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63

        41.
        2019.03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s of note-taking training on Korean college students’ notes during academic English listening tests. A total of 61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different groups: Group A that later received training in note-taking strategy and Group B that did not. Group A received note-taking strategy training on three separate times, totaling 60 minutes (30 minutes, 15 minutes, and 15 minutes) that spread out over two months. The two groups took listening tests before and after Group A was trained. The results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f the notetaking training in relation with the groups’ note-taking behaviors. After training, the trained group used more and frequent notes whereas the untrained group’s number of notes decreased. Individual students who drastically increased the number of notes after training (in Test II) showed more systemic framework of notes for Test II than before training (in Test I). The present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utilized the different analyz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notes compared with previous studies.
        6,100원
        42.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에게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의 효과를 인지 평가와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평가를 통해 비교하고, 두 가지 훈련방법의 차이에 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 본 연구를 위해 뇌졸중 환자 21명을 선정하여 무작위로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N=11)과 Dynavision 훈련 집단(N=10)으로 분류하고 각각 15회기의 훈련을 실시하였다. 대상자들의 주행 중 운전수행 능력 측정을 위해 운전 시뮬레이터 시나리오 시스템 평가를 실시하였고, 인지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DriveABLE Cognitive Assessment Tool(DCAT), Trail Making Test-A, Trail Making Test-B 그리고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K 평가를 실시하였다. 결과 : 운전 시뮬레이터 훈련 집단은 모든 인지 능력평가와 대부분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확인되었다. Dynavision 훈련 집단은 Trail Making Test-A를 제외한 모든 인지 능력 평가와 브레이크 페달 반응시간, 중앙선 침범 평균 시간 및 비율, 차선이탈 비율의 운전수행 능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 되었다. 그리고 두 가지 훈련의 변화량은 도로주행평가의 결과 예측 지수와, 충돌사고 및 위험상황 발생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이 변수들의 변화량은 두 가지 훈련방법의 적용 차이에 따라 모든 변수가 20% 이상의 인과적 영향력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 뇌졸중 환자의 운전훈련 방법으로 운전 시뮬레이터와 Dynavision 훈련은 모두 효과적인 중재방법임을 확인하였다. 특히 운전 시뮬레이터는 뇌졸중 환자의 운전수행 능력 전반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훈련이며, Dynavision 훈련과는 20%의 설명력으로 훈련효과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5,100원
        43.
        201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피젯 스피너를 활용하여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본 연구는 일반아동 중 우세손이 우측인 1~2학년(만 7~8세) 아동 24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12명, 대조군 12명으로 무작위 분류하여 실시하였다. 연구 설계는 사전-사후 설계이다. 중재는 실험군 아동들에게만 실시하였으며, 5주간, 주 2회, 1회 당 40분씩 총 10회기로 진행하였다. 측정도구로는 중재 전, 후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의 비교를 위하여 젭슨-테일러 손 기능 검사(Jebsen-Taylor Hand Function Test; JHFT)와 장악력 검사(Grip Strength Test; GST) 그리고 명료도 검사(Legibility Test; LT)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Wilcoxon signed rank 검정과 Mann-Whitney U 검정, 그리고 교차분석의 카이제곱 검정을 사용하였다. 결과 : 피젯 스피너 훈련은 실험군의 손 기능과 장악력, 글씨쓰기 명료도에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며,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아동의 손 기능과 글씨쓰기 명료도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키는 도구로써 피젯 스피너의 가치 및 효용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를 토대로 피젯 스피너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는 다양한 연구가 이어지길 기대한다.
        4,500원
        44.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중심부 암점을 가진 환자에게 한글 기반의 중심외보기 훈련 소프트웨어를 적용하여 그 효과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 ABA 단일대상연구(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설계를 위해 중심부 암점을 가진 2명의 환자에게 훈련 전후 기초선 각 3회기, 중심외보기 훈련은 8회기를 시행하였다. 매회기 훈련 종료 후에 단문읽기속도를 측정하였고, 훈련전과 훈련 후에 일기활동 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캐나다작업수행측정(Canadian Occupational Performance Measure; COPM)와 운동처리기술평가(Assessment of Motor and Process Skills; AMPS)를 시행하였다. 결과 : 중심외보기 훈련 결과 대상자 모두의 읽기속도가 훈련 전보다 훈련 후에 2표준편차 이상 증가하였고, 특히 훈련 2-3회기에 큰 증가세를 나타냈다. 전반적인 일상생활활동 능력에서는 훈련 전후 변화가 없었으나, 읽기와 관련된 활동에서는 의미있는 향상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하여 한글기반의 중심외보기 훈련 프로그램이 중심부 암점을 갖고 있는 환자의 읽기활동 수행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국내 임상현장에서 적용할 근거를 마련하였다.
