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191

        41.
        2020.11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the sales literature by relating salespeoples’ facial expressiveness (captured by a face reader), to customer responses. Customers impressions are measured in real-time by means of a program analyzer. Results of an experimental study indicate differences in customers’ reactions according to sale peoples’ facial expressiveness.
        4,000원
        42.
        2020.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佛典을 연구하는 사람들은 흔히 不立文字라고 하지만, 어찌 글자의 쓰임을 구분하지 않고 문장을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겠는가? 마음이라고 다 같은 마음은 아니다. ‘心ㆍ意ㆍ識’이 서로 다른 마음이고, 마음을 닦는다고 할 때 그 마음은 오직 하나의 마음이 아니고, ‘닦아야 할 대상이 되는 마음’, ‘닦고자 하는 주관의 마음’, ‘닦고자 목 표로 설정한 마음’, ‘닦아 나갈 때 마주하는 단계 단계의 마음’, ‘닦아서 종국에 이른 마음’ 등으로 분류할 수 있어서, 불전에서 자주 사용되는 ‘心ㆍ意ㆍ識’이나 ‘不覺ㆍ本 覺ㆍ始覺ㆍ相似覺ㆍ隨分覺ㆍ究竟覺’ 등의 용어를 분명히 나누어 알면, 佛典뿐만 아니 라 한자로 쓰인 문장을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된다. 이에 佛典에서 자주 쓰이는 ‘보다’類의 動詞로 ‘見ㆍ看ㆍ觀’과 ‘示ㆍ視’ 등에 관해 본고에서는 ‘示ㆍ視’를 ‘見ㆍ看ㆍ觀’과 비교하는 방법으로 살펴보아 아래의 결론을 얻었다. 첫째, ‘示ㆍ視’는 色境을 앞에 내놓고 보여주거나, 色境이 앞에 놓여있어서 그냥 시각적으로 받아들이는 것이지만, ‘見ㆍ看ㆍ觀’은 시각 행위의 주체가 시신경에 들어온 사물을 과거의 경험이나 혹은 사회적 배경 등 의도를 가지고 바라보는 것이 라 할 수 있다. 둘째, ‘示’는 ‘대상을 드러내 보이다’라는 의미이다. ‘視’는 보이는 대상이 먼저 주어진 다음에 보는 것으로, ‘見’이 보려는 의도를 가지고 본 후 그 결과를 지식으로 삼는 것인 반면, ‘視’는 色境이 놓여있어서 본다는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5,500원
        43.
        2020.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research conducted on honorific and modest words is based on Chinese ancient books, records and handed-down documents. However, there is no consensus on research results due to various research materials used by scholars. This research employs Loulan Documents excavated during Wei-Jin period as research objects, and investigates the usage of honorific words and expressions and the phraseology of modest expressions. A quantity analysis based on thorough studies of most of the modest and honorific expressions in those documents was conducted. And, as a significant consequence, it is discovered that there is a slight usage difference between the honorific expressions in excavated documents during Wei-Jin period and in handed-down documents, which can be explained in three aspects. First of all, the second personal pronouns ‘er’ and ’ru’ are not unseemly words, and ‘er’, ‘ru’ and ‘jun’ are most widely used. Secondly, although part of the frequently used honorific expressions in later ages are used to express modest and respect in Wei-Jin period, they are not grammaticalized and cannot be considered as actual honorific expressions. Thirdly, during Wei-Jin period, not only there are honorific words and expressions, there are also fixed formats of expressing modesty.
        4,800원
        44.
