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251

        41.
        2016.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significance of xenophobia and hate crimes in multicultural societies. It begins with outlining the general discussions about multiculturalism, xenophobia and hate crimes. It identifies hate crimes that related to xenophobia in multicultural society and introduces hate crime laws in Australia. While Australian multicultural policy has its roots in government responses to the post‐settlement issues facing migrants, through the 1980s and 1990s policy was articulated more broadly as an element of Australia's nation building narratives. Today all Australian States and Territories have active policies and programs dealing with multiculturalism. As other multicultural societies, Australia confronts with challenges in building a multicultural society. One of them is xenophobia and hate crimes related to race, ethnic, religions. A number of common law countries have introduced legislation designed to respond to the problem of prejudice-related crime, commonly referred to as hate crime law. Whilst the heavier penalties imposed by hate crime laws are designed to denounce, and thereby deter, prejudice-related violence, it is apparent that these laws are meant to do more than punish and deter. They aim to condemn, not just criminal conduct per se, but also racism, homophobia, religious intolerance and the like. In this way Australia seek to make a broad moral claim that prejudice is wrong and to thereby reinforce pro-social values of tolerance and respect for marginalized and disadvantaged groups. This paper argues that hate crime laws are necessary in order to prevent hate crimes related to multiculturalism and suggests that Australian hate crime laws can be implied to sustain multiculturalism in Korea
        6,000원
        42.
        2016.07 구독 인증기관·개인회원 무료
        This paper draws on the concept of transculturality, shifting our attention beyond religion as a stable belief system toward religion as a field of transcultural practices. Our conceptualization of religion as a field of transcultural practices is empirically grounded in a hermeneutic analysis of depth interviews with 24 Southeast Asian immigrant consumers living in Auckland, New Zealand. The findings reveal two interrelated sets of transcultural practices through which religion shapes multicultural marketplaces. The first set of practices facilitates entry into multicultural marketplaces, by easing the process of border crossing and enabling social capital development. The second set of practices facilitates mutual entanglement within multicultural marketplaces, by fostering intercultural competency development, sharing of cultural consumption rituals, and enabling the flows of material resources. This paper helps to advance the growing literature on religion and marketing in two ways. First, a transcultural approach moves religion beyond a view of each religious tradition as a bounded system. Instead, religion emerges as an open and dynamic system which is deeply contextualized and whose function morphs to meet the character of the cultural context in which it is embedded. Second, in addition to the present focus on how religion produces differences in marketplace behaviors, this paper also sheds light on the transcultural properties of religion which are held in common across diverse religious traditions. Rather than becoming a dividing force in contemporary multicultural marketplaces, religious fields are also revealed to be hybridized and hybridizing fields of transcultural flows. Overall, in the context of multicultural marketplaces, religion emerges as a key site for the performance of practices which fuel transcultural dynamics.
        43.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우리 보다 40년 앞서 다문화사회로 진입한 독일이 이주민의 유입으로 생겨난 문화적 충돌과 갈등 및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상호문화교육을 통해 적극적으로 해결해 가면서 사회통합을 이루어내려는 노력을 살펴보았다. 독일의 상호문화 교육이 태동된 배경과 상호문화 교육의 발전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얻은 시사점을 토대로 다문화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가 시행착오를 줄이면서 사회통합을 위한 지름길을 찾을 수 있고 현재 한국에서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교육의 제한점과 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들을 발견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첫째, 문화상대주의적 관점에서 탈피해 문화를 ‘살아있는 과정’으로 인식해야 한다. 둘째, 배타적 민족중심적인 사고로부터 벗어나 세계화 시대의 핵심자질인 상호문화적 행동능력을 촉진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혈통주의를 공론화하여 인종차별 문제를 심도 있게 다루어 공개적 또는 감추어진 인종차별을 의식화하는 교육이 필요하다. 셋째, 자국민과 이주 배경 자녀 모두를 위한 소통의 문화교육(상호문화교육)을 실시하기 위한 교육정책 개발과 제도적 장치 마련이 시급하다. 넷째, 자국민과 이주 배경 자녀들의 상호문화적 의사소통을 위한 전환학습의 장(場)으로서의 학교의 역할을 정립해야 한다. 다섯째, 교육의 전 과정에 문화 간 대화와 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상호문화적인 내 용과 구조로의 개혁이 필요하다. 교과서에서도 다수민뿐만 아니라 소수민도 동일화할 수 있는 기회가 제공되어야 하고 교사양성 및 교사 연수에서도 상호문화적 관점을 접목해야 한다.
        5,600원
        44.
