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97

        61.
        1998.06 KCI 등재 SCOPUS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장경비가 큰 탄화규소를 탄소와 규소간의 고온연소반응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공정변수에 따른 연소거동과 미세조직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연소합성된 생성물은 주로 β-SiC이며 연소반응이 충분히 진행되지 못하였을 경우에는 미량의 잔류 반응물과 α-SiC가 관찰되었다. 생성된 탄화규소의 평균입도는 약 5μm로 작았으며, 1300˚C 이상의 예열 조건에서 장경비가 30이상인 탄화규소를 합성할 수 있었다. 압분 강도가 69MPa인 분말의 성형체에서 평균 연소 온도와 평균 전파 속도는 각각 약 1425˚C와 2.1mm/sec 범위이며, 연소 온도는 흑연 분말을 사용하였을 경우가 탄소 섬유를 사용한 경우보다 약 10˚C 높았다. 연소 반응을 임의로 중단시킨 시편의 계면을 EDX와 Auger 전자 현미경으로 분석한 결과 상호 확산층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탄화규조의 연소합성이 용해-석출 모델에 의하여 진행됨을 시사한다. 예열 온도에 따른 연소 반응 중의 온도 분포를 유한 요소법으로 해석함으로써 2500˚C의 초기 연소 개시 온도에 대하여 예열 온도 300˚C에서는 연소파가 거의 전파할 수 없으며 예열 온도가 1300˚C에서는 시료 내부에 자체 전파가 가능한 2000˚C이상의 온도 구역이 존재함을 알았다.
        4,000원
        62.
        1992.06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ertiary volcanic activity in the Fildes Peninsula can be divided into three stages (I, II, III) of magmatism. Evolutionary process of each stage was examined from the geochemical characteristics. For stage I, olivine, orthopyroxene and clinopyroxene of low Fe/Mg ratio as well as Ca-plagioclase begin to crystallize and fractionate. Stage II magma, which is more differentiated than stage I magma, shows the fractionation of Ca-plagioclase and olivine and orthopyroxene of high Fe/Mg ratio. Stage III magma, which is slightly more differentiated than stage I magma but less than stage II magma, intruded into the area when stage II magmatism was weakened. The volcanic rocks on the Fildes Peninsula show, as a whole, tholeiitic natures. From the previous studies on Sr isotopic ratio, the origin of the volcanic magma in the area was assumed to be upper mantle. Accordingly, the volcanic rocks in the area were originated from tholeiitic magma which generated by the partial melting of upper mantle under island-arc environment.
        4,300원
        63.
        1992.03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A magnetic survey was carried out at the Barton Peninsula in King George Island, Antarctica. To analyze geological features in the study area, several filtering methods in 2-dimensional wavenumber domain were used. The Barton Horst associated with volcanic activities is well revealed on the low-pass filtered anomaly map. Possible existence of small volcanic plugs or, presumably, mineralized zones are apparent at northern parts and south-western part by reduction-to-the-pole and pseudo-gravity filtering. On the 1st vertical derivative and directional filtered anomaly maps, the geological boundaries on the surface are well identified, and fault strikes along E-W or NW-SE direction appeared to be mostly dominant throughout the study area. Density and susceptibility mapping were performed using the inversion method. The apparent densities of tuffaceous rocks distributed in the southern parts and those of quartz-diorite or crystal tuff in the northern parts were computed as values up to about 2.69 g/㎤ and 2.73 g/㎤, respectively, and the apparent susceptibilities of those rocks are appeared to be about 250 × 10^(-6) CGS and 1870 × 10^(-6) CGS, respectively. These results are in accordant with those of samples measured by Garrett(1990). Therefore, it is concluded that the studied area of the Barton peninsula has been influenced by crustal movement associated with active volcanism and the surface lithology is extended to the considerable depth.
        4,300원
        64.
