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71

        41.
        201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이츠가 「1916년 부활절」(“Easter 1916”)에 묘사한 부활절 민중봉기와 김남주가 오월시에 제시한 5·18민중항쟁은 국가의 독립에 대한 열망과 민주화에 대한 민중의 꿈이 외세의 압력에 굴복하지 않고 밖으로 분출된 진정한 민중의 항쟁이다. 부활절 민중봉기와 5·18민중항쟁은 서로 다른 문화와 정체성을 가진 민중이 자신들의 희망과 삶의 터전을 지키고 미래의 세대에게 자신들의 삶의 애환을 상속시키지 않고 종지부를 찍기 위하여 형제애의 정신으로 자신의 소중한 목숨을 희생하는 숭고한 영웅적 행위를 하여 결과적으로 국가의 독립을 성취하고 진정한 민주주의를 구현한 역사적인 사건이다. 이러한 민중은 바로 예이츠의 ‘존재의 통합’을 구현한 사람들이며, 참다운 ‘귀족’이다.
        7,700원
        44.
        200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One of the most important characteristic features of Yeats’s book of poems involves the fact that the poet intended his entire volumes of his poems to function as a single, unified work of art. In other words, the meaning of an individual poem in any Yeats’s book of poems cannot be fully appreciated without considering its relationship with the poems placed right next to it. Talking about one individual poem alone in a volume is like interpreting one chapter of a novel without linking its meaning to the next chapters. For this reason, understanding Yeats’s poems requires looking into a relationship between the poems and the principle of arranging the entire poems in a book of poems. In this paper, what I am trying to achieve is to answer the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what is a governing principle of ordering poems in Yeats's second book of poems, The Rose (1983)? Second, how such a structure or an arrangement helps to convey the thematic concern of The Rose effectively? Lastly, how Yeats develops himself as a poet after publishing his first book of Poems Crossways (1889). When we compare the method of ordering The Rose poems with that of Crossways, we see that Yeats slowly matures as a poet as he ages. Crossways consists of two groups of poems each with a religious and political context, respectively. In the first group, Yeats places poems dealing with balancing the conflicting forces of action and stasis, the ideal and the real, and imagination and actuality. The second group includes poems balancing private and public, past and present, and Catholic and Protestant, high and low classes, and unionists and nationalists. Yeats's ultimate message: just as we need a reconciliation of opposing religious elements, so we should achieve a harmony of different political groups. The Rose, on the other hand, reminds us of a kind of well-structured drama with the prologue poem working as the first act of a play. The first poem holds the key to the arrangement of 23 poems in The Rose. In other words, each line of “The Rose upon the Rood of Time” foretells how the entire 23 poems will be placed and foregrounds the main message of the book of poems. The first poem talks about a reconciliation of opposing forces and this message is repeated throughout the book by dealing with the idea of balancing two antinomian ideas. In addition, the time of each poem moves in-between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eventually advances into the future, as is foreshadowed in the preface poem. The presence of the poet can also be felt throughout the book of poems. In The Rose, we meet a poet who keep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maintaining a balance between mysticism and realism, reconciling his joy of love and pain of his failure, and announcing his love of Ireland or his nationalist ideals. Through The Rose, Yeats repeats the importance of balancing religion, people, and love. Although the second book of poems contains different poems and structural pattern compared with the first book of poems, his basic message remains the same: mysticism should be reconciled with realism and nationalism.
        5,700원
        45.
