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342

        41.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소나무림에서 간벌 강도에 따른 황소비단그물버섯의 균사집단과 genet의 특징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34%, 45%, 60%의 강도별 간벌이 이루어진 소나무 목재생산림에서 2018년 발생한 황소비단그물버섯을 대상으로 SSR(Simple sequence repeat) 분석을 실행한 결과 발생한 자실체의 개체수는 34% 간벌지역이 104개체로 다른 처리구 비하여 약 60~100개체 이상 많았다. 34% 간벌 지역에서 발생 균사집단의 형태는 임목을 기준으로 크게 약 5 m 직경의 원형의 형태로 발생하였고 일부 자실체는 바위 위에 약 3~4 cm 두께로 깔려진 낙엽위에 발생하기도 하였다. 45% 간벌 지역에서는 자실체가 6~7 m 범위에서 벌채된 그루터기를 포함하여 무작위적으로 분포되어 있었다. 60% 간벌 지역에서는 입목과 입목 사이에 6 m 길이의 폭이 좁은 타 원형이나 선형의 형태로 발생하였다. 대조구에서는 총 2 개의 자실체가 입목의 근원부 주위에서 발생하였다. 각 처리구에서 SSR 분석결과 Sb-CA1과 Sb-CA3의 maker만이 잡종성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34% 간벌 처리구에서 발생한 황소비단그물버섯은 60% 간벌 처리구에 비하여 He/Ho의 값이 1정도 낮았다. 34% 간벌 처리구에서는 총 20개의 genet이 확인되었고 genet의 크기는 평균 14±11 m 2 였다. 단일 자실체로 형성된 genet은 전체 genet 의 60% 였다. 45% 간벌 처리구에서는 총 6개의 genet이 확인되었고 평균 크기는 11±12 m 2 였다. 단일 자실체로 형성된 genet은 전체 genet의 50% 였다. 60% 간벌 처리구에서는 총 10개의 genet이 확인되었고 genet의 크기는 평균 1.1±0.8 m 2였다. 단일 자실체로 형성된 genet은 전체 genet의 70%로 나타나 간벌의 강도가 작을수록 균사 생장에 의한 genet의 크기는 더 크며 간벌 강도가 클수록 단일 genet의 형성율이 증가되었다.
        4,000원
        42.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n-Butanol is used to assess how odor intensity correction affects judges’ evaluation of the odor intensity based on the concentration. The odor intensity correction effect is verified by using three types of test solutions which are used for the selection of judges based on their concentration levels. The correction effect is statistically analyzed according to gender, odorant type, and concentration on the group and individual level. The result shows that n- Butanol correction affects the odor intensity evaluation for three odorants in different ways. In most cases, n- Butanol correction increases the panelists' sensitivity to the odor intensity change, and results to be close to the theoretical value. The female panelists can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sourness intensity of acetic acid after n- Butanol correction. All panelists regardless of gender can more accurately evaluate the fishiness intensity of trimethylamine after n-Butanol correction. For evaluating the caramel smell intensity of methylcyclopentenolone, a full panel without n-Butanol correction is recommended. Therefore, n-Butanol correction should be included in the process of judge selection and the odor intensity assessment.
        4,300원
        43.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6주간의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통해 카누 선수의 심폐기능(Cardiorespiratory Function), 체간 등속성 근력(Isokinetic Trunk Strength) 그리고 무산소성 파워(Anaerobic Power)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9명을 대상으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의 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의 핵심은 무산소성 훈련 프로그램으 로 기존 1RM의 퍼센트(%)를 나누어 훈련하던 방식과는 달리 횟수에 대한 100%의 중량을 가지고 하는 훈련이며, 유산소성 운동과 짐볼운동은 보조적인 개념으로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신체구성에서 신장과 근육량은 통계적으로 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체중, 체지방율, BMI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심폐기능의 경우, 최대산소섭취량과 총 운동시간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간 등속성 근력의 경우, 각속도 30°/sec에서는 Flexors 운동시 Peak Torque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속도 120°/sec에서는 Extensors 운동시 Total Work 항목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산소성 파워의 경우, Peak Power, Average Power, Peak Drop의 모든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심폐기능에서는 유의한 개선효과가 있었지만 체간 등속성 근력과 무산소성 파워 항목에서 증가하는 경향은 있었지만 통계적인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선수 개개인의 근력과 파워가 개선되는 경향이 나타난 것을 고려하면 훈련기간을 6주 이상으로 구성하고 사례수가 보강된다면 체계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적용한 고강도 복합 훈련 프로그램은 카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 프로그램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4,200원
        44.