        2020.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예언자의 언어와 시인의 언어는 여러 가지 면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첫째, 다양한 상징과 맥락을 중요시한다는 것이다. 둘째,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면서 일상적 차원을 초월한 문자 혹은 기호로서 기능한다. 시인이면서도 예언자적 특성과 문학적 상징을 사용했던 작가들의 목록은 매우 길다. 윌리엄 블레이크, 윌리엄 워즈워드, P. B. 셸리 등과 같은 낭만주의 시인뿐만 아니라 밀턴이나 예이츠, 엘리엇과 같은 시인은 단순한 문학적 표상을 넘어 시대와 문화 국경을 초월하는 보편적인 상징과 기호로 해독되어야 하는 메시지를 작품 속에 담았다. 엘 리엇은 매우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시인으로 평가되는 만큼, 그의 대표작인『네 사중주』는 여러 관점에서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다. 본 논문은 그러한 메시지의 형식과 의미가 생산되고 수용되며 해석되는 방식이 예언자들의 점사언어를 해석하는 방식과 매우 유사하다는 것을 밝히며, 어떻게 예언적 점사언어가 예술로서의 시적 상상력을 고취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 시학적으로, 언어적으로, 그리고 기호학적으로 살펴보고 있다. 이를 위해 고대 중국에서부터 사용되던 갑골문의 갑자(甲子)력 체계를 근간으로 한 명리학의 해석체계와 발터 벤야민의 언어기호에 대한 일반적 이론을 근거로 하여, 예언적 기호로서의 언어가 어떻게 문학적, 시학적 가치를 갖게 되는지를 살펴본다.
        6,600원
        45.
        2020.04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Zheng Su Wen is an important colloquial dictionary written by Hao Yixing in the Qing Dynasty. It is the part of foreign words in the last two volumes that specially makes significantly differences from other dictionaries which also specialized in collecting common words. At present, its value has been found, but comprehensive description and investigation are still rare. Therefore, this paper makes a detailed survey of the two volumes of collected words and described them from the basic situation, regional distribution, vocabulary source and historical stages. And it also observes Hao’s interpretation, citation and textual research of foreign words, so as to summarize their characteristics which are as follows: firstly, these foreign words are influenced by regions and Buddhist culture; secondly, bibliography of these words covers a wide range of both Chinese history and domestic and foreign regions; thirdly, Kangxi Dictionary may closely be related to them. Lastly, this paper divides words into two categories according to whether the dictionary and other dictionaries are included as a judgment standard. Some words should be emphasized in the future, while some words should also be supplemented and demonstrated.
        5,700원
        46.
        202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홍콩의 비중국어권 학습자의 실용문 학습과 상황에 맞는 정확한 표현 능력의 제고를 위해 홍콩대학 Dr. Mark Shum Shiu Kee (岑紹基) 연구팀은 교육국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2016~ 2017년 비중국어권 학습자용 실용문 교재를 개발하였다. 본 논문은 기능 어법 이론을 바탕으로 비중국어권 학습자용 실용문 교재를 어떻게 설계했는지를 밝히고, 본 교재가 비중국어권 학습자의 기능어 운용 능력 향상에 끼친 영향에 대해 고찰하였다. 또한 연구팀이 개발한 실용문 교재가 비중국어권 학습자의 기능어 운용 능력 향상에 어떠한 성과를 가져왔는지를 밝히는 것을 본 논문의 주목적으로 삼았다. 연구팀은 체계 기능 언어학 이론을 바탕으로 비중국어권 학습자용 실용문 교재를 개발하였으며, 실용문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의사전달 기능, 도식 구조, 어법 특징을 고려하여 읽기 예문의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비중국어권 학습자가 기능어와 구문 활용에서 갖는 어려움을 실용문 종류에 따라 나누어 분석하였다. 아울러, 「文類功能(문체기능)」 이론 및 「閱讀促進學習(읽기촉진학습)」 교수법을 참고로 읽기 쓰기 통합형 쌍방향 연습법을 개발하여 학습자가 모범 예문을 분석, 해체 및 재구조화를 할 수 있게 하고, 더 나아가 학습자가 스스로 실용문 쓰기를 할 수 있도록 도왔다. 이외에도, 교육 일선에서 지도하고 있는 중국어 교사들을 초청하여 시범적으로 교수법을 시행하고 이를 통해 본 교재의 실제 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학습자가 작성한 실용문을 교수법 시행 전후로 비교 분석하고 교사와 학습자 인터뷰도 함께 진행하여, 본 실용문 교재가 비중국어권 학습자의 기능어 운용과 실용문 쓰기에 끼친 효과를 평가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비중국어권 학습자 실용문 교육을 위한 실행 가능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였다.