        1988.12 KCI 등재 구독 인증기관 무료, 개인회원 유료
        This paper discusses heavy mineral assemblages, organisms and micropaleontology from the eastern beach sediments of Fildes Peninsula, King George Island, South Shetland Islands. The aims of this paper are to present preliminary results and to give clues to future research of the study and/or related areas. Heavy mineral assemblages are composed mainly of altered mineral and opaque minerals, clinopyroxenes, amphiboles and epidote. Most of the heavy minerals are derived from volcanic rocks present in Fildes Peninsula. However, relatively high content of mica suggests it might be originated not to be from volcanic rocks of Fildes Peninsula, but to be from acidic rocks present in other areas around Maxwell Bay. Cluster analysis of the data(Q-mode) using UPG method shows three facies: represented by Ardley Cove Hydrographers Cove, and the southern tip of Fildes Peninsula. Hydrographers Cove is separated from Ardley Cove by Ardley Island, and is somewhat protected from the strong wave action of Maxwell Bay. On the other hand, Ardley Cove and the southern tip of Fildes Peninsula are open to the strong wave action of Maxwell Bay. The benthic organisms of the study area is mainly consist of interstitial animals such as very small-sized polychaetes, gastropods, turbellarians and nemertines. Polychaetes are the dominant faunal group as seen in other areas of South Shetland Islands. Occurrence of Foraminifera and Ostracoda seems to reflect faunal ecology and sedimentary environment of the study area. It is recommended that a rather large sample size($gt;1 liter) be made for a quantitative study of micropaleontology and benthic ecology of the areas similar to the study area.
        4,000원
        65.
        2022.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ntertidal zone has both land and marine characteristics and shows complex weather environments. These characteristics are suited for studying climate change, energy balance and ecosystems, and may play an important role in coastal and marine weather prediction and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at Odo Island, approximately 300m from the mainland in Yeosu. We built a weather observation system capable of real-time monitoring on the mud flat in the intertidal zone and measured actual weather and marine data. Weather observation was conducted from April to June 2022. The results showed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with changes in the tide level during spring. Correlation analysis revealed characteristic changes in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during the day and night, and with inundation and exposure.
        66.
        2021.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논문은 독도와 울릉도 그리고 일본 오키섬과의 관속식물상을 비교·분석하였다. 대양 섬인 독도의 독특한 생물학적 진화양상과 종분화 과정을 연구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축적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독도의 관속식물상은 29과 49속 54종 1아종 2변종 57분류 군으로 확인되며, 한국의 독도와 울릉도와 그리고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식물이 9분류군(15.8%), 독도에서만 자생하는 식물 9분류군(15.8%), 독도와 울릉도에 서 자생하는 식물 37분류군(64.9%), 독도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적으로 자생하는 식물 2분류군(3.5%)으로 조사되었다. 뿐만 아니라 국가 보호종인 고유종, 식물구계학적 등급 식물, 귀화식물 등을 상호 비교·연구하였다. 독도와 울릉도에서 자생하는 식물 고유종은 3분류군,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15분류군, 귀화식물은 8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독도 와 일본 오키섬에서 공통으로 자생하는 식물구계학적 등급식물은 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현재까지 보고된 연구 결과, 독도의 식물상은 울릉도와 비슷한 경향을 보여주고 있지만, 좀 더 확대된 지역(한국, 일본)의 식물상을 비교 검토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결과 는 독도식물의 기원을 밝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67.
        2018.10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라남도 신안군에서 재배되는 시금치(신안 섬초)의 수확시기별 특성을 조사하고 섬초의 경제적 가치가 하락하는 4월 이후의 섬초 이용성을 증대하기 위해 건조 및 추출조건에 따른 유용성분 및 효능을 분석하였다. 수확시기별 유리당 함량은 1월 수확 섬초에서 sucrose 함량이 높아 총유리당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무기질 함량 중 K은 수확시기가 지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Mg과 P은 1월 수확 섬초에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였다. 섬초의 수확시기별 비타민류 함량변화를 분석한 결과 나이아신과 비타민 C 함량 또한 1월 수확 섬초에서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으며 클로로필도 같은 경향이었다. 그러나 총페놀성화합물, 루테인은 오히려 4월 섬초에서 더 높은 경향을 보여 이러한 성분들을 추출할 수 있는 최적의 조건을 확립하였다. 건조방법에 따라 항산화효능, 총페놀성화합물, 루테인 함량은 모두 동결건조 > 열풍 > 데침건조 순의 경향을 보였으며 추출방법에 따라서는 주정추출에서 효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신안 섬초를 생식하는 경우 당함량이 높아 단맛이 강하고 비타민류 함량이 높은 1-3월 수확 섬초가 가장 적당하며 그 이후 비상품성 섬초의 경우 열풍건조 후 주정추출 하여 다양한 식품소재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68.