        2020.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딸기 재배온실의 최적 환경 구현에 필요한 시스템 선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목적으로 딸기의 엽온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험 온실의 최대, 평균 및 최소 광투과율은 각각 64.9%, 58.3% 및 48.5%로 나타났다. 그리고 엽온은 재배시기나 처리구별 및 환기의 유무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실험기간 동안 상하 잎의 엽온과 기온의 편차는 –2.4∼3.7℃정도의 범위로 나타났다. 정식 직후에 엽온과 기온과의 차이가 3.7℃정도로써 가장 큰 차를 보였고, 생육이 왕성한 시기에도 전체적으로 엽온이 약간 높은 경향을 보이긴 하지만 엽온이 –2.4∼-2.3℃정도 낮은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재배후기에는 엽온과 기온 간에는 거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엽온과 일사량 및 주변공기와 결정계수가 각각 0.4567 및 0.8826정도로써 일사량보다 엽온은 주변공기의 온도에 더 민감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엽기온차와 옥외 수평면 일사량, 평균 및 최소 상대습도와의 상관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4,000원
        45.
        2020.0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군락 광합성 모델의 도출을 위하여 생육 챔버가 필요하며, 이를 위한 광합성의 효율적인 측정 방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부 환경 제어가 가능한 생육 챔버를 이용하여 광도 및 이산화탄소 농도 변수를 갖는 로메인 상추(Lactuca sativa L.)의 군락 광합성 곡선을 도출하는 방법을 확립하는 것이다. 실험에 사용한 상추는 식물공장 모듈에서 재배되었으며, 군락 광합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크릴로 제작된 생육 챔버(1.0x0.8x0.5m)를 이용하였다. 첫 번째로, 다음의 두 방법을 적용하여 측정된 군락 광합성 속도를 통해 각 방법의 시정수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즉, 1) CO2 농도를 고정(1,000μmol·mol-1) 하고 광도를 변화(340, 270, 200, and 130μmol·m-2·s-1) 시키거나, 2) 광도를 고정(200μmol·m-2·s-1)하고 CO2 농도를 변화(600, 1,000, 1,400, and 1,800μmol·mol-1) 시켰다. 두 번째로, 1)과 2)의 방식을 적용하여 군락 광합성을 측정했을 때, 특정 광도(200μmol·m-2·s-1)와 특정 CO2 농도(1,000μmol·mol-1)에서 측정된 군락 광합성 속도 값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CO2 농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의 시정수는 광도를 변화시키는 방식에 비해 3.2배 큰 값을 나타내었다. 광도를 변화시키며 측정할 때 군락 광합성 속도는 1분 이내에 안정되었고, CO2 농도를 변화시킬 경우에는 6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었다. 따라서 광도를 변화시키는 측정 방식이 생육 챔버를 이용하여 작물의 군락 광합성 속도를 측정할 때 적합한 방식임을 확인하였다.
        4,000원
        46.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Recently, a number of researchers have produced research and reports in order to forecast more exactly air quality such as particulate matter and odor. However, such research mainly focuses on the atmospheric diffusion models that have been used for the air quality prediction in environmental engineering area. Even though it has various merits, it has some limitation in that it uses very limited spatial attributes such as geographical attributes. Thus, we propose the new approach to forecast an air quality using a deep learning based ensemble model combining temporal and spatial predictor. The temporal predictor employs the RNN LSTM and the spatial predictor is based on the geographically weighted regression model. The ensemble model also uses the RNN LSTM that combines two models with stacking structure. The ensemble model is capable of inferring the air quality of the areas without air quality monitoring station, and even forecasting future air quality. We installed the IoT sensors measuring PM2.5, PM10, H2S, NH3, VOC at the 8 stations in Jeonju in order to gather air quality data. The numerical results showed that our new model has very exact prediction capability with comparison to the real measured data. It implies that the spatial attributes should be considered to more exact air quality prediction.