        4,200원
        45.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Progressive muscle weakness is aggravated not only in the skeletal muscles but also in the respiratory muscles in many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eases (NMD). Inspiratory muscle training (IMT) has been reported as therapy for pulmonary rehabilitation to improve respiratory strength, endurance, exercise capacity, and quality of life, and to reduce dyspnea.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playing harmonica for 5 months on pulmonary function by assessing the force vital capacity (FVC), peak cough flow (PCF), maximal inspiratory pressure (MIP), maximal expiratory pressure (MEP),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in patients with NMD. Methods: Six subjects with NMD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played harmonica once a week for 2 hours at a harmonica academy and twice a week for 1 hour at home. Thus, training was performed thrice a week for 23 weeks. The examiner assessed pulmonary function by measuring FVC in the sitting and supine positions and PCF, MIP, MEP, and MVV in the sitting position at the beginning of training and once a month for 5 months. Results: Both sitting and supine FVC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playing harmonica (p=.042), as did MIP (p=.043) and MEP (p=.042). Conclusion: Playing harmonica can be used a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ulmonary function in patients with NMD.
        4,000원
        46.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는 인지 중재 비율을 조절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에 대한 상지기능 변화를 비교하여 효율적인 중재 방법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방법 : 14명의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7명의 실험군은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을, 7명의 대조군은 기존의 동작관찰훈련을 주 3회, 30분씩, 4주간 실시하였고 각 군은 기존에 실시하던 전통적 작업치료 및 물리치료 역시 시행하였다. 상지 운동기능의 사전, 사후 평가는 울프운동기능검사(Wolf Motor Function Test; WMFT), 상지기능장애 설문지(Disabilities of the Arm, Shoulder and Hand; DASH), 상자와 나무토막 검사(Box and Block Test; BBT)를 사용하였고, 각 군의 중재 전과 후의 차이는 윌콕슨 부호 순위검정(Wilcoxon signed-ranks test), 두 군 간의 중재 후 효과 비교는 맨 휘트니검정(Mann-Whitney U test)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군은 모두 WMFT, DASH, BBT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p<.05).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과 기존의 동작관찰훈련군의 상지기능 변화량 비교에서는 WMFT의 소요시간과 DASH의 점수에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군이 더 많은 변화 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본 연구 결과 중재기간에 따라 인지 중재 비율을 고려한 점진적 관찰감소 동작관찰훈련이 기존의 동작관찰훈련보다 상지기능 향상에 효과적이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 향상을 위한 동작관찰훈련의 중재 시 인지비율을 고려한 중재 전략이 필요하다.
        4,300원
        47.
        2018.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TREASURE Talk-CCTV 모델을 활용하여 입양모를 대상으로 영유아기 입양 자녀와의 부정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키고 긍정적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교육 훈련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TREASURE Talk-CCTV 모델을 활용한 입양모의 긍정적 상호작용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를 확인하고, 둘째, TREASURE Talk-CCTV 모델을 활용한 입양모의 교육 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부정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확인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교육 훈련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하여 입양모 12인을 대상으로 관찰을 통한 아동-성인 상호작용 척도인 CICAIO와 CCTV 모델에 기반한 성인-아동의 부정적 상호작용 척도 ACNIS를 활용하여 사전-사후-추후 검증을 진행하였고,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 ANOVA)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입양모-영유아 자녀의 긍정적 상호작용을 증대시키고, 부정적 상호작용을 감소시키는 유의미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TREASURE Talk-CCTV 모델을 활용한 선행연구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남을 확인하였고, 입양가족을 대상으로 부모-자녀 상호작용 교육의 실제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6,600원
        48.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application of familycentered training over the 12-week period by the pediatric physiotherapist on functional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mong the 26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as the subjects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oth groups were subjected to neurodevelopmental treatment by the pediatric physiotherapi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family-centered training program 3 times a week over a period of 12 weeks for the total of 36 sessions, functional balance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verified through intergroup compariso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outcomes prior to training and after 6 weeks of training, (p>.05) Pediatric Berg's Balance Scale(PBS) an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or children(Wee-FIM)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ose measures after 6 weeks to those after 12 weeks of training (p<.05).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n family-centered training o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has beneficial effects on functional movements and physical activities.