        2016.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의 한국사회는 다문화사회로 급격하게 변화해 가고 있다. 세계화의 영향, 국제결혼의 증가, 외국인 근로자의 유입 등으로 인한 국내 체류 외국인이 2012년 말 144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이에 따라 국가차원에서의 체계적인 다문화정책 구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간 다문화정책을 분석하여 한국사회의 체계적인 다문화정책 수립의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초기 지원과 결혼 이민자에게만 초점이 맞추어져서 최근 다문화가족으로 분류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 유 학생, 난민 등 다문화가족 내에서 발생하는 역동적이고 다양한 욕구를 포괄적으로 해결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국가간 다문화정책비교를 위해 북미(캐 나다, 미국), 유럽(독일, 영국, 프랑스), 호주, 아시아(일본, 한국)의 다문화정책을 비교하였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미국가인 캐나다는 다문화모델을 지향하고 있으며 다문화주의가 가장 잘 실현되고 있는 국가이다. 미국은 문화적 다원주의의 태도를 갖고 다문화수용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유럽국가인 독일은 차별배체모델에서 사회통 합정책으로 방향을 바꾸어 가고 있으며 영국은 문화적 다양성과 기회의 평등과 보장으 로 정책을 선회하여 다원주의를 통한 평화로운 공존을 주장하고 있다. 프랑스는 동화주의모델을 추구하지만 사회문화적 차이를 제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호주는 문화적 다양성을 존중하고 사회적 형평성을 제시하면서 중앙정부, 지방정부, 각종 지역사회단체가 각각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통합적인 정책을 실현해 나가고 있다. 아시아국가인 일본은 다문화공생의 개념아래 중앙정부차원이 아닌 풀뿌리 시민운동단체에 의한 프로그램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은 중앙정부 주도의 하향식 정책과 서비스의 중복이 주를 이루고 있다. 향후 한국의 다문화정책은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민간단체가 협력하여 사회통합을 이룰 수 있는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다문화정책이 재정립되어야 한다.
        5,700원
        45.
        2016.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the last decade, an increasing number of immigrants came to Korea mainly for getting jobs and following their spouses, and the Korean government attempted to introduce several policies and projects. Among those policies and projects, the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was launched for developing bilingual teachers to teach their cultures and languages to multicultural and general students as well.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find out what multicultural immigrant women who participated in a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wanted to obtain from the program, and possibly to suggest aiming at developing a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the future. Twelve pre-service bilingual teachers who were being trained in bilingual teacher development program participated in the pre- and post-questionnaire survey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12 pre-service bilingual teachers fully understood their roles as bilingual teachers and they think they are prepared to carry out those roles through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practicum. However, after the practicum they recognized they need to deepen their knowledge on child psychology, counseling and material development. Next, the pre-service teachers were satisfied with the training program and the courses they took in the program would be helpful to work as a bilingual teacher. However, they demand more practicum in the training curriculum. Some suggestions are made for improving the current system of practicum in the bilingual teacher training curriculum.
        5,700원
        46.
        2015.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 정책 및 제도가 어떤 필요성에 의해 만들어지고, 그 형성되어진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시행되는 정책들은 과연 현장에서 수요자 중심의 실용성과 효과성이 있는지에 대한 분석을 하고 자 한다. 이중언어교육은 매우리보다 먼저 다문화사회에 진입하여 많은 시행착오를 겪은 프랑스와 우리와 비슷한 시기에 다문화사 회로 진입하여 다문화정책 추진하고 있는 일본의 다문화정책 및 제도의 사례를 찾아 비교 분석하여 미래 적 지향적인 정책을 제언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다문화교육 정책 중 중점으로 살펴 볼 정 책은 이중언어교육정책이다. 이중언어교육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다문화가정 학생들이 학교생활의 적응과 학업성취, 그리고 이들이 성장하여 사회구성원으로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기본이 되는 정책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이중언어교육 을 위해 이중언어강사 양성하여 지원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다문화교육정책은 학교 안에서 이루어지는 것 보다는 학교 밖에서 시행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비해 프랑스는 학교 안의 정규교과 과정에서 다문화교육 정책이 시행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는 지방자치 단체와 학교 안에서 다문화교육정책이 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정책 실현을 위해 법안을 마련하고 정책의 기본 방향과 세부사항을 중앙정부에서 주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중언어교육 정책이 마련된 것은 누구를 위한 것인지에 대한 필요성과 정책의 형성과정, 정책의 실용 성과 효과성을 위해 우리나라의 이중언어교육 또한 교육을 주관하는 학교라는 기관을 통해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정책 수립 전에 다양한 인적구성원들에게 필요성에 관해 많은 논증과 함께 검증 단 계의 형성과정을 거쳐야 한다. 또한 정책의 실용성과 효과성을 위해 기존 정책에 관한 성찰 과정이 반드 시 필요하겠다.