        4,000원
        47.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제2형 당뇨 마우스로 8주간 50%, 75% 강도의 유산소성 및 저항성 운동을 수행하여 항 당뇨 및 지질 개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였다. 39주령 C57BL/6 마우스 48마리를 일반식이정상군 (Normal, n=8)을 제외하고, Streptozotocin (STZ)으로 당뇨를 유발하여 제2형 당뇨군(DM, n=8), 제2형 당뇨+VO2max 50% 유산소운동군(DM50A, n=8), 제2형 당뇨+VO2max 75% 유산소운동군(DM75A, n=8), 제2형 당뇨+1RM 50% 저항운동군(DM50R, n=8), 그리고 제2형 당뇨+1RM 75% 저항운동군 (DM75R, n=8)으로 구분하였다. 유산소성 운동은 주 5일, 1일 40분씩 8주간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A군은 1~4주는 8m/min, 5~8주는 8~10m/min으로, DM75A군은 1~4주는 12m/min, 5~8주는 12~14m/min으로 점증하여 실시하였다. 저항성 운동은 주5일 8주간 사다리 저항운동을 실시하였으며, DM50R군은 1RM의 50%, DM75R군은 1RM의 75%로 운동 반복 사이 2분간의 휴식을 주어 총 8번의 Climbing을 실시하였다. 8주간의 운동 후 공복 혈당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으 며, 인슐린은 운동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HOMA-IR은 DM군에 비해 DM운동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HbA1c는 DM군에 비해 DM50R 및 DM75R군이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총콜레스테롤과 LDL-C는 DM운동군 간의 차이가 없었으나, HDL-C는 DM75A군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중성지방은 DM75R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심혈관 위험 지수는 Normal군 및 DM75A군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T2DM 마우스에서 중강도의 저항성 운동은 혈당 및 인슐린 저항성 조절에 더 나은 개선을 보여주었으며, 중강도의 유산소성 운동은 HDL-C 수준 증가를 통한 심혈관 위험 지수를 감소 하는데 효과적이었다.
        4,200원
        48.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horse grazing intensity on the vegetation of the S. quelpaertensis, and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the horse.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at the community of the S. quelpaertensis (altitude of 550m) with the grazing intensity of 1.0AU(500kg), 1.5AU(750kg) and 2.0AU(1,000kg) at 30m × 30m for one week, and then the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S. quelpaertensis,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 the damages on trees and the changes in the 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orses was investigated and compared before and after the horse grazing. As the results, the 2.0AU grazing land showed that the culm number had the inverse correlation (r=-0.902, P〈0.01) to the other lands and the species diversity index of lower-level vegetation showed the correlation (r=0.773, P〈0.01) as increasing the grazing intensity.
        4,200원
        49.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Both the rapid concentric and eccentric contractions during exercise repeatedly impose excessive stress on muscle tissue. The hamstring muscles are very susceptible to injury due to the tensile stress. Various interventions are currently being undertaken to prevent strain injury before exercise. Stretching is the most common method and is known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flexibility and muscle performance. However, relatively few studies have investigated the potential negative factors of stretching.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pain following the different intensity of the stretching and types of physical stress. Methods: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the intensity of stretching: 100% (S100), 75% (S75), and 50% (S50) of the measured force at the point of discomfort in static stretching and 100% (P100), 75% (P75), and 50% (P50) of the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in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stretching. The pain individual subjects perceived after stretching was measured via a Visual Analog Scale (VAS) and compared between the groups Results: Despite the decrease in the intensity of static stretching, no decrease in VAS value was observed. In PNF stretching, a significant decrease was observed at P50 compared to P100. S100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P75 and P50. Conclusion: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PNF has a superior or the same effect on flexibility in comparison with static stretching. This effect was maintained even in moderate intensity. PNF stretching performed under moderate rather than high intensive static stretching, which causes pain and discomfort, might be recommended in clinical settings.
        4,000원
        50.