        200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① 詩題: <和國信張宗益少卿過潭州朝拜信武殿> 潭州: 文淵閣本과 中華書局本의 《蘇魏公文集》에서의 표기는 모두 “潭州”이지만, 이는 “澶州”의 오기이다. 潭州는 湖南省의 長沙를 가리키는데, 이 潭州는 北宋 元豊3년 이전의 奉使路線과는 동떨어진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澶州에는 眞宗의 神御를 모신 信武殿이 있었고, 蘇頌에 앞서 出使했던 劉敞과 沈遘가 澶州에서 澶淵之役을 회상하며 각각 〈朝謁信武殿二首〉와 〈信武殿〉을 지었다는 점은 필자의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張宗益: 蘇頌의 〈前使遼詩〉와 韓琦․文同 등의 시로부터 그가 熙寧 원년을 전후하여 澶州․河間府 (및 相州) 등지에서 봉직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즉 그는 北宋 河北路에서 다년간 근무한 경력이 있으며, 胡宿은 그를 河北東路 방어의 전문가로 인정하고 있다. ② 제1․2구: “夷裔陵邊久, 文明運算高.” 北宋 외교정책의 고명함을 찬양한 것이다. 필자는 기존의 해설을 따른다. ③ 제3․4구: “三冬馳日御, 一夜隕星旄.” 眞宗의 澶州 親臨과 遼나라 장수의 사망 사실을 묘사하고 있다. 이는 각각 沈遘의 〈信武殿〉 및 王安石의 五古와 七古의 〈澶州〉 두 수의 시를 통해서도 확인된다. ④ 제5․6구: “從此通戎賂, 于今襲戰袍.” 澶淵之盟의 결과 遼나라와 교역이 이루어지고 전쟁이 종식되었음을 읊고 있다. 필자는 기존의 해설을 따른다. ⑤ 제7․8구: “威靈瞻廟像, 列侍冩賢豪.” 信武殿에 안치된 眞宗과 신하들의 초상화를 보고 그 모습을 찬양한 것이다. 劉敞이 〈朝謁信武殿二首〉에서 각각 眞宗과 寇準의 초상을 찬양한 점은 필자의 이러한 추정을 뒷받침한다. ⑥ 제9․10구: “民獲耕桑利, 時無斥堠勞.” 평화의 결과 백성들의 살림살이가 나아지고, 요나라에서 침공해 올 염려가 없어졌다는 점을 묘사했다. 필자는 기존의 해설을 따른다. ⑦ 제11․12구: “金繒比干櫓, 未損一牛毛.” 遼나라에 보내는 歲幣는 무기의 비용보다 훨씬 작다는 점을 강조하며 遼나라와의 평화관계를 찬양한 것이다. 필자의 의견은 기존의 해설과 같다. 단 “干櫓”를 中華書局本에서는 “千櫓”라 표기했고, 〈蘇頌使遼詩注釋〉에서는 “櫓”를 “望樓”로 풀이했지만, 그럴 경우 “櫓”는 제10구의 “斥堠”와 의미상 중복된다. 文淵閣本의 표기인 “干櫓”가 올바른 것이라고 생각된다.
        5,200원
        46.
        200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is article, a Teaching-Learning model was devised focusing on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learners on Chinese poem text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and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devised model was 'Response centered class'. However, in the procedure to develop a concrete model, various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methods were applied by phase. An independent teaching-learning method for Chinese Character subject was devised by applying the study results regarding Teaching-Learning method such as 'Reading aloud Method’, ‘Hyeon-To(懸吐) Method’, ‘Comparative Learning Method’, and ‘Media Utilizing Appreciation Method’. The expected effects through this model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ill participate in the class as subjects. Second, students can express their responses clearly through discussion, presentation and reading and correct the errors in the response. Third, they can nurture critical thinking abilities by accommodating others' opinions critically through discussion and presentation. Fourth, they will have interest in other works through various activities based on other texts related with Chinese poems. The educational efficiency and realization should be studied in future studies by applying the Chinese Appreciation Model. The following diagram shows the 'Chinese Poem Appreciation Model through Independent Reader's Response Learning' developed by the researcher.
        6,000원
        47.