        6,100원
        47.
        2015.10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amined the satisfaction level and effects of after-school program cooking activities i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 total of 135 children of general and multicultural families from 3th to 6th grades and their 11 teachers were surveyed, and 75 multicultural family children underwent a cooking activity program.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other Korean childre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anted to be involved in cooking activity programs after school more than other Korean children. These children also showed a higher rate of wanting to cook Korean foods compared to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reasons for participating in cooking activities, ‘I think I’m glad to be served delicious food’ response was the most common.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higher participation in cooking activities than children of general families. Regarding school life changes,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ere found to be less picky of foods in general as well as kimchi and vegetables. In conclusion, cooking activity program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y showed beneficial effects on diet and understanding of Korean culture.
        4,200원
        48.
        2015.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결혼이주여성이 인식하는 다문화의 개념과 다문화교육에 대해 알아보고, 다문화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 명의 국제결혼이주여성과 면담을 통해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들은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고 있는 다문화강사들로 구성되어졌다. 이는 다문화교육을 직접 경험함으로써 더 깊은 생각의 틀을 구성할 것이라 기대되었기 때문이다. 연구 참여자들은 모두 다문화에 대한 개념이 긍정적인 개념이라고 생각하고 있었으나 한국 사회에서 그 용어를 오·남용 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주여성들은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라는 용어가 다문화가족이라는 개념으로 잘못 사용되어지고 다문화가족이라는 용어를 만들어 국제결혼가정과 외국인근로자가정을 그 용어로 낙인찍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들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문화교육에서 하는 다문화이해교육, 문화간 이해교육을 넘어서 평등교육과 세계시민교육이 필요하며, ‘다문화’라는 개념에 대한 올바른 교육이 필요할 것이라고 제언하고 있었다. 다문화교육이 다문화교육 안에 포함된 세부 내용만을 가르치기보다 한국에서 사용하는 ‘다문화’라는 용어에 대한 오용과 남용에 대해 인식하게 하고, 다문화나 다문화교육이 무엇인지에 대한 교육이 우선시 되어야 할 것이다.
        4,800원
        49.
        2015.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s of this inquiry were to seek the multicultural awareness of students at homogeneously and heterogeneously populated schools in the Municipality of Sungai Penuh, Jambi, Indonesi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dministrating the adapted version of Multicultural Awareness Scale to 334 students from one homogeneously populated senior high school and one heterogeneously populated madrasah aliyah (Islamic senior high school). Data were analyzed by using Rasch Analysis and tests of inferential statistics. The results of data analyses indicated that 1) the students had a relatively high multicultural awarness, 2)the examination on the map of item endorsabilty indicated that the students had high cultural awareness but low self-awareness, 3) the students at the heterogeneously populated madrasah aliyah had a higher multicultural awareness than their counterparts at the homogeneously populated senior high school, and 4)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comparisons of the students’ awareness across the demographic variables across and within the same school.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4,900원
        50.