        2019.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급변하는 조직환경 속에서 조직의 효과성을 극대화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리더의 특성과 행동은 조직 연구에서 오랜 관심사였다. 오늘날 조직연구에서 리더십에 대한 논의는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특히, 21세기 들어서면서 조직의 규모나 성격을 막론하고 리더의 윤리성에 대한 관심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이는 리더의 윤리성이 조직의 성패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는 공감대가 확산되어 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을 기반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나아가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력 과정에서 구성원의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공군 장병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가설을 분석한 결과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은 조직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러한 영향력 관계를 마음챙김이 매개함이 확인되었다. 이는 리더가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면 조직구성원들은 조직시민행동을 할 가능성이 높아짐을 의미한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는 리더는 조직구성원들로 하여금 항상 주의를 기울이고 직무환경에 대해서 깨어있음을 느끼게 하고, 조직구성원들의 마음챙김이 높아지면 조직을 위한 자발적 행동인 조직시민 행동을 더 많이 하게 됨을 의미한다. 한편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에서 도덕적 강도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는데,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에 미치는 영향은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윤리적 리더십이 마음챙김을 매개로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도덕적 강도에 의해서 정(+)적으로 조절됨이 확인되었다. 즉, 윤리적 리더십이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도덕적 강도가 높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상사의 윤리적 리더십이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사회학습이론 관점에서 논의하고 이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보다 중요하게도 그러한 영향력이 어떠한 과정으로 이루어졌는지를 마음챙김과 도덕적 강도를 활용하여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진다. 또한, 조직의 관점에서 구성원의 조직시민행동을 촉진하기 위해서는 관리자로 하여 금 윤리적 리더십을 발휘하게 하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제기하였다는 점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5,800원
        51.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합천호에서 2002~2017년까지 16년간의 장기간 동안 수질변수를 이용하여 부영양화 특성, 경험적 모델분석 및 몬순강도에 따른 수질변이 특성을 분석하였다. 장기간의 연별 수질 분석에서 합천호는 중영양 ~부영양 상태로 분석되었고, 계절별 수질분석에서 부영양화 현상은 하절기 이후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간의 수질변이 특성은 유역의 점오염원 및 비점 오염원이 크게 변하지 않는 상황 하에서 매년 강우 사상 (집중 강우 vs. 약한 강우) 및 계절적인 강우강도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총인(TP), 총질소(TN), 생물학적 산소요구량(BOD) 및 이온 농도변화는 건기해(Dry year)와 홍수해 (Wet year)의 비교분석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여 영양염류, 유기물 농도 및 이온농도 변동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수질 변수 중 매년 영양염 지표(TP, TN), 유기물 지표(BOD, COD), 총 부유물질 농도 및 1차생산력의 지표 (Chl-a)는 강수량과 정상관관계를 보였다. 녹조의 지표인 Chl-a 농도는 총인, 총질소, 및 BOD와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타 호수처럼 영양염의 과도한 증가시기에 Chl-a농도가 낮아지는 특성과는 차이를 보였다. Log-전환된 총질소, 총인 및 Chl-a에 대한 경험적 모델(Empirical model) 분석에 따르면, Chl-a 농도는 인(phosphorus) 농도에 의해 1차적으로 조절되며, 질소(N)농도는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Log10TN, Log10TP, Log10CHL의 상류, 중류, 하류구간에 대한 공간적 회귀분석에서 총인과 Chl-a는 p <0.005의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총질소와 Chl-a는 p > 0.005의 결과를 보여, 녹조번성에 대해 인(P)이 핵심역할을 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다. 또한, 총질소와 총인 모두 Chl-a와 댐에 가까운 하류구간(Lacustrine zone)에 비해 상류구간(Riverine zone)에서 더 유의적인 결과를 보여, 상류역에서 무기성 부유물의 농도의 영향에 의한 광제한 효과(Light limitation)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4,800원
        52.
        2019.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issue engineering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oral and maxillofacial reconstruction. Biocompatible scaffold from chemically composites seeded with stem cells is essential and several growth factors for bone formation and angiogenesis are also required. To overcome limited activity of new bone formation with scaffolds, several biomechanical stimulation methods on cells have been made to grow cells in scaffold. Several bioreactors have been developed for real tissue growth in culture laboratory. In addition to biological stimulants like BMP, growth factors and exogenous drugs, biomechanical stimulation technique has also been known as an effective method in cell differentiation. We developed our own bioreactor with tensile mechanical strains. Then we tested with it for detection of suitable biomechanical effect on the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And we also compared the results with the effect of low intensity pulsed ultrasound (LIPUS). Mechanical strain group showed more rapid reaction with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than non-mechanical strain group. Mechanical strain groups stimulated with 0.5∼0.7Hz for 6 hours and 8 hours showed more active cell differentiation than the group with 0.5∼0.7Hz for 2.5 hours tensile strain stimulation. Group of LIPUS also showed more rapid reaction in cell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LIPUS with 3MHz showed more cell reaction than the LIPUS group with 1MHz. Our results showed the positive effect on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of cell with mechanical tensile strain, LIPUS both.