        4,200원
        49.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이 중년여성의 HRV-자율신경시스템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중년여성(40-60세) 총 24명을 호흡군 12명, 통제군 12명으로 무선할당하여 일회성 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호흡군의 피드백 훈련은 총 15분 동안 실시되었으며, 10분 간 전문가 지도에 따른 호흡 자각 훈련 후 5분 간 자율호흡 훈련을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SPSS WIN 20.0으로 반복측정 변량분석(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중년여성들은 일회성 호흡 훈련 후 SDNN, RMSSD, LF, HF가 유의하게 높아졌으며, 호흡군이 통제군보다 SDNN, RMSSD, LF, HF이 유의하게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고, Mean HR과 LF/HF는 집단과 시기의 주효과, 집단과 시기의 상호작용효과 모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 일회성 호흡훈련 피드백은 중년여성들의 SDNN, RMSSD, 교감활성, 부교감활성에 효과적이며, 이러한 호흡 훈련 프로그램은 자율신경계 균형 능력을 향상시켜 중년여성들의 스트레스 완화 및 자율신경실조증을 회복할 수 있는 운동중재의 효용 가치를 기대할 수 있다고 사료된다.
        4,000원
        50.
        2018.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이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기업들의 교육훈련감소추세에 대한 문제제기와 함께 그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존연구에서도 교육훈련의 긍정적 효과에 대한 연구를 제시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성과측정에 대한 변수를 보다 명확하게 추출하여 우리나라 기업의 교육훈련이 기업의 성과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가설을 설정하고 회귀분석의 방식을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교육훈련시간과 교육훈련비용은 기업의 인적자원개발의 성과지표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실증되었고 교육훈련비보다는 교육훈련시간이 각종 성과지표에 더욱 탄력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교육훈련시간의 관리가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아울러 국내외적으로 경쟁의 가중되는 기업환경 속에서 기업 관리자들은 인적자원개발활동 중 교육훈련의 중요성과 그 효과에 대해서 명확하게 인식하고 교육훈련을 통한 인적자원개발에 관심과 노력을 많이 집중함으로써 기업이 경쟁적 우위를 확보할 필요성이 크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5,400원
        51.
        2018.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 Stroke patients show abnormal walking patterns due to brain injury. In order to have the desired walking pattern, appropriate stimulation is required to activate the central pattern generator. For this reason, our study performed treadmill ambulatory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However we did not consider the influence of visual feedback. Obj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gait abilities in chronic stroke patients following either treadmill walking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and visual feedback (TRASVF) or treadmill walking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TRAS) alone. Methods: Twenty-one strok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 TRASVF group (10 subjects) and a TRAS group (11 subjects). They received 30 minutes of neuro-developmental therapy (NDT) and walking training for 30 minutes, five times a week for three weeks. Temporal and spatial gait parameter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period. The Biodex gait trainer treadmill system measured gait parameters. Results: After the training periods, the TRASVF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walking speed, the step length of the affected limb, and time on each foot of the affected limb when compared to the TRAS group (p<.05).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treadmill walking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and visual feedback improved individual gait ability more than the treadmill walking traini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alone. Therefore, visual feedback should be considered along with rhythmic auditory stimulation training.
        4,000원
        52.
        2018.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이 인지장애가 있는 뇌손상 환자의 주의력 및 인지능력 회복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예비연구이다. 연구방법 : 인지장애가 있는 뇌손상 환자 7명에게 16주 동안 총 48회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을 집중적으로 실시하였다. 중재 도구는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인 컴퓨터 기반 인지재활 프로그램(Eye-tracking & ear system based Attention training System; EYAS)을 적용하였다. 중재 전후 인지능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한국형 간이 정신상태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 for Korean; MMSE-K), 전산화 신경인지기능검사(Computerized Neuro-cognitive function Test; CNT), 운동시지각검사(Motor-free Visual Perception Test; MVPT)를 실시하였다. 결과 : 안구추적 연동형 주의력 훈련시스템으로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을 참가자에게 중재 프로그램으로 적용한 후 주의력, 정보처리속도, 기억력 및 시지각이 향상되었다. 아이어스 중재 전보다 중재 후 MVPT 평균점수가 높았다(p<.01). MMSE-K 역시 평균 점수가 향상 되었다. 시각 주의력과 정보처리 속도에서 효과를 알아본 결과 CNT의 VCPT(Visual Continuous Performance Test)(p<.05)와 VCCPT(Visual Controll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p<.01)에서 중재후가 중재전보다 평균점수가 높았다. 아이어스가 기억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CNT 평가를 통해 알 수 있었는데 CNT의 VST(Visual Span Test)(p<.01)와 DST(Digit Span Test)(p<.05)에서 평균점수가 향상되었다. 중재 후 VST 역순 검사에서는 평균값 상승이 있었고, DST 역순 검사에서는 중재 전후 평균값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 : 안구운동이 동반된 주의력 훈련은 인지저하가 있는 뇌손상 환자의 주의력, 정보처리 속도, 시지각, 기억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가능성을 알 수 있었다. 안구운동은 주의력과 관련성이 있고, 주의력의 향상은 다른 인지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구조화된 실험설계로 효과검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4,600원
        53.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aining on the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for children Down syndrome. ABA single case research design was applied to this study. Study subjec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task oriented training by wearing weighted vest 12 times in total at the rate of 2 times a week and for 40 minutes each during the intervention, and self-esteem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were measured 3 times in total at the baseline, intervention line and the 2nd baseline stag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otal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in accordance with the baseline, intervention line, the 2nd baseline stages (p<.05). This study suggests that task-oriented training by wearing weighted vest improve the total Pediatric Evaluation of Disability Inventor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s in children with Down’s syndrome.