        2015.0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가정 내에서 결혼이주여성인 어머니를 통해서 필리핀 문화에 접촉이 되지만 그것은 매우 제한된 영역에 국한된 다. 특히 동화를 추구하는 가정 분위기 속에서 어머니의 문화와 언어를 학습하기는 매우 힘든 상황이다. 아버지를 비롯한 부계 친척들은 그들 이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를 학습해야 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고 있으며, 어머니의 빠른 동화만을 바라고 있는 형편이다. 하지만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한국문화와 언어에만 익숙한 아이로 성장하는 것보다 한국과 필리핀 양쪽 문화와 언어 모두에 익숙한 아이로 성장하는 것이 건강한 자아 정체성 확립 및 자존감 향상은 물론 향후 글로벌 리더로 성장하는 데 유리하다는 점은 먼저 다문화 과정을 경험한 나라들 에서 이구동성으로 검증된 바이다. 문제는 한필 다문화가정 자녀들의 경우, 필리핀의 문화와 언어에 익숙해질 수 있는 기회가 매우 제한되어 있다는 것이다. 많은 경우 한국과 필리핀과의 비공식적인 교류를 통하여 형성된 이중문화 역량마 저 관심 부족과 지속적인 개발 여건이 주어지지 못함으로써 사장되고 있다. 이러한 점에 비추어 볼 때, 연구자는 필리핀 현지체험 학습을 통해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노출시키고 친척을 중심으로 형성된 기존의 초국가적 사회 네트워크를 활용할 수 있도록 계기와 기회를 제공할 때 그들에게 주어진 이중문화 환경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연구자는 일차적으로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참여하는 현지체험학 습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실행하였다. 그것은 기존에 비공식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초국가적 사회영역을 통한 교류 활동을 보다 공식화하 고 체계화한 것으로 그 목적은 다문화가정 자녀들로 하여금 어머니 나라의 문화와 언어에 익숙해질 수 있는 기회와 계기를 제공하는 것이 다. 프로그램을 통해서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어머니 나라 문화와 언어 학습에 새로운 동기를 갖게 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들은 현지체험학 습 프로그램을 끝마친 후에 사후 통합 프로그램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한편, 가정 내에서 어머니나 어머니 쪽 친척들과 대화할 때 따갈로그어 로 소통하고자 하였다. 또한 집에서 인터넷을 통해서 필리핀 드라마를 시청하는 모습도 보여주었다. 가장 두드러진 변화는 프로그램에 참여하 기 이전에는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서 전적으로 한국 사람이라고 표명했 지만, 프로그램에 참여한 이후 ‘둘 다’라는 표현을 통해서 한국 사람이면 서 동시에 필리핀 사람도 된다는 점을 자각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또한 그들이 이처럼 변화하는 모습은 어머니를 비롯한 외가 쪽 친척들로 부터 매우 고무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그들에게 새로운 기대감을 갖게 해주고 있다. 프로그램과 그 이후의 통합 학습을 진행하면서 확인된 바는, 다문 화가정 자녀들은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익숙할뿐더러 필리핀의 언어와 문화에 익숙해지는 것이 장래 자신들의 진로를 개척하는 데 어떠한 유익을 갖는지 하는 것뿐만 아니라, 실제적으로 어머니와 외가 쪽 친척들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데에도 크게 도움이 된다는 것을 온 몸으로 체감하게 되었다는 점이다.
        7,800원
        51.
        2014.11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한국에 거주하는 필리핀 출신 결혼이주여성들은 자신들이 힘들게 일해서 송금한 돈이 필리핀 현지 가족의 생계를 안정시키는 동시에 보다 생산적이고 투자적인 목적으로 사용되기를 갈망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결혼이주여성과 그녀들 주변에 형성된 이주자 공동체를 대상으로 금융, 투자, 사업교육과 훈련이 주어진다면, 그녀들의 송금과 투자가 보다 생산적이고 투자적인 목적으로 쓰이고 필리핀에 남겨진 가족들과 마을을 개발하는 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그리고 결혼이주여성들이 속한 이주자 공동체는 스스로 자체적인 초국가적 네트워크를 가동해서 필리핀 현지구호와 개발사역에 참여하고 있으며, 한국의 민간단체와 신앙단체들도 그러한 이주자 공동체를 교량으로 해외구호와 개발사역에 보다 효과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개발은 현지주민이 주체가 되고 외부자원은 촉진자 역할을 할 때 최상의 과를 도출할 수 있다는 점에서 현지상황에 정통한 현지인들과 지속적으로 신뢰관계를 구축하면서 협력사업을 추진하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다. 또한 필리핀 현지에 거주하는 한필 다문화가족 공동체는 한국에 거주하는 한필 다문화가족과 많은 관심사와 문제의식을 공유하기 때문에 양자가 서로 파트너십을 맺고 협력할 때 서로 큰 혜택을 입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자녀들을 위한 이중언어교실을 양국에서 실행하며—한국에서는 따갈로그어 교실, 필리핀에서는 한글교실—양쪽의 자녀들을 상호 교환하고 교류시키는 프로그램을 수행해 나간다면 그 자녀들은 이중언어가 가능하고 이중문화에 익숙한 글로벌 시대의 인재들로 성장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젊은이들은 향후 더욱 많은 다문화가족들로 넘쳐나게 되는 다문화 사회에서 요청되는 이문화 역량과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크고 작은 단체들과 기관들이 다문화가족과 협력하여 구호와 개발사역에 동참할 때, 전 세계의 빈곤문제가 크게 완화될뿐더러 한층 더 다문화 사회로 변모하는 현실 속에서 구호와 개발 사업을 주도하는 다문화가족 출신의 전문사역자들 또한 보다 많이 양산될 것이다.
        6,700원
        52.