        2017.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Sungsoo Ok and Soo-Yeon Kim. 2017. Sensitivity to D-linking Effects in Island Construction Processing by Korean Speakers. Studies in Modern Grammar 96, 109-127. Questioning across-the-board effects of islands and D-linking in wh-interrogative construction, this study presents the results of two acceptability judgement experiments where judgements of Korean native speakers for Korean wh-interrogative constructions and for English wh-interrogative constructions are provided and compared. With respect to Korean wh-questions, native Korean speakers show different acceptability patterns depending on whether wh-phrases move overtly or not. When they are scrambled, presence of islands and the D-linking feature of wh-phrase affect acceptability in Korean as if they do in English: the former degrades the acceptability while there is an increase in acceptability status in the latter. As for in-situ cases, however, D-linking rather downgrades the acceptability of the sentences. In the second experiment on English wh-questions with Korean EFL learners, there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ut comparatively marginal, effects of island constructions and D-linking on whinterrogative judgemen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sland effects and D-linking effects are not ubiquitous with the same degree but that they do vary depending on the language type, overtness of movement, and whether the tested language is L1 or L2.
        69.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o-Kyeong Park and Jeong-Seok Kim. 2017. Islands in Sluicing: A Resumption Approach. Studies in Modern Grammar 95, 1-18. This paper investigates the island (in)sensitivity of sluicing. Boeckx (2008) and Wang (2007) analyze sluicing as an instance of TP ellipsis in which a resumptive pronoun occupies the wh-trace position after a sluiced wh-phrase moves to an operator position. Given that the resumptive pronoun is a stranded portion of the moved phrase which it associates with (Boeckx 2003), the resumption approach seems to provide a better account for the island-insensitivity of sluicing, in that the underlying structure of sluicing does not involve any island violation at the outset due to resumption. However, this naive resumption strategy cannot explain why sprouting sluicing and contrastive sluicing are sensitive to islands. Regarding the island-sensitivity of certain sluicing, we propose that resumption is suppressed in sprouting sluicing and contrastive sluicing for some reasons. To explain why, we resort to Boeckx's (2003) observation that resumption is restricted to D-linking and clefting. We argue that both sprouting sluicing and contrastive sluicing are not D-linked and cannot be derived from cleft sentences.
        70.
        2017.09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우리나라 해안지역에는 많은 섬들이 위치하고 있어 대규모 지진해일이 발생하였을 때 섬과 지진해일의 상호작용으로 예기치 않은 지진해일 피해가 우려된다. 2011년 발생한 동일본 지진해일의 경우 제주도를 비롯한 남해안 섬들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에서는 천수이론에 근거한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섬 중앙에 대하여 비대칭으로 입사하는 고립파의 처오름높이에 관하여 연구한다. 연구에서 얻은 결과는 지진해일의 급습에 대비한 방재대책을 수립하는데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71.
        2016.12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독도는 1946년 SCAPIN-677에 의해 일본국 외로 규정되었다. 이 규정은 대일강화조약 등에서 최종적으로 결정될 때까지 유효하지만 강화조약은 독도에 대해 아무 것도 규정하지 않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 일 양국 정부는 각각 강화조약에 인해 독도는 자국 영토로 됐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조약 성립 과정을 살펴보면 조약 공동초안을 작성한 영 · 미 양국은 독도에 대한 견해가 엇갈린 채였다. 따라서 샌프란시스코 강화조약은 독도의 귀속을 최종적으로 결정하지 않았던 것이며, 조약은 독도의 법적 지위에 아무 영향을 미치지 않았 던 것이다. 일본정부는 이 관점에 서서 독도를 ‘본방(本邦)’의 범위 외로 규정한 법령을 조약 후에 개정하지 않았을 뿐더러 새 법령에서도 독도를 ‘본방’ 외로 규정하였다. 그 후 일본정부는 강화조약에서 일본의 포기가 규정되지 않았던 지역은 당연히 일본에 귀속된다는 논리를 개발하였다. 그러나 독도 외에도 조약에 규정되지 않았던 섬들은 결코 일본 영토로 되지 않았으므로 일본정부의 주장은 성립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동사제도, 센카쿠(댜오위다오)제도, 하보마이 · 시코탄 등은 조약에 규정되지 않았지만 일본영토로 결정된 것은 아니다.
        72.