        8,000원
        47.
        2020.04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고문 교육에 있어서 허사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자, 가장 어려운 부분이다. 본문은 인민교육출 판사의 『普通高中課程標準實驗教科書(必修)』에 수록된 고문을 대상으로, 현재 고등학교의 고 문 교육과 평가 영역에서 다루는 18종의 주요 허사의 의미 분포와 주석 양상에 대해 전면적인 통계 분석을 진행하고, 그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고문 허사 교수법에 대한 몇 가지 의견을 제시하 였다. 이를 통해 고문의 허사 교육이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방향으로 발전하기를 기대해 본다.
        5,200원
        48.
        2020.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Based on the interaction between construction and causative words, this paper explains the reasons for the diversity of causative words in the construction of causative words. This paper refers to Goldberg’s construction diagram and summarizes the interaction schema between the causative construction argument and the actor role of causative words. In this paper, relevant examples are used to explain the principle of the integration of the constructional elements of causative words and the roles of participants in causative words. On the basis of the fusion principle, this paper analyzes how the causative construction chooses and limits the actor role of causative words. This paper also makes a detailed summary of the fusion law between the causative constructors and the participants of causative words.
        4,600원
        49.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cannot be treated lightly as it is extremely important for smooth communication with the public. In this paper,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conducted by central administrative agency based on article 17 of the Organic Law of Korean National Language is examined. Issues associated with the selection of target words for standardization and their refinement process are analyzed along with proper solutions. Currently, standardization of 523 terminologies from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Ministry of Science and ICT,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and Ministry of Citizen’s Interest is officially announced. Types of terminology that needs to be standardized from the perspective of easiness include difficult Chinese words, foreign language, and abbreviated English words. Specific selection criteria is required, as determining what should be deemed difficult can be very subjective. This paper discusses consideration of intermediate level Korean words, classification of loanwords and foreign words, possibility of substitution with proper pure Korean words, and writing abbreviated English words with substitutable Korean words. In addition, the following methods of standardization are discussed: substituting with elementary level Korean words, expressing same meaning, avoiding word-for-word translation, not expressing all elements of meaning, taking account of whole usage of vocabulary, considering laws and policies of specialized area, selecting a representative from dozen, and re-writing foreign words with Korean words.
        6,700원
        50.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During her time as Emperor of the Tang Dynasty, Wu Ze Tian created a number of new characters. Later generations called them “Wu Queen New Characters”, and some also called “Ze Tian Characters” and “Ze Tian Xin Characters.” Since the Tang Dynasty, although many scholars have studied the writing methods, word counts, and circulation areas of new characters,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especially about the number of new characters and that of glyphs, which makes future studies much more difficult and impossible to restore the original appearance at that time. In addition, the timing of the promulgation of each new word is hardly recorded in the classics, and it is difficult to know the actual use of the word and the circulation situation. Therefore, this article uses Collection of Epitaph of Tang Dynasty, Sequel Collection of the Epitaph of Tang Dynasty, Collection of Epitaph of Tang Dynasty and Research, and Beijing Library Collection of Stone Carving of Each Chinese Generation etc. to set the age of the research material from “Zai Chu” first year (A.D.689) to the end of “Chang An” fourth year (A.D.704), 16 years in total, 422 piece of epitaphs. They are arranged according to the grave owner’s burial time, sorting out Queen Wu’s implementation process for new words, actual use of new words, word count, and word font, and staging and spread area. By means of this, the article makes the appearance of Queen Wu’s new words possible, even further presented in front of everyone, and finally making a new investigation for the Queen Wu’s new words.