        2014.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aims to develop and apply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llow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o lack an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both their mother tongue and Korean) to participate successfully in regular English classes. For the purpose, 6 third-year students from multicultural special classes were observed and analyzed to identify difficulties experienced during regular English classes. Their difficulties were classified into lack of background knowledge and basic English words, insufficient use of learning strategies, lack of academic language understanding, and lack of self-confidence. To solve these difficulties,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as developed and applied, based on the theory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sheltered instruction model.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introduction of an English class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is presumed to have had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English abilities and confidence. Based on this program, more special English teaching programs for the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pected to be developed for their successful English learning.
        6,900원
        53.
        2014.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다문화대안학교에 재학 중인 다문화가정 청소년의 문제행동과 그 원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은 한국 사회에서 생활하는 데 문화적 수용의 어려움을 겪고 있다. 다문화가정 자녀들이 겪는 문제들은 그들의 우울, 불안 등 내면화 혹은 공격적 행동 등 외현화 문제로 발전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들의 문제행동 원인을 알고, 다문화청소년을 위한 심리프로그램 개발과 다문화청소년을 교육하는 교사들에게 도움을 주는 데 있다. 다문화가정 청소년에 대한 지원정책을 어떻게 제공하느냐에 따라 한국 사회의 미래 인적자원으로 글로벌 시대에 적합한 인재로 활약할 것인지, 아니면 사회에서 이탈하여 향후 잠재적 문제가 될지 결정될 수 있다. 한국 사회에서 다문화가정 청소년들이 사회의 주요한 구성원으로 차별받지 않고 자신의 권리를 존중받을 수 있다면 향후 다문화가정 자녀들은 국가 간 교류 확대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할 수 있다.
        6,000원
        54.
        2014.07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s luxury brands have become a globalised phenomenon, marked with the appearance of recognizable and standardized platforms worldwide, we ask how their consumption and meanings are shaped by divergent cultural beliefs that permeate contemporary multicultural marketplaces. Cross-cultural luxury branding literature advises luxury brand managers to cultivate coherent brand identities tied to their internal ‘brand DNA’, with the aim to translate this identity into a consistent global brand image. However, this managerial commitment to a standardized approach in international marketing has meant that brand researchers often adopt an ethnocentric perspective on branding, characterized with the tendency to assess marketplaces in terms of their various degrees of ‘glocalization’. Consequently, the literature on cross-cultural luxury branding has largely focused on the effects of global positioning and local cultural influences, paying little attention to the influences of other foreign cultures that may operate within a multicultural marketplace.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advancing our knowledge about how complex multicultural influences shape luxury brand markets. In particular, focusing on the interplay between local and foreign cultural meanings in a single national market, we demonstrate how the consumption of luxury brands is influenced by multiple, and at times conflicting, cultural beliefs. Luxury brands and cultural meanings are thoroughly intertwined. Throughout history, the idea of luxury has been influenced by various ideological beliefs, providing an “illuminating entrée into a basic political issue, namely, the nature of social order” (Berry, 1994: 6). For instance, since ancient civilisations, such as the Egyptians and Amerindians, luxury goods have been used as the symbol of status and power (Kapferer and Bastien, 2009). In the days of Plato and early Christianity, luxury was also perceived in a pejorative form that signified the corruption of a virtuous manly life; and with the works of Adam Smith, the idea of luxury has become a vindication of commercial society (Berry, 1994). Over the last two decades, we have witnessed unprecedented demand for luxury brands by international consumers in Japan, in East Asia, and now in the BRIC (i.e., Brazil, Russia, India, and China) and CIVETS countries (i.e., Colombia, Indonesia, Vietnam, Egypt, Turkey, and South Africa) (Kapferer, 2012). Due to the accelerated flows of consumption meanings, ideologies, and people resulting from global economic forces (Appadurai, 1997), many of these emerging marketplaces are characterized by cross-cutting cultural flows, exhibiting a high degree of inner differentiation and complexity (Craig and Douglas, 2006), mutual entanglement (Robertson, 1992; Welsh, 1999), and interpenetration (Andreasen, 1990). Consequently, there is a growing need to advance our understanding of how increasing multicultural influences shape luxury brand markets. Informed by a cultural branding approach (Bengtsson et al., 2010) and research on multicultural marketplaces (Craig and Douglas, 2006), we address this issue in cross-cultural luxury branding by offering a qualitative inquiry into luxury brand consumption in New Zealand, uncovering the interplay between two distinct cultural beliefs permeating this multicultural market – the local Kiwi ‘tall poppy syndrome’ and the foreign ‘face-saving’ orientation originating from East Asian immigrant cultures. The Kiwi tall poppy syndrome conveys a negative social attitude towards people (the ‘tall poppies’) who are conspicuously successful and whose distinction, rank, or wealth attracts envious notice or hostility (Mouly and Sankaran, 2002). Conversely, the East Asian ‘face-saving’ orientation is concerned with the social image of success