        200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㵢溪兪好仁은 士林의 宗匠으로 추앙받는 김종직의 문하에서 수학한 新進士類로서 成宗으로부터 지극한 총애를 받은 관료문인이다.유호인의 「東都雜詠」시는 儒家의 이념에 입각하여,작자가 처한 當代의 현실에 대한 反省的質問에 대한 대답을 구한 것으로,‘7言100句’로 된 巨篇이나,每4句마다 換韻을 하여 新羅의 建國과 王權의 전개,佛敎의 傳來와 弊害,역사적인 인물 등을 詩化하였고,마지막으로 작가가 처한 당대의 입장에서 신라의 역사에 대한 褒貶을 하였다.본고에서는 이를,첫째,‘推賢讓能한 王權의 擁護’,둘째,‘儒家의 이상적인 人間像의 褒賞’,셋째,‘新羅의 멸망과 鑑戒’로 나누어 살펴보았다.첫째,‘推賢讓能한 王權의 擁護’에서,작가는 朴赫居世,昔脫解,太宗武烈王등이 德望과 탁월한 업적을 쌓아 君臣들의 합의에 의해 왕으로 추대된 것으로,이는 儒家에서 이상적 왕으로 추앙받는 堯舜이 덕망과 능력을 갖춘 자에게 왕위를 禪讓한 것과 같다고 여겼다.또한 이는 고려 말 李成桂가 外患을 막고 內政을 개혁하자,고려의 군신들이 왕으로 추대한 것에 정당성을 부여하고자 한 寓意를 담고 있다.둘째,‘儒家의 이상적인 人間像의 褒賞’에서,작자는 조선의 사상적 기반이었던 성리학이 추구하는 이상적 인간상인 孝․悌․忠․信과 貞節,勤勉,安貧樂道를 실천한 인물로 보고,신라의 인물 가운데 忠(金歆運,朴堤上),貞節(박제상의 처),節約과 勤勞(嘉俳에 나오는 2명의 王女와 일반 여인),安貧樂道(百結先生)등을 실천한 인물들을 褒賞하여,작자가 살던 시대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제시한 것이다.셋째,‘新羅의 멸망과 鑑戒’에서,작자는 신라가 멸망한 것은 여러 왕들이 荒淫에 빠지고,귀족들은 여기에 동참하여 국정을 돌보지 않아 民生을 도탄에 빠트려 民心을 잃게 되고,결국 天命마저 잃게 되어 나라를 잃게 되었다고 적시하고,신라의 멸망의 鑑戒가 고려에게 끼쳐 주었건만,高麗의 멸망도 이의 전철을 밟았으며,朝鮮의 멸망도 분명 이와 같을 것이니,이를 警戒하고자 하는 의도였다.
        6,100원
        48.
        2006.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8,400원
        50.
        2006.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논문은 한국한시에 대한 언어의 일연구로 한자로 된 시어의 상징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의 일환이며 그 새로운 텍스트로 문자유집에 천착한 연구이다. 이 책은 창작 년대나 작가에 대한 언급이 없고 목차와 유별로 나누어진 한자어들만 잔뜩 기록된 채로 책의 편찬의도와 내용을 소개하는 서문이나 발문이 없어서 정확한 용도를 잘 모르고 있었다. 이 책의 목차를 살펴보면 天道門 36조항, [地道門] 25조항, [萬物門],118조항, [人倫門], 52조항, [人事門],54조항, [君道門],29조항, [臣道門],13조항, [天官門]13조항, [地官門],45조항. [春官門],36조항. [夏官門],25조항. [秋官門],6조항. [冬官門], 9조항. 으로 분류하여 13개의 유목으로 나누어 정리하였다. 뒷부분에 두 글자, 세 글자, 네 글자로 된 한자어들이 순서대로 분류목외에 실려 있고, 사자성어가 분류 목을 떠나서 무려 900여개가 실려 있다. 총 13개 대목으로 분류하여 나누고 각 대목마다 각 세목으로 나누어 총 460여 항목에 일만여 개의 시어를 수록하고 있으며. 목판본으로 112면을 이루고 있다. 이 책은 한시의 창작을 위하여 고안된 일종의 시어 사전이다. 한시가 생활화된 당시 문자예술의 편의를 위해 만들어진 시어 사전으로 여러 가지 생활 주변에서 만들어 질 수 있는 시어를 정련하여 한시의 형식에 맞게 다듬어서 분야별로 엮어 놓은 것이다. 이 책에는 까다로운 한시형식에 적용될 수 있는 일만여 개의 시어들은 하나하나가 모두 글자 수와 음조와 대구가 고려된 것이다. 시어에 대한 조어의 묘에는 시인의 예술혼이 살아 숨 쉬며, 함축과 비유, 상징과 이미지, 압운의 음조미, 대구의 조응미 등의 문예미학이 주옥같이 서려 있다. 문자유집은 시어사전으로 비유사전이면서 동시에 이미지 사전이며 상징사전이다. 문자유집은 시어의 보고이며, 문자예술의 혼이 담긴 시어의 소우주이다.
