효과는 이황화철/아스코르빈산에 의해 유도된 랫드 간 미토콘드리아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오레가노 추출물 20 및 50μg은 TBARS 수준을 각각 20 및 64% 억제시켰다. 이와같이 오레가노 추출물의 강력한 항산화 효과는 적어도 자유라디칼의 산화억제와 지질과산화 억제에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59.
        2009.08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We investigated the antioxidative effects of solvent extracts of doenjang fermented using Bacillus subtilis DJI (DJI doenjang) in vitro. The solvents used for extraction were ethanol, n-hexane, and water.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DJI doenjang solvent extracts were measured by estimation of peroxide value, the presence of linoleic acid level, and nitrite scavenging activity, the Rancimat test, and 1,1-diphenyl-2-picryl hydrazyl (DPPH) free-radical generation, in comparison with the commercial antioxidan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The peroxide value of an ethanol extract was lower than those obtained using n-hexane and water extracts. Furthermore, the peroxide value of the ethanol extract was similar to that obtained after BHT treatment. The nitrite scavenging activity was 23.36% after addition of 600 ppm DJI doenjang ethanol extract, and the DPPH free-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19.06% under same condition, which shows that DJI doenjang ethanol extract exhibited lower antioxidative capacities than did BHT. In the Rancimat test, the ethanol extract (11.20 min induction time), n-hexane extract (7.58 min induction time), and water extract (8.26 min induction time) after treatment with 600 ppm DJI doenjang extracts demonstrated longer induction periods than did BHT (6.94 min).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JI doenjang has potential anti-oxidative activity.
        60.
        2009.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목초액의 섭취가 훈련된 흰쥐의 항산화방어기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실험대상으로는 Sprague-Dawley계 수컷 흰쥐를 사용하였는데 실험그룹은 비운동 대조군과 운동 대조군, 목초액 섭취 비 운동 대조군, 목초액 섭취 운동 대조군으로 나누어 수행하였는데 체중과 혈중성분 변화, 글리코겐 함량, SOD 활성 수준, MDA 함량에 관한 분석을 하였다. 체중과 체지방(장간막, 복막후, 부고환)은 각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 TG와 FFA 농도도 목초액 섭취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Glucose 농도는 대조군 보다 운동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나 목초액 섭취로 인한 차이는 없었다. 목초액 투여 운동군에서의 SOD 활성은 다른 그룹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운동 대조군에서의 MDA 함량은 비운동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으나 대조군과 목초액 투여군 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론적으로 운동과 목초액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된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