that an individual projects in society (Le Monkhouse et al., 2012). We found that not only did these two local and foreign cultural beliefs convey oppositional meanings about luxury brands in New Zealand, but they also prompted consumers to adopt different luxury brand consumption styles. Furthermore, despite being oppositional in nature,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se beliefs could jointly influence individual consumers, adding yet increased complexity to how these individuals consumed luxury brands. In particular, we demonstrate that luxury brand consumers in New Zealand are able to hold multiple and conflicting local and foreign cultural beliefs in tension, emerging as contextual cultural shifters. While the literature on cross-national luxury branding conventionally privileges cross-national methods which tend to de-emphasise the heterogeneity within national luxury markets (Wiedmann et al., 2007), the results of our study suggest the need to consider intercultural diversity at the intra-national level. Indeed, Brewer and Venaik (2012) decry the danger of applying culture-level constructs to the level of the individual. Brubaker (2004) calls this the fallacy of groupism, where we treat ethnic groups as concrete entities instead of seeing group-making as an on-going project. This is echoed by Calhoun (2003: 547) who encourages “avoiding the illusion that plagued much earlier thoughts of ethnicity and nationalism – that there was one basic identity common to all members of a group.” Essentially, when an individual’s cultural identity is reduced to the nationality or the ethnicity that he or she declares on a survey, not only does this overlook the multidimensionality and complexity of cultural influences which shape how they consume luxury brands, but this also misses further opportunities to engage with luxury brand consumers. While some cross-national luxury consumption studies have accommodated a degree of complexity with the consideration of differences between global and local cultures (e.g., Park et al., 2008; Shukla and Purani, 2012), the results of our study show that, within multicultural marketplaces, the level of cultural complexity goes beyond the global-local dichotomy. Rather, the consumption of luxury brands is transculturally constituted and derived from multiple forms of belonging (Calhoun, 2003). In these markets, consumers find themselves negotiating the meanings and consumption styles of luxury brands at the confluence of multiple cultural beliefs. For marketers operating within multicultural markets, this means that nationality, ethnicity, and degree of glocalisation may be less useful bases for segmentation, prompting the consideration of other ways in which to understand and use cultural influences in segmenting, targeting, and positioning luxury brands. In our study, two distinct cultural belief systems, one local and one foreign, shaped luxury brand consumption in New Zealand. Furthermore, these cultural beliefs were not necessarily tied to an individual consumer’s ethnicity. Given these complexities, it may be more useful to consider other bases of segmentation such as the influence of situational factors (Douglas and Craig, 2011) and the relative salience among multiple cultural beliefs. Furthermore, this is the first study to empirically demonstrate the impact of multiculturalism on luxury brand markets, where consumers emerge as contextual cultural shifters. Our findings illustrate that contextual factors in a multicultural marketplace, like a filter, shaped which cultural influences were appropriated by individual consumers in a given consumption situation. Thus, underlying any given luxury brand consumption situation is a complex interplay between multicultural influences, situational norms, and individual factors. This prompts multiple considerations for luxury brand managers. Might it be possible to go a step further and encourage consumers to adopt culturally-constituted consumption styles which fit better with one’s brand positioning? More specifically, by questioning which cultural influences underpinning luxury brands are more dominant for them, consumers could be encouraged to reconsider their personal uses and attitudes towards luxury brand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find out what contexts are likely to tilt consumers’ consideration in favour of one cultural influence over another. If a luxury brand is a status symbol, might it be possible to prime both Western and Asian consumers to switch to status-conspicuous beliefs? For example, what cues and appeals might marketers present to encourage consumers to think in a more face-saving way? If a brand is understated, might it be possible to prime consumers to adhere to cultural beliefs which encourage more discreet styles of consumption? For example, what cues and appeals might marketers present to encourage consumers to consider the tall poppy syndrome? Such research would be particularly useful for marketers who have little room for repositioning their luxury brand image. Finally, rather than a glocal branding approach, which involves cultivating brand identity within the organisation and overcoming local brand image inconsistencies (Matthiesen and Phau, 2005), we posit that managers need to adopt a multicultural branding approach. We envision that such an approach would involve identifying and pursuing opportunities for the development of dynamic brand identities (da Silveira et al., 2011), where luxury brand managers can assume the role of proactive architects of luxury brand cultures which support diverse modes of luxury brand consumption. This carries implications for cross-cultural luxury branding on three levels. At the basic level, a multicultural branding approach involves paying closer attention to the contextual topography of a given marketplace and consumer receptivity to global, local, and foreign