        6,400원
        51.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 collation and research of homographs are very helpful for summarizing the variation rules of writing Chinese characters, collating ancient classics, improving the compilation of large dictionaries, and researching modern Chinese characters. The homographs are very abundant in Buddhist literature, especially in the sound and meaning books of Buddhist scriptures,and many of them are not included in the current large-scale dictionaries. Compiling and analyzing them not only helps to collate the Buddhist scriptures, but also to improve the current large-scale dictionaries.
        4,800원
        52.
        2019.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ere are only residual words in the fragments or those mixed with two recognizable whole words. It is very difficult to restore the word if there is only an unrecognizable residual word. However, the residual words mixed with one or two whole words can be restored by comparing them with other glyphs appearing in Huayan Shijing (華嚴石經 ). In addition to this method, the clear whole characters in the fragments can be confirmed by the location of the Huayan Shijing, and the residual words can be restored by comparing the sentences before and after. At the same time, through this restoration method, the actual location of the fragment can also be clarified or even specified in Huayan Shijing. In the final analysi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whole word is easy to recognize while the residual piece that has the same residual character is difficult to recognize.
        4,900원
        53.
        2019.10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최근 홍콩에서 중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을 합격시킨 주류 중등학교들이 급증하고 있다.(2016, 입법회). 이 학교는 이러한 학생의 학습 차이를 고려하여 다양한 대처를 필요로 하고 있다. 다양한 방식을 채택하여 학생들이 중국어 학습을 잘 마칠 수 있게 지원하여, 그들의 진학이 구직난을 해소하고 사회 상류로의 진출 기회가 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Leung et al 2017; Loh & Tam, 2016). (중국은) 중국어를 사용하지 않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중국어 교육법을 제공하 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이는 해결해야 할 급선무 문제가 되었다.(shum, 2015). 본 연구는 이러한 홍콩의 상황에 집중하였다. 「阅读促进学习」(Rose&Martin, 2012) 교수법은 비 중국어 사용자 학생들의 비율이 비교적 높은 중등학교 한 곳을 선정하고, 제2외국어 교육 과정을 중국어로 하는 대외한어교육현장에서 제 2외국어 학습 기관(홍콩교육국, 2014) 및 국제 일반 중등학교 교육 증서(IGCSE)의 교육과정 개요를 참조하여, 본 교육과정(커리큘럼)을 수정 하였다. 협업과 회의를 통해 공동으로 수업을 준비하고 교육현장을 관찰하는데, 교사와 학생들이 모인 소그룹 인터뷰, 필기 및 수업 원본 분석 등의 방법을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본 교수법이 학생들에게 설명문 종류의 글을 읽고 쓰는 능력을 향상시키고 학습 동기를 높일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검토하였다. 교사는 학생들이 본문을 자세하게 읽도록 한 후, 그룹 협업을 통해 그 문장에 서 핵심 키워드를 발췌하여 노트에 기록하도록 학생들을 지도하는 방법(Note Making)을 시행하고, 이어서 학생들은 상호 간의 교류와 협력에 의해 문장 속에 등장한 핵심 단어들과 구 형식, 문장 형식을 활용하여, 협업을 통해 새로운 글을 창작하고, 마지막으로 학생들이 각자 개별적으로 작문을 수행하게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상술한 단계가 학생들이 문장 형식에 따른 다양한 언어 능력의 차이를 이해하도록 돕는데 효과적이며, 서로 다른 글쓰기 활동에 활용할 수 있음을 발견했다. 원전 분석 및 소그룹 인터뷰 또한 위 교수법이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 동기를 향상시키는 데 효과가 있음과 학생들의 학습에 대한 믿음이 증가한 것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阅读促进学习 교수법이 학생들의 읽기와 쓰기 능력을 개선하고, 각 교육 절차의 실천적 성과들이 모두 시사성이 있음을 검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6,900원
        54.