        4,300원
        54.
        2017.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4주간의 동계훈련기간 중 산수유 추출물을 섭취시켜 간 기능, 근 손상 및 혈중 피로물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남중 축구선수 20명을 대상으로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10 명), 동계훈련군(10명)으로 구분하여 실시하였다. 동계훈련은 1일 오전, 오후, 야간운동으로 구분하여 주 6 일, 4주간 실시되었으며, 운동강도는 70-95%HRR로 수행되었다. 산수유 추출물은 매일 아침과 저녁 식사 후 각각 80 mL(1일 160mL)를 4주간 섭취시켰으며, 측정된 자료의 그룹 내 변화는 대응표본 T검정, 그룹 간 차이는 변화율을 산출 한 뒤 독립표본 T검정을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혈중 피로물질의 젖산은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동계훈련군 보다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암모니아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p<.05), 동계훈련군(p<.001)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근 손상지표의 CK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p<.05), LDH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p<.001), 동계훈련군(p<.05)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간 기능 효소 중 AST(p<.01), ALT(p<.05)는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AST는 동계훈련군 보다 동계훈련+산수유 추출물 섭취군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계 훈련 시 피로에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선수들에게 있어 산수유 추출물 섭취는 항피로의 역할을 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4,300원
        55.
        2017.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증강현실 홈 트레이닝 시스템을 통해 가상 참여자의 존자개 사용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가상의 참여자가 제공되는 경우와 아닌 경우의 몰입, 인지된 경쟁, 그리고 정보 습득의 욕구의 차이에 대해 살펴보았다. 자동으로 실험 참여자들의 자세에 따른 정확도와 피드백을 제공하는 홈 트레이닝 시스템을 직접 개발하였고, 이를 활용하여 다음의 세 가지 가설을 실증하였다. 첫째, 가상의 참여자를 보며 트레이닝 시스템을 사용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몰입이 더욱 높을 것이다. 둘째, 가상의 참여자를 보며 트레이닝 시스템을 사용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인지된 경쟁이 더욱 높을 것이다. 셋째, 가상의 참여자를 보며 트레이닝 시스템을 사용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정보 습득의 욕구가 더욱 높을 것이다. 실험을 통해 세 가지 가설이 모두 지지되었으며, 가상의 참여자가 이용자에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존 연구가 가상 트레이닝 시스템 그 자체에 대한 효과를 보는 것에 반해, 본 연구가 가상 트레이닝 시스템을 이용할 때 다른 운동 참여자가 나오는 영상을 보는 것이 유의한가에 대한 답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4,300원
        56.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가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1인당 교육훈련비 와 경영성과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의 목적달성을 위해 1인당 기업의 교육훈련 투자비와 경영성과 지표를 업종별·규모별로 구분하 였고, 직무수행능력, 노동생산성, 기업이미지, 근로의욕, 이직방지의 다섯 가지 변수를 경영성과 지표로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교육훈련 투자가 많이 이루어지 고, 금융업과 비금융 서비스업이 제조업보다 2배 이상 많은 투자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훈련 투자에 대한 경영성과는 직무수행능력 향상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다음으로 근로의욕 향상, 노동생산성 향상, 기업이미지 향상, 이직방지 향상의 순서로 나타났다. 셋째, 상관분석 결과, 교육훈련 투자와 경영성과 간에는 낮은 양(+)의 상관관계를 보임으로써 1인당 교 육훈련비가 증가 할수록 기업의 경영성과도 증가한다고 할 수 있다. 즉, 교육훈련 투자가 경영성과에 유의 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해석된다. 마지막으로,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및 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4,500원
        57.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ckground:Research efforts to improve the pulmonary function of people with limited chest function have focused on the diaphragmatic ability to control breathing pattern. Real-time ultrasonography is appropriate to demonstrate diaphragmatic mechanism during breathing.Objective: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using real-time ultrasonographic imaging (RUSI) on the chest function of young females with limited chest mobility.Methods:Twenty-six subjects with limited chest mobility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EG) and control group (CG) depending on the use of RUSI during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with 13 subjects in each group. For both groups,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was performed