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검색조건
좁혀보기
검색필터
결과 내 재검색

간행물

    분야

      발행연도

      -

        검색결과 64

        62.
        2003.05 KCI 등재후보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유치원에 재원 중인 5세 유아의 또래지위와 정서지능과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다. 유아들의 또래지위를 측정하기 위하여 또래평정법(Asher, Singleton, Tinsly, & Hymel, 1979)을 사용하였고, 정서지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만 5세용 정서지능 체크리스트(이병래, 1997)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둘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자기인식·표현능력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자기조절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넷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타인인식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다섯째, 유아의 또래지위에 따라 정서지능의 하위 요소인 타인조절/대인관계능력은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64.
        2002.06 KCI 등재 서비스 종료(열람 제한)
        본 연구는 경쟁불안이 강도와 방향으로 구분될 수 있음을 가정하고, 정서지능이 경쟁상태불안의 방향을 예측하는 예언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증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남·여 고교 양궁선수 11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조사 도구로는 방향차원이 부가된 경쟁상태불안 검사지(CSAI-2: Martens, Burton, Vealey, 1990)와 이수정과 이훈구(1997)의 TMMS(Trait Meta-Mood Scale: Salovey, Mayer, Goldman, Turvey, 및 Palfai, (1995)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경쟁상태불안(인지와 신체불안)의 강도와 방향 그리고 정서지능의 하위 차원인 정서명확, 정서주의, 정서개선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각 변인간의 상관관계분석 및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인지와 신체불안간에는 정적 상관, 강도와 방향간에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정서지능이 경쟁상태불안의 방향차원을 더 잘 예측할 수 있는 변인임이 드러났고, 구체적으로 정서지능의 정서개선 요인이 경쟁상태불안 중 신체불안의 방향차원을 예측하는 변인이 될 수 있음을 증명하고 있다. 새로운 경쟁불안 척도 개발의 필요성과 체험정서와 표현정서간의 차이 등에 대해 논의하였다.
        1 2 3 4