        4,000원
        53.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L-arginine 섭취가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에 따른 카누선수의 근 손상 지표, 피로 물질 및 경기력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고등학교 카누 선수 7명을 대상으 로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은 주 2회의 유산소 운동(화, 목), 주 3회 의무산소 운동(월, 수, 금) 그리고 주 5회의 유연성 운동을 실시하였다. 고강도 훈련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6주 과정 중에 처음 2주는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고 다음 2주는 wash out, 그리고 마지막 2주도 약물섭취(L-arginine or 위약)를 실시하였다. 모든 연구대상자들이 L-arginine 섭취(시험군)와 위약 그룹(대조군)으로 배정되는 교차설계로 디자인하였다. L-arginine은 하루 총 3g으로 섭취하였다. 채혈을 통해 L-arginine 섭취에 따른 근 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을 확인하였으며, 혈관내피세포기능 분석을 위해 FMD, 그리고 카누 에르고미터를 활용하여 카누 경기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결과 L-arginine 섭 취에 따른 Ammonia, IP, CK의 수준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LDH의 수준은 L-arginine 섭취로 인해 PLA 그룹보다 ARG 그룹에서 더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arginine 섭취에 따른 Total NO, d-ROMs, BAP, 그리고 FMD의 수준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카누 경기력 향상을 확인하기 위해 실시한 500M 카누 에르고미터 결과에서 총시간, 스트록 거리, 평균 속도 분석에서 L-arginine의 운동수행능력 향상의 직접적인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L-arginine 섭취로 인해 근손상 지표, 피로 지표, 항산화력, FMD, 그리고 카누 경기력 수준이 개선되는 경향은 나타 났다. 따라서 L-arginine 섭취의 잠재적인 운동능력 향상 보조제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54.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impact of vertical grid-nesting on the tropical cyclone intensity and track forecast was investigated using the Weather Research and Forecast (WRF) version 3.8 and the initialization method of the Structure Adjustable Balanced Bogus Vortex (SABV). For a better resolution in the central part of the numerical domain, where the tropical cyclone of interest is located, a horizontal and vertical nesting technique was employed. Simulations of the tropical cyclone Sanba (16th in 2012) indicated that the vertical nesting had a weak impact on the cyclone intensity and little impact on the track forecast. Further experiments revealed that the performance of forecast was quite sensitive to the horizontal resolution, which is in agreem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improvement is due to the fact that horizontal resolution can improve forecasts not only on the tropical cyclone-scale but also for large-scale disturbances.
        4,000원
        55.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Cervical mobilization has been applied mainly for the improvement of arm and neck movements and pain reduction, and little research has been done to improve the executive function. Since this kind of so-called mechanical neck pain is one of most common symptoms, there are controversial issues about this with spine alignment. Posteroanterior (PA) mobilization from the Maitland concept is a process of examin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of neuromusculoskeletal disorder by manipulative physical therapy. Objective: To examine the short-term benefits of mobilization for patients with non-specific neck pain. Design: Dual-group Pretest-Posttest Design from the Quasi-Experimental research Methods: Fourteen participants (male 8, female 6; 20’s of their age) with nonspecific neck pains which are distributed all the unilateral or bilateral body side were recruited. Participants were categorized to Neck Pain with Movement Coordination Impairments (NPMCI) and Neck Pain with Mobility Deficits (NPMD) group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physical examination. Professional physical therapist who has over 15-years-of clinical experience applicated manipulative therapy for the neck pain, an occupational therapist only conducted evaluations; K-NDI (Korean version of the Neck Disability Index), VAS (Visual Analog Scale), BDS-K (Korean version of Behavioral Dyscontrol Scale) for decreasing possible adverse effects; there were no person who reported other symptoms followed 4 weeks from the trial. Results: In the NPMCI group, data analysis indicat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A mobilization interventions in NDI and BDS-K; even though, pain was reduced in VAS, this is not a significantly differ. In the NPMD group, data analysis represented statistical differences between the PA mobilization interventions in NDI, VAS and BDS-K; the scores were represented to be increased or the pain got relief. Conclusions: PA mobilization techniques according to Maitland concept have beneficial effects in patients with neck pain and other clinical positive effects which included neck disability, pain itself and motor function of upper extremity.