        2015.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전국적으로 의복을 제외한 섬유제품 제조업체 현황은 2012년 기준으로 7,155개에 이르며, 여기에서 발생되는 폐섬유 발생은 총 69,000톤/年으로 많은 폐기물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재활용에 대한 인식이 높아지면서 폐섬유의 재활용 비율이 60% 정도로 나타나고 있으나, 생활용 섬유 자재에 경우는 재활용 비율이 극히 미약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공정상에 발생하는 부산물 및 폐기물은 대부분 전량 폐기하거나 소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기술개발의 배경은 생활용 및 산업용 섬유 자재를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공정 부산물 및 복합 섬유 폐기물을 재활용(Recycle)하는 기술로써, 구체적으로는 그물형태의 폴리에스테르 수세미, 마이크로 패브릭, 복합 스펀지형 수세미 등의 공정에서 발생하는 Loss 및 폐기물을 채취하여 보다 간소한 공정과 저렴한 비용으로 재활용(Recycle)하여 가정용 및 산업용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Wiping 제품을 개발하여 상품화를 전개하는 기술이다. 폐기물 시트의 입자간 결합을 위한 Binding 및 Cross Linking 기술을 적용하여 재활용 와이핑 제품의 내구성 및 용도에 적합한 강도를 유지하기 위한 결속을 하고, 와이핑 용도 및 형태 안정화를 위한 후 가공을 통한 와이핑의 형태 안정화와 완성 폼을 형성하기 위한 Pressing이다. 상기의 기술개발을 통하여 생활용 섬유제품 제조현장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저감시키고, 이 폐기물을 재활용(Recycle)을 위하여 고효율 및 생산성이 확보된 설비 제작 및 기술개발을 통해 새로운 부가가치 제품개발 및 원가경쟁력을 확보하고자 한다.
        73.
        2015.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is study classifies the types of spatio-functional differentiation in Korean island areas and analyses typical characters and suggests the development directions by each type. Eup/Myeon-level island areas are classified as six types by the factor analysis and the cluster analysis. First type is the traditional rural center. This type puts emphasis on maintaining phase as the central space and has to maximize development potential of the whole of settlement zone. Second type is the specialized region in manufacturing industry and the qualitative mutual growth of regional industries is able to be suggested. Third type is the specialized region in the neighborhood service provision. This type needs to devise the plan for utilizing potential customers actively and developing into the region specialized in tourism industry. Fourth type is the specialized region in tourism-support service functions. This type has to promote differentiated policies for maintaining amenity infra or value of countryside capital and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by regional features. Fifth type is the fishing industry-dominated region. This type has to promote sustainable fishery development through the policy reflecting regional features and condition. Finally, sixth type is the sluggish region dominated with the traditional agriculture and fishery. This type is needed to aim at developing into the new food production base having the advantage of clean environment by strengthening support in specialized agro-fishery products. The existing researches on spatio-functional differentiation were mostly discussed with respect to land development, but this study highlights the difference in deal with the island areas distinguished from the condition of industry.
        74.
        2014.11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현대문명은 많은 의약품 및 식료품을 발효공정을 통해 생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다량의 발효균체 폐기물이 발생되는데 이는 매립, 소각, 해양투기와 같은 다양한 방법들로 처리되고 있다. 그러나 처리방법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던 해양투기가 런던협약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금지됨으로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발효균체 폐기물 처리에 대한 새로운 해결방안이 도출해야 하는 상황에 직면하였다. 발효 폐기물 처리에 효과적인 방법으로 최근 대두되고 있는 것이 발생한 폐기물들을 흡착소재로 사용하여 적용하는 생체흡착 기술이다. 생체흡착 기술은 일반적으로 버려지는 죽은 생물들이나 자연에서 발생하는 부산물들을 그대로 이용하여 폐기물 처리비가 들지 않는 경제적인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생체흡착연구는 대부분 특정 금속에 결합력이 우수한 천연바이오매스를 선발하는데 그쳤다. 본 연구에서는 그보다 더 나아가 흡착 가능성을 보인 천연바이오매스의 적절한 개질을 통해 상용화 되어 있는 이온교환수지 보다 더 뛰어난 흡착제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만들어진 흡착제를 특정 금속이 아닌 다양한 산업에서 발생되는 중금속, 희귀금속 및 비철금속 등에 대한 각각의 흡착 성능을 보았으며, 현장 적용을 위한 온도 및 다른 이온들의 저해 현상 등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루테늄 회수에 효과적인 성능을 보였던 발효 폐기물(C.glutamicum)을 polyethylenimine(PEI)로 개질을 통해 만든 흡착제를 이용하였다. 이 흡착제는 기존 이온 교환 수지보다 10배 이상의 고성능을 가진 것으로 조사 되었다. 실험 대상은 Cd(II), Cr(VI), As(V), Mn(VII), ClO4-, PO42- 등 환경에 피해를 주는 물질들과 Au(I)와 같은 경제적 가치가 높아 회수해야 하는 회수해야 하는 희귀금속에 대한 흡착성능을 다각적으로 평가하였다. Cd(II)과 같은 양이온 중금속은 흡착제 특성상 흡착성능이 좋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Cr(VI), Mn(VII)은 흡착 기작이 단순 흡착 기작뿐만 아니라 산화-환원과 같은 복합 기작 제거 형태를 보여주었다. As(V), ClO4-, PO42- 는 기존 흡착제의 성능과 비교하였을 때 매우 좋은 효능을 가지는 것을 보여주었다. 한, 대부분의 이온들이 sulfate 및 chloride에 저해를 받았으며, 온도의 효과는 미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회수대상인 Au(I) 경우 qmax 값은 103.18 mg/g (Langmuir model)으로 실험되었으며 다른 흡착제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76.