        2019.09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고는 한중 미각어 ‘쓰다’, ‘苦’ 계열 어휘를 대상으로 의미 확장 및 개념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1차적으로는 사전에 기술된 의미 항목을 대조하고 이를 바탕으로 말뭉치 자료 분석을 통하여 실제 언어생활에서 사용되는 풍성한 표현 양상을 미각, 후각, 시각, 청각, 감정 및 태도, 일·사건, 사람, 날씨 영역 등으로 분류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어휘의 의미 구성 과정에 대해 Fauconnier & Turner(1997)에서 제시된 인지언어학의 핵심이론인 개념적 혼성 이론을 이용하여 각 의미의 혼성공간 및 발현구조에 대해 묘사하였다. 이러한 어휘의 의미 확장 과정은 신체적 경험과 매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는데 쓴맛에 대한 우리의 부정적 느낌에 대한 경험이 의미 확장 양상에서도 대부분 부정적 가치로 나타났다. 이처럼 어휘의 의미 확장은 인간의 체험에 근거하며, 또한 개별 언어의 문화적 차이로 인하여 서로 다른 특수성이 존재함을 밝혔다.
        5,800원
        55.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Wu Wu dialect; late Qing Dynasty; interpretation on The Sacred Edict; function words; colloquial words dialect translation of The Sacred Edict was written in colloquial and dialectal Chinese. Function words in the book reflected the lexical and grammatical features in Wu dialect during late Qing Dynasty, including prepositions (ex. Da), modal particles (Lao), negative words (Fu, Wu), etc. This article explores these feature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other two editions. Based on the depictions and discussions of function words, the paper provides evidence and supplements for studies on the function words of Wu dialect in the late Qing period.
        5,400원
        56.
        2019.08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In the pre-Qin period in China, the monosyllable expression of death had been a stable word system. Until the mid-ancient period, the related words presented bisyllablization, and the range of the pragmatics was also enlarged. The epitaph corpora in the Sui and Tang dynasty is abundant and believable. The words reflect six ways of burial: generally buried words, words buried to the ancestral grave, temporarily buried words, reinter words, and multi-burial words. Among them, there are three words which were needed to be distinguished in the reinter words. ‘Gai Zang’ meaning the burial site has to be changed for objective reasons. ‘Gai Bin’ must be done so as well because of the canonization. Meanings of ‘Gai Bian’ range simply from the morgue to the cemetery. In addition, three of multi-burial ones, ‘He Bian’ and ‘Tong Xue’ mean buried with one’s husband or wife, but ‘He Zang’ can be used to point to bury to the ancestral grave. To sum up, investigating words related to the burial and its ways, compared with the word examples in the handed-down documents, help us observe the disyllabic development of medieval words, explain the relevant funeral vicissitudes issues, supplement Chinese dictionary, and add missing senses from early examples.
        5,700원
        58.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공손 관점에서 호칭어의 사용 양상을 고찰하였다. 공손의 의미와 표현은 시대에 따라 변화한다. 호칭어 역시 시대와 함께 변화한다. 이에 본 연구는 통시적인 관점에서 호칭어의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1930년대부터 현재까지 시대별로 호칭어의 사용 양상을 조사하고, 변화 과정과 그 특징을 분석하였다. 호칭어는 사회적 통용 호칭, 사회적 친족 호칭, 직업·직함 호칭, ‘老+성’ 호칭 등이 있다. 시대와 맞지 않는 호칭어는 사라지고, 새로운 시대에 맞는 호칭이 생겨나기도 하고, 또 어떤 호칭은 시대에 따라 그것이 내포하는 의미나 내용이 달라지기도 한다.
        4,600원
        59.