cultural beliefs. As our study showed, a luxury brand entering an emergent multicultural market like New Zealand will invariably face consumer resistanc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dominant Kiwi ‘tall poppy’ syndrome. However, this is by no means a monolithic discourse; its influence is uneven. Because of greater diversity and intercultural exchange, consumers in cosmopolitan centres such as Auckland are more likely to be receptive to other cultural influences. As such, it would be a logical point of entry for a global luxury brand. This also suggests that, rather than cross-national differences, segmentation based on the prevalence of multiple cultural beliefs and consumption styles in major cities could be a more appropriate strategy for luxury branding. At a more advanced level, luxury brand managers can not only select, but also focus on proactively cultivating the most conducive contexts, where consumers would feel more empowered to appropriate their desired luxury brand consumption styles within a multicultural marketplace. In doing so, marketers will be able to both target the increasing buying power of ethnic consumers by appealing to their foreign consumption styles (Lisanti, 2010), as well as to find a better positioning to the mainstream consumers who are receptive to cultural shifting. For instance, several respondents in our study presented an interesting dynamic between the two cultural influences: on one hand, they have a desire to consume luxury brands in a more conspicuous way due to the influence of face-saving beliefs, but on the other hand, they feel that they must suppress this desir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Kiwi ‘tall poppy’ syndrome. To unlock this hidden market potential, luxury brand marketers would do well to design liminal spaces and retail spectacles (Kozinets et al., 2004). In the same way that the “Coca-Cola Telenovela Club” provided a liminal space in which Latina moms in the US could explore and perform their love of telenovelas (Lisanti 2010), luxury brand managers might design similar liminal spaces and retail spectacles where could safely circumvent the influence of the local tall poppy syndrome. In contrast to the social sanctions on conspicuous consumption in their everyday lives, liminal spaces can provide an immersive space where foreign styles of brand consumption can be affirmed and cultivated. In other words, luxury brand managers can empower consumers to appropriate their desired culturally-constituted meanings and, therefore, to endorse the particular styles of luxury brand consumption within a multicultural marketplace. Finally, at the broader strategic level, rather than cultivating brand identity entirely within the organisation and then communicating this identity to consumers, luxury brand managers can aim to collaborate with the diverse range of consumers in developing a dynamic multicultural brand identity. This strategy would involve incorporating a wider range of cultural meanings and developing the most appropriate brand positioning(s), thereby addressing tensions around the conflicting luxury brand consumption styles within a multicultural marketplace. In line with the cultural branding (Bengtsson et al., 2010) and dynamic brand identity (da Silveira et al., 2013: 31) approaches, the multicultural branding approach should view brand identity as developing over time through “mutually influencing inputs from several social constituents” that include both brand managers and consumers. Moreover, it should focus on more proactively and thoroughly intertwining the on-going social construction of brand meaning with the on-going evolution of multiculturally-informed consumption styles of luxury branding that emerge within a marketplace. In short, by assuming the role of cultural architects, luxury brand marketers must become more aware of the varying sensitivities of consumers to multiple cultural beliefs and practices across a range of contexts, proactively cultivate contexts which enhance their brand receptiveness, and strive to construct multiculturally-informed dynamic brand identities that embed the brand image more deeply within a marketplace and assist consumers in coping with dynamic cultural change.
        4,000원
        55.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ark Hyu-yong. 2013. Critical analysis of contrasting identities and styles of anti- and pro-multicultural discourses in Korea. The Sociolinguistic Journal of Korea 21(3). In a multicultural society, social discourses composed of diverse voices, identities, and subjectivities collide and naturally create tensions. Adopting Rogers' (2004) methodological approach to critical discourse analysis and Castells' (2004) categorization of identity - legitimizing, project, and resistanceas a conceptual framework, this paper analyzes the discourses between antiand pro-multiculturalist sides in Korea. This paper surveys and analyzes the discourses hosted in cyber space, such as internet agora, portal site cafes, and personal blogs, which are the outlets of common people's voices and identities regarding multiculturalism. The concrete research ques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i) how are anti- and pro-multiculturalist voices and rationales categorized?; ii) what are the types of identities in anti- and pro-multiculturalist discourses, and how do they conflict; and iii) what styles do anti- and pro-multiculturalists bear in their own discourses? This paper argues that multicultural discourses in Korea are conjugated by diverse conflicting voices of people with different standpoints and beliefs on a multicultural society. This paper also stresses that the government or academia should monitor the voices, rationales, and attitudes of both sides to establish clear directions for future multicultural policies and legislation. (190 words)
        6,000원
        56.