        7,800원
        51.
        2005.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essay attempts to rethink the widely acknowledged notion that the ecologial writing is a minium writing weapon to tackle the European writing and limit of modernity. Most of the intellectuals paying attention to decolonial theory have arrived in limited ideas about the recent decolonialism. As a result, the recent debates on decolonialism have been deployed under the assumptions that the so-called "troika of decolonial theory" advocated by Frentz Fanon, Edward Said, and Homi Bhabha. From the point of view, the essay thus purports to demonstrates that the unfamiliar theory ecology and ecological writing is widely helping to overcome the limit of established decolonial wiriting and interpretation of text. To do this, from a ecological viewpoint, the essay attempts to re-read the irish text and Irish decolonial poet Seamus Heaney's poem "Gifts of Rain," who was awarded a Nobel Prize for Literature in 1996.Heaney concentrates primarily on the origin and mother land of the conflict in "Gifts of Rain" through elegiac poems celebrating the identity, history, territory and tongue of his irish people. But his imagination and attitude of writing is based on not just a decolonial method and idea but a ecological preoccupation on his "Mother Land." He looks forward to finding out integrated moments in his land beyond the political, religious, and topological separations. From the viewpoint of the ecological attitude, he finally enters into the deterritorial region against its dichotomous and counter-discursive tendency in decolonialism. Roughly speaking, some say that this new writing and epistemological method is just a utopian thought, but his ecological writing suggests that this is the most effective and creative means of making a new writing code and poetics moving from silent spectator to speaking actor/actress in the world.
        5,200원
        52.
        2004.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Two Kings, based on the myths of Edain in the ancient pagan Ireland, is Yeats’s long autobiographical narrative poem. This poem expresses not only the poet’s private love story but also his deep concern in the national affairs with realistic consciousness of responsibility. Therefore, in spite of its mysteriousness it shows that Yeats has traveled far into the actual world since his earlier narrative poems. In this poem Yeats adopted only the main part of the original story and changed its plot and reversed its ending on purpose. He reconstructed the original story and recreated it as a “universal” private mythos through imaginative embellishment and creative modification. Furthermore, by clothing each mythical character with multi-roles and -symbols, he succeeded in making the poem a piece of work with both individuality and universality. Through the symbolical behaviors of the characters, Yeats states his firm conviction that a man’s life should be determined by his own free will, and that the lovers’ happiness should dwell in their earthly life, not in their union after death. And the poet asserts that nothing is more important than the reliance and morality between human beings for our true life and happy love. In addition, the poet contends that a leader of a nation must deliver his subjects from their chronic oppression and poverty.
        7,000원
        54.