        2014.02 KCI 등재 SCOPUS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섬더덕의 항비만 효능과 지질대사 개선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C57BL/6J 4주령의 마우스에게 고지방식이를 9주간 급여하여 비만을 유발한 후 섬더덕 추출물을 첨가한 식이를 5주간 먹여 실험하였다. 체중은 고지방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섬더덕 추출물을 먹인 마우스에서 유의적인 감소를 하였다. 식이효율 결과 또한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이 고지방식이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 및 지방무게에서도 고지방식이군에서 무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고,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에서 장기 및 지방의 무게가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을 알 수 있었다. 혈장을 이용한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고밀도콜레스테롤을 측정한 결과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에서 중성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고밀도콜레스테롤은 유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동맥경화 지수와 심혈관계 위험도 지수는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Western blot을 통해 지방관련 단백질 발현양상을 본 결과 지방분해에 관여하는 PPAR α의 경우 섬더덕 추출물을 급여함으로써 발현양이 증가하였으며, 지방생성 관련 단백질인 SREBP-1, FAS, ACC의 경우 고지방식이군과 비교 시, 섬더덕 추출물을 공급한 군에서 억제되었다. 이상의 결과로 섬더덕 추출물의 섭취는 체중 감소와 더불어 혈장 지질수준 개선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78.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The island areas have disadvantageous conditions compared to inland areas due to the characteristics which are separated, surrounded by seas, isolated. However, as the problems with separation that ultimately caused regional underdevelopment in island areas have been eased by the artificial works linking an island to land and the societal perspective on littoral districts has changed from productive view to consumptive view, the population trend in the island areas has been differentiated according to the regional conditions. But it is the reality that the population trend in the island areas has almost never been analyzed. In this regard, this study tried to analyze the overall demographic transition in eup/myon-level island areas and provide the basic data to establish flexibly and accurately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for island areas in rural As a result, as the regional conditions of island areas become more various, the potential and conditions of development have been differentiated and these trends will be more intensified. In response, the regional development policies for island areas in rural have to be reorganized actively.
        79.
        2013.03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By the continued island-mainland bridging works, increased consumer demand for seashore regions and fundamental improvement of accessibility to metropolitan areas, rural service industries in the island areas has been rapidly developed in the past decades, and also, their functions differentiated geographically. In most island areas, catering and accommodation sectors have been expanded, while traditional trading sector decreasing. And the dominant power of public sectors has been increased but private ones decreased. So, the overall development trends of service industries in island areas would be considered as unhealthy for rural economic sustainability. As a tentative solution, it may be proposed that through the functional specialization/differentiation and efficient linking/networking of rural service industries with multifunctionality of countryside capitals, their spatial cohesion would be strengthened.
        80.
        2012.08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해양에너지를 비롯한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한 분산형 발전시스템 설계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도서 주민의 전력소비량을 실측 분석하고 시기별 전력소비 패턴을 개발하였다. 실측조사는 남해안에 위치한 곤리도의 5가구를 대상으로 2010년 10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수행되었다. 월평균 전력소비량은 가구에 따라 12월 혹은 1월에 최대값이 발생하였다. 가구별 월간 전력소비량은 H가구가 J가구보다 2~3배 많았지만 가구별 1인당 월평균 전력소비량은 J가구가 H가구보다 10~30% 가량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시각별 전력소비 패턴을 개발한 결과 여름철에는 20시에서 자정 사이에 최대 전력소비가 발생하고, 겨울철은 여름철에 비하여 하루 동안의 전력소비 변화는 완만하지만 18시 이후 자정까지의 시간대에 전력소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가구별 주중과 주말의 전력소비 패턴은 매우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1 2 3 4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