for 30-min, including three 10-min sets with a 1-min rest interval. An extra option for the EG was the use of the RUSI during the training. Outcome measures comprised the diaphragmatic excursion range during quiet and deep breathing, pulmonary function (forced vital capacity; FVC,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sec; FEV1, tidal volume; TV, and maximal voluntary ventilation; MVV), and chest circumferences at upper, middle, and lower levels.Results:The between-group comparison revealed that the diaphragmatic excursion range during deep breathing, FVC, and middle and lower chest circumferences were greater at post-test and that the changes between the pretest and post-test values were greater in the EG than in the CG (p<.05). In addition, the subjects in the EG showed increased post-test values for all the variables compared with the pretest values, except for TV and MVV (p<.05). In contrast, the subjects in the C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for the diaphragmatic excursion range during quiet and deep breathings, FVC, FEV1, and middle and lower chest circumferences after the intervention (p<.05).Conclusion:These results indicate that using RUSI during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might be more beneficial for people with limited chest mobility than when diaphragmatic breathing training is used alone.
        4,000원
        58.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nurses on nursing stress and clinical competency of cardio-pulmonary emergency care at general wards. Method: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with a pretest-posttest design was used. The experimental group (n=34) received a lecture and team simulation. The control group (n=36) received only lectures without simulation.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 and t-test with SPSS program. Results: The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ported significantly lower death and dying 13.14±1.50 (t=7.19, p<.001), conflict with physicians 7.06±2.51 (t=5.82, p<.001), inadequate preparation 6.16±4.17 (t=4.49, p<.001), problems with peers 13.33±7.05 (t=4.09, p<.001), problem relating to the supervisor 13.51±4.03 (t=2.09, p=.030), workload 17.08±6.19 (t=5.76, p<.001), uncertainty concerning treatment 12.13±6.45 (t=2.21, p=.020), patients and their families 16.37±6.38 (t=3.34, p<.001), discrimination 5.66±2.79 (t=2.39, p=.013) and higher clinical performance ability (t=5.14, p<.001)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simulation-based training for cardio-pulmonary emergencycare for nurses at general wards is useful to decrease nursing stress and improve clinical competency.
        4,300원
        59.
        2017.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목적 :본 연구는 급성기 뇌졸중 환자에서 로봇 보조 상지 훈련의 효과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연구방법 :2015년 6월 1일부터 2015년 8월 30일까지 전북 익산 소재의 W 대학병원에 입원한 급성기 뇌졸중 환자 14명을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무작위 할당하였다. 두 군 모두 전통적인 작업치료를 실시하였다. 추가적으 로 실험군에는 로봇 보조 상지 훈련을 대조군은 전통적 작업치료를 각 1일 1회 30분, 주 5회, 총 4주간 실시하였 다. 치료 중재 전·후 상지기능을 측정하기 위해 Fugl-Meyer 평가척도(Fugl-Meyer Assessment-Upper Extremity; FMA-UE), 상지 기능 검사(Manual Function Test; MFT)을 사용하였고 일상생활활동 수행능 력을 평가하기 위해 한국판 수정된 바델 지수(Korean version of Modified Barthel Index; K-MBI)을 사용하였고 장악력을 평가하기 위해 Jamar dynamometer을 사용하였다.결과 :4주 치료 후 두 그룹 모두에서 중재 전·후 상지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장악력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중재 후 두 그룹 간 변화량의 차이에서는 모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 다(p>.05).결론 :본 연구 결과 로봇 보조 상지 훈련이 급성기 뇌줄중 환자의 상지 기능, 일상생활활동 수행력, 장악력 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로봇 보조 상지 훈련은 뇌졸중 환자의 상지 재 활에 초기부터 안정적이고 신뢰적인 장비로 표준화된 치료를 지원할 수 있는 중재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4,5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