        199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Old Age of Queen Maeve(1903) is a very short pure dramatic poem, which deals with Queen Maeve’s heroic episode related to the god of love Aengus’s love affair in the ancient pagan period of Ireland. In this work Yeats expresses his strong will to disinter almost forgotten ancient narratives and propagate them among the contemporary Irish people who are getting quite unfamiliar with them, and at the same time he expresses his admiration of his beloved Maud Gonne more overtly and proudly than in any other work by juxtaposing/overlapping her image with that of Queen Maeve. This poem, along with such long dramatic poems as The Wandering of Oisin(1889) and The Shadowy Waters(1906-12), belongs to the same group of narratives in that all of these are related to his unrequited sweetheart Gonne. However, The Old Age of Queen Maeve is somewhat different from those two in the manner the poet takes toward his beloved, and in this poem he deplores that she too will grow old and die though she is as great, beautiful and passionate a woman as Queen Maeve was. In those two longer poems the star-crossed lovers follow heartbreaking pattern of love―meeting only after their death. But in The Old Age of Queen Maeve the lovers are supposed to meet each other in this world eventually, however long time it will take, as Aengus was to meet his lover Caer by the help of Queen Maeve and her grandchildren. In this article the present writer intends to descry Yeats’s purpose of using the ancient Irish myths and his power of creating an individual mythology based on them, and interpret the symbolical meanings caused by the overlapped images of Maeve and Gonne.
        6,600원
        55.
        1996.07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4,300원
        57.
        2018.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필자는 退溪 李滉(1501-1570)의 한시를 연구하던 중에 그의 逸詩를 발견하게 되었고, 그 시 내용에 규명할 만한 것이 있다고 여겨 논문으로 작성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 특히 첫째 수에 해당하는 작품은 문집에 실려 있지 않은 일시임을 확인했고, 그 작품을 중심으로 논의를 전개해 아래와 같은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첫째, 퇴계의 친필로 남은 한 수의 逸詩는 風流의 現場에 대한 實證을 가능하게 해주었다. 필자는 이를 조선 중기 영남의 江湖에서 차를 즐겨 마셨다는 사실과 함께 막 완성된 「漁父歌」를 初演한 풍류의 현장을 확인할 수 있는 작품으로 보았다. ‘烹茶仙風’ 즉 ‘차를 마시는 신선의 모습’이라는 사자성어 는 퇴계의 일시에 들어 있는 시구를 통해 만들어본 것이다. 이는 당시 퇴계가 추구했던 하나의 江湖의 眞樂과 연관 지을 수 있는 한 경지가 아니었을까 한다. 둘째, 새로 발견된 퇴계의 일시는 元韻의 형태로 聾巖 李賢輔 (1467-1555)와 溫溪 李瀣(1496-1550)의 次韻으로 이어졌는데, 정작 퇴계 자신의 문집에는 누락된 채 지금에 이르렀다. 그런데 이는 道學 淵源이라는 學統의 계승문제와 연관 지워 생각해 볼 수도 있다고 본다. 그래서 문집과 초고로 남은 작품들에 대한 詩題를 함께 살폈는데, 거기 에서 드러난 ‘先生’이 ‘相公’ 등으로 달리 표현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미묘한 시각차 때문에 중심 작품이 일시로 남아 문집에 오르지 못한 것으로 추론해 보았다. 필자는 자료 고찰을 통해, 퇴계 역시 도학 계통상으로 농암을 師承關 係로 인식하기보다는 그를 鄕先輩로서 인품과 문학 방면에 국한해 무한한 존경을 표했다고 보았다. 끝으로 그동안 年譜나 口碑傳承의 형태로 그 일부 시구절만 알려졌던 河西 金麟厚(1510-1560)가 퇴계를 기린 한시 또한 발견되어 이를 번역해 퇴계의 시인과 도학자로서의 면모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게 했다.
        58.