        2019.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심리구성주의 정서이론에서 제안한 얼굴정서 지각 과정에 미치는 언어의 영향을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단어가 얼굴표정 전에 제시될 경우, 얼굴표정의 정서 범주에 대한 판단 기준을 그 감정단어가 표상하는 정서 개념 맥락에 가깝게 이동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실험에서는 분노 또는 기쁨을 표현하는 감정단어가 표적 얼굴 전에 잠시 제시되었고, 표적 얼굴로는 중립에서 분노 (실험 1), 중립에서 행복 (실험 2)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얼굴표정 중 하나가 무선적으로 제시되었다. 실험참가자는 표적 얼굴의 정서를 분노 혹은 중립 (실험 1), 행복 혹은 중립 (실험 2)으로 판단하는 2안 강제선택 과제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심리구성주의 정서이론에서 제안한 얼굴정서 지각 과정에 미치는 언어의 영향을 정신물리학적 방법을 사용하여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감정단어가 얼굴표정 전에 제시될 경우, 얼굴표정의 정서 범주에 대한 판단 기준을 그 감정단어가 표상하는 정서 개념 맥락에 가깝게 이동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세웠다. 실험에서는 분노 또는 기쁨을 표현하는 감정단어가 표적 얼굴 전에 잠시 제시되었고, 표적 얼굴로는 중립에서 분노 (실험 1), 중립에서 행복 (실험 2)으로 점진적으로 변화하는 얼굴표정 중 하나가 무선적으로 제시되었다. 실험참가자는 표적 얼굴의 정서를 분노 혹은 중립 (실험 1), 행복 혹은 중립 (실험 2)으로 판단하는 2안 강제선택 과제를 수행하였다.
        4,300원
        60.
        2019.05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본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의 한자계 어휘 습득을 교육내용으로 설정하고, 이에 필요한 학습용 어휘와 한자를 다양한 언어자료(코퍼스)를 활용하여 추출하여 선정한 후, 이를 다시 학습 단계별로 위계화하려는 목표 아래 진행된 두 번째 연구성과물이다. 첫 번째 연구에서 기존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의 문제점을 제기하였다. 현재의 한문교육용 기초한자는 한문고전적 독해는 물론, 한자계 어휘 습득의 목표에도 부적절하다는 점을 실례를 통하여 확인할수 있었다. 후속 연구인 본 단계에서는 한자계 어휘 습득을 위한 한자어와 한자를 선정하는 이론과 실제를 제시하고, 다양한 코퍼스 자료를 분석하여 추출하였다. 세 번째 단계의 연구에서는 한문고전을 독해 학습에 필요한 한자를 선정하고, 마지막으로 한자의 학습층위별 위계화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표 아래 진행된 본 연구는 연구의 대상을 ‘한자계 어휘 습득’으로 설정하고, 이에 따라 현실 언어 생활에 사용되는 한자어와 이를 구성하는 한자를 추출하기 위해 다양한 코퍼스를 이용하였다. 관련 통계 프로그램을 별도로 설계 제작하였으며, 한국어에 사용되는 다양한 언어 자료에서 높은 빈도를 가진 어휘와 한자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한자어는 모두 3732개(사용된 한자 1794개), 개별 한자는 2600개이다. 이는 순수하게 한국어 언어 생활에 활용되는 한자어와 한자를 추출한 것이므로, 기존의 한문교육용 기초한자와는 그 대상이나 목적이 다르다.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한자와 어휘 선정은 교육의 대상과 그 목적을 분명히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추출 및 선정 어휘와 결과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둘째, 연구 방법에 있어 코퍼스의 특성과 언어의 특성 등을 모두 고려한 별도의 오픈소스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연구 대상 자료는 사회적 합의를 기초로 객관적이며 대표적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넷째, 본 연구 결과물과 같은 소논문 형태로는 그 연구의 합리성을 대표하기 어려우므로 관련 연구자들을 중심으로 별도의 연구 프로젝트 플랫폼을 구성하고 공동 개발해야 한다. 다섯째, 한 개인의 연구가 아닌 집단 연구의 결과물로 이용될 수 있도록 저작권을 지닌 공개자료로 제공되어야 한다.
        6,400원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