        2013.12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사회복지적 차원에서 다문화가족을 위하여 교류분석을 적용하여 효과적으로 원조하는 방법을 찾고자 하는 탐색적인 연구이다. 문헌연구 및 다문화가족 실천현장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을 묻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터뷰 결과를 근거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다문화가족지원센터에서 전문가에 의해 실시되는 다문화가족의 구성원들을 대상으로 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의 진행과정을 관찰하였고 참가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평가하였다. 따라서 다문화가족들이 갖는 의사소통의 어려움, 문화적 차이, 생활양식의 차이에서 나타나는 문제들을 대처하기 위해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더니 교류분석적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집단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으며, 다문화가족의 문제점 해결 가능성을 예측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교류분석적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의 의사소통능력 향상과 문화적 차이와 생활양식의 차이 이해에 영향을 줄 수 있다고 예측할 수 있다.
        6,600원
        57.
        2013.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2013년 현재 대한민국의 교도소는 다인종. 다문화. 다양화된 교도소문화를 이루고 있으며, 이러한 다문화시대의 한국사회의 구성원 및 외국인 범죄의 증가는 질적인 측면에서 외국인범죄는 국내인 범죄 못지않은 사회문제가 되고 있다. 이제 한국은 순수단일민족이 아니며 여러 민족과 인종이 때로는 용광로처럼 한국의 문화에 동화되고 샐러드그릇처럼 민족고유의 특성을 유지하면서도 어울리는 다문화주의 사회이다. 인종적 문화적 다양성과 더불어 외국인범죄도 사회 환경 등의 이유로 급격히 상승하고 있는 실정이며 다문화 시대에 부합한 외국인수용자에 대한 문화적 수용성, 수용생활만족도, 의사소통만족도와 학력변인의 조절효과 등을 측정하여 외국인수용자의 다문화수용성이 수용생활만족도와 사회복귀기대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로 외국인수용자에 대한 교정정책에 대한 문제제기와 연구가 필요하고, 내국인수용자와 마찬가지로 외국인수용자도 한국어의 능력수준에 따라 한국인수용자에게 실시하는 검정고시제도와 방송통신고등학교 및 방송통신대학프로그램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9,300원
        58.
        2013.06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t the time of the Confederation in 1867 when Canada became a country the government made English and French the official languages, ignoring the aboriginal languages altogether, both at the federal level and in the province of Quebec. Later, when it joined the Confederation, Manitoba gave French official language status as well. But in most parts of Canada French eventually began to lose ground; Manitoba rescinded its French language policy, Ontario abolished French schools in 1912, and other provinces put restrictions on the use of French. Most immigrants learned English, especially in the western parts of Canada. More recently Canadian bilingualism has not only adopted English and French as the nation's official languages, but also allowed ethnic minorities to maintain native-language and choose English or French as second language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dual language French- English education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of Canada.
        4,000원
        60.
        2013.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개방화 시대를 맞이하여 국경은 무너지고 범죄는 세계화 되면서 우리 교정은 외국인범죄의 위협 앞에 큰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비록 외국인 재소자의 구성비는 전체재소자의 2%에도 미치지못하지만 매년 20-40%씩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교정당국은 다문화재소자에 대한 수용관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교정처우만족도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발 빠르게 강구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살인, 강도, 약물남용범죄, 폭력집단범죄, 전화사기 등 최근의 범죄동향의 특징과 맞물리면서 우리의 교정행정은 새로운 위기에 직면해 있다. 향후 외국인 150만 명에 육박하는 시대에 외국인범죄는 현재보다 더 큰 폭으로 증가할 것이 예상되는 바 외국인재소자의 교정처우만족도 향상에 있어 우리 교정당국이 안고 있는 현재의 문제 상황과 나아갈 방향이 무엇인지를 짚어보고 다문화시대의 교정처우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연구결과 본 연구를 통하여 외국인재소자들에게 설문 조사한 결과 수용생활만족도와 사회복귀도움만족도에 다문화 수용성, 의사소통만족도, 다문화프로그램만족도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외국인재소자에 대한 교정복지정책을 수용만족도 향상과 사회복귀도움이라는 방법의 모색과 함께 향 후 대한민국의 모든 교정시설의 외국인재소자 증가에 대비해서 법률과 제도를 정비하고 새로운 방안을 마련하여 외국인재소자에게 수용생활만족이라는 교정복지정책의 비젼제시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8,0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