        2016.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19세기에 이르러 순수 기악음악이 언어에 비해 사물의 본질을 더 잘 표현해낼 수 있을 것 이라는 사고가 형성되면서, 음악은 가사나 줄거리, 기능성에서 벗어나 독립적 존립이 가능해 졌으며, ‘참된 본질 자체’로서의 예술의 ‘절대성’을 부여받게 되었다. 음악이 음악 외에 무언 가를 ‘표현’할 수 있다는 이러한 사고는 19세기 표제음악 발전의 중요한 출발점이 된다. 특히 이 시기 표제음악 작곡가들은 음악의 표현 대상을 ‘비규정적인 것’(Unbestimmten)에서 ‘규정 적인 것’(Bestimmten)까지 확대시키고자 하였다. 즉 이들은 표현어법을 계속해서 발전시키 다보면 음악도 언어와 마찬가지로 대상을 보다 구체적이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을 것이라 믿었다. 그리고 리스트의 교향시는 바로 이러한 표제음악의 발전 한 가운데에 위치하고 있 다.
        59.
        2015.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교사는 생활주제에 적합한 동화, 동시, 동요를 찾아 유아들에게 소개하고 다양한 활동을 진행하게 된다. 동시는 우리말의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는 가장 좋은 문학 장르이다. 따라서 동시는 유아들의 감성과 상상력을 고무시키고 전인적인 성장을 돕는 교육매개가 된다. 유아들은 문학작품 속에서 꿈, 이상, 바람 등 무한한 상상의 나래를 펼칠 수 있다. 또한 좋은 문학작품은 유아들에게 밝고 긍정적인 삶의 태도를 길러 준다. 그러나 유아들은 이러한 동시의 음률에 즐거워하면서도 흥미를 경험하지는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의 동시학습에 대한 흥미도를 높이기 위해 스토리텔링을 통하여 누리과정을 재구성 하고자 한다. 유아들은 동시 등 문학작품 학습을 통해 다양한 인간의 문제를 경험할 수 있다. 유아들은 그러한 문제를 유아 자신의 일상의 삶과 관련시켜 학습하게 되면서 현실 생활에 대해 다른 태도를 보이고 정신적 성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아들이 관심가질 수 있는 동시를 스토리텔링 방법으로 재구성하여 학습효과를 높이고자 한다. 연구자는 유아들이 동시를 이용하여 감성을 율동 등 신체로 표현하게 하고, 동시를 다양한 방법으로 읊어보기, 동시 짝꿍놀이, 동시 골든벨, 동시 게임, 동시 표상하기 등의 방법으로 동시를 재구성하였다. 그 결과 유아교육에 있어 스토리텔링을 통한 동시 학습은 유아교육에 매력적인 수단이 될 수 있으며, 동시를 더욱 풍부하게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유아들이 동시를 감상하는 바른 태도가 길러졌고, 가족구성원과의 정서적 유대관계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60.
        2015.05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엘리엇 시 「크리스마스트리의 재배」에 나타난 경이로움과 두려움은 다소 밝고 교훈적이어서 성당에서의 살인에 나타난 경이로움과 두려 움만큼 무겁고 장중하게 느껴지지 않고 있다. 성당에서의 살인에서는 슬퍼해야 할 죽음과 즐거워해야 할 탄생이 평화나 구원 등 기독교의 신 비로 연결되고 있지만, 「크리스마스트리의 재배」에서는 이러한 신비가 아동에게는 경이로운 체험이면서 동시에 두려움으로 정의되고 있어서이 다. 결국 「크리스마스트리의 재배」는 노년과 아동의 순수함과 단순성을 찬양하며 성자 루시의 삶과 순교를 신비롭게 조명한다. 이러한 신비는 아동에게 경외심을 주던 같은 신비이며, 이를 잃어버린 영혼과 세상에 대한 심판을, 즉 죽음의 두려움을 초월한 아동의 순수한 즐거움과 겹쳐 있다. 우선 경이로움이 놀라워 두려움으로 느껴지고, 그리고 두려움은 냉혹한 삶의 현실과 죽음에서 오는 모순이다. ‘크리스마스트리’가 엘리 엇에게 주는 의미는 천사의 예언과 함께 온 예수의 탄생 그리고 아이의 신비로운 경험, 그리고 살며 겪어야 할 수난과 영광, 이어 노년의 행복 한 죽음과 평화에서 찾아진다.
        1 2 3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