        4,000원
        56.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새롭게 개발된 Nurida-ball 공차기 운동기구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일회성 운동에 의한 운동 강도 측정과 장기간 운동에 의한 건강 관련 지표들을 확인하는 데 있다. 첫 번째 연구에서는 Nurida-ball의 운동 강도를 측정하기 위해 8명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30분 간 Nurida-ball 운동을 실시하고 이를 트레드밀 운동부하검사에서(graded treadmill exercise test: GXT) 측정된 최대치와 상대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두 번째 연구에서는 12명의 중년 남성을 Nurida-ball 운동 그룹(NB, n=6)과 대조군 그룹(CON, n=6)으로 구분하고 NB 그룹은 8주간 운동을 실시하였다 (30min/day, 3 days/week). 이후 운동의 효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신체구성, 심폐기능, 혈액 지질 성분 및 근 손상 지표를 확인하였다. 먼저 일회성 Nurida-ball 운동 시 나타난 운동 강도는 GXT-HRpeak (55~85%)과 GXT-VO2peak(23~61%)으로 각각 나타났다. 8주간 장기간 운동을 실시한 연구에서는 CON 그룹과 비교하여 NB 그룹에서 체중, 체지방, 체지방율, 체질량지수의 변화량이(사후-사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B 집단에서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TC와 LDL는 감소되고 BMC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GXT의 최대 환기당량과 수행시간의 변화량이(사후-사전) CON 그룹과 비교하여 NB 그룹에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GXT의 운동수행시간은 NB 집단에서만 운동 전과 비교하여 운동 후에 유의하게 증가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종합해 보면 Nurida-ball 운동기구는 신체구성과 심폐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운동 기구로써 중년 남성 들에게 나타나는 대사성 질환들을 완화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4,300원
        57.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stench of various sources has become a complex issue that all governments must face and solve. n-Butanol is often used as an odor intensity reference for daily air quality monitoring and evaluation. However, its odor space, including odor sensation and odor effect, is still not fully understood, especially in wide concentration ranges. This study described n-butanol odor character profiles with objective descriptors. They are mostly presented as “odorless” or “offensive” at low concentrations, and frequently characterized as “chemical” or “medicinal” at high concentrations. The semantic differential shows that n-butanol odor is a negative emotional odor rather than a positive one.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hows that the representative factors of the n-butanol sensibility structure according to the sensibility evaluation are expressed with diverse sensibility vocabulary, and ‘esthetics’ represent its characterless nature. The good linearity between intensity and concentration, the near absence of gender difference, diverse odor types rather than a specific type, and ease with which to make a wide range of concentrations, makes n-butanol a candidate to be considered as a suitable standard odorant.
        4,000원
        5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pplementary feeding levels on livestck and forage productivity and grazing intensity in Elk stags (Cervus canadensis). A fifteen 2-year-old Elk stags about 195 kg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dietary treatments (five animals per treatment). The dietary treatments consisted of a feeding concentrate of 1.0% of body weight (T1), 1.5% of body weight (T2) and 2.0% of body weight. Total dry matter intake (TDMI) was increased with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supplementary feeding levels. Average daily gain (ADG)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an increasing supplementary feeding levels (p<0.05) and reached a maximum on July and was lower in spring than autumn. The velvet antler production was no differences among treatment groups. Forage productivity of pasture and crude protein content were highest on May and decreased thereafter, however, crude fiber content was the reversed. The grazing intensity of Elk stags was increased in spring (38 to 59 head per ha) than summer and autumn (13 to 32 head per ha). The average grazing intensity of Elk stags ranged from 21 to 34 head per ha, which is affected by supplementary feeding levels. This result suggests that feeding supplementary diet at 1.5 % of body weight was needed to maintain the stable wight gain in antler growing periods and control the proper grazing intensity of Elk deer stags.
        4,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